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링가 마가

Kalinga Magha
칼링가 마가
간가라자 칼링가 비자야바후
폴론나루와 왕
재위1215–1236
선대판디안 2세
후계자파라크라마바후 2세
(담바데니야의 왕으로서)
자프나 왕
재위1215–1255
후계자찬드라바누
태어난칼링가
하우스.초다강가[1][2]

칼링가 마가 또는 간가라자 칼링가 비자야바후 (타밀: கலிங்க மாகன் / கலிங்க மாகோன் / கங்கராஜ காலிங்க விஜயவாகு மகன், 신할라: කාලිංග මාඝ)는 1215년 폴론나루와의 파라크라마 판디안 2세로부터 왕위를 찬탈한 칼링가 왕국의 침략자였습니다.그들이 그의 권력에서 벗어나려고 시도하면서, 스리랑카의 남쪽과 서쪽, 그리고 산악지대 내부로 거대한 이주가 뒤따랐습니다.[4]마가는 라자라타라고 알려진 이 섬의 전통적인 토착 권력의 북쪽 자리를 차지한 마지막 통치자였습니다. 그가 북쪽에서 신할라족의 권력을 파괴한 것은 너무나 포괄적이어서 라자라타의 모든 후계 왕국들은 주로 이 섬의 남쪽에 존재했습니다.

마가에 대해서는 여러 이론들이 존재하는데, 이 이론들은 마가를 강가의 동쪽 왕으로 규정하는 것에서부터 칼링가 로케쉬바라에 의해 세워진 신할라 칼링가 왕조의 일원으로 규정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일부 역사학자들은 그를 자프나 타밀 연대기에 언급된 쿨란카얀 칭카이 아리얀이라고[5] 밝히고, 쿨란카가 사실상 칼링가의 부패라고 언급합니다.트린코말리 지역고마란카다왈라에서 발견된 타밀어 명문은 칼링가 마가 쿨로퉁가 촐라 3세에 의해 간가라자 칼링가 비자야바후라는 이름으로 폴론나루와의 왕으로 봉헌되었음을 증명합니다.[6]

원산지이론

칼링가 마가의 정확한 기원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의 이름 때문에, 그는 주로 오늘날 오디샤와 안드라 북동부와 일치하는 역사적인 장소인 칼링가 출신이라고 자주 언급됩니다.[7][8]가장 선호되는 이론은 마가가 칼링가를 통치했던 동부 강가 왕조(초다강가)의 왕자였다는 것입니다.[9][10]그들은 칼링가 찬드라반시 혈통의 후손이며 타밀 [11][12][13][14]촐라 왕조의 후손이기도 합니다.마가는 또한 싱할라 왕국의 칼링가 분파, 폴론나루와의 니산카 말라 데바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후기의 이론은 마가를 자프나 왕국의 창시자이자 아리아크라바르티 왕조의 첫 번째 왕으로 인정합니다.후대의 많은 타밀어 작품들은 칼링가 마가를 자프나의 아리아카크라바르티 왕으로 착각하는데, 이 왕들은 실제로 판디아 왕국의 아리아카크라바르티 혈통에 속합니다.팔리어 문헌인 쿠 ḷ ṃ사는 "케랄라 용병 부대와 함께 온 칼링가의 페스트"라고 묘사하는 칼링가 마가와 판디아 장군이라고 묘사하는 아리아 차크라바르틴을 분명히 구분하고 있습니다.

침략과 통치

칼링가 마가 침공은 라자라타의 왕위 계승을 위해 신할라 왕가의 두 분파 사이에 치열한 경쟁의 시기에 발생했습니다: 판디아 왕자와 결혼한 미트라(비자야바후 1세의 여동생)로부터 내려온 아리아 분파와 비자야바후 1세로부터 내려온 칼링가 분파.

비자야바후 1세의 가계도, 칼링가 가문과 신할라 왕실의 아리아 가문의 시조

아리아(혹은 판디아) 분파에 속했던 파라크라마바후 1세가 죽은 후, 이 나라는 칼링가와 판디아 왕조 출신의 외국 침략자들의 손에 넘어갑니다.칼링가와 판디아 왕조 사이의 치열한 경쟁의 맥락에서, "칼링가의 역병"(당시 촐라 왕조와 동맹을 맺은) 칼링가 마가 스리랑카에 도착했습니다.

마가 치세에 습격한 수많은 거대한 사리탑 중 하나인 제타바나라마야.

