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이프 ė다 반란
Klaipėda Revolt클라이프 ė다 반란 | |||||||
---|---|---|---|---|---|---|---|
클라이프 ė다 지역(메멜란드)과 동프로이센 북부 지역의 역사 지도 | |||||||
| |||||||
Belligerents | |||||||
프랑스 행정부 | 리투아니아 리투아니아 소총병 연합 클라이프 ė다 주 | ||||||
지휘관 및 지도자 | |||||||
가브리엘 장 쁘띠네 | 에르네스타스 갈바나우스카스 빈카스 크르 ė프 ė미케비치우스 요나스 폴로빈스카스-버드리 에르트모나스 시모나티스 | ||||||
힘 | |||||||
약 250명의 프랑스 군인들, 350명의 독일 경찰들, 그리고 300명의 민간 자원봉사자들. | 1,753명 | ||||||
사상자 및 손실 | |||||||
프랑스 군인 2명과 독일 경찰 1명 사망 | 12명 사망 |
클라이프 ė다 반란은 1923년 1월 클라이프 ė다 지역(메멜 준주 또는 메멜랜드라고도 함)에서 일어났습니다. 네만강 북쪽에 위치한 이 지역은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독일 제국의 동프로이센과 분리되어 국제 연맹의 위임통치령이 되었습니다. 보다 영구적인 해결책이 마련될 때까지 프랑스 임시 행정부 하에 놓였습니다. 리투아니아는 리투아니아어를 사용하는 프로이센계 리투아니아인과 주요 항구인 클라이프 ė다(메멜)를 사용하는 인구가 많기 때문에 이 지역(리투아니아 소국의 일부)과 연합하기를 원했습니다. 대사 회의에서 단치히의 자유 도시와 마찬가지로 자유 도시로 이 지역을 떠나는 것을 선호하자, 리투아니아인들은 반란을 조직하고 시위를 벌였습니다.
지역 주민들의 봉기로 여겨진 이 반란은 독일 경찰이나 프랑스군의 저항을 거의 받지 못했습니다. 반군은 친리투아니아 정부를 세웠고, 이 정부는 자결권을 이유로 리투아니아와 연합할 것을 청원했습니다. 국제 연맹은 이를 받아들여 1923년 2월 17일 클라이프 ė다 지역을 리투아니아 공화국에 자치 영토로 이양했습니다. 오랜 협상 끝에 1924년 5월 정식 국제협약인 클라이프 ė다 협약이 체결되었습니다. 이 협약은 리투아니아의 지역 내 주권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광범위한 입법, 사법, 행정 및 재정적 자치를 설명했습니다. 이 지역은 1939년 3월 독일의 최후 통첩 후 나치 독일로 넘어가기 전까지 리투아니아의 일부로 남아있었습니다.
배경
리투아니아와 폴란드의 열망
독일-리투아니아 국경은 1422년 멜노 조약 이후 안정적이었습니다.[1] 그러나 동프로이센 북부에는 리투아니아어를 사용하는 프로이센계 리투아니아인 또는 리투브닌카이인이 다수 거주하고 있어 리투아니아의 소수 민족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클라이프 ė다 지역은 약 412km의 쿠로니아 석호를 포함한 2,848km (1,100 sq mi)에 걸쳐 있습니다. 1910년 프로이센 인구조사에 따르면 메멜 시에는 21,419명이 거주했으며, 그 중 92%는 독일인, 8%는 리투아니아인이었고, 66%는 리투아니아인이 거주했습니다. 메멜 지역 전체적으로 독일인은 50.7%(71,191명), 리투아니아인은 47.9%(67,345명), 이중언어 사용자(대부분 리투아니아인으로 구성됨)는 1.4%(1,970명)를 차지했습니다.[3] 프레드 헤르만 데우(Fred Hermann Deu)의 현대 통계에 따르면, 71,156명의 독일인과 67,259명의 프로이센 리투아니아인이 이 지역에 살고 있었습니다.[4] 1925년 반란 직후 실시된 인구 조사는 약간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그것은 그 지역의 총 인구를 141,000명으로 기록했습니다.[5] 선언된 언어는 주민들을 분류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를 기준으로 43.5%는 독일어, 27.6%는 리투아니아어, 25.2%는 "클랍 ė단" (Memeländisch) 이었습니다. 다른 자료들은 전쟁 중의 민족 구성을 독일인 41.9%, 메멜렌디슈인 27.1%, 리투아니아인 26.6%로 제시하고 있습니다.[6][7]
소규모 리투아니아와 리투아니아를 통합하자는 아이디어는 19세기 후반 리투아니아 국가 부흥 과정에서 나타났습니다. 그것은 리투아니아의 모든 민족 땅을 독립된 리투아니아로 통합하려는 비전의 일부였습니다.[8] 이 활동가들은 또한 발트해의 주요 항구인 클랩 ė다(메멜)를 주시했습니다. 그것은 리투아니아의 유일한 심해 접근이 될 것이고 항구가 있는 것은 자생력을 위한 경제적 필요성으로 여겨졌습니다. 1918년 11월 30일, 24명의 프로이센 리투아니아 운동가들이 리투아니아와 리투아니아를 통합하고 싶다는 의사를 표명하면서 틸싯법에 서명했습니다.[9] 이러한 고려 사항을 바탕으로 리투아니아인들은 연합국에 소국(클랍 ė다 지역에 국한되지 않음) 전체를 리투아니아에 부착할 것을 청원했습니다. 그러나, 당시 리투아니아는 서구 열강들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했고, 전후 어떤 회의에도 초대되지 않았습니다. 리투아니아는 1922년 7월에 미국에 의해, 그리고 1922년 12월에 대부분의 서구 열강들에 의해 인정되었습니다.[10]
