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를 헤르츠펠트

Karl Herzfeld
카를 헤르츠펠트
Karl Herzfeld.jpg
레지나와 칼, 1938년 레지나 졸업식 때
태어난(1892-02-24)1892년 2월 24일
죽은1978년 6월 3일 (1978-06-03) (86세)
국적오스트리아계 미국인
모교빈 대학교
로 알려져 있다.운동이론, 초음파
과학 경력
필드물리학자
기관뮌헨 대학교
존스 홉킨스 대학교
미국 가톨릭 대학교
박사학위 자문위원프리드리히 하세놀
박사과정 학생존 아치발트 휠러
월터 하이틀러
영향받은조지프 베버[1]

카를 페르디난드 헤르츠펠트(Karl Perdinand Herzfeld, 1892년 2월 24일 ~ 1978년 6월 3일)는 오스트리아계 미국인 물리학자였다.

교육

헤르츠펠트는 합스부르크 왕조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통치하던 시기에 빈에서 태어났다."그는 최근에 동화된 저명한 유대인 집안 출신이야."[2]그의 아버지는 내과 의사였고 비엔나 대학의 산부인과 교수였다.그의 어머니 카밀라 네에 헤르조그는 신문 발행인의 딸이자 유기화학자 R. O. Herzog의 누이동생이었다.[2]

헤르츠펠트가 10세 때인 1902년, 로마 가톨릭 교회의 베네딕트 훈장이 운영하는 사립 체육관 쇼텐기름 체육관에 등록하여 설립자들이 스코틀랜드 출신이라는 사실에서 유래한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는 1910년까지 이 학교에 다녔는데, 그 때 그는 물리학과 화학을 공부하기 위해 비엔나 대학에 다니기 시작했다.1912년에는 취리히 대학에이드게노시체 테크니셰 호치슐레 취리히(ETHeidgenössische Technische Hochschule Zürich)에서 강의를 들었다.그는 취리히에서 ETH에 있던 오토 스턴을 만났다; 헤르츠펠트는 후에 스턴과의 대화를 열역학에 대한 더 깊은 이해로 인정했다.1913년 괴팅겐 대학에 진학하였고, 이후 헤르츠펠트가 비엔나로 돌아왔으며, 1906년 루트비히 볼츠만의 자살로 이론물리연구소 소장이 된 프리드리히 하세노를 휘하 1914년 박사학위를 받았다.[2][3]

헤르츠펠트의 박사학위 논문은 금속 이론의 모델로 자유전자의 기체에 통계역학을 적용했다.박사학위를 받을 무렵 그는 이미 6편의 과학 논문을 발표하였다.그 중 하나에서 그는 수소 원자의 모델을 도출하려고 시도했다.이 논문은 닐스 보어가 수소 원자의 보어 모델에 대한 첫 논문을 제출하기 직전인 [4]1912년에 발표되었다.[5]

박사학위를 받은 헤르츠펠트는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에서 자원봉사를 했다.제1차 세계대전이 그 직후에 발발했고 그는 1918년까지 복무하여 중위로 올라섰다.헤르츠펠트의 논문고문 하세놀은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소집되어 복무하다가 전선에서 살해되었다.[6]헤르츠펠트는 군복무 중 물리학, 화학 문제, 특히 물질의 구조, 즉 기체, 액체, 고형물에 적용되는 통계역학에 관한 6편의 논문을 발표했다.[2]

전쟁이 끝난 후, 헤르츠펠트는 빈 대학교로 돌아왔지만, 이 대학은 재정적으로 매우 궁핍하여 1919년 분석 화학을 공부하고 높은 존경을 받은 독일 화학 산업에 취직할 목적으로 뮌헨으로 이주했다.먼저 뮌헨 루드비히 막시밀리안 대학(LMU)의 카시미르 파잔스의 물리화학 실험실 조교였다.그러나 일단 그곳에 가면 이론물리학의 도전이 더욱 마음에 들었다.그는 LMU에서 이론물리학과 물리화학 분야에서 민영화제가 되었고, 따라서 이론물리학과 교수로 원자 및 분자구조 연구를 위한 저명한 조직인 이론물리연구소 소머펠트 소장과 훨씬 더 관련이 있었다.[7]1925년부터 1926년 LMU를 떠날 때까지 그는 이론물리학 전공의 비범한 교수였다.이 시기에 리너스 폴링은 그와 함께 박사후 연구를 하였고, 1926년 박사학위를 받은 월터 하이틀러의 논문 고문을 맡았다.1925년 헤르츠펠트는 독일어권 대학의 대학원 수준의 교과서가 된 운동 이론과 통계 역학에 관한 책을 출간했다.[8][2]

