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나미산리쿠

Minamisanriku
미나미산리쿠
南三陸町
Minamisanriku Town Hall, May 2013
미나미산리쿠 타운홀 2013년 5월
Flag of Minamisanriku
Official seal of Minamisanriku
Location of Minamisanriku in Miyagi Prefecture
미야기현 미나미산리쿠 소재지
Minamisanriku is located in Japan
Minamisanriku
미나미산리쿠
좌표:38°40′45.6§ N 141°27′38.8§ E/38.679333°N 141.460778°E/ 38.679333, 141.460778좌표: 38°40°45.6【N 141°27】38.8E/38.679333°N 141.460778°E/38.679333;141.460778
나라일본.
지역도호쿠
미야기
모토요시
지역
• 합계163.40km2(63.09평방마일)
인구.
(2020년 10월 10일)
• 합계12,225
• 밀도75/km2 (160/160 mi)
시간대UTC+09:00 (일본 표준시)
- 트리페르세라툰베르기
- 꽃진달래
- 새골든 이글
- 물고기문어
- 컬러하늘색
주소.77 미야기군 모토요시군 미나미산리쿠초 시오이리시 986-0792
기후.Cfa
웹 사이트공식 웹사이트
2011년 쓰나미 후 미나미산리쿠 시즈가와 공립병원 주변

미나미산리쿠 정은 일본 미야기현정이.2020년 5월 1일 기준으로,[1] 인구는 12,516명이고 인구 밀도는 4504가구, km²당 77명이다.마을의 총 면적은 163.40 평방 킬로미터이다.2011년 도호쿠 대지진[2]쓰나미로 피해가 컸던 숲이 우거진 섬과 산 입구의 해안선에 있는 휴양지입니다.

지리

미나미산리쿠는 미야기현의 북동쪽 끝에 있다.그 해안선은 북쪽 아오모리현에 이르는 산리쿠후코 국립공원의 일부이다.그 마을은 남북으로 기타카미 산맥에 접해 있다.마을 면적의 약 70%가 숲이다.[3]

기후.

미나미산리쿠는 따뜻하고 습한 여름과 추운 겨울이 특징인 습한 기후(쾨펜 기후 분류 Cfa)를 가지고 있다.무츠 지방의 연평균 기온은 11.4°C(52.5°F)입니다.연평균 강우량은 1,302.3mm(51.27인치)이며, 가장 습한 달은 9월이다.평균 기온은 약 23.0°C(73.4°F)로 8월에 가장 높고, 약 0.7°C(33.3°F)[4]로 1월에 가장 낮습니다.

미나미산리쿠 시즈가와 기후 데이터(1991~2020 노멀, 극단 1976-현재)
1월 2월 마루 에이프릴 그럴지도 모른다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도
높은 °C(°F)를 기록하다 16.2
(61.2)
19.6
(67.3)
23.8
(74.8)
30.2
(86.4)
33.5
(92.3)
34.2
(93.6)
36.3
(97.3)
38.0
(100.4)
35.0
(95.0)
28.7
(83.7)
23.5
(74.3)
20.5
(68.9)
38.0
(100.4)
평균 최고 °C(°F) 5.4
(41.7)
6.3
(43.3)
9.8
(49.6)
15.1
(59.2)
19.4
(66.9)
22.1
(71.8)
25.5
(77.9)
27.3
(81.1)
24.2
(75.6)
19.3
(66.7)
13.8
(56.8)
7.9
(46.2)
16.3
(61.4)
일평균 °C(°F) 0.7
(33.3)
1.2
(34.2)
4.2
(39.6)
9.2
(48.6)
14.0
(57.2)
17.5
(63.5)
21.4
(70.5)
23.0
(73.4)
19.8
(67.6)
14.2
(57.6)
8.4
(47.1)
3.1
(37.6)
11.4
(52.5)
평균 최저 °C(°F) −3.1
(26.4)
−3.0
(26.6)
−0.6
(30.9)
3.8
(38.8)
9.2
(48.6)
13.8
(56.8)
18.3
(64.9)
19.8
(67.6)
16.2
(61.2)
9.8
(49.6)
3.5
(38.3)
−0.9
(30.4)
7.2
(45.0)
낮은 °C(°F)를 기록하십시오. −12.3
(9.9)
−12.5
(9.5)
−8.1
(17.4)
−4.4
(24.1)
0.2
(32.4)
4.5
(40.1)
9.5
(49.1)
12.5
(54.5)
6.7
(44.1)
−0.5
(31.1)
−4.7
(23.5)
−9.6
(14.7)
−12.5
(9.5)
평균 강수량 mm(인치) 45.3
(1.78)
39.2
(1.54)
88.6
(3.49)
103.3
(4.07)
116.7
(4.59)
130.7
(5.15)
167.3
(6.59)
142.8
(5.62)
184.2
(7.25)
155.3
(6.11)
70.7
(2.78)
54.2
(2.13)
1,302.3
(51.27)
평균강수일수( 1 1.0mm) 6.1 6.2 8.4 9.0 10.2 11.0 13.1 11.1 11.3 9.0 7.5 7.1 110
월평균 일조시간 171.9 171.4 192.3 199.5 199.7 157.9 139.9 161.1 137.9 155.6 158.6 153.4 1,997.1
출처 : 기상청[5][4].