폴란드 제2공화국은 클라이프 ė다 지역을 단치히에 대한 보상으로 간주했습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 회랑은 발트해에 대한 접근을 제공했지만, 단치히 자유 도시는 폴란드에 주어지지 않았습니다. 1919년 초, 파리 강화 회의의 폴란드 대표 로만 드모프스키는 클랍 ė다 지역을 리투아니아에 편입시키기 위해 운동을 벌였고, 그 후 폴란드와 연합을 맺게 되었습니다(드모프스키의 라인 및 미 ę드조르제 연방 참조). 폴란드 공식은 클라이프 ė다에서 리투아니아, 리투아니아에서 폴란드까지였습니다.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이 해결될 때까지 클라이프 ė다는 연합국의 임시 관리 하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그러한 연합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서 역사적인 전통을 가지고 있었지만, 리투아니아는 그러한 제안을 전적으로 거부했습니다. 폴란드-리투아니아 관계의 악화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전쟁과 빌뉴스 지역에 대한 분쟁으로 이어졌습니다. 그러나, 그 연합 아이디어는 서유럽에서 호의적으로 받아들여졌습니다. 1921년 12월 폴란드는 마르셀리 사로타를 이 지역에 새로운 특사로 보냈습니다. 그의 계획으로 폴란드와 클라이프 ė다는 1922년 4월에 무역 협정을 맺었습니다. 게다가, 폴란드는 부동산을 사들이고, 사업체를 설립하고, 항구와 연결함으로써 경제적인 존재감을 확립하려고 했습니다.[14]
프랑스 행정부
폴란드의 제안에 영향을 받은 연합군은 독일과 평화협정을 체결할 때 클라이프 ė다 지역을 고려했습니다. 1920년 1월 10일 발효된 베르사유 조약 제28조에 따르면, 네만강 북쪽의 토지는 독일 제국으로부터 분리되었고, 제99조에 따르면 국제 연맹의 위임 하에 놓였습니다.[8] 프랑스인들은 그 지역의 임시 행정가가 되는 것에 동의했고 영국인들은 거절했습니다.[15] 2월 10일[16] 도미니크 조지프 오드리 장군이 지휘하는 차수르 알핀의 가 프랑스군의 첫 번째 부대로 도착했습니다.[15] 독일군은 2월 15일 공식적으로 그 지역을 넘겨줬습니다.[17] 이틀 후, 오드리 장군은 주요 통치 기관인 7명의 이사국을 설립했습니다. 리투아니아 시위 이후, 두 명의 프로이센 리투아니아 대표가 국장에 임명되어, 그 규모가 9명으로 늘어났습니다.[18] 6월 8일, 프랑스는 가브리엘 장 쁘띠네Gabriel Jean Petisné 를 클라이프 ė다 지역의 민간 행정 책임자로 임명했습니다. Petisen는 반(反)리투아니아적[20] 편견을 보였고 자유 도시에 대한 생각에 호의적이었습니다.[21] 1920년 5월 1일, 오드리 장군은 사임했고, 페티네는 이 지역의 최고위 관리가 되었습니다.[22]
프랑스 총리이자 파리평화회의 의장인 조르주 클레망소는 클라이프 ė다 지역이 아직 법적 인정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리투아니아에 부속되어 있지 않다고 논평했습니다. 리투아니아인들은 이 성명서를 압류하고, 국제적인 인정을 받으면 그 지역이 그들의 것이 되어야 한다고 믿으며 그 지역에서 그들의 권리를 위해 더 캠페인을 벌였습니다. 빌뉴스 지역을 둘러싼 폴란드-리투아니아 분쟁의 국제 연맹의 중재가 아무 소용이 없자 클라이프 ė다 지역은 주요 협상 카드가 되었습니다. 1921년에 이미 암시적인 "빌니우스를 위한 클랩 ė다" 제안이 있었습니다. 1922년 3월, 영국은 빌뉴스에 대한 폴란드의 영유권을 인정하는 대가로, 리투아니아는 법률 인정, 클랩 ė다 지역, 그리고 경제 지원을 받게 될 것이라는 구체적이고 명확한 제안을 했습니다. 리투아니아인들은 빌뉴스를 포기할 준비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 제안을 거절했습니다. 거부 이후, 프랑스와 영국의 태도는 리투아니아에 등을 돌렸고, 그들은 이제 자유 도시 해결책(단치히 자유 도시와 같은 Freistadt)을 선호했습니다.[12] 그래서 리투아니아인들은 불리한 결정을 기다리거나 그 지역을 점령하고 기정사실을 제시할 수 있었습니다.[24]
준비사항
결정
1922년 11월 3~4일, 프로이센 리투아니아 대표단은 대사 회의에 리투아니아 사건을 호소하는 데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이 실패는 봉기를 조직하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25] 1922년 11월 20일 비밀회의에서 리투아니아 정부는 반란을 조직하기로 결정했습니다.[24] 그들은 국제 연맹이나 대사 회의를 통한 외교적 노력이 성과가 없고, 리투아니아를 향해 주민들을 흔들기 위한 경제적 조치가 국제 외교에서 너무 비싸고 비효율적이라는 것을 인식했습니다.[24] 실베스트라스 ž우카우스카스 장군은 리투아니아군이 작은 프랑스 연대를 무장해제하고 24시간 안에 그 지역을 점령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프랑스에 대한 직접적인 군사 행동은 군사적으로나 외교적으로 너무 위험했습니다. 이에 1920년 10월 폴란드 ż 렐리고프스키의 항쟁을 예로 들어 지방 반란을 일으키기로 결정했습니다.
