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리스

Karys

카리스(문학:군인)는 1919년 이후 발행된 리투아니아어 군사 전문 잡지다.리투아니아 군대에 관한 잡지로 군인과 일반 대중을 겨냥하고 있다.전후 기간(1919–1940)에 리투아니아 국방부리투아니아 총참모부에 의해 카우나스에서 매주 발행되었다.제2차 세계대전 당시 리투아니아 보조경찰대대의 잡지였다.소비에트 시대(1950~1990)에는 뉴욕의 리투아니아 참전용사들이 월간으로 발행했다.1990년 독립이 복원된 후 국방부에서 다시 한 번 월간으로 발행하고 있다.[1]1920년 4000부, 1940년 33,000부, 1983년 1650부, 1991년 22,000부, 2005년 3000부 등이었다.[2]

역사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

1919년 5월 22일 카우나스에서 첫 8페이지 분량의 '카리슈키스 kidis(군인의 말)'라는 제목의 기사가 실렸다.당시 새로 창설된 리투아니아군은 리투아니아-소비에트 전쟁에서 싸우고 있었다.이 잡지는 1920년 10월 카리슈키스가 제대로 된 리투아니아어가 아니라고 믿었던 조나스 로리나티스 편집자에 의해 카리스로 개명되었다.[3]주간지는 군사 소식, 군인들의 생활 보도, 리투아니아 독립전쟁의 회고록, 군 과학이나 무기에 관한 대중 과학 기사, 문학 소설 작품, 유머러스한 일화 등을 게재했다.리투아니아 군대의 개별 부대에 대한 일회성 보충판도 발간했다.[3]1929년 리투아니아 학교에서 군사 교육이 의무화되자 카리스도 학생들 사이에 보급되었다.이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시와 단편 공모전이 마련됐다.시마스 우르보나스(1936~1940) 편집장 밑에서 잡지는 28쪽까지 늘었고 출판 빈도는 주 2회로 늘렸다.당시는 인타글리오 기법으로 인쇄한 풍부한 삽화가 들어간 잡지였다.[3]처음 20년 동안 카리스에게는 약 5,000명의 기고자가 있었다.1919년 26명에서 1923년 65명으로, 1926년 148명, 1929년 256명, 1931년 414명, 1935~1938년 약 500명으로 기고자 수가 증가했다.[4]

1940년 6월 리투아니아소비에트 연방에 점령당하자 카리스는 단종되었고 1940년 7월 6일 친소련 일간지 카리슈 티에사(소련의 진실)로 대체되었다.[5]1941년 6월 독일이 소련을 침공하자 1941년 12월 23일 리투아니아 보조경찰대대의 주간지로 빌니우스에서 카리스가 재창간되었다.심한 검열과 종이 부족에도 불구하고, 우르보나스 편집장은 용케 4만 부까지 발행 부수를 늘렸다.[3]1944년 초 포빌라스 플레차비치우스 장군의 리투아니아 영토 방위군의 모집 플랫폼 역할도 했다.[5]1944년 5월 기념일판은 컬러로 인쇄된 20쪽짜리 발행물로 표시되었다.[5]1944년 중반, 바게레이션 작전의 결과로 리투아니아는 소련에 의해 재점령되었고 카리스는 단종되었다.대부분의 편집자와 기고자들은 홍군의 진격을 앞두고 독일로 피신했다. 잡지는 베를린과 바이마르에서 신문 리투비스의 부록으로 잠시 부활되었다.[3]

미국에서

이 잡지는 1961년 카리스가 사망할 때까지 계속해서 카리스에 대해 일했던 첫 번째 이슈 이후, 그리고 재정 지원에 동의한 아우구스티스 아스트라우스카스 편집위원의 비서 Stasys Butkus가 미국에서 다시 부활했다.[3]그들은 우르보나스를 초대하여 편집장을 재개했다.제1호(24쪽)는 1950년 11월 23일에 나왔다.이 월간지는 궁내와 장교 양쪽의 리투아니아 퇴역군인들의 입맛을 맞추려고 방향을 바꾸었고, 따라서 전쟁 전의 카리스카르다스의 전통을 융합시켰다.우르보나스가 건강상의 문제로 사임한 후 도마스 페니카스가 편집장이 되었다.그의 재임 기간 동안 발행부수는 250부까지 떨어졌다.[3]