인접 자치체

미야기 현

인구 통계

일본의 인구 조사 [6]데이터에 의하면, 미나미산리쿠의 인구는 1950년대에 정점에 달해, 과거 70년간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과거 인구
연도Pop.±%
1920 17,054
1930 18,410+8.0%
1940 19,496+5.9%
1950 25,168+29.1%
1960 24,852−1.3%
1970 22,943−7.7%
1980 22,243−3.1%
1990 21,401−3.8%
2000 19,860−7.2%
2010 17,429−12.2%
2020 12,225−29.9%

역사

현재의 미나미산리쿠 지역은 고대 무쓰 국의 일부이며, 도쿠가와 막부센다이다테 씨의 지배하에 있었습니다.이 지역은 869년 산리쿠 대지진 등 예로부터 쓰나미의 영향을 받아 왔으며, 최근에는 1896년 산리쿠 지진과 1933년 산리쿠 지진 때도 피해를 입었다.1896년의 지진은, 2011년의 도호쿠 지진[7]쓰나미의 미야코에서 40.4미터(132.5피트)의 파도로 추월될 때까지, 일본에서 기록된 것 중 가장 높은 38.2미터(125.3피트)의 쓰나미를 일으켰다.

시즈가와 촌과 우타쓰 촌은 1889년 6월 1일 근대 시정촌 제도가 확립되면서 탄생했다.1895년 10월 31일 시즈가와 정, 1959년 4월 1일 우타쓰 정이 되었다.2005년 10월 1일, 모토요시시즈가와 과 우타쓰 정이 합병해 미나미산리쿠 정이 탄생했다.

1960년 발디비아 지진은 태평양을 건너 2.8m(9.2피트)[8] 높이의 쓰나미를 일으켜 [9]시즈가와 마을을 덮쳤다.그 결과 1963년까지 2층 높이의 항만 담장이 건설됐고 주민들은 매년 기념일에 쓰나미 훈련을 했다.1990년 참사 30주년을 기념해 스페인어와 일본어로 된 명패가 설치됐고, 파트리치오 아일윈 칠레 대통령의 메시지와 함께 모아이 조각상이 [10]복제됐다.

항구의 벽은 2011년 쓰나미로 인해 4층 건물이 [11]떠내려갔을 때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2010년 칠레 지진은 미나미산리쿠에서 [12]1.3미터(4.3피트)의 쓰나미를 일으켰다.

2011년 지진·쓰나미 재해

즉각적인 여파 보고에 따르면, 2011년 도호쿠 지진에 이은 2011년 일본 쓰나미로 인해 마을의 95%가 파괴되었다고 한다.가장 높은 건물들만 남아 있고,[13][14][15][16] 재난 발생 후 며칠 동안 인구의 약 절반이 행방이 묘연했다; 첫 [17]주에 9,700명만이 생존하여 대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가호쿠신보에 의하면, 2011년 6월 하순에는, 총 1206명이 사망 또는 행방불명이라고 한다.

마을에는 쓰나미가 발생했을 때 주민들이 갈 수 있는 대피소가 두 곳 있었는데 하나는 마을을 내려다보는 남쪽 곶에, 다른 하나는 마을 중심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다.둘 다 해발 20미터였지만 쓰나미가 그들을 침수시켰고 사람들은 [18]떠내려갔다.쓰나미로 [19]인해 마을 80곳의 지정된 대피소 중 적어도 31곳이 침수되었다.미나미산리쿠의 쓰나미 평균 높이는 해발 약 14m였으며, 최고 수위는 도심 [20]남서쪽 67.3피트(20.5m)였다.

쓰나미 위 언덕에 있는 이 고등학교의 영어 교사에 따르면, "마을 전체가 떠내려갔다.그것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그날 언덕에는 우리 7000명 정도가 있었다.맞은편 언덕에 있는 학교에서 몇 천명쯤 될 거야하지만 마을에는 17,000명이 있다.다른 사람들은 다 떠났어요."학교가 모두 높은 곳에 있었기 때문에 많은 아이들이 [21]고아가 되었다.생존자들은 시즈가와 고등학교 [23]운동장에서 하얀 [22]글씨로 'SOS'를 썼다.

