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타나스 스메토나
Antanas Smetona안타나스 스메토나 | |
---|---|
![]() | |
리투아니아 제1대 대통령 | |
재직중 1926년 12월 19일 - 1940년 6월 15일 | |
수상 | 아우구스티나스 볼데마라스 Juozas Tūbelis 블라다스 미로나스 요나스 체르니우스 안타나스 머키스 |
앞에 | 알렉산드라 스툴긴스키(연기) |
성공자 | 안타나스 메르키스 (연기, 사실상) Vytautas Landsbergis (1990년, 최고위원회 의장으로서) |
재직중 1919년 4월 4일 ~ 1920년 6월 19일 리투아니아의 대통령으로서 | |
수상 | 도비다이티스속 Mykolas Sleževičius 에르네스타스 갈바나우스카스 |
성공자 | 알렉산드라 스툴긴스키스 |
재직중 1918년 11월 2일 ~ 1919년 4월 4일 리투아니아 평의회 의장으로서 | |
인적사항 | |
태어난 | 우 ž울 ė니스, 코브노 주 | 1874년 8월 10일
죽은 | 1944년 1월 9일 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 | (69세)
휴식처 | 올 소울즈 묘지(All Souls Cemetery), 오하이오주 차든 |
정당 | 리투아니아 민주당 (1902년 ~ 1907년) 국민진보당 (1924년 이전) 리투아니아 민족주의 연합 (1924-1940) |
배우자. | 소피야 초다카우스카이트 ė-스메토니엔 ė(1885~1968) |
아이들. | 마리야 다넛 ė(1905~1992) Birutė (1906–1909) 율리우스 림가우다스(Julius Rimgaudas, 1913-1974) |
모교 |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
서명 | ![]() |
안타나스 스메토나(Antanas Smetona) 리투아니아어:[ɐ ˈ ǎː ɐ ʲ ʲɛm ːˈ](, 1874년 8월 10일 ~ 1944년 1월 9일)는 리투아니아의 지식인, 언론인, 제1대 대통령으로 1919년부터 1920년까지, 1926년부터 1940년까지 다시 리투아니아의 초대 대통령을 지냈으며, 소련에 점령당하기 전까지 재임했습니다. 이 기간 중 두 번째 기간에는 독재자로 군림했습니다. 그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사이에 가장 중요한 리투아니아 정치인 중 한 명이었고, 리투아니아 민족주의의 가장 중요한 사상가 중 한 명이었습니다.
초기의 삶과 교육
스메토나는 1874년 8월 10일, 러시아 제국 코브노주 우 ž니스 마을에서 타우즈 ė나이 장원의 농노였던 요나스 스메토나와 훌리오나 카르타니트 ė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카지미에라스 가스파라비치우스 연구원은 스메토나의 부계 혈통을 1695년경에 태어나 라구바 근처에 살았던 로랑기우스로 추적했습니다.[3] 스메토나는 9명의 아이들 중 여덟 번째 아이였습니다.[4] 그의 부모님은 상속받은 5 헥타르 (12 에이커)를 두 배로 늘리는 데 성공한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이었습니다.[5] 그의 아버지는 글을 읽고 쓸 줄 알았고 스메토나는 집에서 책을 배웠습니다.[6]