경력

헤르츠펠트가 메릴랜드볼티모어존스 홉킨스 대학에서 초빙교수직을 맡게 된 것은 1926년이며, 이 교수직은 정규 교수직으로 발전했다.1930년과 1932년 동안 그는 뉴욕시쿠퍼 유니온포드햄 대학에서 강사로 일했다.[2]

Herzfeld는 존스 홉킨스에 있는 동안 화학자 Francis O와 함께 상당한 연구를 했다.같은 해 헤르츠펠트가 도착한 뒤 부교수로 대학에 입사한 라이스.그들의 1928년 논문은[9] 초음파와 가스 분자 사이의 에너지 전달에서 분자 진동의 역할을 고려했다.Herzfeld는 존스 홉킨스에서 다른 유럽 동료들, 즉 1925년과 1963년에 각각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제임스 프랜크마리아 괴퍼트 메이어와 같은 대학의 물리학 교수진들과 함께 일했다.프랑크는 1933년 독일을 떠난 뒤 존스 홉킨스로 왔는데, 그곳에서 그는 쾨팅겐 대학의 실험물리학 교수 겸 제2실험물리학연구소 소장을 지냈고 쾨팅겐의 이론물리연구소 소장을 지낸 막스 본의 절친한 동료였다.괴퍼트 메이어는 본의 학생이었으며, 1931년 존스 홉킨스 교수진에 입사했다.괴퍼트 메이어와 헤르츠펠트는 집합과[10] 핵융합 반응에 관한 기사를 실었다.[11]헤르츠펠트는 프랑크와 광합성에 관한 독점 기사를 공동으로 썼는데, 둘 다 존스 홉킨스를 떠난 후였다.[12][13]저명한 물리학자가 된 존 아치발트 휠러는 1933년 헤르츠펠트 밑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2]

1936년, 헤르츠펠트는 워싱턴 DC있는 카톨릭대학교로 옮겨갔으며, 1978년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서 머물렀다.1969년 명예로운 지위를 받아 여생을 활동했다.[2]

헤르츠펠트가 존스 홉킨스를 떠난 이유는 아놀드 소머펠트에게 보낸 편지에서 설명되었다.가장 큰 이유는 존스 홉킨스의 심각한 재정 상황이었다.하지만, 다른 이유들도 있었다.그 중 하나는 실험물리학과 교수 겸 물리학부 회장인 R. W. W. Wood와의 관계가 악화되었다.또한 또 다른 실험학자인 J. A. 비데넨은 이론물리학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소학과의 독일 물리학자 수가 균형을 잃고 있다고 생각했다.비든은 또한 헤르츠펠트가 부서장이 되고자 하는 헤르츠펠트의 야망을 더 키우기 위해 프랑크를 존스 홉킨스로 데려왔다고 의심했다.마침내 비데넨 역시 헤르츠펠트가 괴퍼트 메이어를 물리학 연구 동료에서 정규 교수진으로 승진시키기 위한 그의 강력한 지지로 인해 부서 내 갈등을 야기시켰다고 생각했다.헤르츠펠트는 포드햄 대학과 카톨릭 대학 양쪽으로부터 제의를 받은 반면, 둘 다 강한 연구 학과가 없기 때문에 매력을 느끼지 못했다.이사야 보우먼 존스 홉킨스 사장과 이 상황을 논의하면서, 존스 홉킨스 사의 재정적인 어려움은 물리학 교수진을 축소해야 할지도 모른다는 것이 분명해졌다.이를 염두에 두고 헤르츠펠트는 가톨릭 대학의 제의를 받아들였다.헤르츠펠트의 가톨릭대 교수 책임과 봉급은 존스홉킨스대 교수직과 거의 같았지만, 물리학과장도 겸직했기 때문에 추가적인 행정 업무도 있었다.[2]

1940년대 후반, 헤르츠펠트는 가톨릭대학교에서 다원자 분자의 전자 구조에 관한 양자 기계식 계산으로 관심을 높였고, 따라서 이 분야에서 대학의 존경받는 지위를 확립했다.[14][15]

