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르살 무어
Kersal Moor케르살 무어 | |
---|---|
커살무어, 2007년 8월 | |
최고점 | |
표고 | 30ft(9.1m) ~ 75ft(23m) |
좌표 | 53°30′55″n 2°16′35″w/53.51528°N 2.27639°W좌표: 53°30′55″N 2°16′35″W / 53.51528°N 2.27639°W/ |
지리 | |
그레이터맨체스터의 커살 무어 | |
위치 | 잉글랜드 그레이터맨체스터 케르살 |
OS 그리드 | SD816021 |
케르살 무어는 영국 그레이터맨체스터주 케르살에 있는 휴양지로 무어 레인, 히스랜드 로드, 세인트 폴 교회 야드, 싱글톤 브룩이 경계로 하는 8헥타르의 무어랜드로[1] 이루어져 있다.
처음에는 카시 또는 카살 무어로 불렸던 커살 무어는 원래 훨씬 더 넓은 지역을 커버하여 이르웰 강까지 흘러내려갔다.[2][3]신석기 시대의 활동 흔적이 발견되었고 그 지역은 로마인들이 사용하였다.이곳은 최초의 맨체스터 경주장이자 스코틀랜드 외곽에 세워진 두 번째 골프장이 있던 자리였다.1838년 대차티스트 회의와 같은 다른 스포츠 활동, 군사 기동, 공개 모임에 널리 사용되어 정치 이론가인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맨체스터의 몬스 새커"를 더빙하게 만들었다.
18~19세기 동안 맨체스터와 살포드의 산업화와 도시화가 증가하면서, 황야는 아마추어 자연주의자들이 관심을 갖는 자연경관의 남은 영역 중 하나가 되었고, 그 중 한 곳은 현재 멸종된 나방 종 에우클레멘시아 우디엘라의 유일한 표본들을 수집했다.지금은 생물학적 중요성의[4] 현장이며 2007년 영국 자연에 의해 지역 자연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5]
지리
케르살 무어는 마지막 빙하기 말기에 빙하가 녹는 동안 이르웰 계곡을 따라 형성된 많은 플루비오글라이크 능선들 중 하나이다.[6]전형적으로 이런 형태의 지형의 경우, 부토는 거친 자갈과 혼합된 모래로 구성되어 있다.19세기 식물학자 리처드 벅스턴은 이를 "E.W.비니의 표류 퇴적물 제2호 … 날카로운 숲 모래 퇴적물, 아조이, 팔래오조, 트라이아스기 암석으로 이루어진 자갈 층과 잘 둥글게 갈라지고 고운 모래 층으로 갈라지며, 물에 의한 정기 퇴적물 모양 하나하나가 있다"고 설명했다.[nb 1][7]이 퇴적물은 이끼, 헤더, 풀, 양치류,[8] 흔한 빗자루, 고르스, 그리고 몇몇 나무들을 지탱하는 얇은 표토와 겹쳐져 있는데, 주로 오크나무와 약간의 로완, 체리, 그리고 다른 광활한 종들을 가지고 있다.남쪽의 땅이 높아져, 남서쪽을 향해 높은 지점으로 솟아 있다.이 높은 위치에서 맨체스터를 가로질러 남쪽의 더비셔 언덕까지, 북동쪽의 페닌 산맥까지, 그리고 서쪽의 이르웰 밸리와 살포드를 가로지르는 전망이 있다.이 땅은 북쪽으로 떨어져서 퇴적하는 빙하의 용해수에서 나온 침전물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 북쪽 가장자리에 있는 북방 모양의 언덕 두 개가 퇴적물 분쇄라고 알려진 과정으로 끝난다.황야는 오솔길과 교차되어 있고, 그 중 많은 길이 모래와 자갈로 갈라져 있다.황야의 북쪽에 있는 싱글턴 브룩은 살포드와 프레스티지 사이의 경계를 나타낸다.