준비는 에르네스타스 갈바나우스카스 총리의 손에 맡겨졌습니다. 그가 구체적인 임무를 위임하는 동안, 원대한 계획은 제1차 세이마스나 외교부로부터조차 비밀에 부쳐졌고, 따라서 반란에 대한 정부의 완전한 역할을 이해하는 리투아니아 사람들은 거의 없었습니다.[28] 그래서 반란의 조직에 대한 주요 공은 인력을 제공한 리투아니아 소총병 연합의 의장인 빈카스 크르 ė프 ė-미케비치우스에게 주어지기도 합니다. 갈바나우스카스는 이 반란을 프랑스나 연합국 정부에 대항하는 것이 아니라 독일 행정부에 대항하는 지역 주민들의 진정한 봉기로 제시할 계획이었습니다. 그러한 계획은 연합국의 시위를 리투아니아 정부로부터 멀어지게 하고 유럽의 반독일 정서를 이용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30] Galvanauskas는 반란군과 리투아니아 정부 사이의 어떤 연결고리도 숨기려고 조심했습니다. 그래서 만약 반란이 실패한다면, 그는 라이플맨과 반란군이 정부의 어떤 책임도 면한 것을 비난할 수 있었습니다. Galvanauskas는 리투아니아의 위신을 위해 필요하다면 모든 관련자들이 형사 기소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31]
선전전
지역 주민들은 독일, 리투아니아, 자유 도시 간의 정치적 줄다리기에 참여했습니다. 독일과의 재결합은 정치적으로 불가능했지만, 지역 독일인들은 그 지역에서 그들의 정치적, 문화적인 지배력을 유지하기를 원했습니다.[32] 프로이센계 리투아니아인들은 리투아니아어를 사용하는 반면, 그들은 다른 종교(로마 가톨릭계 리투아니아인들과는 반대로 루터교인들)를 포함하여 그들만의 복잡한 정체성을 발전시켰습니다. 리투아니아 사람들은 경제적으로나 문화적으로 후진적인 사람들로 여겨졌습니다.[33] 농부들과 산업 노동자들은 리투아니아의 값싼 농산물과 노동력이 그들의 생계를 파괴할 것이라고 걱정했습니다.[34] 그래서 자유 도시에 대한 생각이 점점 탄력을 받고 있었습니다. 1921년 말, 메멜(Memel, 자유국가메멜을 위한 사회)의 아르베이트게마인샤프트 퓌르덴 프레이스타(Arbeitsgemeinschaft für den Freista)는 자유국가를 지지하기 위해 총 71,856명의 자격이 있는 주민들 중에서 54,429명의 서명을 모았습니다.[35]
따라서 반란을 조직하기로 결정하기도 전에 리투아니아는 자신의 영향력을 극대화하고 이 지역의 지지자들을 끌어들이려고 노력했습니다. 리투아니아는 식량을 충분히 생산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 지역의 경제적 의존성을 보여주기 위해 무역을 제한했습니다.[36] 이 지역이 자국 통화로 사용한 독일 마르크화의 초인플레이션이 시작되면서 경제 상황은 더욱 복잡해졌습니다. 리투아니아의 원인은 리투아니아로부터 값싼 노동력과 원자재를 기대했던 산업가들에 의해서도 지지를 받았습니다.[34] 리투아니아인들도 격렬한 선전을 펼쳤습니다.[24] 그들은 친리투아니아 단체를 설립하고 자금을 조달했으며 지역 언론에 대한 관심을 얻었습니다. 이러한 활동의 대부분은 리투아니아 특사 요나스 ž릴리우스에 의해 조정되었습니다. 요나스 ž릴리우스는 그러한 목적으로 50만 독일 마르크를 받았습니다. 은행가 요나스 베일로카티스는 이를 위해 미화 12,500달러(2022년 214,697.27달러 상당)를 기부하고 필요할 경우 1만 달러를 추가로 기부하기로 약속했습니다.[37] 안타나스 이바슈케비치우스(이바스), 안드리우스 마르투세비치우스(마르투스)[38] 등 리투아니아계 미국인들이 추가 지원을 했습니다. 반란이 일어나기 전 몇 주 동안 현지 언론은 폴란드의 이 지역에 대한 계획을 보도했습니다. 이는 반폴란드 정서를 강화하고 리투아니아를 더 유리한 해결책으로 그리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30] 이런 행동들이 의도한 결과를 가져왔고 여론이 리투아니아 쪽으로 옮겨간 것으로 보입니다.[39]
국제외교
독일은 그 지역이 다시 붙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이해했습니다. 그래서 두 개의 악 가운데 작은 악을 편애하고 리투아니아의 이익을 암묵적으로 지지했습니다.[40] 바이마르 공화국은 폴란드와 프랑스를 주요 적으로 간주했고 리투아니아는 중립적이었습니다. 또한, 독일이 힘을 회복하면, 더 큰 폴란드보다 더 약한 리투아니아로부터 이 지역을 탈환하는 것이 훨씬 쉬워질 것입니다.[9] 이미 1922년 2월 22일, 독일은 리투아니아인들에게 클라이프 ė다에서의 리투아니아의 행동에 반대하지 않으며, 당연히 그러한 입장은 공식적으로 선언되지 않을 것이라고 비공식적으로 알렸습니다. 그러한 태도는 나중에 다른 비공식적인 독일-리투아니아 통신에서 확인되었으며, 심지어 반란 기간 동안에도 베를린이 지역 독일인들에게 리투아니아 계획을 방해하지 말라고 촉구했습니다.[41]
연합군이 클라이프 ė다를 단치히와 같은 자유 도시로 바꿀 것을 고려했을 때, 폴란드 외무장관 콘스탄티 스커튼은 그러한 자유 도시가 독일이 그 지역에서 영향력을 유지하도록 허용함으로써 폴란드의 이익을 해칠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그 대신, 폴란드가 네만강과 항구를 통해 무제한 무역을 확보할 경우, 스커툰트는 이 지역을 리투아니아로 이전하는 것을 지지했습니다.[26] 동시에 폴란드는 다른 문제(가브리엘 나루토비치 대통령 암살, 경제 위기, 실레시아 영토 분쟁, 소련과의 긴장 관계)에 몰두했고 클라이프 ė다에 대해서는 관심을 덜 가졌습니다. 리투아니아는 이 지역에 대한 폴란드의 관심에 대한 군사적 조치가 폴란드-리투아니아 전쟁을 재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했습니다.[43] 예상되는 폴란드와 프랑스의 반발에 대항하기 위해 리투아니아인들은 강력한 폴란드 국가에 반대하는 소련 러시아에서 동맹국을 찾았습니다. 11월 29일, 소련 외무장관 게오르기 치체린은 베를린으로 가는 도중 카우나스에 잠시 머물렀습니다.[43] 치체린은 갈바나우스카스와의 대화에서 클라이프 ė다에서 리투아니아의 계획을 지지하고 폴란드가 리투아니아를 상대로 움직일 경우 소련이 소극적인 태도를 유지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습니다.