스메토나의 아버지는 1885년에 사망했고, 경제적인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1년 후 그의 형제들 중 유일한 스메토나는 리투아니아 언론의 금지로 인해 러시아어로 된 타우즈 ė나이의 초등학교로 보내졌습니다. 이것은 돌아가신 아버지의 부탁이었습니다.[8] 그의 어머니는 스메토나가 성직자가 되기를 바랐습니다.[9] 1889년 졸업 후, 스메토나는 그의 교육을 계속하기를 원했지만, 체육관들은 12세까지만 학생들을 입학시켰고 그는 이미 15세였습니다. 그래서 그는 따라잡기 위해 우크메르그 ė에서 개인적으로 공부할 수 밖에 없었고, 체육관 4반에 들어가기 위해 시험에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1891년 여름, 그는 형 모티에주스가 리에파자의 공장에서 일했기 때문에 리에파자 체육관에 입학하려고 시도했습니다.[11] 그는 거절당했고 대신 나이 제한이 없는 팔랑가 프로 체육관에 지원했습니다.[12] 스메토나는 모범적인 학생(상위 2명 중 한 명)이었고 등록금 면제를 받았습니다. 학생 기숙사의 관리자로서 무상으로 주택을 공급받기도 했고 개인 교습을 제공하여 자활할 수 있었습니다.[13] 리투아니아 독립법의 다른 세 명의 미래 서명자들이 동시에 친체육관에 참석했습니다. 스테포나스 카이리스, 위르기스 샤울리스, 카지미에라스 스테포나스 샤울리스.[14] 팔랑가가 동프로이센과 가까웠기 때문에, 차르 당국에 의해 금지된 리투아니아 문학을 더 쉽게 얻을 수 있었습니다. 스메토나는 마이로니스의 리투아니아 역사를 포함하여 리투아니아의 정기 간행물과 책을 읽기 시작했습니다.[15]
1893년에 졸업한 후, 그의 가족의 바람에 따라, 그는 카우나스에 있는 사모기티아 교구 신학교에 입학 시험에 합격했습니다.[16] 하지만, 그는 성직에 대한 큰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고 라트비아의 젤가바 체육관에 등록했습니다. 이것은 리투아니아 국가 부흥의 문화적 중심지였으며 후에 스메토나의 정치적 동반자가 된 후오자스 투벨리스와 블라다스 미로나스를 포함하여 리투아니아 문화와 정치의 많은 미래 지도자들을 끌어 모았습니다.[16] 특히 리투아니아어와 문화는 스메토나와 밀접한 직업적 관계를 발전시킨 그리스어 교사인 요나스 자블론스키스에 의해 공개적으로 홍보되었습니다.[17] 자블론스키스는 리투아니아 방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스메토나의 고향 마을을 방문했습니다.[18] 스메토나는 자블론스키스를 통해 미래의 아내 소피야 초다카우스카이트 ė를 만났습니다.

1896년 가을, 젤가바 체육관은 리투아니아 학생들에게 러시아어로 기도문을 암송하도록 했고, 라트비아와 독일 학생들은 모국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20] 스메토나와 다른 학생들은 거부하고 퇴학당했습니다. 대부분은 나중에 러시아어로 기도하기로 동의하고 다시 입학했지만, 거부한 소수는 다른 학교에 다니는 것이 금지되었습니다.[21] 학생들은 교황 레오 13세와 국가 교육부 장관 이반 델랴노프에게 탄원서를 보냈습니다.[22] 스메토나와 다른 두 명인유르기스 와 페트라스 바이치우슈카는 델랴노프와 함께 청중을 확보하는데 성공했고, 델랴노프는 리투아니아인들이 라틴어로 기도하고 퇴학당한 학생들이 교육을 계속할 수 있도록 허락했습니다.[23] 스메토나는 옐가바로 돌아가지 않고 상트페테르부르크의 9번 체육관에서 경기를 마쳤습니다.[24]
1897년 졸업 후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법학부에 입학했습니다. 그는 역사와 언어에 더 관심이 있었지만, 가톨릭 신자로서 그가 리투아니아에서 일하기를 원한다면 그의 선택은 사제, 변호사, 의사로 제한된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24] 상트페테르부르크는 리투아니아로 철도가 직접 연결되어 리투아니아의 문화 중심지가 되고 있었습니다. 스메토나는 리투아니아 비밀 학생 단체에 가입하여 회장을 맡았습니다. 그의 뒤를 이어 스테포나스 카이리스(Steponas Kairys)가 되었습니다.[25] 그는 또한 성 교회 오르간 연주자인 체슬로바스 사스나우스카스가 이끄는 리투아니아 합창단에 합류했습니다. 캐서린.[26] 스메토나는 사회주의 사상을 접하고 마르크스의 자본론까지 읽었지만 단호히 거부했습니다.