역사
신석기 인간과 관련된 플린트 스크래퍼, 칼, 기타 물질들이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찰스 로더와 같은 지역 안티쿼리인들에 의해 황야에서 발견되었다.[9][10]맨체스터(마무치움)에서 리브체스터(브레메네나쿰)로 가는 로마 도로는 커살무어 바로 동쪽에 있는 A56 도로(베리뉴로드)[3][11]의 노선을 거칠게 따라갔다.서쪽의 레인소우에 로마 캠프가 있었는데,[12] 일각에서는 마무치움 북쪽을 지키기 위해 황야를 가로지르는 방어선을 만들어,[13] 캐슬힐로 알려진 지역에 동쪽으로의 2차 캠프가 있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11]
18세기 역사학자 존 휘태커는 황무지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케르살 황야는 로마 시대, 아마도 그들 이전의 영국인들, 그리고 그 후 여러 시대에 걸쳐서 참나무와 돼지 목초지가 우거져 있었다. 그렇게 두드러지게 평원을 다양화하고 매년 꼭대기로 올라가는 혼잡한 군중들로 뒤덮여 있는 작은 돌무더기는 한때는 때때로 그들의 자리였다.이 무리들을 숲 속으로 초대한 목동들."[14]
하지만, 이 나무들 중 마지막 나무는 1880년경에 불에 탔다.[14]
황야의 스포츠
최초의 맨체스터 경주장은 황야에 세워졌다.경마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1687년 5월 2일~5일 런던 가제트의 다음 고시에 수록되어 있다.
18일(현지시간) 미국 랭커셔주 맨체스터 인근 카살 무어에서는 10개의 돌을 나르고 각 4마일씩 3개의 히트를 탈 수 있는 20파운드의 접시가 가동된다.그리고 다음 날 40파운드짜리 또 다른 접시가 같은 무어로 달리며 같은 히트를 타고 같은 무게를 실어나를 것이다.말 자국은 맨체스터의 킹스 암스에서 윌리엄 스와브릭 씨에게 4일 전에 주어질 것이다.[2]
경마장은[3] 1848년 지도에 무어 레인을 건너 현재 살포드 시티 FC의 본거지인 지상을 따라 대략 현재의 네빌 로드 선을 따라가면서 대략 타원형 모양의 코스로 표시되어 있다.케르살셀의 주인인 존 바이롬(1692~1763)은 경주에 크게 반대하고 반대 팸플릿을 썼으나, 15년 동안 경주는 계속되어 아마 바이롬 박사의 영향으로 야코바이트가 부상하는 해인 1746년에 중단되었을 것이다.이후 1750년에 적어도 한 번의 경주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1759년에 정기적인 경기가 재개되었고, 1846년까지 매년 개최되었다. 그 후 그들은 뉴반스 경마장으로 옮겨졌다.[14]경주는 1847년 로어 브레턴에 있는 황야 바로 건너편에 있는 새로운 캐슬 어웰 경주장이 지어질 때까지 계속되었다.[16]오늘날 코스의 일부는 여전히 황야의 북쪽을 따라 동쪽에서 서쪽으로 뻗어 있는 넓고 잘 닦인 길이라고 볼 수 있다.[17]
18세기 동안 이 황무지는 또한 나체 남성 종족에도 사용되어 암컷들이 짝을 선택하기 전에 형태를 연구할 수 있게 되었다.실제로 1796년 '스팽킹 로저'(나중에 지브롤터 포위의 영웅으로 알려진 로저 아이툰)가 그런 경주를 거쳐 과부 바바라 민술과의 결혼을 통해 모스턴의 호프 홀을 획득했다.[18]
황야는 또한 많은 다른 스포츠 활동에도 사용되었다.18세기부터 19세기 초까지 양궁은 여전히 마을 스포츠로 행해졌고, 브라이튼, 치텀, 프레스티지 등의 궁수들은 전국적으로 유명했다.브루턴 궁수들은 케르살 무어에서 그들의 스포츠를 연습했고 1793년 맨체스터의 작가 제임스 오그덴은 그들을 찬양하는 시를 썼는데, 이 시는 다음과 같이 시작된다.