타이밍.
1922년 12월 18일, 대사 회의 위원회는 1923년 1월 10일 지역의 미래를 위한 제안서 발표를 예정했습니다.[39] 반란이 시작된 후에야 제안의 내용을 알 수 있었지만, 리투아니아인들은 그 결정이 자신들의 이익에 어긋날 것으로 예상하고 준비를 서두르게 되었습니다. 실제로 위원회는 폴란드와의 연합에 동의할 경우 자유 도시(국제 연맹 산하 자치 지역)를 만들거나 리투아니아로 이 지역을 이전할 것을 제안했습니다.[30] 1923년 1월은 프랑스가 루르족의 점령으로 정신이 팔려 있었고 유럽은 또 다른 전쟁이 발발할 것을 우려했기 때문에 편리하기도 했습니다. 제1차 세이마스가 교착상태에 빠진 가운데 갈바나우스카스가 총리로서 막강한 권한을 가진 데다 반란을 강력히 반대하는 알렉산드라스 스툴긴스키스 대통령의 선출이 결정되는 등 리투아니아 국내 상황도 우호적이었습니다.[30]
반란
정치적 행동
1922년 말, 리투아니아 운동가들은 애국적인[44] 연설을 하기 위해 여러 마을로 보내졌고, 소수민족을 구원하기 위한 친리투아니아 위원회를 조직했습니다. 1922년 12월 18일, Klaip ė다에서 Martynas Jankus가 의장으로 있는 SCSLM (Supreme Committee for the Liutania Minor)이 이 모든 위원회들을 통합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반란을 주도하고 나중에 이 지역에서 친리투아니아 정권을 조직하기 위해서였습니다. 1923년 3월에 열린 대사 회의에 대한 얀쿠스의 증언에 따르면, 1923년 1월 10일 이전에 위원회를 중심으로 최대 8,000~10,000명(인구의 5~7%)이 연합했다고 합니다.[46] 1923년 1월 3일, 위원회의 회의는 SCSLM이 지역 전체의 주민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것을 승인했습니다. 그러나 당시 조직은 이름에 불과했고 여러 선언문을 발표하는 것 외에는 다른 활동이 없었습니다. 일부 회원들은 반란이 일어난 후에야 SCSLM에서 자신들의 역할에 대해 알게 되었다고 인정했습니다.[47] 1월 7일, SCSLM은 리투아니아인들이 외국인들에 의해 박해를 당했다고 주장하며, "노예"를 없애기 위해 무기를 들겠다는 결의를 선언하고, 리투아니아 소총병 연합에 도움을 요청하는 선언문을 발표했습니다. 이것은 1월 9일 소총병들이 이 지역에 진입할 수 있는 공식적인 구실이 되었습니다.[47]
1월 9일, SCSLM은 다른 구원 위원회들의 지역 주민들 모두를 대표하는 권한을 근거로, SCSLM은 지역의 모든 권력을 찬탈하고, 빌리우스 스테푸타트(Vilius Stephutat)가 의장을 맡고 있는 이사국을 해산하고, 에르드모나스 시모나이스에게 3일 이내에 새로운 5인 이사국을 구성할 권한을 부여했다고 선언했습니다.[27] 이 선언은 또한 독일어와 리투아니아어가 이 지역의 공식 언어와 동등한 지위를 부여받고 모든 정치범을 석방하며 계엄령을 제정하도록 규정했습니다.[48] 이 선언과 더불어 위원회는 프랑스 군인들에게 "자유와 평등에 대한 고귀한 생각을 위한 전사들"로서 "리투아니아 국가의 의지와 업적"에 맞서 싸우지 말 것을 요청하는 프랑스 호소문을 발표했습니다. 1월 13일, 시모나티스는 새로운 친리투아니아 행정부를 구성하였는데, 여기에는 빌리우스 가이갈라티스, 마르티나스 레이지스, 요나스 톨레이키스, 크리스투파스 렉샤스가 포함되었습니다.[49] 1월 19일, 소규모 리투아니아 구국 위원회 대표들은 실루트 ė(헤이데크루그)에서 만나 5개 항의 선언문을 통과시켜 이 지역이 리투아니아에 자치구로 편입될 것을 요청했습니다. 서류에는 120여 명이 서명했습니다. 이 지역의 자치권은 지방세정, 교육, 종교, 법원제도, 농업, 사회서비스 등으로 확대되었습니다.[50] 1월 24일, 제1차 세이마스(리투아니아 의회)는 이 선언을 받아들여 클라이프 ė다 지역의 편입을 공식화했습니다. 안타나스 스메토나가 그 지역의 수석 사절로 파견되었습니다.