[25] 그는 1899년 2월 학생 시위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대학에서 퇴학당해 2주간 투옥되고 빌뉴스로 추방당했습니다.[24] 스메토나가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역사적인 수도인 이 도시를 방문한 것은 처음이었고, 그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24] 한 달 후, 그는 대학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27]
1898년, 스메토나와 그의 룸메이트인 블라다스 시루타비치우스는마임그래프를 사용하여 페트라 아비 ž니스가 프리드리히 쿠르샤트의 독일어 글을 바탕으로 쓴 짧은 리투아니아어 문법을 약 100부 인쇄했습니다 이 문법은 리투아니아어의 요구에 불충분했고 1900년 여름 요나스 자블론스키스는 그의 리투아니아어 문법을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아비 ž노니스, ž ė, 그리고 스메토나의 도움을 받았지만, 스메토나는 주로 모티에유스 발란치우스 주교의 작품을 편집했습니다. 이 문법은 1901년에 출판되었으며 표준 리투아니아어를 확립하는 데 기본적인 작업이 되었습니다.[19] 1902년 초, 경찰은 리투아니아 도서 밀수업자 네트워크를 조사하기 시작했고, 스메토나의 방을 급습하여 금지된 리투아니아 출판물을 발견했습니다. 그는 비보르 성에 수감되었지만, 그 해 봄에 겨우 무죄 판결을 받고 졸업했습니다.[28]
초기활동
1902년 대학교를 졸업한 후 빌뉴스로 이사하여 1915년까지 빌뉴스 랜드 뱅크에서 일했습니다. 그는 리투아니아 문화 생활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1926년 12월 대통령이 될 때까지 리투아니아 언론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기울였습니다.[29] 2년 후, 그는 성 교회에서 소피야 초다카우스카이트 ė와 결혼했습니다. 빌뉴스의 라파엘 대천사.[30]
빌뉴스에서의 첫 날부터, 스메토나는 다양한 리투아니아 민족주의 단체들의 활동에 참여했고, 그가 빌뉴스의 대 세이마스에서 대표한 리투아니아 민주당에 입당했습니다. 그는 후에 대통령에 선출되었습니다. 1904년과 1907년에 그는 리투아니아 신문인 빌니아우스 ž니오스의 직원으로 일했습니다. 1905년부터 1906년까지 그는 주간 Lietuvos Ukkinkas (리투아니아 농부)를 편집했습니다. 1907년, 스메토나와 주오자스 투마스 바이 ž간타스 목사는 빌티스 (The Hope) 신문을 인쇄하는 벤처를 설립하고 출판과 유통을 시작했습니다. 빌티스에서 스메토나는 국민 통합을 주장했습니다. 그는 또한 리투아니아 도서 출판을 위한 아우슈라(새벽) 회사의 설립자 중 한 명이었으며, 빌니우스의 리투아니아 공제회, 리투아니아 학습회, 빌니우스 아우슈라(빌니우스의 새벽), 라이타스(아침) 교육회, 루타 예술회 및 기타 여러 협회의 회원이었습니다. 그리고 빌뉴스 학교에서 리투아니아어를 가르쳤습니다. 1914년, 그는 격주간지인 바이라스 (The Rudder)를 발행하기 시작했습니다.
정치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그는 리투아니아 전쟁 피해자 구호 협회 중앙 위원회의 초대 부위원장이자 후에 의장이었습니다. 1916년 여름, 안타나스 스메토나는 빌뉴스의 다른 리투아니아인들과 함께 독일 동부 전선 총사령관에게 리투아니아 국가의 독립 국가의 권리를 요구하는 각서를 제출했습니다. 1917년 9월 6일, 그는 리에투보스 아이다스(리투아니아의 메아리)라는 신문의 발행인과 편집장으로 일하기 시작했습니다. 스메토나는 이 신문의 첫 호에서 리투아니아 국가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독립된 리투아니아 국가의 재설립이라고 썼습니다.