브레톤 궁수들과 활잡이들은 좋은 사람들이다.
랭커셔에서는 예전 이름을 계속 유지하라.
그들은 활쏘기 기술을 습득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끝맺는다.
케르살 무어 근처 브루턴 궁수들이 고친다
그들의 표적은 많은 조준 사격으로 뚫렸다.[19]
그러나 1830년까지 양궁은 신사의 스포츠가 되었고 "브러톤 아처스"라고 불리는 독점적인 클럽이 결성되었는데, 이 클럽의 회원들 중에는 마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들이 포함되어 있었다.이들은 원래 맨체스터의 주교가 거주하고 있는 비숍스코트 부지의 '하드백드 난스'라는 별칭의 공공주택에서 만났으나, 부리뉴 로드가 건설되고 부지가 너무 공개되자 커살무어의 잔디 주점으로 자리를 옮겼다.[19]1818년 맨체스터 골프 클럽의 황무지에 골프장이 세워졌는데, 그들 중 일부는 스코틀랜드에서 이민을 온 적이 있었다.[19]이것은 스코틀랜드 밖에 건설된 두 번째 코스였다.[20]당시 코스는 5개 홀에 불과했고 선수들이 그라운드를 다른 사용자와 나눠야 했기 때문에 페어웨이나 그린이 없었다.그 클럽은 매우 독점적이어서 1825년까지 싱글톤 로드에 클럽 하우스가 지어졌다.1869년까지 코스는 9홀까지 늘어났고 클럽은 커살 베일에 수백야드 떨어진 곳에 새로운 코스가 건설될 때까지[19] 황야에서 계속 뛰었다.[21]
양궁장은 1847년에 Kersal Cricket Ground가 되었고 1881년에 북테니스 토너먼트가 그곳에서 열렸다.1919년 그라운드는 맨체스터의 가장 오래된 럭비 클럽인 맨체스터 풋볼 클럽의 본거지였다.1968년 맨체스터 FC가 이적했을 때 그들은 잠시 랭워시 주니어스와 샐포드 시티 FC로 대체되었는데, 그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그라운드를 임대하고 있다.[22]
공개모임 및 군사용
이 황무지는 맨체스터와 가까운 가장 큰 열린 공간 중 하나로 군대의 기동력과 대규모 대중 모임에 이용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프리드리히 엥겔스는 1844년 저서 '잉글랜드의 노동자 계급의 조건'에서 이를 '맨체스터의 몬스 새커'로 지칭했다.[23][24]이는 기원전 494년 로마의 평민(서민)들이 시민 항쟁의 행위로 대거 철수한 언덕을 가리키는 말이었다.[25]
1789년과 1790년에 고속도로와 주택 강도가 급증했다.무장괴한들이 한밤중에 집 안으로 들어가 들고 다닐 수 있는 모든 것을 빼앗은 상태였다.무장한 순찰대는 거의 효과를 거두지 못했으나 마침내 제임스 맥나마라라는 사람이 스트리트포드 로드의 도그 앤 파트리지 여관에서 강도 행각을 벌인 혐의로 다른 3명과 함께 체포되었다.맥나마라는 랭카스터 어사이즈에서 재판을 받았고 다른 범죄자들에 대한 경고로 커살 무어에 교수형을 선고받았다.많은 사람들이 사형 집행을 보러 왔지만, 조셉 애스턴이 맨체스터의 "매트릭 레코드"에서 말했듯이, "여러 사람이 교수대의 시야에서 주머니를 줍고 그 다음날 밤 맨체스터에서 집 한 채를 부수고 도둑질을 당했기 때문에 아무도 그 예가 쓸모가 있다고 생각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14]