군사행동
갈바나우스카스는 반란을 위한 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준군사조직인 리투아니아 소총병 연합을 모집했습니다. 이 연합의 의장인 빈카스 크르 ė프 ė-미케비치우스는 반란을 조직하자는 아이디어가 조직 내에서 시작되었다고 믿었고 갈바나우스카스는 정부와 반군을 조심스럽게 거리를 두면서 암묵적으로 이 계획을 승인했을 뿐입니다. 1922년 12월, 크르 ė프 ė미케비치우스는 라이히스웨르의 지휘관 한스 폰 세크트와 만나 독일군이 이 지역에서 리투아니아의 계획을 방해하지 않을 것임을 확신했습니다. 크르 ė프 ė-미케비치우스는 독일군으로부터 1,500발의 총과 5발의 경기관총, 150만 발의 탄약을 싸게 구입했습니다. 군사 작전은 리투아니아 방첩 장교이자 전 러시아 대령인 요나스 폴로빈스카스가 조정했으며, 그는 이름을 요나스 버드리스로 바꿨으며, 이는 더 프로이센 리투아니아어로 들렸습니다.[52] 나중에 그의 전 직원은 그들의 성을 더 프로이센 리투아니아어로 발음하기 위해 바꿨습니다.[53] 스테포나스 다리우스의 회고록에 따르면 반란은 처음에 새해 밤에 예정되어 있었지만 리투아니아 정부는 부정적인 정보 보고를 근거로 철수했습니다.[44] 반란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카우나스에 모여 정부가 진행하도록 설득했습니다. 비밀이 연합국에 누설될 수도 있었기 때문에, 그 지연은 임무를 위태롭게 했습니다.[54]
이 반란은 1923년 1월 10일에 시작되었습니다. 크레팅가와 타우라그 ė로 가는 기차를 타고 도착한 1,090명의 자원봉사자(40명의 장교, 584명의 병사, 455명의 소총병, 3명의 사무원, 2명의 의사, 6명의 명령병)가 국경을 넘어 이 지역으로 들어갔습니다. 그들 중에는 스테포나스 다리우스와 블라다스 푸트빈스키도 있었습니다. 그들은 민간인 옷을 입고 MLS라는 글자가 새겨진 녹색 완장을 차고 마 ž시오스 리에투보스 수킬 ė리스 또는 마 ž시오스 리에투보스 사바노리스(리투아니아 소국의 반란자/자원봉사자)를 착용했습니다. 각각의 사람은 소총과 200발의 총알을 가지고 있었고,[55] 반란군들은 총 21발의 경기관총, 4대의 오토바이, 3대의 자동차, 63대의 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42] 프랑스군의 평화적 퇴각 협상과 사상자를 피하기 위해 최후의 방어 수단으로만 총격이 허용되었습니다.[39] Galvanauskas는 완벽한 행동(예전, 약탈, 알코올 음료, 정치 연설 없음)과 리투아니아 신분 확인(리투아니아 문서, 돈, 담배, 성냥갑 없음)을 명령했습니다.[52] 클라이프 ė다 지역에서, 리투아니아 역사학자 비간다스 바레이키스(Vygandas Vareikis)는 이 주장의 정확성에 이의를 제기했지만, 이 사람들은 약 300명의 지역 자원봉사자들을 만났습니다. 반란군이 도시에 도착하자 더 많은 현지인들이 합류했습니다.[37] 반란군은 거의 저항을 받지 못했지만, 추운 겨울 날씨, 교통수단 부족, 기본적인[37] 보급품(그들은 음식이나 옷을 제공받지 못했지만, 하루에 4000 독일 마르크의 수당을 받았습니다)으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55]
그 부대는 세 개의 무장 단체로 나누어져 있었습니다. 첫 번째이자 가장 강력한 그룹(조나스 이슐린스카스 코드명 아우크슈투올리스 소령이 지휘하는 530명)은 클라이프 ė다를 점령하라는 명령을 받았습니다. 두 번째 그룹(마이콜라스 칼만타비치우스 암호명 바호라스 대위가 이끄는 443명)은 파그 ė가이(포게겐)를 점령하고 독일과의 국경을 확보하기 위해 파견되었고, 세 번째 그룹(페트라스 야크슈타스 암호명 칼바이티스 소령이 이끄는 103명)은 실루트 ė(헤이데크루그)로 보내졌습니다. 1월 11일, 친(親)리투아니아군은 클라이프 ė다 시를 제외한 지역을 장악했습니다. 프랑스 관리 페스티네는 항복을 거부하고 1월 15일 클라이프 ė다를 둘러싼 전투가 발발했습니다. 그 도시는 250명의 프랑스 군인들, 350명의 독일 경찰들, 그리고 300명의 민간 자원봉사자들에 의해 지켜졌습니다.[56] 짧은 총격전 끝에 페스티네와 뷔드리는 휴전 협정을 맺었고 프랑스 군인들은 막사에 수감되었습니다.[57] 전투가 진행되는 동안, 12명의 반란군, 2명의 프랑스 군인, 그리고 1명의 독일 경찰이 목숨을 잃었습니다.[9] 독일 소식통에 따르면, 프랑스 군인 1명이 죽고 2명이 다쳤습니다.[57] 1월 16일, 폴란드 군함 코멘당 피우수트스키는 폴란드 주둔 프랑스군 임무의 일원인 외젠 트루손 대령과 프랑스군에 대한 지원군을 싣고 클라이프 ė다 항에 입항했습니다. 그러나 전투가 끝나고 휴전이 발효되면서 배는 곧 출항했습니다. 1월 17일부터 18일까지 영국 순양함 HMS Caledon과 두 척의 프랑스 어뢰정인 Algérien과 Senégalais가 Klaip ė다에 도달했습니다. 프랑스 순양함 볼테르가 오고 있었습니다.[59] 리투아니아인들은 1월 24일까지 317명의 병력을 포함한 지역 군대를 조직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남자들은 6개월의 보장된 지위와 하루에 2리터의 임금으로 유혹되었습니다.[60]