칼링가 마가 서기 1215년에 24,000명의[16] 케랄라와 타밀 군인들로 이루어진 대규모 군대와 함께 카라이나가르에 상륙했습니다.[17]그는 병사들을 카라이나가르와 발리푸람에 진을 치고 자프나 공국을 자신의 지배하에 두었습니다.칼링가 마가 그 후 폴론나루와까지 진군하여 파라크라마 판디안 2세를 물리치고 21년간 통치했습니다.그는 1236년 아리아(판디아) 왕조 신할라족 왕들의 일파에 의해 폴론나루와에서 쫓겨났고 1255년까지 다스린 신할라족 왕위와 함께 자프나로 물러났습니다.[18]

쿨라밤사의 칼링가 마가 언급

물라밤사는 그를 '칼링가 혈통에서 태어난 부당한 왕'이라고 묘사합니다.[19]

마가는 폴론나루와의 초다강가의 삼촌이었던 니산카 말라가 1187년에 세운 칼링안 왕조를 통해 주장을 했을 것이라고 추측되어 왔습니다.[20]그러나 그의 구실이 무엇이든 간에, 그는 그의 침략의 순수한 폭력에 의해 대중의 잠재적인 지지를 빠르게 잃었습니다.

파라크라마 판디야를 처형하고 아누라다푸라폴론나루와의 사원들을 약탈한 마가는 케랄라 출신의 자신의 군인들에 의해 왕으로 등극하여 풀랏티나가라의 수도에 정착했습니다.그 군대는 쿨라밤사에서 무자비하고, 불교 종교를 철저히 파괴하고, 많은 부도들을 뒤지고 파괴했다고 묘사되어 왔습니다.[21]

담바데니야의 부상

실론의 토착 세력의 중심이 남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 것은 이 시기였습니다.마가의 치세 동안 풀랏티나가라의 대제사장들은 라자라타의 가장 신성한 유물인 부처님의 팔자 그릇과 성스러운 치아 유물 두 점을 가져갔습니다. 그리고 '안전한 지역의 코트말레에... 두 유물을 조심스럽게 땅에 묻어서 보존했습니다.[22]이것은 이런 일이 처음은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둘 다 북쪽으로 돌아오지 않았기 때문에 마지막이었습니다.

침략자들에 대한 저항은 실론의 산악 내부에 건설된 접근하기 어려운 마을들과 요새들을 중심으로 연합하기 시작했습니다.야파후와 요새는 세나파티(장군) 섭하에 의해 세워진 최초의 요새 중 하나였습니다.[23] 또 다른 요새는 마가의 수도에서 15마일(2요자나) 밖에 떨어지지 않은 상카 장군에 의해 세워진 강가도니였습니다.이 곳에서 여러 귀족들은 통치자 마가의 악명 높은 군대에 대한 관심을 덜 가졌지만, 풀잎 하나에 대한 관심과 그 지역과 [불교 승려들의] 기사단을 두려워하지 않고 보호했습니다.[24]

결국 저항군의 지도자로 등장한 인물은 비자야바후 3세로, 연대기에서는 라자라타 왕 시리삼가보디(242~244년 또는 251~253년)[25]의 후손으로 밝히고 있지만, 이들의 관계는 결혼을 통해서였을 가능성이 있습니다.[26]그는 마가의 군대를 피해 '접근할 수 없는 숲'에서 오랜 시간을 보낸 것으로 보입니다.그러나 1220년대에 그는 마야라타(닥키나데사)에서 타밀군을 몰아내고 잠부도니(담바데니야)에 수도를 세웠습니다.[27]그러나 비자야바후의 가장 강력한 권위의 표현은 그가 통제하고 새로 지어진 사원에 투자한 두 개의 신성한 유물(1222년경)의 회수였습니다.

비자야바후의 통치 기간은 마야라타에 있는 신할라족의 파괴된 불교 기반 시설을 재건하는 데 주로 사용되었으며, 실제로 그가 확립한 많은 종교적 전통은 현대까지 지속될 것입니다.[28]때때로 칼링가가 지배하는 영토에 대한 습격이 이루어졌지만, 아들 파라크라마바후 2세 (1234년-1267년)의 치세에 이르러서야 침략자들을 몰아내기 위한 공동의 노력이 이루어졌습니다.