1797년[26] 8월 25일 스톡포트, 볼튼, 로치데일 자원 봉사단은 커살 무어에 대한 심사를 받았으며 1812년 6월 윌트셔, 버킹햄셔, 루스, 스털링 연대 소속 3만 명의 병력이 루드파티를 진압하기 위한 행동을 준비하기 위해 그곳에 진을 치고 있었다.[27][28]1818년, 광부들이 직장에서 직면하는 위험 때문에 더 나은 보수를 위해 그들의 사례를 알리기 위해 황야에서 항의 회의가 열렸다.[19]
1804년 7월, 황무지에서 존스 씨와 샤크스피어 필립스 씨 사이에 결투가 벌어졌다.존스씨는 필립스씨를 향해 효과없이 총을 발사했고 필립스씨는 허공에 권총을 발사했고, 그 순간 두 사람이 악수를 하고 명예를 만족시켰다.2주 후 신문에서 다투던 다른 두 남자가 황야에서 만나 만족감을 얻었다.하지만, 치안 판사들은 통보를 받았고, 그 남자들은 결투가 일어나기 전에 체포되었다.[14]
1831년 4월 12일 제60소총대는 P.S중위의 지휘 아래 황야에서 훈련을 실시했었다.피츠제럴드와 74명의 병사들이 로어 브레턴과 펜들턴을 경유하여 살포드에 있는 그들의 막사로 돌아가고 있었다.그 남자들은 피츠제럴드의 아버지가 4년 전에 건설한 브루턴 현수교를 건너고 있을 때, 그 다리가 발걸음과 동시에 진동하기 시작하고, 반대편에 닿기도 전에 다리가 무너지는 것을 느꼈다.사망자는 한 명도 없었지만, 20명이 다쳤으며, 이 중 6명은 중상을 입었다.[29]영국군이 다리를 건널 때 병사들의 '계단 꺾기' 명령을 내린 것은 이 사건이었다.[30]
1848년, 황무지는 차티스트의 동요로 인한 불안으로 야기된 랭커셔에서 증가한 군대의 일부로 동노퍽 연대의 야영지로 사용되었다.[19]
1838년 9월 24일 황야에서 열린 일련의 차티스트 회의 중 가장 규모가 컸다.힘의 과시이자 차티스트 전당대회 대의원 선출을 위해 마련된 이날 회의에는 전국에서 연사와 대규모 관중이 몰렸는데, 맨체스터 가디언은 3만명, 모닝 광고주는 30만명으로 추산됐다.
랭커셔의 급진주의자들의 위대한 모임 (아침 광고주 요약)
월요일 밤, 6시 반.
아침은 더 낮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동이 트자마자 거리로 모여들기 시작했고, 9시까지는 시골에서 온 많은 행렬들이 도착했다.스미스필드에 모여든 맨체스터의 다양한 트레이드, 그리고 그들이 커살 무어로 행진하기 전에는 숫자에 관해서 만만치 않은 모습을 보였다.이 황야는 맨체스터에서 거의 4마일 떨어져 있으며, 이 회의를 위해 고정된 땅은 맨체스터 경주가 열리는 곳이다.그 밀입국들은 스탠드 하우스 근처에 세워졌고 그들은 적어도 15에이커의 원형 경기장으로 둘러싸여 있었고, 지상의 어느 부분에 있는 모든 사람들이 지나가는 모든 것을 볼 수 있게 되었다.맨체스터로 가는 길을 따라 도로는 온통 지나칠 정도로 붐볐고, 행렬을 간과한 옛 콜레지아 교회 이전 지역에는 수천 명의 여성들이 모여 있었다.12시가 되자 지면의 반쪽이 점령되었고, 그 당시에도 엄청나게 많은 군중이 참으로 끔찍한 모습을 보였다.그러나 1시 전에는 땅이 완전히 점령되었고 그 당시 회의는 확실히 대영제국에서 일어난 것 중 가장 큰 것이었다.– 30만 명 이상이 참석할 수 있었다.여러 연사들이 몰려들자 큰 소리로 환호했다.– 프리먼 저널 및 데일리 커머셜 광고주(Dublin, 아일랜드)
