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식
Kim Kyu-sik김규식 김규식 金奎植 | |
---|---|
1946년 김씨 |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무총리 | |
재직중 1940년 10월 ~ 1947년 3월 3일 | |
선행 | 류동렬 |
에 의해 성공자 | 김구 |
개인 정보 | |
태어난 | 조선 시대 부산 동래구 | 1881년 1월 29일
죽은 | 1950년 12월 10일( 만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69세)
교육 | 로아노크 대학교 |
한국이름 | |
한글 | |
---|---|
한자 | |
개정된 로마자 표기법 | 김규식 |
맥쿤-라이샤우어 | 김규식 |
필명 | |
한글 | 사,, 죽죽 |
한자 | 史,, 竹竹 |
개정된 로마자 표기법 | 죽적우사 |
맥쿤-라이샤우어 | 우사 축척 |
호칭 | |
한글 | |
개정된 로마자 표기법 | 변갑 |
맥쿤-라이샤우어 | 편갑 |
김규식, 또한 Kim Kiusic (한국어:한자(漢子, 1881년 1월 29일 ~ 1950년 12월 10일)는 독립운동 당시 한국 정치인이자 학자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지도자이다.김씨는 1940년부터 1947년 3월 3일 임시정부가 해체될 때까지 외무장관, 대사, 교육부 장관, 그리고 마침내 부통령을 역임하는 등 임시정부에서 다양한 역할을 했다.김씨의 별명에는 우사, 금문, 김송, 축척이 있었다.
인생과 경력
초기 생활
김씨는 지금의 부산의 일부인 동래에서 태어났다.어린 나이에 고아가 된 김씨는 미국인 선교사 H.G.와 함께 공부했다. 언더우드는 6살 때부터 기독교 이름인 "요한"으로 개명했다.그는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1903년 로아노크 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이듬해 프린스턴 대학에서 영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05년 김씨는 한국으로 돌아와 폭넓게 가르쳤다.1910년 한일합방 이후 김씨는 1913년 중국으로 도피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1919년 김씨는 일본으로부터 한국의 독립을 위해 로비를 하기 위해 파리 강화 회의를 위해 파리로 갔다.1919년 [1]여름 상하이에서 신한청년당을 조직한 여운형과 장덕수가 그를 보냈다.파리에서의 그의 노력은 헛수고로 판명되었다.
한국민족혁명당은 1935년 상하이에서 민족주의 한국 정당들을 통해 결성되었다.주최자는 김규식, 김원봉, [2]조숭이었다.
김 전 대통령은 상하이에 본부를 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지도부원이었으며, 부통령이 되었다.그는 영어를 유창하게 했고 임시정부 구성원들에게 영어를 가르쳤다.
광복 후
1945년 제2차 세계대전 후, 그는 조국으로 돌아와 새로운 독립국가의 형성에 동참했고, 남쪽은 주한 미군정, 북쪽은 소련 시민청의 통치하에 있었다.김은 미국의 점령 지도자 존 R의 총애를 받았다. 그를 우파와 좌파의 온건파 지도자로 본 호지.1947년 9월, 미국과 이승만(李 man晩) 등은 새로 창설된 유엔으로 한국 문제를 옮기도록 추진하였고, 유엔은 북한 임시위원회와 김구 등 남부 민족주의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남한에서의 선거를 허용하기로 의결하였다.북측의 [1]불참을 이유로 반대했던 사람들입니다.
죽음.
그해 통일을 중개하려다 실패하자 그는 정계에서 은퇴했다.그는 1950년 한국전쟁 발발 후 납북돼 북으로 끌려갔으며 12월 10일 북쪽 끝 만포 인근에서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1988년 5월 대한민국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그는 1998년 [3]북한의 국가통일상을 추서했다.
다른 정보
- 교육 경력
- 1913년 12월 17일 상하이에서 바크달 영어학교 교수
- 1923년 푸단대학교 영어과 교수
- 1927년~1929년 톈진에서 북해대 영문학과 교수
- 1932~1937년 난징 정치지도학교, 정치학 교수.
- 1937~1940년 ShChwan College 영문학, 외국어 및 의장, 외국어 및 문학부장
- 책들
- 시집 《양자유경》
- 【작은 영문법】
- 【실용 영어】
- 【엘리자베스 I 에이지의 극장 입문】
- [원용사]
- 도
- 1903년 로아노크 칼리지(문학사)
- 1904년 프린스턴 대학교 영문학과 석사
- 1923년 로아노크 명예 법학박사
- 수상과 표창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 ^ a b 에커트, 카터 J., 리, 기백, 루, 영익, 로빈슨, 마이클 & 와그너, 에드워드 W.(1990).신구 한국.서울: 일촉각.
- ^ Pratt, Keith L.; Rutt, Richard (1999), "Korean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Korea: A Historical and Cultural Dictionary, Psychology Press, p. 236, ISBN 978-0-7007-0464-4, retrieved 2016-03-20
- ^ "National Reunification Prize Winners", Korean Central News Agency, 1998-05-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6-02, retrieved 2012-09-13
추가 정보
- 한국어 온라인 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