1917년 9월 18일부터 9월 22일까지 빌뉴스에서 열린 리투아니아 회의에 참가했고, 1917년부터 1919년까지 리투아니아 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었습니다. 1918년 2월 16일, 안타나스 스메토나는 리투아니아 독립법에 서명했습니다.
1918년 12월부터 1919년 3월까지 그는 주로 독일과 스칸디나비아 국가에 거주하며 리투아니아 독립을 위해 대출을 요청했습니다. 1919년 4월 4일, 리투아니아 국무원은 스메토나를 리투아니아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했습니다. 1920년 4월 19일 제헌의회는 알렉산드라 스툴긴스키스 대통령을 선출했습니다. 1921년부터 1924년까지 세이마스에 재선되지 않은 그는 리에투보스발사스(리투아니아의 목소리), 리에투비슈카스발사스(리투아니아의 목소리), 바이라스(바이라스) 등 여러 정기 간행물을 편집했습니다.

1923년 1월 클라이프 ė다 반란 이후 독일에서 분리된 메멜란드에서 2월 20일 그곳의 위원이 되었으나 에르네스타스 갈바나우스카스 총리와의 의견 충돌로 사임했습니다.
1923년 11월, 당국은 바이라스에서 아우구스티나스 볼데마라스의 기사를[which?] 게재했다는 이유로 스메토나를 며칠간[why?] 감금했습니다. 1923년부터 1927년까지 리투아니아 대학교에서 조교수로 재직했으며, 처음에는 미술 이론과 역사학 석좌교수, 나중에는 철학과 교수로 재직했습니다. 그는 윤리학, 고대 철학, 리투아니아 언어학을 강의했습니다. 1932년, 그는 Vytautas Magnus 대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스메토나는 클라이프 ė다 반란을 일으켰던 리투아니아 소총병 연합의 활동에 참여했고, 이것은 그에게 더 큰 명성을 가져다 주었습니다. 그는 중앙위원으로 선출된 적이 한두 번이 아닙니다. 1924년에서 1940년 사이에 그는 국제 은행 이사회의 부회장이었습니다.
권위주의 대통령
{{quote폭=50em align=center quote="폴란드인들이 리투아니아의 역사를 훔쳤고, 이제 러시아인들이 그것을 훔치려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 도둑들의 손을 잡고 그들을 전 세계에 진정한 빛으로 보여주어야 합니다." source= - Antanas Smetona.



스메토나는 카지스 그리니우스 대통령을 폐위시킨 1926년 쿠데타의 지도자였습니다. 그는 그해 12월 19일 다시 한번 대통령이 되었습니다. (스메토나가 공식적으로 대통령직에 복귀하기 전인 12월 17일에 시작된 쿠데타 동안 다른 두 명은 잠시 대통령직을 맡았습니다.) 그는 오거스틴 볼데마라스를 총리로 임명했습니다. 1년 후, 그는 의회를 해산하고 1928년 5월 15일 정부의 승인을 받아 대통령 권한을 더욱 확대한 새로운 헌법을 공포했습니다. 1929년, 그는 볼데마라스를 제거하고 독재 권력을 장악했습니다. 그는 1931년과 1938년에 대통령에 재선되었고, 두 번 모두 유일한 후보였습니다. 그는 1940년 6월 15일까지 재임했습니다.
스메토나의 헌법은 세이마스가 회기 중이 아닐 때 대통령에게 행정권과 입법권을 모두 부여했습니다. 1936년 리투아니아 의회 선거까지 세이마스는 재소집되지 않았고, 그 후 10년 동안 스메토나는 의회 없이 법령으로 통치하여 문서상의 그의 정권을 세계에서 가장 독단적인 정권 중 하나로 만들었습니다. 세이마스가 재소집되었을 때에도, 그것은 전적으로 스메토나의 추종자들로 구성되었고, 따라서 스메토나는 사실상 국가의 모든 통치 권력을 유지했습니다. 1938년, 1928년 문서의 일반적인 권위주의적 성격을 유지하고, 국가의 정치적 권력이 "분열할 수 없다"고 선언한 세 번째 헌법이 제정되었습니다.
