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 미군정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주한 미군정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在朝鮮美陸軍司令部軍政廳
1945–1948
앤섬: 성조기
(de jure)
'애국가' (사실상)
Location of the southern portion of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남쪽의 위치
상황군사직업 과도 정부
자본의
가장 큰 도시
서울
공용어한국어, 영어
총사령부
• 1945년 9월 - 1948년 8월
존 호지
군사 주지사
• 1945년 9월 - 1945년 12월
아치볼드 5세아놀드
• 1945년 12월 - 1947년 9월
궁수 L. 러치
• 1947년 10월 - 1948년 8월
윌리엄 F.
• 1948년 8월– 1949년 6월
찰스 G.헬믹
역사 시대냉전
·일본의 항복
1945년 8월 15일
• 주한 미군
1945년 9월 8일
가을 봉기
1946년 10월 1일
1948년 5월 10일
공화국 수립
1948년 8월 15-17일
통화, A엔, 미국 달러
ISO 3166 코드KR
선행
에 의해 성공자
재팬 코리아
대한민국 임시정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오늘의 일부대한민국.
북한
주한 미군정
한글
재조선 미육군 사령부 군정청
한자
在朝鮮美陸軍司令部軍政廳
개정된 로마자 표기법조선 미육군 사령부 군정청
맥쿤-라이샤우어채조선 미육군 사령부 군정청

주한 미군정(USAMGIK)은 1945년 9월 8일부터 1948년 8월 15일까지 한반도 남반부를 통치한 공식 기관이다.

이 기간 동안 그 나라는 다양한 [1]원인에 의해 야기된 정치적, 경제적 혼란에 시달렸다.일본 점령의 여파는 북쪽의 소련 지역뿐만 아니라 점령 지역에서도 여전히 감지되고 있었다.^ 민중의 불만은 미군정이 일본 식민정부를 지지한 데서 비롯되었다.한 번 제거되면 전직 일본 주지사들이 고문으로 남게 된다; 기능적이고 인기 있는 인민 공화국(PRK)을 무시하고 검열하고 강제 해산함으로써; 그리고 마침내 유엔 선거를 지지함으로써.나라를 [2]돌아다녔다.

게다가, 미군은 언어나 정치 상황에 대한 지식 없이 도착하면서, 나라를 통치하는 도전에 대한 준비가 거의 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많은 정책이 의도하지 않은 불안정 효과를 가져왔다.북한에서 온 난민(40만 명 추정)과 해외에서 온 귀환자들의 물결은 더 큰 혼란을 야기했다.^

배경

일본군은 1945년 9월 9일 서울에서 미군에 항복했다
반독점 운동, 1945년 12월

단명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8월에 일본 당국과 협의하여 설립되어 전국적으로 급속히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미군정은 그들이 도착한 직후 남한에서 그것을 불법화했다.^ 인민공화국 지도자인 여운형이 사퇴하고 인민당을 창당했습니다.^미 행정부는 또 김구 선생이 이끄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성원을 민간인으로 인정하기를 거부했다.^

주요 이벤트

대일제국이 연합군에 항복한 후, 38선 사단은 각각 북한과 남한에 대한 소련과 미국의 지휘의 시작을 알렸다.1945년부터 1948년까지 한국에 대한 합동참모본부와 국무부의 모호한 명령과 지도 부족으로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연합군 최고사령관으로 부임했다.워싱턴 D.C.는 맥아더가 원하는 대로 한국을 상대할 수 있는 자유를 주기로 결정했다.그는 제24군단을 지휘했다.R 장군 일본군의 항복을 받아들일 뿐만 아니라 한국에 [3][4]대한 군사 점령을 세우기 위해 호지.미군은 1945년 9월 8일 인천에 상륙하여 군사정부를 수립하였다.^ 인천에 상륙한 병력은 미 10군단 24군단 소속이었다. ^ 한국에 도착하기 나흘 전, 호지는 장교들에게 한국이 "미국의 적"[5]이라고 말했다.

9월 9일, 항복식에서, 호지는 일본 식민지 정부는 그 인사들과 총독을 포함한 온전한 상태를 유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호지는 큰 항의 끝에 총독을 미국인으로 교체하고 모든 일본 지국장을 해임했다. 그러나 그는 차례로 전직 일본 관료들을 [6]고문으로 영입했다.

대중의 불만이 높아지자, 1945년 10월 호지는 한국 자문 위원회를 설립하였다.의회 의석의 대부분은 미국의 독려로 만들어진 한국 민주당 의원들에게 주어졌으며 주로 대지주, 부유한 사업가, 식민지 정부의 전직 관료들로 구성되었다.몇 명의 중국 공산당원들이 입당을 제안받았지만, 그들은 이를 거부하고 대신 [7]일본과의 협력에 대해 평의회 임명자들을 비난했다.