차티스트들은 이후 8개월 동안 활동했지만 1839년 5월 25일 황야에서 경주기구와 동시에 열린 두 번째 회의에 부실한 참석은 이 운동의 종말을 알리는 신호였다.처음에는 이 운동이 성공적이지 못했지만, 차티스트들의 요구는 결국 의회에서 대부분 충족되었다.[32]
기타 추적
점점 도시화되는 지역의 비교적 시골 환경으로서, 커살 무어는 또한 더 평화로운 활동을 위해 사용되었다.18세기와 19세기 동안 아마추어 자연학자들과 식물학자들이 많이 찾았다.식물학자 중 한 명은 맨체스터에 A 식물 안내서를 쓴 리처드 벅스턴이었다.[14]1829년 로버트 크립브라는 아마추어 곤충 채집가가 황야에서 썩어가는 알더로부터 약 50마리의 작은 노란색과 갈색나방들을 수집했다.이것들은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나방의 종으로 밝혀졌지만, 그것들은 크리브의 친구인 수집가 R에게 잘못 귀속되었다.전문가에게 신원 확인을 요청했던 우드.나방은 우드의 영예로 판칼리아 우디엘라(오늘날의 에우클레멘시아 우디엘라)로 분류되었다.
내가 본 이 아름다운 나방의 유일한 표본은 암컷이다; 그것은 작년 6월 중순 맨체스터의 R. 우드씨가 찍은 것이다. 그는 그것을 헌신하는 기쁨을 가지고 있다; 내가 가치있는 곤충들에게 은혜를 입고 있는 가장 열성적이고 성공적인 자연주의자였다.– 존 커티스(John Curtis)가 1830년 영국 곤충학에서 집필
이에 격분하여, 그리고 영국인으로서 외국 나방을 사취했다는 비난에 의해, 크립브는 수집을 포기하고 나머지 견본들을 빚에 대한 담보로 그의 집주인에게 맡겼다.여기서 맨체스터 대학과[34] 호주 박물관의 이야기들, 빅토리아는[35] 크리브의 술집 주인인지 숙소의 주인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르지만 어느 쪽이든 결과는 마찬가지였다.그 빚은 제때 갚지 못했고 크립브가 이미 다른 수집가에게 팔았던 나방을 찾아 돌아갔을 때, 그의 집주인 아주머니는 그것들을 태워 버린 상태였다.이후 나방을 더 많이 찾으려는 다른 수집가들의 노력은 성공하지 못했고, 현존하는 세 표본은 멸종된 종을 대표하는 유일한 표본으로 생각된다.
19세기 말에 코스모 멜빌 씨는 식물학 저널에 이끼를 포함하지 않고 240개가 넘는 식물과 꽃들의 목록을 그가 황야에서 발견했다는 기사를 기고했다.[14]
1848년 9월 10일 오후 6시 직후, "유명 항공사" 조지 게일은 헐메의 포모나 정원에서 온열기구로 올라갔다.게일 중위는 1000피트 이상의 높이에서 수많은 불꽃을 뿜어낸 뒤 여러 방향으로 표류해 여러 곳에 착륙을 시도했다.결국 오후 10시경, 그 풍선은 커살 무어의 조시아 테일러 씨의 농장에 안전하게 내려왔다.[36]
1852년 빅토리아 여왕은 화가 윌리엄 와이어드의 그림을 의뢰해 케르살 무어(사진)에서 맨체스터를 조망하게 되었다.황야를 이르웰 성 경마장과 맨체스터의 산업지형이 내려다보이는 아름다운 목회 풍경으로 묘사한 이 그림은 현재 로얄 콜렉션에 들어가 있으며, 이곳에는 하이어 브레턴 출신의 맨체스터로 기록되어 있다.[37]판화사 에드워드 구달의 그림을 새긴 철선도 의뢰되었다.[38]
문헌참고
영국의 급진주의자이자 작가인 새뮤얼 밤포드는 그의 저서 '과격자의 삶 속의 통로'(1840–1844)에서 케르살 무어를 피하기 위해 미들턴에서 볼튼으로 갈 것을 조언하면서 케르살 무어를 언급한다.