반동과 후유증
프랑스는 리투아니아의 조치에 항의하고 현 상태로 돌아갈 것을 요구하는 직접적인 군사적 위협을 가했습니다. 영국은 항의했지만 위협은 자제했습니다.[61] 리투아니아가 소련의 지원을 받은 것으로 의심되었는데, 이는 프랑스나 폴란드가 군사적 대응을 시작하면 소련이 개입하여 또 다른 전쟁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폴란드는 항의했지만 더 큰 파장을 우려했습니다. 프랑스와 영국이 승인할 경우에만 군사적 지원을 제공했습니다.[61] 1923년 1월 17일, 대사 회의는 프랑스인 조르주 클린샹이 이끄는 특별 위원회를 파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소수의 연합군으로 구성된 위원회는 지난 1월 26일 도착해 반군에게 거의 즉시 철수를 요구하며 무력 사용을 위협했지만 빠르게 물러났습니다.[62] 1월 29일, 연합군은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군대를 보내자는 제안을 거부했습니다.[63] 프랑스는 행정을 회복하기 원했지만, 영국과 이탈리아는 그 지역의 리투아니아로의 이전을 지지했습니다. 2월 2일, 연합국은 모든 반군을 이 지역에서 철수시키고, 모든 군대를 해체할 것을 요구하는 단호한 최후통첩을 발표했습니다.[62]
동시에 연맹은 폴란드와 리투아니아 사이의 빌뉴스 지역에 대한 치열한 영토 분쟁에 대한 최종 결정을 내리고 있었습니다. 2월 3일, 연맹은 1920년 11월 ż셀리고프스키의 항쟁의 여파로 설립된 6킬로미터(3.7마일) 폭의 중립지대를 분할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리투아니아의 시위에도 불구하고, 중립지대의 분할은 2월 15일에 진행되었습니다.[65] 이런 상황에서 리그는 비공식 교류를 결정했습니다. 리투아니아는 잃어버린 빌뉴스 지역을 위해 클라이프 ė다 지역을 받을 것입니다. 2월 4일, 연합군의 최후통첩은 클라이프 ė다 지역의 이전이 질서정연하고 강제되지 않을 것이라는 외교적 요청으로 대체되었습니다. 2월 11일, 연합국은 리투아니아의 위기가 평화적으로 해결된 것에 대해 감사를 표하기도 했습니다.[67] 연맹을 더욱 달래기 위해 2월 15일에 시모나티스의 이사국은 해체되었습니다. Viktoras Gailius는 2명의 독일인과 3명의 프로이센 리투아니아인으로 구성된 5명의 임시 이사국을 구성했습니다.[68] 2월 17일, 회의는 이 지역을 나중에 클라이프 ė다 협약에서 공식화될 몇 가지 조건에서 리투아니아로 이전했습니다: 이 지역은 자치권이 부여되고, 리투아니아는 연합국의 관리 비용을 보상하고 전쟁 배상금에 대한 독일의 책임을 지게 되며, 네만 강은 국제화됩니다. 리투아니아는 이를 받아들여 반란이 합법화되었습니다.[69] 프랑스와 영국 배들은 2월 19일에 항구를 떠났습니다.[52]
처음에 제안된 클라이프 ė다 협약은 폴란드가 클라이프 ė다 항구에 접근하고 사용하며 통치할 수 있는 광범위한 권리를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이는 빌뉴스 지역을 둘러싸고 폴란드와 모든 외교 관계를 단절한 리투아니아로서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교착 상태에 빠진 협상은 국제 연맹에 회부되었습니다. 미국인 노먼 데이비스(Norman Davis)가 위원장을 맡은 3인 위원회는 1924년 5월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리투아니아가 서명한 최종 협약을 준비했습니다.[67] 클라이프 ė다 지역은 리투아니아의 무조건적인 주권 하에 자치 지역이 되었습니다. 이 지역은 광범위한 입법, 사법, 행정 및 재정적 자치권을 가지고 있었고 자체 지방 의회를 선출했습니다. 클랩 ė다항은 국제화되어 환승의 자유가 허용되었습니다. 이 협약은 폴란드에게[71] 주어진 특별한 권리를 포함하지 않았고, 이 지역의 리투아니아 주권에 아무런 조건도 두지 않았기 때문에 주요 리투아니아 외교적 승리로 환영을 받았습니다.[67] 그러나 이 협약은 리투아니아 정부의 권한을 심각하게 제한하고 중앙 당국과 지방 당국의 관계에 대한 빈번한 논쟁을 야기했습니다.[67] 1920년대에 구스타프 슈트레제만 외무장관이 이끄는 리투아니아와 독일의 관계는 다소 정상적이었습니다. 그러나 아돌프 히틀러가 집권한 이후 긴장이 고조되기 시작했습니다. 나치 독일이 반(反)리투아니아 활동을 지원하고 이 지역을 독일에 재통합하기 위해 캠페인을 벌였을 때 이 협약의 약점을 이용했습니다. 이는 1939년 최후통첩으로 끝이 났고, 리투아니아는 침공 위협 하에 클라이프 ė다 지역을 포기할 것을 성공적으로 요구했습니다.