1945년에 장기 신탁 통치 협정에 대한 제안이 있었다.1945년 12월, 미국과 소련은 미국의 통치하에 이 나라를 통치하기로 합의했다.- 모스크바 외무장관 회의에서 언급된 소련 공동 위원회.한국이 4년간의 국제적 감독 끝에 독자적으로 통치하기로 합의되었다.그러나 미국과 소련은 각각 한국 주도의 정부를 반반씩 승인했고, 각각은 점령 세력의 정치적 이념에 호의적이었다.여러 가지 관점에서 볼 때, 모든 한국인들이 반드시 이러한 협정을 선호하지는 않았다고 주장할 수 있다.남쪽에서는 임시 입법부와 임시 정부가 각각 김규식이승만대표를 맡았고, 선거에서는 큰 [8][9]폭동이 일어났다.

USAMGIK는 12월 8일 파업을 금지하고 1945년 12월 12일 인민위원회를 불법화했다.그러나 1946년 9월 조선공산당은 총파업을 시작했다.이것은 부산의 철도 노동자들 사이에서 시작되었지만 9월 24일까지 다른 산업으로 확산되었고 25만 명 이상의 노동자들이 파업에 참여했다.USAMG는 파업자들에 대항하기 위해 군사작전을 조직하고 우익 반공 단체들을 격려했다.10월 1일 대구에서 한 파업 시위는 경찰에 의해 발포되었고 한 노동자가 사망했다.그 후 며칠간의 시위는 '가을 봉기'로 발전했다.미 행정부는 계엄령을 선포하고 시위 군중에게 발포하며 공개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수의 사람들을 [10][11][12]살해하는 것으로 대응했다.

제주항쟁은 1948년 4월 미군 점령기 좌익 과격파가 한국 경찰 30명을 살해하면서 시작됐다.이 봉기는 (평양에서 김일성과 협력한) 남한의 공산주의자인 박혼용이 38선 이남의 좌익과 공산주의 단체들에게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1948년 한국 선거에 반대할 것을 촉구한 후 2월 7일 총파업을 시작할 것을 촉구한 후 일어났다.당시 제주에는 조선노동당 당원이 최소 6만 명, 적극적인 지지자가 최소 8만 명이었다.이들 조합원과 지지자들은 파업에 돌입했을 뿐만 아니라 정부 시설을 공격하고 공공연한 충돌로 경찰과 교전하기도 했다.우익 단체와 경찰에 대한 SKLP 게릴라 간의 이러한 교전은 1948년 3월까지 계속되었다.1948년 8월 한국이 독립한 후 폭력은 극적으로 증가하였다.이승만 정부는 1949년 5월까지 폭동을 진압했다.제주 분쟁은 양측의 만행을 보았고 14,000명에서 30,000명의 [13][14]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

교육

USAMGIK에 의해 발표된 최초의 법령 중에는 1945년 11월에 발표된 모든 학교를 재개교하는 것이 있었다.일제강점기부터 이어져 온 교육제도에 즉각적인 변화는 없었다.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군사 정부는 일본 점령 시스템의 형태를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비록 전면적인 교육 개혁을 시행하지는 않았지만, 군사 정부는 제1공화국 초기에 시행된 개혁의 기초를 다졌다.1946년, 약 100명의 한국 교육자로 구성된 협의회가 소집되어 한국 교육의 미래를 계획하였다.

정치

군정은 처음부터 좌파주의에 적대적이었지만 처음에는 조선공산당을 비롯한 좌파 정치단체의 활동을 용인했다.그들은 중도좌파와 극우파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려고 시도했다.하지만, 이러한 제안들은 이승만과 같은 강력한 지도자들을 화나게 하는 역효과를 자주 가져왔다.

이 화해 기간은 오래가지 않았다.짧은 시간 안에, 군사 정부는 적극적으로 권력을 박탈했고 결국 인민 공화국을 포함한 일반 대중들 사이에서 지지를 얻고 있는 인기 있는 단체들을 금지시켰다.USAMGIK가 내세운 명분은 당시 금지됐던 실제 조선공산당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건한 입장을 표방했음에도 불구하고 공산권과 동조하고 있다는 의혹이었다.

미군 점령이 전반적으로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상징은 1946년 12월 호지와 USAMGIK가 남한 임시 입법회를 만들었을 때였다.이 회의는 "정치, 경제, 사회 개혁의 기초"로 사용될 법률 초안을 마련하기로 되어 있었다.그러나 남한 노동당에서 통합한 좌파 정파는 집회를 무시하고 참가를 거부했다.집주인과 소상공인의 지지를 받는 보수파의 민주당도 주요 지도부가 USAMGIK에서 배제됐다는 이유로 반대했다.문제는 45명의 의원 중 상당수가 보수 성향이었지만, 대부분 대한민국 임시정부 부총재였던 온건파 김규식(金-,) 의원이 지명한 것으로, 일제강점기 1919년에 만들어진 온건파 기관으로 궁극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공화정의 형태로 한국에 독립을 전달한 것)과 미래의 독립 대한민국을 이끌기 위한 호지 씨의 선택이었습니다.불행하게도, 김은 카리스마가 없었고 좌익과 우익 어느 쪽도 그를 [15]지지하도록 고무시킬 수 없었다.