힐리 나는 볼튼에 있는 그의 동생에게 가서 돈을 좀 구해서 완전히 눈에 띄지 않게 해 달라고 충고했다.그의 가장 좋은 방법은 맨체스터를 피하고, 케르살 무어와 에이지크로프트 다리를 건너는 것이다. 그리고 나는 그 분기에 나를 보고 싶어하는 친척이 있었기 때문에, 나는 그를 에이지크로프트까지 동행하게 할 것이다.[39]
황야에서의 인종은 19세기 소설 'G 리나이어스 뱅크스'(1874년)에서 언급되었다.이 이야기의 영웅인 야베즈 클레그는 킷 타운리라는 이름의 거리 소년을 만나게 되는데, 뱅크스 부인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그는 그가 지나치게 수다스럽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그는 노트밀 페어와 더스트 페어(11월 진흙탕에서 열린다고 해서 부르는 것)나 커살 무어 레이스(Kersal Moor Race)에서 팝, 견과류, 생강빵, 쇼와 회전목마, 날으는 보트, 날아다니는 상자, 닭싸움, 싸움꾼 등 아버지가 허락한 액수보다 더 많은 돈을 저축하는 것을 본 적이 있었다.오케트 머니, 비록 그가 저축을 했더라도, 그리고 이 모든 것들을 한데 묶어서, 야베즈는 만족하지 못했다.[40]
1865년에 출판된 필립 코넬의 시집 《파르나수스에 대한 포획》에서도 언급되고 있다.
필립 코넬이 프레스트위치 루나틱 망명을 그린 아이작 홀든 씨에게 보내는 대사:
그리고 남쪽으로는 적당한 거리에 있는 거대한 벌집이 있고
바쁜 맨체스터는 모두 살아있다.
높이 솟은 침미와 돔과 조개가 솟아오르고,
이상한 혼란 속에서 흐린 하늘이 노심초사하고 있다.
거기에서 브레톤은 저녁 햇살을 받아 희미한 빛을 낸다.
여기 치담 힐이 증기 언덕을 덮는다.
저기에 커살무어도 같은 황량한 앞쪽 수레와
8백년 전 경치를 만났는데
클루니아 수도승들이 하나님과 함께 거처했던 곳에는
성스러운 세포의 경내에.[41]
1876년 랭커셔의 사투리 시인이자 작곡가인 에드윈 워는 "프레셔의 공기"를 위해 맨체스터의 자택에서 케르살 무어로 이사했다.Waugh의 어린 시절은 Rochdale에서 보냈고, 비록 그는 맨체스터에서 일했지만, 그는 젊었을 때 기억했던 무어들을 그리워했다.그는 케르살 무어에 대해 다음과 같은 시를 썼다.
케르살 무어
달콤한 가을 검은새의 저녁노래
커샬의 침착한 굴에서
하지만 스카이라크는 수조개의 이슬을 전율하게 만들고
본 헤더에서;
와일드 앤 프리
와일드 앤 프리
황무지의 바람이 부는 곳.내가 너희 험준한 험준한 산들을 돌아다녔지긴 했지만
팅팅팅한 황무지가 울창한 곳에서는
하루 종일 그들의 낮은 달콤한 노래를 부르고,
외롭게 듣는 언덕에,
그리고 밤에는 으르렁거린다.
창백한 달빛 속에서
산바람이 부는 동안.[42]
그의 건강이 악화되자 워는 뉴 브라이튼이라는 해변 마을로 이사했다.1890년 그가 죽었을 때, 그의 시신은 그가 그토록 사랑했던 황야 지대 가장자리에 있는 성 바울 교회의 묘지에 묻히기 위해 다시 모셔졌다.[43]
오, 날 황무지에 눕혔어
내 마지막 침대로 만들고
헤더 황무지가 주변에 있는 가운데
그리고 그 요염한 종달새 오어헤드:
양치기와 내 주위에 맴돌게 하고
그리고 초록색 이끼는 나를 소름끼치게 한다.