이 정권은 이미 금지된 공산당 당원들을 체포하고 투옥하는 것을 반복했습니다 – 거의 모든 전간 유럽 독재 정권과 마찬가지로 공산주의의 위협이 합법성의 근원이었고 정권은 집권 5일 만에 원래의[who?] 지도부를 처형했습니다.[32] 그러나 공산주의자들은 "비(非)리투아니아 세력이 국가를 침략했다"는 선전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조직원들이 증가하면서 지하에서 계속 활동했고, 오늘날 그들의 지도자들은 인종적으로 리투아니아인이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33]
1935년, 스메토나는 리투아니아 남동부의 농부들이 파업을[why?] 조직하고 그들의 제품을 판매하기를 거부했을 때 타격을 입었습니다. 보복으로 5명이 숨지고 456명의 농민이 체포됐습니다. 이것은 리투아니아 생활에 대한 보다 엄격한 권위주의적 통제를 주장하는 강경파와 자유화를 원하는 온건파 사이의 그의 정권 내 오랜 긴장을 악화시켰습니다.[34] 그러나 이러한 어려움은 이미 나치 독일의 위협으로 인해 가려지고 있었습니다. 1934년 2월 8일, 메멜 지역에서는 리투아니아 내에서 자치적으로 나치에 대한 조치가 취해졌다.[35] 에른스트 노이만과 프라이헤르 폰 사스의 스메토나 정권 재판(1934년 7월 ~ 1935년 3월)은 나치를 법의 심판에 회부하기 위한 최초의 시도였으며, 76명의 히틀러가 투옥되고 4명이 사형을[35] 선고받았지만 이것은 종신형으로 감형되었습니다.[36] 그러나 1938년까지 메멜은 국방과 고가의 육군 현대화에 예산의 4분의 1을 지출하는 정권에게 어려운 문제가 되었고 나치는 선거에서 29석 중 26석을 차지할 수 있었습니다.[33] 다음 해, 스메토나는 히틀러에게 메멜을 항복시키고[37] 비상사태를 선포했습니다. 메멜을 잃은 것에 대한 불신이 컸기 때문에, 그는 히틀러와 나치즘에 대한 혐오를 결코 잃지 않았고, 리투아니아의 야당 의원들은 신뢰와 국내 안정을 회복하기 위해 그의[38] 내각에 임명되었습니다.
스메토나의 정부는 산업화에 대해 신중을 기했는데, 그 이유는 그것의 지지 기반이 지배적인 농촌 인구에 있었기 때문입니다. 독재자로서 스메토나는 재임 기간 내내 극히 제한적이었던 외국인 직접 투자를 장려하기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았습니다.[39]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메토나의 독재 기간 동안, 리투아니아는 경제적으로 발전했습니다: 주로 국내 수요를 위한 산업 생산은 그가 소련의 침공으로 전복되었을 때, 그가 권력을 잡게 된 쿠데타 이전의 두 배였습니다. 이 나라의 교통망은 샤울랴이에서 클라이프 ė다로, 카우나스에서 남부와 북동쪽으로 철도가 건설되면서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이에 비해 스메토나는 농업 부문에 대한 지원이 더 관대했는데, 당시에는 정권에 대한 항의에도 불구하고 리투아니아의 거의 모든 수출품을 제공했습니다.[39]
소련 점령
리투아니아는 1940년 나치 독일과 소련 사이의 1939년 몰로토프-리벤트롭 조약의 결과로 소련에 점령되었습니다. 그해 6월 소련이 리투아니아에 최후 통첩을 한 후, 스메토나는 소련에 대한 무력 저항을 제안했습니다.[40] 그러나 대부분의 정부와 육군 지휘관들은 소련이 리투아니아[when?] 내에 주둔하고 있는 소련군과 효과적인 저항을 할 수 없다고 믿었습니다.[41] 6월 15일, 스메토나는 헌법에 따라 대통령직을 임시로 안타나스 메르키스 총리에게 이양했습니다. 대통령궁을 떠나기 전 스메토나는 "리투아니아를 내 손으로 볼셰비키 국가로 만들고 싶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나라를 떠나면서 소련의 꼭두각시가 되기보다는 망명정부를 이끌어 나라를 위해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것이라고 믿었습니다.[42] 그는 처음에 가족들과 함께 독일로 도망갔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스메토나스 부부는 스위스로 도망갔습니다.[43]
스메토나가 국외로 떠난 다음 날, 머키스는 그를 폐위하고 이제는 스스로 대통령이 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틀 후, 머키스는 좀 더 성실한 저스타스 팔레키스를 총리로 임명하고 사임하라는 압력을 받았습니다. 그 후 팔레키스는 대통령 권한대행이 되었고, 한 달 후 리투아니아가 소련에 편입되는 마지막 단계를 감독하는 꼭두각시로 사용되었습니다.