남북 관계

분단 당시 한국 산업의 압도적 다수는 북한에 집중되어 있었고, 농경지의 대부분은 남한에 있었다.이 기간 동안 송전선 및 배송 연결은 유지되었지만 빈번하고 예측할 수 없이 끊어졌습니다.이 기간 동안 소련이 지배한 북한은 전기나 비료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남한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고,[16] 자주 그렇게 했다.

경제.

한국 경제는 회복의 토대가 마련되었지만 이 기간 동안 잘 되지 않았다.1947년 국무·해군 조정위원회의 평가에 따르면 미국이 한국 경제를 잘못 관리했고 필요한 토지 및 [1]노동 개혁을 시행하지 못했다.이 보고서는 "따라서 미국은 한국에 자국만 남았을 뿐이다"라고 결론지었다.지금까지의 운영은 완전한 붕괴를 막기 위해 매일 즉흥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며,[1] 가장 기본적인 문제는 거의 손대지 않고 있습니다. 기간 동안 위조는 심각한 문제였다고 한다.

해산

1948년 8월 15일 연합군 최고사령관에서 이승만 대통령으로의 이양식에서 맥아더 장군

1948년 5월과 7월에 각각 치러진 제헌 의회와 대통령 선거에 이어 1948년 8월 15일 초대 정부대한민국의 존재를 공식 선언했다.미군은 1949년에 마침내 철수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1. ^ Allan R.밀레, 한국 전쟁: 1945-1950 (2005) P. 59
  2. ^ Lee(1984년, 페이지 374년), 커밍스(1997년, 페이지 189년)
  3. ^ 커밍스, 1997, 페이지 189Nahm(1996년, 페이지 340)은 "8군단"을 부여하며, 이는 군단의 후기 소속을 반영한다.
  4. ^ Nam, Cumings, loc. cit.
  5. ^남(1996년, 페이지 351년), 리(1984년, 페이지 375년)
  6. ^ Namm(1996년, 페이지 340).
  7. ^ Lee(1984년, 페이지 375).
  8. ^남(1996년, 페이지 330–332년), 리(1984년, 페이지 374년)
  9. ^ Namm(1996년, 페이지 340).
  10. ^ Namm(1996년, 페이지 340).

레퍼런스

  1. ^ a b c Chang, Kornel (2020). "Independence without Liberation: Democratization as Decolonization Management in U.S.-Occupied Korea, 1945–1948". Journal of American History. 107 (1): 77–106. doi:10.1093/jahist/jaaa009. ISSN 0021-8723.
  2. ^ Hart-Landsberg, Martin (1998). Korea: Division, Reunification, & U.S. Foreign Policy. Monthly Review Press. pp. 63–67, 70–77.
  3. ^ history.army.mil https://history.army.mil/books/wwii/MacArthur%20Reports/MacArthur%20V1%20Sup/ch3.htm. Retrieved 26 March 2021. {{cite web}}:누락 또는 비어 있음 title=(도움말)
  4. ^ "CHAPTER II:The House Divided". history.army.mil. Retrieved 26 March 2021.
  5. ^ Cumings, Bruce (1981).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Liberation and the Emergence of Separate Regimes, 1945–1947.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126.
  6. ^ Hart-Landsberg, Martin (1998). Korea: Division, Reunification, & U.S. Foreign Policy. Monthly Review Press. pp. 71–72.
  7. ^ Hart-Landsberg, Martin (1998). Korea: Division, Reunification, & U.S. Foreign Policy. Monthly Review Press. pp. 72–73.
  8. ^ Hart-Landsberg, Martin (1998). Korea: Division, Reunification, & U.S. Foreign Policy. Monthly Review Press. pp. 75–77.
  9. ^ Cumings, Bruce (1981). "The Autumn Uprising".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Liberation and the Emergence of Separate Regimes, 1945–1947.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 ^ "Green Left Weekly".
  11. ^ Scher, Mark J. (1973). "U.S. policy in Korea 1945–1948: A Neo-colonial model takes shape". Bulletin of Concerned Asian Scholars. 5 (4): 17–27. doi:10.1080/14672715.1973.10406346. ISSN 0007-4810.
  12. ^ KANG, JIN-YEON (2011). "Colonial Legacies and the Struggle for Social Membership in a National Community: The 1946 People's Uprisings in Korea". Journal of Historical Sociology. 24 (3): 321–354. doi:10.1111/j.1467-6443.2011.01400.x. hdl:2027.42/111935. ISSN 0952-1909.
  13. ^ Johnson, Chalmers (23 January 2001). Blowback: The Costs and Consequences of American Empire (2000, rev. 2004 ed.). Owl Book. pp. 99–101. ISBN 0-8050-6239-4.
  14. ^ 메릴, 존(1980).'제주도 반란'한국학 학술지.2: 139–197
  15. ^ "South Korea - South Korea Under United States Occupation, 1945-48". countrystudies.us. Retrieved 28 March 2021.
  16. ^ 국무부 간행물 3305, 1948년 10월, 25페이지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