1954년 리투아니아 장교들의 조직인 라모브슈의 뉴욕 지부에 의해 출판물이 인수되어 지그만타스 라울리나티스가 새로운 편집자가 되었다.무급직이었지만 30여 년간 편집장을 지낸 라울리나티스는 대단한 열정과 헌신을 보였다.발행부수가 회복되고 가입자 수가 1,000명을 넘어섰다.[3]1958~1973년, 카리스는 전 리투아니아 라이플맨 연합의 회원들을 위한 보충판인 트레미스 트리미타스(Tremits of Examily, 전전 트리미타스에 대한 경의를 표하는 트럼펫)를 출판했다.[2]1970년대와 1980년대에 이르러 실제로 리투아니아 군대에서 복무했던 기성세대가 자연 소멸하면서 점점 더 기고자를 찾기가 어려워지고 있었다.1981년 카지스 에링시스 박사가 망명했을 때, 그는 4년에 걸쳐 소련에 의한 리투아니아군의 점진적 파괴에 관한 일련의 기사를 기고했다.이 글들은 1993년에 별책으로 출판되었다.다른 시리즈들도 별도로 출판되었다: 조나스 에이브러티스가 게디미나스 대대에 쓴 회고록, 후오자스 클림마스의 전시경험에 대한 회고록, 아나톨리주스 카이리스가 쓴 로마스 칼란타에 관한 3막짜리 드라마.[3]

리투아니아로 돌아가기

1991년 1월 리투아니아 국방부에 의해 빌니우스에서 카르다스가 재창간되었으나, 새로 독립한 리투아니아의 위태로운 상황 때문에 이 잡지는 미국에서 1년 더 계속 발행되었다.[3]1991-2001년에 이 잡지는 한 달에 두 번 발행되었다.2002년부터 월간지가 되었다.[6]

편집자

매거진의 편집자는 다음과 같다.[7]

  • 주요 페트라스 루세카스: 첫 번째 호와 1922년 12월 13일 – 1925년 11월 4일
  • 비토타스 스테포나티스 중령: 1919년 5월 25일 – 1920년 3월 24일
  • 조나스 로리나티스 중령: 1920년 3월 25일 – 1921년 9월 29일
  • Kazys Kepalas 예비역 중위: 1921년 9월 30일 – 1922년 2월 1일
  • 후오자스 페트르나스 군관: 1922년 2월 2일 – 1922년 9월 8일
  • 군 관계자 지그만타스 쿠즈미카스: 1922년 9월 9일 ~ 1922년 12월 12일
  • 예비역 대위 Antanas Mazus: 1925년 11월 12일 – 1926년 2월 3일
  • 주오자스 톰쿠스 예비역: 1926년 2월 4일 – 1926년 6월 29일
  • 예비역 중령 로무알다스 부로카스: 1926년 6월 30일 – 1927년 3월 15일, 1927년 9월 7일 – 1928년 3월 6일
  • 타다스 샤크마나스 예비역 중위: 1927년 3월 16일 – 1926년 9월 6일
  • 스타니슬로바스 쿠이지나스 예비역 중위: 1928년 3월 7일 ~ 1928년 10월 10일
  • 후오자스 발치우나스-슈바이스타스 중령: 1928년 10월 11일 – 1935년 11월 24일
  • 주요 페트라스 자카스: 1935년 11월 25일 – 1936년 3월 18일
  • 시마스 우르보나스 선장(시모나스 우르바나비치우스): 1936–1940, 1941–1944, 1950–1951[3]
  • 브로니우스 아우슈트로타스: 1945[6]
  • 도마스 페니카스: 1951-1954[1]
  • 지그만타스 라울리나티스: 1954–1984[1]
  • 밸리 루가스: 1985-1991[1]
  • 브론우스 체카나우스카스: 1991-1993
  • 키슈티스 스타린스카스: 1994-1998
  • 알리나 메이루나이트-바이슈빌리엔 ė: 1999–2004, 2006 (4개 이슈), 2009 (1개 이슈), 2010 (6개 이슈)[6]
  • Kazys Jonushas: 2004–2012 (휴식 기간 포함)[6]
  • 다리우스 바라나비치우스: 2012년[6] 이후

참조

  1. ^ a b c d Tapinas, Laimonas; et al., eds. (1997). "Karys" (PDF). Žurnalistikos enciklopedija. Vilnius: Pradai. p. 207. ISBN 9986-776-62-7.
  2. ^ a b Urbonas, Vytas (2006-01-17). ""Karys"". Visuotinė lietuvių enciklopedija (in Lithuanian).
  3. ^ a b c d e f g h i j k Raugas, Balys (21 May 1994). "Žodžiai "Kario" metų sukakčiai" (PDF). Draugas (in Lithuanian). 99 (LXXXV): 4. ISSN 2377-3286.
  4. ^ Butkus, Stasys (22 May 1939). "Pirmasis pasimatymas apkasuose". Karys (in Lithuanian). 20–21 (1040–1041): 603.
  5. ^ a b c Karosevičiūtė, Janina (April 2009). "Karinė spauda (Vytauto Didžiojo karo muziejaus rinkiniuose)" (PDF). Karys (in Lithuanian): 39. ISSN 2029-5669.
  6. ^ a b c d e "Karys. - Kaunas, 1920-1945, 1991-". Lietuvos integrali bibliotekų informacijos sistema (in Lithuanian). Martynas Mažvydas National Library of Lithuania. Retrieved November 4, 2017.
  7. ^ ""Kario" redaktoriai per dvidešimt metų". Karys (in Lithuanian). 20–21 (1040–1041): 593–595. 22 May 193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