- 1923년 클라이프 ė다에서 말을 탄 리투아니아 육군 병사들
- 1923년 클라이프 ė다 반란 전용 상자가 있는 리투아니아 훈장
- 1923년 봉기군 사령관 요나스 버드리스, 고등판무관, 리투아니아 육군 장교들이 클라이프 ė다에 도착합니다.
- 리투아니아 미국 포스터, 1923
참고문헌
- ^ Liekis 2010, 51쪽.
- ^ 밀리오리니 1937, 168쪽.
- ^ Cienciala & Komarnicki 1984, pp. 207–208.
- ^ 뷸러 1990, 11쪽.
- ^ a b Piotr Eberhardt; Jan Owsinski (2003). Ethnic groups and population changes in twentieth-century Central-Eastern Europe: history, data, and analysis. M.E. Sharpe. p. 40. ISBN 978-0-7656-0665-5.
- ^ "Das Memelgebiet im Überblick". www.gonschior.de.
- ^ Cahoon, Ben. "Lithuania".
- ^ a b c Eidintas, Žalys & Senn 1999, p. 86.
- ^ a b c 루카스 2009.
- ^ 1957년 바이티에쿠나스.
- ^ Čepėnas 1986, p. 756.
- ^ a b Safronovas 2009a, 21쪽.
- ^ Čepėnas 1986, p. 764.
- ^ a b Eidintas, Žalys & Senn 1999, p. 92.
- ^ a b c Eidintas, Žalys & Senn 1999, p. 87.
- ^ Vareikis 2000, p. 3.
- ^ Gerutis 1984, 205쪽.
- ^ 글리오 ž염 2003a, p. 173.
- ^ 글리오 ž염 2003a, pp. 173–174.
- ^ Eidintas, Žalys & Senn 1999, pp. 87–88.
- ^ Gerutis 1984, 207쪽.
- ^ Čepėnas 1986, p. 761.
- ^ a b Eidintas, Žalys & Senn 1999, p. 89.
- ^ a b c d e Eidintas, Žalys & Senn 1999, p. 90.
- ^ 실라스 2003, p. 181
- ^ a b Eidintas, Žalys & Senn 1999, p. 88.
- ^ a b Gerutis 1984, 208쪽.
- ^ Eidintas, Žalys & Senn 1999, p. 91.
- ^ a b c d e Eidintas, Žalys & Senn 1999, p. 96.
- ^ Vareikis 2008, 95쪽.
- ^ Gerutis 1984, 206쪽.
- ^ Eidintas, Žalys & Senn 1999, p. 94.
- ^ a b Čepėnas 1986, p. 763.
- ^ Cienciala & Komarnicki 1984, 209쪽.
- ^ Čepėnas 1986, p. 760.
- ^ a b c d 2003년 카 ž우카우스카스.
- ^ Safronovas 2009b, p. 755.
- ^ a b c Eidintas, Žalys & Senn 1999, p. 95.
- ^ Safronovas 2009a, 23쪽.
- ^ Eidintas, Žalys & Senn 1999, pp. 92–93.
- ^ a b c d e Vareikis 2009.
- ^ a b c Eidintas, Žalys & Senn 1999, p. 93.
- ^ a b Jurg ėla 1990, 72쪽.
- ^ 실라스 2003, p. 183
- ^ Clinchant, Aloisi & Fry 1923, 페이지 106.
- ^ a b Safronovas 2009b, p. 756.
- ^ Čepėnas 1986, p. 774.
- ^ Žostautaitė 1992, p. 51.
- ^ 글리오 ž염 & 슈키엔 ė 2009, 422쪽.
- ^ Safronovas 2009a, 26쪽.
- ^ a b c Čepas 2008, p. 21.
- ^ Vareikis 2008, p. 197.
- ^ Jurg ėla 1990, 73쪽.
- ^ a b Butkevichius 2010.
- ^ Čepas 2008, p. 20.
- ^ a b Čepėnas 1986, p. 776.
- ^ ė나스 1986, 페이지 777.
- ^ Cienciala & Komarnicki 1984, 211쪽.
- ^ Vareikis 2008, pp. 200–201.
- ^ a b Eidintas, Žalys & Senn 1999, p. 97.
- ^ a b Čepėnas 1986, p. 779.
- ^ Eidintas, Žalys & Senn 1999, p. 98.
- ^ 1966년 9월 109페이지
- ^ 1966년 센, 110쪽.
- ^ a b 1966년 9월 111쪽
- ^ a b c d e Eidintas, Žalys & Senn 1999, p. 99.
- ^ Čepėnas 1986, p. 780.
- ^ Gerutis 1984, 210-211쪽.
- ^ 글리오 ž염 2003b, 페이지 189.
- ^ Gerutis 1984, 212쪽.
- ^ Gerutis 1984, 213쪽.
서지학
- Bühler, Phillip A. (1990). The Oder-Neisse Line: a reappraisal under international law. East European monographs. Vol. 227.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88033-174-6.
- Čepas, Vytautas (January 2008). "Speech by Seimas member Vytautas Čepas" (PDF). Lithuanian Parliamentary Mirror. 1 (123). ISSN 1392-3528.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1-07-22.
- Cienciala, Anna; Komarnicki, Titus (1984). From Versailles to Locarno: Keys to Polish Foreign Policy, 1919–25. University Press of Kansas. ISBN 0-7006-0247-X.