지진이 일어났을 때 진사토 시장은 시의회에서 3월 9일 지진의 [24]전진으로 인해 발생한 훨씬 더 작은 쓰나미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었다.사토가 탈출한 마을 위기관리부(防 ta大 ch町)의 3층 건물이 쓰나미로 물에 잠겼다.시청에서 일했던 130명 중 사토는 옥상에 오른 53명 중 1명, 살아남은 10명 중 1명이었다.2011년 [24]3월 13일 미야기현 베이사이드 아레나에 재해대책본부를 설립해 정무에 복귀했다.

시즈가와 병원은 쓰나미에서 살아남은 몇 안 되는 주요 건물 중 하나였다.부분적으로 침수되어 환자 109명 중 74명이 사망했다.거의 200명의 사람들이 [25]지붕에서 구조되었다.

외부 비디오
video icon 미나미산리쿠 쓰나미 재팬 2011년 YouTube

위기관리국에 고용된 엔도 미키(25)는 쓰나미처럼 지역 확성기 시스템을 통해 경고와 경보를 계속 내보냄으로써 목숨을 희생한 영웅으로 일본 언론에서 환영을 받았다.도망쳤다.그녀는 많은 생명을 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부서 3층짜리 본부는 그대로 서 있었으나 완전히 부서졌고 붉은 색의 철골만 남아 있었다.그 재해의 여파로 엔도는 행방불명되었고 나중에 [26]사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사진은 침수 당시 건물 지붕이 완전히 물에 잠긴 모습이며 일부 사람들은 옥상 [27][28]안테나에 매달려 있다.건물이 입은 손상을 상기시키기 위해 구부러진 부분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남아있는 철골은 도시 [29]복구 기간 동안 보존되어 왔다.미나미산리쿠에는 현재 새로운 방벽이 건설되고 있으며, 마을의 수산시장 등 다른 랜드마크도 재건되었다.이 시장은 처음에는 큰 텐트 안에 임시로 위치한 이 마을에서 가장 먼저 문을 연 시설들 중 하나였습니다. 마을 어선들의 대부분이 쓰나미에 의해 손상, 파괴 또는 떠내려갔기 때문에 주민들은 마을 어업을 [30]재개하기 위한 공동 노력의 일환으로 단결하여 보급품과 보트를 공유했습니다.

국제적 대응

이 마을은 재해 후 외부 국가가 원조를 제공하는 최초의 야전 병원이 세워진 곳이다.이스라엘에서 5명의 의사들로 구성된 초기 팀은 일단 필요한 것을 [31]평가받으면 더 큰 팀에 대비하기 위해 수술을 준비했다.가정전선사령부IDF 의무대 소속 53명의 의료진 대표단이 3월 29일 미나미산리쿠 인근에 야전병원을 열었다.진료소에는 외과 소아 산부인과 병동, 중환자실 약국 실험실 등 62t의 의료용품이 포함됐다.진료소는 [32][33]개원 즉시 환자 치료에 적극적이었다.

2011년 4월 23일, 호주 총리 줄리아 길라드는 미나미산리쿠를 [34]방문했다.

경제.

미나미산리쿠는 지역 경제의 주역으로 관광과 상업 어업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교육

미나미산리쿠에는 5개의 공립 초등학교와 2개의 공립 중학교, 미야기현 교육위원회가 1개의 공립 고등학교가 있다.

교통.

철도

JR logo (east).svg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 게센누마 선(무기한 운행 중단, BRT로 대체)

고속 도로.