1959년, 헤르츠펠트와 테오도르 A.리토비츠는 F. O. 라이스 기고 이후 30년 이상 동안 초음파에 대한 헤르츠펠트의 생각을 요약한 책을 공동 집필했다.[16]1966년, 헤르츠펠트는 50년 동안의 물리적 초음파 발달 과정을 요약한 리뷰 기사를 발표하였다.[17]

사생활

1938년, 헤르츠펠트는 카톨릭 대학의 인류학 강사였던 레지나 플래너리와 결혼했다. 1970년 은퇴할 때, 그녀는 교수로 올라갔고, 그 학과장을 맡은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2]

헤르츠펠트는 가톨릭 신학에 깊은 관심을 가진 가톨릭 신학자였다.그는 미국, 가톨릭 교회, 미국 가톨릭 대학교에 기여한 공로로 기븐스 추기경상을 받았다.[18]

명예

출판물

기사들

  • Karl F. Herzfeld Uber ein Atitonel, das die Balmer'schele Wasserofffserie aussendet, Sitzungsbericte der Akniglichen Akademie der Wien 121(2a):593-601 (1912)
  • 카를 F. 헤르츠펠트 주르 엘렉트로넨테리 데르 메탈레, 안날렌 데르 피식(4) 41:27-52 [헤르츠펠트의 프리드리히 하세놀 교수 지시로 빈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1913)
  • 원소를 금속으로 만드는 원자성에 관한 Karl F. Herzfeld on Natomic Properties 29:701-705 (1927)
  • Karl F. Herzfeld와 F.O. 고주파 음파의 쌀 분산흡수, 물리적 검토 31:691-95 (1928)
  • Karl F. Herzfeld와 Maria Goepert-Mayer 통합 상태, Journal of Chemical Physics 2:38-45 (1934)
  • F. O. 라이스와 칼 F.Herzfeld는 활성산소의 관점에서 유기화합물의 열분해. VI. 어떤 연쇄반응의 메커니즘,' J. Am.화학. Soc. 56:284–289 (1934년) [1]
  • Karl F. Herzfeld와 M.괴퍼트-메이어 융합 이론에 대해, 물리. 개정 46:995-1001(1935년)
  • Karl F. Herzfeld와 James Franck An은 광합성 이론 J. Chem을 시도했다. 체육관 5:237-51 (1937)
  • Karl F. Herzfeld와 James Franck는 광합성 이론 J. Phys기여했다. 화학. 45:978-1025 (1941)
  • Karl F. Herzfeld Electron 수준 - 공진 이중 결합을 갖는 다원자 분자, 화학 리뷰 41:233-56 (1947)
  • 분자파 함수에서 Karl F. Herzfeld Nodal 표면 현대 물리 21:527-30 (1949년)
  • Karl F. Herzfeld 50년 물리초음파학, 미국 음향학회지 39권, 발행부 5A, 페이지 813–825, 가톨릭대학교, 워싱턴 D. C. (1965년 7월 27일 수신)

책들

  • 카를 F. 헤르츠펠트 주르 엘렉트로넨테오리 데르 메탈레 (Barth, 1913년)
  • Karl F. Herzfeld Phychalische und Elektrochmie In Encyklopédie der Matheatischen Wissenschften mit Einschluss Ihrer Herft 6, 페이지 947–1112 (라이프치히: B. G. Teubner, 1921)
  • Karl F. Herzfeld Gröse와 Bau der Moleküle In Handbuch der Phychik 1부, 밴드 22부, 에드.A. Smekal, 페이지 386–519 (Berlin: Springer-Verlag, 1924) (제2의 에드, 밴드 24, 1933, 페이지 1–252)
  • Karl F. Herzrfeld, Kinetische Theory der Werme In Müler-Pouillets Lerhbuch der Physik 밴드 3 (Braunsweig: F)1925년경, Viewig und Son)
  • Karl F. Herzfeld Klasische Thermodynamik In Handbuch der Phychik 1차 에드, 밴드 9, 페이지 1–140 (Berlin, Springer-Verlag, 1926)
  • Karl F. Herzfeld 및 K. L. Wolf 흡수 분산 Handbuch der Phyk 1차 에드, 20, 페이지 480–634 (베를린: Springer-Verlag, 1928)
  • Karl F. Herzfeld Gittertheori der Festen Körper In Handbuch der Experiment Physik Band 7, Eds.W. 빈과 F.유해성, 페이지 325–422 (라이프치히:Akademische Verlagsgesellschaft, 1928)
  • Karl F. Herzfeld 와 H. M. Smallwood 가스와 액체의 운동 이론 물리 화학 2편, 1권, 에드.H. S. 테일러, 페이지 73–217 (뉴욕: 반 노스트랜드, 1931년)
  • Karl F. Herzfeld와 H. M. Smallwood 불완전한 기체와 액체 상태Physical Chemistry 2부, 1권, Ed.H. S. 테일러, 페이지 219–250 (뉴욕: 반 노스트랜드, 1931년)
  • Karl F. Herzfeld 이완 현상 열역학물질 물리학 제1권, ed.F. Rossini, 페이지 646–735 (Princeton, N.J.: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1955)
  • Karl F. Herzfeld와 V. Griffing열역학 물질 물리학 제1권, Ed.F. 로시니, 페이지 111–176 (Princeton, N.J.: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1955)
  • Karl F. Herzfeld와 Teodore A.리토비츠 초음파 흡수 확산 순수응용물리학 제7권 (Academic Press, 1959
  • Karl F. Herzfeld 기본 가스 물리학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1)
  • 통계 역학의 Karl F. Herzfeld 질문: Karl F Herzfeld의 일부 반동적 관점 (Center for theory Studies, 1971년 마이애미 대학 이론 연구 센터, 1971