- Eidintas, Alfonsas; Žalys, Vytautas; Senn, Alfred Erich (1999). Lithuania in European Politics: The Years of the First Republic, 1918–1940 (Paperback ed.). New York: St. Martin's Press. ISBN 0-312-22458-3.
- Gerutis, Albertas, ed. (1984). Lithuania: 700 Years. Translated by Budreckis, Algirdas (6th ed.). New York: Manyland Books. ISBN 0-87141-028-1. LCCN 75-80057.
- Walters, F. P. (1952). A History of the League of N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기타 언어
- Butkevičius, Algirdas (2010-05-17). "Nepalaužtas kančių ir neteisybės". Šiaurės rytai (in Lithuanian). ISSN 1392-924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22.
- Čepėnas, Pranas (1986). Naujųjų laikų Lietuvos istorija (in Lithuanian). Vol. II. Chicago: Dr. Kazio Griniaus Fondas. OCLC 3220435.
- Clinchant, Georges; Aloisi, Pompeo; Fry, Basil Homfray (1923). "Rapport adressé à la Conférence des ambassadeurs par la Commission extraordinaire de Memel" (PDF). Question de Memel: documents diplomatiques (in French). Vol. 1. Kaunas: République de Lithuanie. Ministére des Affaires Étrangères. OCLC 14979637.
- Gliožaitis, Algirdas Antanas (2003a). "Klaipėdos kraštas". Mažosios Lietuvos enciklopedija (in Lithuanian). Vol. 2. Vilnius: Mokslo ir enciklopedijų leidybos institutas. ISBN 5-420-01470-X.
- Gliožaitis, Algirdas Antanas (2003b). "Klaipėdos krašto konvencija". Mažosios Lietuvos enciklopedija (in Lithuanian). Vol. 2. Vilnius: Mokslo ir enciklopedijų leidybos institutas. ISBN 5-420-01470-X.
- Gliožaitis, Algirdas Antanas; Šukienė, Roma (2009). "Šilutės seimo deklaracija". Mažosios Lietuvos enciklopedija (in Lithuanian). Vol. 4. Vilnius: Mokslo ir enciklopedijų leidybos institutas. ISBN 978-5-420-01470-7.
- Jurgėla, Petras (1990) [1935]. Sparnuoti lietuviai Darius ir Girėnas (in Lithuanian). Vilnius: Lietuvos žurnalistų sąjunga. OCLC 23442034.
- Kažukauskas, Vytautas (January 2003). "Visa Lietuvių tauta atsiėmė Klaipėdą". Vytautai (in Lithuanian). 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9-28.
- Liekis, Šarūnas (2010). 1939: the year that changed everything in Lithuania's history. On the boundary of two worlds. Vol. 20. Rodopi. ISBN 978-90-420-2762-6.
- Lukšas, Aras (2009-01-16). "Klaipėdos sukilimas: faktai ir versijos". Lietuvos žinios (in Lithuanian). 12 (12239). ISSN 1822-163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22.
- Migliorini, Elio (1937). Finlandia e stati Baltici (in Italian). Istituto per l'Europa Orientale. OCLC 23508134.
- Safronovas, Vasilijus (2009a). "Der Anschluss des Memelgebietes an Litauen" (PDF). Annaberger Annalen (in German). 17. ISSN 0949-3484.
- Safronovas, Vasilijus (2009b). "Vyriausias Mažosios Lietuvos gelbėjimo komitetas". Mažosios Lietuvos enciklopedija (in Lithuanian). Vol. 4. Vilnius: Mokslo ir enciklopedijų leidybos institutas. ISBN 978-5-420-01470-7.
- Senn, Alfred Erich (1966). The Great Powers, Lithuania and the Vilna Question 1920–1928. Studies in East European history. Vol. 11. E.J. Brill. OCLC 398265.
- Šilas, Vytautas (2003). "Klaipėdos krašto sukilimas". Mažosios Lietuvos enciklopedija (in Lithuanian). Vol. 2. Vilnius: Mokslo ir enciklopedijų leidybos institutas. ISBN 5-420-01470-X.
- Turčinavičius, Vladas (2010-01-21). "Drąsiausias Lietuvos politinis–karinis žygis". Mažoji Lietuva. ISSN 2029-354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22.
- Vaitiekūnas, Vytautas (December 1957). "The Continuity of Lithuania's Statehood". Lituanus. 4 (13). ISSN 0024-508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7-09. Retrieved 2021-07-03.
- Vareikis, Vygandas (2000). "Die Rolle des Schützenbundes Litauens bei der Besetzung des Memelgebietes 1923" (PDF). Annaberger Annalen (in German). 8. ISSN 0949-3484.
- Vareikis, Vygandas (2008). "Sukilėliai, šauliai, savanoriai" (PDF). Acta Historica Universitatis Klaipedensis (in Lithuanian). XVII. ISSN 1392-409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1-07-22.
- Vareikis, Vygandas (2009). "Klaipėdos krašto užėmimas: dokumentai prieš mitus". Kultūros barai (in Lithuanian). 2. ISSN 0134-31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3-06. Retrieved 2011-01-24.
- Žostautaitė, Petronėlė (1992). Klaipėdos kraštas: 1923–1939 (in Lithuanian). Mokslas. ISBN 978-5-420-00724-2.
외부 링크
- 1923년 다큐멘터리 영화 클랩 ė다 반란
- Wayback Machine에서 2015-02-23 반란의 기록문서 및 사진 가상 전시 (리투아니아어)
- 1923년 3월 프랑스어 대사 회의 보고; 독일어 번역
- 1924년 5월 클라이프 ė다 협약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