지역 명소

자매/우정의 도시

레퍼런스

  1. ^ 미나미산리쿠 공식 통계(일본어)
  2. ^ 인사이드 미나미산리쿠 채널4 뉴스 2011년 3월 13일
  3. ^ 詳細データ 宮城県南三陸町. 市町村の姿 グラフと統計でみる農林水産業 (in Japanese).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6. Retrieved 13 April 2017.
  4. ^ a b 気象庁 / 平年値(年・月ごとの値). JMA. Retrieved March 22, 2022.
  5. ^ 観測史上1~10位の値(年間を通じての値). JMA. Retrieved March 22, 2022.
  6. ^ 미나미산리쿠 인구 통계
  7. ^ Ryall, Julian (18 July 2011). "Japanese tsunami stood at 132.5ft". The Telegraph.
  8. ^ flickr.com user ataq411. "Shizugawa Hospital, Minamisanriku-cho, Miyagi" (photo). legend on marker in photo reads: 昭和35年5月24日 チリ地震津波水位 2.8m {{cite web}}: author=범용명(도움말)이 있습니다.
  9. ^ かつての宮城県志津川町(現・南三陸町) 津波への取り組み(1990年) (video). YouTube.com (in Japa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12-19. Retrieved 2011-04-26. (영상에는 1960년 쓰나미로 인한 피해)
  10. ^ "南三陸町 Minamisanrikucho #5". YouTub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video) on 2013-07-20. Retrieved 2011-04-23.
  11. ^ Todd Pitman. "Japan tsunami: Nothing to do but run". Associated Press. Retrieved 2011-04-23.
  12. ^ "宮城・南三陸町で130cmの津波観測 漁港で冠水も(10/02/28)" (video). YouTube.com (in Japa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12-19. Retrieved 2011-04-24.
  13. ^ "9,500 still unaccounted in Minamisanriku of Japan's Miyagi Prefecture: Kyodo". Xinhua News Agenc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5, 2011. Retrieved 2011-03-12.
  14. ^ Kyung Lah, CNN (March 12, 2011). "Rescuers scramble to save lives as aftershocks jolt Japan". CNN.com. Retrieved 2011-03-12.
  15. ^ 일본 지진 후 작은 마을에서 9,500명이 실종되었다고 보고
  16. ^ 호리우치 준코 (교도뉴스) "Evacuees pereature, eye future", 재팬타임스 2011년 3월 29일자 3면
  17. ^ [1] (일본어)
  18. ^ Natures의 분노는 진흙으로 덮인 묘지떠난다 The Age, 2011년 3월 16일
  19. ^ 교도통신, "쓰나미가 지정된 대피소 100여곳을 덮쳤다" 재팬타임스 2011년 4월 14일자 1면.
  20. ^ "Detailed Analysis of the 2011 Japan Tsunami – Video Footage, Wave Heights and Damage Imagery". Extreme Planet. 4 February 2014.
  21. ^ 미나미산리쿠 : 쓰나미가 강타한 일본 그라운드 제로 채널4 뉴스 2011년 3월 14일
  22. ^ Flock, Elizabeth (March 13, 2011). "Japan tsunami: Minamisanriku, a fishing port that vanished". The Washington Post. Retrieved 18 March 2011.
  23. ^ Zenrin Co. Ltd. (2011). "Google Maps". Google Maps. Retrieved 18 March 2011.
  24. ^ a b 安否不明の町長生還 骨組みだけの庁舎で一夜 宮城・南三陸 (in Japanese). Kahoku Shimpo. March 14,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6, 2011. Retrieved March 15, 2011.
  25. ^ Carswell, Andrew (March 14, 2011). "Minami Sanriku - the town that disappeared in the Japan earthquake". The Daily Telegraph. Retrieved 16 March 2011.
  26. ^ 지지통신 "미야기 쓰나미 '천사'를 알려주는 사이타마", 재팬타임스 2012년 1월 30일자 2면.
  27. ^ "Miki Endo, missing heroine of Minamisanriku". NHK World. Archived from the original (video) on 2011-04-16. Retrieved 2011-04-23.
  28. ^ [画像]宮城県南三陸町の防災対策庁舎の人を押し流す津波+南三陸町津波動画 (in Japanese). Retrieved 2011-04-23.
  29. ^ "【●REC from 311~復興の現在地】宮城・南三陸町⑤ 定点撮影 2021年Ver". All-Nippon News Network (ANN). 5 March 20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12-19. Retrieved 26 November 2021.
  30. ^ "10 years after tsunami: A Japanese town rebuilds its homes and heart". Christian Science Monitor. 2021-02-26. ISSN 0882-7729. Retrieved 2022-05-30.
  31. ^ "Israel first to set up field hospital in Japan", The Jerusalem Post, 21 March 2011, retrieved 2011-03-21
  32. ^ Katz, Yakov (29 March 2011). "IDF field hospital officially open doors to Japanese". The Jerusalem Post. Retrieved 2011-03-30.
  33. ^ "IDF medical delegation to Japan treats homeless baby". The Jerusalem Post. 30 March 2011. Retrieved 2011-03-30.
  34. ^ "Gillard tours tsunami-devastated Minami Sanriku". The Sydney Morning Herald. 23 April 2011. Retrieved 6 August 2018.
  35. ^ "International Exchange". List of Affiliation Partners within Prefectures. Council of Local Authorities for International Relations (CLAI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December 2015. Retrieved 21 November 201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