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스 칼란타
Romas Kalanta로마스 칼란타(Romas Kalanta, 1953년 2월 22일~1972년 5월 14일)는 리투아니아에서 소련 정권에 항의하는 공공의 자기 분신으로 알려진 19세의 리투아니아 고등학생이다.칼란타의 죽음은 리투아니아에서 가장[1] 큰 전후 폭동을 일으켰고 비슷한 분신을 불러일으켰다.1972년에는 13명이 [2]분신 자살했다.
칼란타는 1970년대와 1980년대 [3]내내 리투아니아 저항의 상징이 되었다.2000년, 그는 사후 비티스 십자가 훈장을 받았다.
생사
칼란타는 신앙심이 깊었다; 그는 학교 에세이에서 가톨릭 신부가 되고 싶다고 말했고,[4] 이것은 그에게 당국과의 문제를 야기했다.그는 공장에서 [4]일하면서 야학에 다녔다.칼란타는 기타를 연주하고 몇 가지 그림을 그렸다. 그는 긴 머리를 가지고 있었고 히피들에게 [5]동정심이 있었다.이러한 동정심은 나중에 소련에 의해 이용되어 나이든 사람들 사이에서 칼란타의 신용을 떨어뜨렸다.그에게는 안타나스라는 형이 있었다.
1972년 5월 14일 정오, 칼란타는 자신에게 3리터의 석유를 붓고 1940년 꼭두각시 입법부 인민 세이마스가 리투아니아 SSR의 설립을 선언하고 소련에 리투아니아를 1리터로 인정해 달라고 탄원했다.구소련 사회주의 공화국들.[6]그는 약 14시간 후에 병원에서 사망했다.자살하기 전 칼란타는 짧은 메모가 적힌 수첩을 벤치에 두고 나왔다.그 내용은 1990년 독립선언과 KGB 비밀문서보관소 개방 이후 알려졌다.쪽지에는 "내 죽음에 대한 정권만 비난하라"고 적혀 있었다.델 마노 미르티 칼팅카이트 틱 산트바르크).[4]무엇이 [4]자살을 유발했는지 더 자세히 설명할 수 있는 메모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가 죽은 후, 그의 급우들 중 몇 명이 애국자 단체를 결성했고,[6] 그들 중 누가 임무를 수행해야 할지 결정하기 위해 추첨을 실시했다는 소문이 퍼졌다.소련의 공식 선전은 칼란타가 정신질환을 앓고 있다고 주장했다.
폭동과 여파
소련 정부는 사건을 은폐하려 했지만 목격자들은 입소문을 타고 그 소식을 퍼뜨렸다.5월 18일 [2]소련 당국은 공공성을 막기 위해 칼란타의 매장을 몇 시간 앞당겼다.그의 장례 행렬은 수천 명의 사람들이 "리투아니아를 위한 자유!"라고 외치며 거리로 뛰쳐나온 이틀간의 폭동을 촉발시켰다.그들은 경찰서와 파티 사무실을 공격했다.대부분 고등학생과 젊은 노동자들인 모인 사람들은 KGB, 밀리치야, 그리고 내무부대에 의해 강제 해산된 정치적으로 고발된 폭동을 일으켰다.다음 날, 약 3,000명의 사람들이 라이세브의 알자 강을 따라 행진했고, 그 중 402명이 체포되었다.뉴욕타임스는 소련군 [7]중 수많은 부상자와 1명이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1972년과 1973년 내내 KGB가 3~4배 이상의 다양한 반소련 사건을 등록하면서 [2]대중의 동요가 느껴졌다.리투아니아는 1972년 화재로 인한 다른 13건의 자살 기록을 남겼는데, 24세의 V.를 포함했다.60세의 나이로 5월 29일 Varnana에 있는 Stonys.62년 6월 3일 카우나스에서 안드리우슈케비치우스, 6월 [2][8]22일 샤울리아이의 주오자파스 바라체비치우스.
「 」를 참조해 주세요.
- 1968년 폴 리자드 시비에크의 분신
- 체코슬로바키아 얀 팔라흐 1969년 분신
- 우크라이나 올렉사 히르니크 1978년 분신
- 리투아니아 비타우타스 비치울리스 1989년 분신
레퍼런스
- ^ Misiunas, Romuald; Rein Taagepera (1993). The Baltic States: Years of Dependence 1940–1990 (revised e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252–253. ISBN 0-520-08228-1.
- ^ a b c d Anušauskas, Arvydas (2003). "KGB reakcija į 1972 m. įvykius". Genocidas ir rezistencija (in Lithuanian). 1 (13).
- ^ Coleman, Loren L (2004). The Copycat Effect: How the Media and Popular Culture Trigger the Mayhem in Tomorrow's Headlines. Simon and Schuster. pp. 57–58. ISBN 978-1-4165-0554-9.
- ^ a b c d Kamiński, Łukasz (20 January 2010). "Gyvieji fakelai" (in Lithuanian). Bernardinai.lt. Retrieved 23 April 2010.
- ^ Vardys, Vytas Stanley; Judith B. Sedaitis (1997). Lithuania: The Rebel Nation. Westview Series on the Post-Soviet Republics. WestviewPress. p. 89. ISBN 0-8133-1839-4.
- ^ a b Petersen, Roger Dale (2001). Resistance and rebellion: lessons from Eastern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291. ISBN 978-0-521-77000-2.
- ^ Smith, Hedrick (28 May 1972). "Some Cracks in the Kremlin Wall". The New York Times: E2.
- ^ Vidzgiris, Julius (September–October 1980). "Lietuvos laisvės kovos 1940–1980". Aidai (in Lithuanian). 5: 250–260. ISSN 0002-208X.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