그리고 달콤한 들산바람이 노래하고,
내 뱃속 깊이 위로.– The Moorland Brows, Edwin Waugh (1889)[44]
메모들
- ^ Edward William Binney FRS FGS는 맨체스터 지질학회의 창립 멤버였다.Swindells, Thomas (August 2008). "E.W. Binney FRS. FGS.". Manchester Streets and Manchester Men. Bastian Books. p. 57. ISBN 978-0-554-72373-0. Retrieved 11 September 2009.
참조
- ^ Anon (September 2004). "Kersal Moor — proposed LNR". Natural England — Special sites. Natural England. Retrieved 11 September 2009.
- ^ a b Farrer, William and Brownbill, J. (편집자) (1911).'도시선: 브로턴' '랜캐스터 카운티의 역사:제4권, 페이지 217–222.URL: http://www.british-history.ac.uk/report.aspx?compid=41408.접속일: 2008년 2월 20일
- ^ a b c 1848 - LANCASHIRE AND FURNESS 1:10,560. old-maps.co.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May 2013. Retrieved 12 April 2009.
- ^ "Sites of Biological importance". Retrieved 28 February 2013.
- ^ "Salford City Council Supplementary planning Document: Nature Conservation and Biodiversity: Adopted 19 July 2006" (PDF). Salford City Council. 2007-07-19.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5 February 2009. Retrieved 14 December 2007.
- ^ Hindle, P.(1998) (2003-08-21). "Exploring Greater Manchester — a fieldwork guide: The fluvioglacial gravel ridges of Salford and flooding on the River Irwell" (PDF). Manchester Geographical Society. Retrieved 11 December 2007.
- ^ Buxton, Richard (1849). "2". A botanical guide to the flowering plants, ferns, mosses, and algæ, found indigenous within sixteen miles of Manchester: with some information as to their agricultural, medicinal and other uses. Manchester: Longman and Co. pp. xviii.
- ^ Anon (2006). "Local Nature Reserves". Special sites. Natural England. Retrieved 14 September 2009.
- ^ Wright, John (2004). "Roeder, Charles (1848–1911)".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Retrieved 15 September 2009.
- ^ Connor, Mary T. (2003). "1". The First place: A history of Kersal. Connor. p. 3. ISBN 0-9546564-0-7.
- ^ a b Anon (2005). "MAMVCIVM Minor Romano-British Settlement Manchester, Greater Manchester". Roman Britain. roman-britain.org. Retrieved 13 September 2009.
- ^ "Archaeological sites and monuments". Metropolitan Borough of Bury. Retrieved 11 April 2008.
- ^ Higson, John. "PRESTWICH, Lancashire (Gtr Manchester), ENGLAND:History". Retrieved 24 April 2008.
- ^ a b c d e f g Armitage, Janet (1971) [first published 1892]. "Kersal Moor". In Ernest Axon (ed.). Bygone Lancashire. County History Reprints. SR Publishers Ltd. pp. 31–50. ISBN 0-85409-721-X.
- ^ Proctor, Richard Wright (1866). Manchester in holiday dress. Manchester: Abel Heywood and Son. p. 153. Retrieved 6 March 2012.
- ^ "Kersal Dale Video". Salford City Council. 2007-06-2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May 2008. Retrieved 24 April 2008.
- ^ Inglis, Simon (2004). Played in Manchester: The Architectural Heritage of a City at Play. English Heritage. p. 38. ISBN 1-873592-78-7.
- ^ 커살 2007-10-27
- ^ a b c d e f Dobkin, Monty (1999). Broughton and Cheetham Hill in Regency and Victorian Times. Radcliffe: Neil Richardson. p. 63. ISBN 1-85216-131-0.
- ^ "A Brief History of Golf: Early golf organisations". Tradition. Athens Golf Club. 2007-08-12. Retrieved 23 April 2008.
