쿠카트어
Kukatj language쿠카츠 | |
---|---|
구가디 | |
네이티브: | 호주. |
지역 | 퀸즐랜드 주 케이프 요크 반도 |
민족성 | 쿠카츠, 칼리바무 |
사멸된 | 아마 2003년까지 |
언어 코드 | |
ISO 639-3 | ggd |
글로톨로지 | guga1239 |
아이아티스[1] | G28 ,G27 |
ELP | 쿠카츠 |
또한 구가디(Gugadj)를 렌더링한 쿠카츠는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 케이프요크 반도의 멸종된 파만어다.칼리바무라는 이름도 붙여졌지만, 이것은 별개의 방언일 수도 있다.[2][3]쿠카트족이 말한다.연설자 한 명이 1975년에 마지막으로 녹음되었다.
쿠카트자라고도 일컬어졌지만, 이것은 서호주 발고 이남에서 쓰이는 쿠카트자 서부 사막 언어 또는 북방영토에서도 쿠카트자로 일컬어지는 서부 사막 언어의 루리트자 방언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쿠카트의 다른 동의어로는 마라고, 구다지, 구다지, 구가디, 구갓지, 고카트지, 쿠카티, 콩가다 등이 있다.[2]
칼리바무
AIATSIS는 2020년[update] 10월 현재 상태가 '확인되지 않음'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Kukatj, Galimbamu, Galibamu, Golbiri, Kotanda 등의 동의어가 있는 Kalibamu(G27)에 별도의 코드를 할당한다.갈리바무는 카펠(1963년)과 틴데일(Tindale)에 의해 별개의 사투리로 보고되는 반면 브린(2006년)은 갈리바무가 자신이 쿠카츠라고 부르는 것과 같은 모습으로 보인다고 말한다.[4]
칼리바무족이 말한다.
소리.
빌라비알 | 아피코알보극 | 아피코 포스트볼라 | 라미노-알보 | 벨라르 | |
---|---|---|---|---|---|
플로시브 | p | t | ʈ | c | k |
콧물 | m | n | ɳ | ɲ | ŋ |
트릴 | r | ɽ | |||
측면 | l | ɭ | |||
근사치 | w | y |
모음재고[5]
i, i: | u , u: | |
a, a: |
참조
- ^ G28 Kukatj(호주 원주민 언어 데이터베이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연구소 및 토레스 해협 아일랜더 연구소의 경우 (추가 링크는 정보 상자 참조)
- ^ a b G28 Kukatj, 호주 원주민 언어 데이터베이스 및 토레스 해협 아일랜더 연구소의 연구
- ^ Bowern, Claire (6 February 2012). "Master List of Australian Languages, v1.2" (Downloadable spreadsheet.). Historical and Pama-Nyungan Lab. Retrieved 13 October 2020.
- ^ G27 Kalibamu(호주 원주민 언어 데이터베이스), 호주 원주민 연구소 및 토레스 해협 아일랜더 연구소의 칼리바무(Kalibamu)
- ^ a b Hansen, Kenneth C.; Hansen, Lesley E. (1978). The core of Pintupi grammar. Alice Springs, NT, Australia: Institute for Aboriginal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