리투아니아는 1990년 소련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이후, 스메토나가 공식적으로 사임한 적이 없기 때문에 메르키스의 대통령직 인수는 불법적이고 위헌적이라는 입장을 취해 왔습니다. 따라서 리투아니아는 메르키스나 팔레키스를 합법적인 대통령으로 인정하지 않으며, 소련 합병에 이르는 모든 후속 조치는 사실상 무효라고 주장합니다.[citation needed]
해외여행
"나는 리투아니아를 내 손으로 볼셰비키하고 싶지 않습니다."
— Antanas Smetona, about his motives to leave Lithuania when his request for military resistance against the Soviets was rejected as impossible.[44]

정부가 소련의 최후통첩을 수용하기로 결정한 직후인 6월 15일 아침, 스메토나는 서둘러 해외로 떠날 준비를 했습니다. 부인과 아들, 딸, 배우자와 자녀, 카지스 무스테이키스 전 국방부 장관, 두 명의 대통령 보좌관이 동행했습니다. 스메토나는 그날 오후 3시쯤 카우나스를 출발했습니다.[45] 그들은 나치 독일과의 국경에 있는 키바르타이에 들렀습니다. 스메토나와 무스테이키스는 마리잠폴 ė에서 제9보병연대를 소집해 자신들을 보호하고 최소한 붉은 군대에 상징적인 저항이라도 하려고 했으나 카우나스에서 대통령을 되찾기 위해 파견된 대표단이 연대를 저지했습니다. 스메토나는 지체 없이 국경을 넘기로 결정했지만, 리투아니아 국경수비대는 그를 통과시키지 않았습니다. 자정 무렵, 한 현지인이 그의 경호원이자 부관인 스메토나를 이끌고 얕은 리포나 개울을 건넜습니다.[47] 스메토나가 이미 반대편에 있는 상황에서, 그의 가족은 국경 경비원들이 오전 6시에 통과할 수 있도록 설득했습니다.[48]
독일 측에서는 게슈타포 장교 하인츠 그라페Heinz Gräfe[ ])가 스메토나를 만났습니다. 난민들은 쾨니히스베르크를 거쳐 마수리아 호수 지역의 ś ę카티 호수(Schwenzait) 근처의 사냥 오두막으로 옮겨졌습니다. 8월 17일, 스메토나는 베를린으로 이주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고, 그곳에서 ß에 정착했습니다. 그곳에서 그는 세심한 감독을 받았고 리투아니아 대표인 카지스 슈키르파와만 의사소통을 할 수 있었습니다.[50] 독일인들은 소련을 화나게 하지 않기 위해 그가 어떠한 정치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습니다. 스메토나의 존재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은 분명했습니다.[51] 9월 4일, 스메토나는 베를린에 있는 미국 대사관에 미국 비자를 요청했습니다.[52] 이 요청은 승인되었지만, 스메토나가 미국에 있는 동안, 그가 어떤 주나 정부의 지도자나 대표자로 간주되지 않을 것이라는 조건 하에서만 이루어졌습니다.[52] 굴욕적인 조건이었지만 스메토나는 이를 받아들여 9월 18일 스위스 베른으로 출발했습니다.[53] Musteikis는 베를린에 머물렀습니다.[54]
베른에서, 스메토나는 점령 이전의 리투아니아를 계속 대표하는 리투아니아 외교관, 대사, 그리고 외교관들을 만났습니다. 그들은 에르네스타스 갈바나우스카스 전 총리가 주재하는 국가 위원회를 통해 망명 정부를 수립하기를 희망했습니다. 스메토나는 그런 위원회가 필요 없다고 보고 갈바나우스카스의 선택을 비판했습니다. 외교관들도 스메토나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스메토나는 자금, 권한, 정치적 영향력이 없었습니다.[55]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메토나는 망명 전에 키바르타이어로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문서인 이른바 키바르타이법에 서명했습니다. 이 법은 안타나스 메르키스를 해임하고 스타시스 로조라이티스를 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임명했습니다. 이 논란의 여지가 있는 문서는 실제로 사용된 적이 없습니다.