- ^ Anon. "Kersal Vale Video". Salford City Council – The Cliff/ Kersal Vale. Salford City Council. Retrieved 17 March 2010.
- ^ Inglis, Simon (2004). Played in Manchester. English Heritage. p. 37. ISBN 1-873592-78-7.
- ^ Engels, Friedrich (1958). "56".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Class in England. Translated by Henderson, William Otto; Chaloner, W.H. (Illustrated ed.). Stan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8047-0633-9. Retrieved 6 June 2009.
- ^ Jordan, Tim; Pile, Steve (2003). "Readings 1.1 Friedrich Engels "The great towns" 1845". Social Change (Illustrated ed.). Wiley-Blackwell. p. 40. ISBN 978-0-631-23312-1. Retrieved 4 June 2009.
- ^ Ovid (2000). Fasti. Penguin Classics. Translated by Boyle, Anthony James; Woodard, Roger D. (Illustrated ed.). Penguin. ISBN 978-0-14-044690-6.
- ^ William A.E. Axon, ed. (1885). The annals of Manchester: a chronological record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end of 1885. p. 124.
- ^ William E.A. Axon, ed. (1886). The annals of Manchester: a chronological record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end of 1885. Manchester: John Heywood, Deansgate and Ridgefield. p. 143. Retrieved 16 September 2009.
- ^ Peacock, Douglas (2007-08-12). "Luddites: War against the machines – page 2". Cotton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uly 2008. Retrieved 23 April 2008.
- ^ Anon (16 April 1831). "Fall of the Broughton Suspension Bridge, near Manchester". The Manchester Guardian. The Manchester Guardian.
- ^ Braun, Martin (1993). Differential Equations and Their Applications: An Introduction to Applied Mathematics (4 ed.). New York: Springer-Verlag. p. 175. ISBN 0-387-97894-1. Retrieved 30 May 2009.
- ^ Anon (28 September 1838). "Freeman's Journal and Daily Commercial Advertiser". Dublin.
- ^ Bloy, Marjorie. "A Web of English History: Manchester Chartism". Retrieved 6 April 2008.
- ^ Curtis, John (1830). "Panacalia Woodiella: The Manchester Tinea". British Entomology. Retrieved 2009-09-20. 참고 항목: http://delta-intkey.com/britin/images/text3041.gif
- ^ "Museum home to "Manchester Moth"" (PDF). UniLife. Manchester: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3 (10): 4. 2006-07-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8 April 2007. Retrieved 28 February 2008.
- ^ "The John Curtis British Insects Collection". Retrieved 24 January 2008.
- ^ Anon (12 September 1849). "Lieut Gale's Balloon Ascent (subscription required)". Manchester Times. Manchester, England. Retrieved 23 March 2010.
- ^ "The Royal Collection: Royal Palaces, Residences and Art Collection". Retrieved 6 April 2008.
- ^ "Edward Goodall 1795–1870" (JPG). Retrieved 6 April 2008.
- ^ Bamford, Samuel (1841). "XII". Passages in the life of a radical. London: T. Fisher Unwi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2-11.
- ^ Linnaeus Banks, G (1874). The Manchester Man (PDF). Manchester: EJ Morten. p. 73. ISBN 978-0-85972-054-0.
- ^ Connell, Philip (1865). Poaching on Parnassus. John Heywood. p. 29. Retrieved 11 September 2009.
- ^ Searle, Alice (2009). A celebration of Kersal Moor. UNity publishing project. ISBN 978-0-9561691-1-2.
- ^ "Edwin Waugh". Minor Victorian poets and Authors. gerald-massey.org.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April 2008. Retrieved 30 April 2008.
- ^ waugh, Edwin (1889). Poems and Songs (2 ed.). Oldham: W.E. Clegg. p. 4. Retrieved 21 September 2009.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커살 무어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외부 링크
- "Kersal Moor". Local Nature Reserves. Natural England.
- "Map of Kersal Moor". Local Nature Reserves. Natural Eng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