그가 즉위한 직후에 쿨라밤사는 왕이 어떻게 폐하의 힘과 사랑의 정신의 힘으로 복속하기 시작했는지를 묘사합니다.스리랑카에 [29]주둔하고 있는 적군들의 세력그러나 기록에 따르면 마가가 파라크라마바후와 칼링가 사이의 전쟁에 참여한 것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 마가가 죽거나 폐위된 것으로 보입니다.대신 폴론나루와에 요새를 세운 두 다밀라 왕 마힌다와 자야바후를 지명했습니다. 둘 다 [30]담바데니야의 부활군에게 패배했습니다.마가는 역사 기록에 다시 등장하지 않습니다. 그의 운명은 여전히 수수께끼로 남아있습니다.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K. M. 데 실바, 실론의 역사: 가장 이른 시기부터 1505.2v까지, 실론 대학 출판부, 1960, p.691
  2. ^ Rasanayagam, M., 고대 Jaffna, p303-304
  3. ^ Wright, Arnold (1907-01-01). Twentieth Century Impressions of Ceylon: Its History, People, Commerce, Industries, and Resources. Asian Educational Services. ISBN 9788120613355.
  4. ^ Chattopadhyaya, Haraprasad (1994). Ethnic unrest in modern Sri Lanka: an account of Tamil-Sinhalese race relations. M.D. Publications Pvt. Ltd. ISBN 9788185880525. Retrieved 24 February 2012.
  5. ^ Sivaratnam, C. (1968-01-01). The Tamils in Early Ceylon. Author.
  6. ^ "இலங்கை தமிழர் வரலாறு: புதிய தகவல்களைக் கூறும் 13ஆம் நூற்றாண்டு கல்வெட்டு". 22 November 2021.
  7. ^ "Kalinga ancient region, India".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2017-03-14.
  8. ^ Wenzlhuemer, Roland (2008-01-23). From Coffee to Tea Cultivation in Ceylon, 1880-1900: An Economic and Social History. BRILL. ISBN 9789047432173.
  9. ^ Barnett, Lionel D. (1999-04-30). Antiquities of India: An Account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Ancient Hindustan. Atlantic Publishers & Dist. ISBN 9788171564422.
  10. ^ The Ceylon Journal of Historical and Social Studies. Ceylon Historical and Social Studies Publications Board. 1972-01-01.
  11. ^ Jörn Rüsen (January 2008). Time and History: The Variety of Cultures. Berghahn Books, 01-Jan-2008 - History - 262 pages. p. 72. ISBN 9780857450418.
  12. ^ Sivaratnam, C. (1968-01-01). The Tamils in Early Ceylon. Author.
  13. ^ The Ceylon Journal of Historical and Social Studies. Ceylon Historical and Social Studies Publications Board. 1972-01-01.
  14. ^ Patnaik, Durga Prasad (1989-01-01). Palm Leaf Etchings of Orissa. Abhinav Publications. ISBN 9788170172482.
  15. ^ "The Chulawamsa, p132 (description of Magha), p204 (description of Arya Chakrawarti)" (PDF).
  16. ^ T. 사바랏남, 스리랑카 타밀투쟁 50년 넘게 스리랑카 민족위기를 보도한 언론인 4장
  17. ^ McGilvray, Dennis B. (2008-04-16). Crucible of Conflict: Tamil and Muslim Society on the East Coast of Sri Lanka. Duke University Press. ISBN 978-0822389187.
  18. ^ T. 사바랏남, 스리랑카 타밀투쟁 50여 년간 스리랑카 민족위기를 보도한 언론인 4장
  19. ^ 쿨라밤사, 80장 58-59행 https://archive.org/details/in.ernet.dli.2015.277099/page/n173/mode/2up
  20. ^ 실론의 짧은 역사, H. W. 코드링턴, 1926, 런던, ch
  21. ^ Wright, Arnold (1907-01-01). Twentieth Century Impressions of Ceylon: Its History, People, Commerce, Industries, and Resources. Asian Educational Services. ISBN 9788120613355.
  22. ^ Culavamsa, LXXXI, 17-19 Wayback Machine에서 2006-09-27 아카이브
  23. ^ 더 쿨라밤사, LXXXI, 2-3
  24. ^ 쿨라밤사, LXXXI 9-11
  25. ^ 쿨라밤사 LXXXI 10
  26. ^ 코드링턴, 짧은 역사, ch.V.
  27. ^ 컬라밤사 LXXXI 15-16
  28. ^ Wayback Machine에서 2006-09-27 장 보관
  29. ^ 컬밤사, LXXIII, 8-11
  30. ^ 쿨라밤사 LXXXIII 14

외부 링크

  • [1]스리랑카 역사에 관한 자료.
  • [2]스리랑카 남부로 신할라족의 세력이 이동한 것에 대한 설명.
앞에 폴로나루와 왕국
1215–1236
승계인
앞에
형성된 새로운 국가
자프나 왕국
1215–1255
승계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