1941년 1월 스메토나는 베른을 떠나 리스본으로 향했습니다. 그는 몬테 에스토릴, 펜상 제니스에 머물렀습니다.[56] 그는 세르파 핀토호를 타고 브라질로 떠났고, 2월 14일 리우데자네이루에 도착했습니다.[53] 그는 현지 관리들과 리투아니아 이민자들을 만났고, 브라질 대통령 게툴리오 바르가스와 회담을 가졌습니다.[53] 스메토나는 2월 26일 브라질을 떠났습니다. 1941년 3월 9일 혹은 10일, 그의 아내와 함께 SS 아르헨티나호를 타고 뉴욕에 도착했습니다.[53] 그는 리투아니아계 미국인 대표뿐만 아니라 약 30명의 미국 언론인과 사진작가들로부터 환영을 받았습니다. 그는 피에르 호텔로 호송되었고, 그곳에서 3월 13일에 약 400명의 손님이 참석하는 저녁 행사가 열렸습니다.[57] 스메토나는 미국에서 개인이었기 때문에, 그 모임에는 미국 단체의 구성원들이 포함되지 않았습니다.[58]
이들은 워싱턴 D.C.에 있는 주리투아니아 대사관에서 임시로 생활했지만, 포빌라스 ž데키스 대표와의 관계는 팽팽했습니다. 그 후 스메토나는 1942년 5월 아들의 가족과 함께 오하이오 클리블랜드에 정착하기 전까지 피츠버그와 시카고에서 살았습니다. 망명생활을 하는 동안, 그는 리투아니아의 역사와 회고록을 작업하기 시작했습니다.
죽음과 매장

스메토나는 글을 쓰느라 정신이 없어 아들 집의 난방 시스템이 수리가 필요하고 위험해지고 있다는 사실에 별 신경을 쓰지 않았습니다. 1943년 10월 28일, 스메토나는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그저께 밤 석탄 연기 때문에 어지러웠습니다. 나는 명확하게 생각할 수 없었습니다. 지금은 완전히 회복되었습니다.[59]
1944년 1월 9일, 집에 불이 났습니다. 스메토나의 아들 줄리어스는 1층에 있는 동안 불을 알아챘습니다. 그의 위, 다락방 스위트룸에서, 스메토나와 그의 아내 소피야는 문 아래로 연기가 스며드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소피야가 문을 열자 그녀와 스메토나는 계단을 내려가기 시작했습니다. 스메토나는 분명히 코트 없이는 밖에 나갈 수 없다고 결심했습니다 – 그는 독감에서 회복 중이었고 앞으로 몇 주 안에 강연을 할 예정이었습니다 – 그리고 아내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고 그의 모피 코트를 가지러 돌아왔습니다. 그가 연기에 휩싸이는 데는 몇 분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 줄리어스는 아버지를 구하기 위해 불타는 건물로 돌아가려고 했지만 연기와 화재로 인해 쫓겨났습니다. 스메토나는 율리우스의 아파트 2층 주방 바닥에 누워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는 화상을 입지 않았습니다.[60]
소방관들은 스메토나를 밖으로 데리고 나갔고 그는 구급차로 병원으로 급히 이송되었습니다. 그는 도착하기 전에 죽었습니다.[61]
공식 기록에는 과열된 용광로 때문에 불이 났다고 나와 있었습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스메토나의 지속적인 정치활동으로 인해 러시아 정보국(당시 NKGB라고 불림)이 불을 지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주장을 입증할 증거가 이후 몇 년 동안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의심스럽습니다.[citation needed]
1944년 1월 13일, 스메토나 대통령의 장례식이 클리블랜드 세인트 대성당에서 열렸습니다. 전도사 존. 주교 에드워드 F. 주례는 호반이. 스메토나는 클리블랜드의 칼바리 묘지에 묻혔습니다.
