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를 펜카

Karl Penka

펜카(Karl Penka, 1847년 10월 26일 – 1912년 2월 10일)는 오스트리아의 언어학자 겸 인류학자였다. 북유럽의 프로토-인도-유럽 조국을 찾는 그의 구시대적인 이론으로 유명한 [1]펜카는 "아리아니즘노르디즘 사이의 과도기적 인물"[2]로 묘사되어 왔다.

전기

모라비아(현 체코 모헬니스)의 뮐리츠에서 태어난 펜카는 1873년부터 1906년 사이에 비엔나에 있는 소년 고등학교인 막시밀리안 체육관의 명수였다.[3]

그는 비교언어학의 관점에서 인류학을 공부했고 인도-유럽인의 기원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다. 는 언어적 의미에서 아리안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이를 인종과 문화의 넓은 용어로 확장하였다. 펜카는 아리아 인종스칸디나비아에서 출현했으며 푸른 눈과 금발의 북유럽적 특징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이론을 대중화했다. 1883년 저서 오리진스 아리아카에('아리아인의 기원')에서 인도유럽의 고국이 고대의 하이퍼보레아에 해당하는 먼 북쪽에 위치할 것을 제안했다.[4]

펜카는 1912년 빈에서 죽었다. 그는 이제 인종학에서 인종차별주의적이고 반유대주의적인 이론의 선구자로 보여지고 있다.[5]

선택한 작품

  • 다이 노미널프렉스 데르 인도거마니셴 스프래첸 (Vienna, 1878년)
  • 오리진 아리아카에. Languageistisisch-ethnologische Untersuchunen jur altesten Geschichte der arischen Völker und Sprachen (비엔나, 1883)
  • 디 허쿤프트 데어 에리어 Neue Beitrége jur historyischen 인류학자 데르 유로파이스첸 뵐커(Vienna, 1886)
  • 132페이지부터 다스 아우슬랜드(1891년)의 '엔트스승 데어 아리셴 라스'
  • Neue Governmenten über die Urhimat der Arier (라이프치히, 1906년)
  • O. 슈레이더스 저당권 데르 쉬드루시첸 우르하맛 데르 인도게르만(Leipzig, 1908년, 시리즈 Beitrége Jur Rassenkunde, 6년)

추가 읽기

  • 라르스 폰 카르스테트, 스프라체 und Kultur. Eine Geschichte der Deutschsprachigen Ethnolnguistik (Diss, Hamburg 2004)
  • Z. Filip, Biografickýs 슬로브니크 옥레수 슈움페르크 (Shumperk, 2001)
  • Kurt Redel, Die rassenkundliche Begrndung des Begriffs "nordch" den Wiener 교수 Karl Penka (Dresden, 1940)

메모들

  1. ^ Mallory, J. P. (1989). In search of the Indo-Europeans : language, archaeology, and myth. Thames and Hudson. p. 268. ISBN 0-500-05052-X. OCLC 20394139.
  2. ^ 크리스토퍼 허튼, 인종과 제3제국(2005) 페이지 108: "아리아니즘과 노르디즘 사이의 과도기적 인물은 카를 펜카(1847–1912)로 서북유럽에 있는 아리안족의 기원을 주장하여 아리아 인종이 사실상 북유럽 민족이 되었다."
  3. ^ 비엔나의 인류학회(Humanological Society of Vienna, 1912), 페이지 222: "Karl Penka: Der am 10. 1912년 2월 버스토르베네 팔레오에톨로지 교수 Karl Penka Wurde는 26살이다. 옥토버 1847 Zu Müglitz... 게보렌... 임자레 1873년 우르드 어 교수는 1906년 르흐람테 테티그 전쟁 당시 빈에 있는 막시밀리안스키움 체육관이다.
  4. ^ 조슬린 고드윈, 아크토스: 과학, 상징, 나치 서바이벌의 극지 신화 (Thames & Hudson Ltd, 1993), 페이지 32-50
  5. ^ 폰 카르스테트, 라르스(2004) 스프라이체 und Kultur. Eine Geschichte der Deutschsprachigen Ethnolnguistik, 페이지 78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