메모들

  1. ^ 1983년 조지프 베버 미국 물리연구소 구술사 인터뷰
  2. ^ a b c d e f g h i j k l m 칼 페르디난드 헤르츠펠트 1892-1978, 조셉 F의 전기적 회고록.2001년, 국립 아카데미 출판사 멀리건
  3. ^ 헤르츠펠트 – 수학 계보 프로젝트.비엔나 박사 대학. 1914년 논문 제목: 주르 엘렉트로넨테리 데르 메탈레.조언자:프리드리히 하세놀
  4. ^ Karl F. Herzfeld Uber ein Atiloel, das die Balmer'schele Wasserofffserie aussendet, Sitzungsbericte der Akniglichen Akademie der Wien 121(2a):593-601 (1912)
  5. ^ Wayback Machine보관된 2007-07-04년 보어 모델 - 닐스 보어 원자와 분자의 헌법, 철학적 잡지 시리즈 6, 1913년 7월 26일 페이지 1-25.
  6. ^ 메헤라, 2001, 제5권 제1부 226쪽.
  7. ^ 메헤라, 2001, 제5권 제1부 254쪽.
  8. ^ Karl F. Herzfeld Kinetische Theory der Werme In Müller-Pouillets Lehrbuch der Physik 밴드 3. (Braunsweig: F)1925년경, Viewig und Son)
  9. ^ Karl F. Herzfeld와 F.O. 고주파 음파의 쌀 분산흡수, 물리적 검토 31:691-95 (1928)
  10. ^ Karl F. Herzfeld와 Maria Goepert-Mayer 통합 상태, Journal of Chemical Physics 2:38-45 (1934)
  11. ^ Karl F. Herzfeld와 M.괴퍼트-메이어 융합 이론에 대해, 물리. 개정 46:995-1001(1935년)
  12. ^ Karl F. Herzfeld와 James Franck An은 광합성 이론 J. Chem을 시도했다. 체육관 5:237-51 (1937)
  13. ^ Karl F. Herzfeld와 James Franck는 광합성 이론 J. Phys기여했다. 화학. 45:978-1025 (1941)
  14. ^ Karl F. Herzfeld Electron 수준 - 공진 이중 결합을 갖는 다원자 분자, 화학 리뷰 41:233-56 (1947)
  15. ^ 분자파 함수에서 Karl F. Herzfeld Nodal 표면 현대 물리 21:527-30 (1949년)
  16. ^ Karl F. Herzfeld와 Teodore A.리토비츠 초음파 흡수 확산 순수응용물리학 제7권 (Academic Press, 1959
  17. ^ Karl F. Herzfeld 50년 물리초음파학, 미국 음향학회지 39권, 발행부 5A, 페이지 813-825, 가톨릭대학교, 워싱턴 D. C. (1965년 7월 27일 수신)
  18. ^ https://www.washingtonpost.com/archive/local/1978/06/07/karl-herzfeld-86-cu-physicist-dies/d73d8b74-16a5-4ea4-acae-89aa5599250f/

참조

  • 메흐라, 자그시시시, 헬무트 레첸베르크양자론의 역사적 전개. 제5권 Erwin Schrödinger 와 Rise of Wave Mechanics. 제1부 1887–1925 비엔나취리히의 슈뢰딩거(Schrödinger) ISBN0-387-95179-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