그의 아내 소피야는 1968년 12월 28일 클리블랜드에서 사망했습니다.
유족으로는 딸 마리야 다넛 ė 스메토나(1905~1992), 아들 율리우스 림가우다스 스메토나(1913~1974), 율리우스의 아들 앤서니 알기르다스 스메토나(1939~2012), 후오자스 스메토나(1940~1996), 비타우타스 줄리어스 스메토나(1955~)가 있었습니다.
1975년, 스메토나의 유해는 클리블랜드의 놀우드 묘지 묘소에서 오하이오주 샤돈의 올 소울즈 묘지에 있는 그의 아내 소피야 옆의 지하실(103호)로 옮겨졌습니다.
참고 항목

참고문헌
- ^ 메르켈은 1964년 5페이지
- ^ "Antanas Smetona". Sejm-Wielki.pl. Retrieved 8 July 2023.
- ^ Smetona & Smetonien ė 2016, 페이지 94
- ^ Smetona & Smetonien ė 2016, 페이지 96
- ^ 메르켈은 1964년 10페이지
- ^ 메르켈은 1964년 13페이지
- ^ 메르켈은 1964년 17페이지
- ^ Krasniauskienė, Nijolė (5 December 2019). "Prezidentinis Smetonų duetas: laikas istorinei tiesai". regionunaujienos.lt (in Lithuanian). Retrieved 17 April 2020.
- ^ 메르켈은 1964년 15페이지
- ^ 메르켈은 1964년 18페이지
- ^ 메르켈은 1964년 19페이지
- ^ 메르켈은 1964년 21페이지
- ^ 메르켈은 1964년, 20-21쪽.
- ^ 메르켈은 1964년 27페이지
- ^ 메르켈은 1964년 22-23쪽.
- ^ a b Eidintas 2015, 페이지 16
- ^ Eidintas 2015, pp. 17-18
- ^ 메르켈은 1964년 32페이지
- ^ a b c Eidintas 2015, 페이지 19
- ^ 메르켈은 1964년 35페이지
- ^ Žukas 2000, p. 24
- ^ 메르켈은 1964년 38페이지
- ^ 메르켈은 1964년 39페이지
- ^ a b c d Eidintas 2015, 페이지 20
- ^ a b 메르켈은 1964, 페이지 43
- ^ Truska 1995, pp. 18-19
- ^ a b 메르켈은 1964, 페이지 44
- ^ 메르켈은 1964년, 46쪽입니다.
- ^ 메르켈은 1964, 페이지 49.
- ^ "St. Raphael the Archangel Church". cityofmercy.lt. Retrieved 16 October 2019.
- ^ "Istorikas siūlo išeitį: parodyti garbingą Lietuvos istorijos vietą Vakarų civilizacijos kontekste". Lrt.lt (in Lithuanian). 5 December 2020. Retrieved 10 October 2021.
- ^ Eidintas 2015, 149쪽
- ^ a b Eidintas, žalys & Senn 1999, 125쪽
- ^ Eidintas, žalys & Senn 1999, 121–123쪽
- ^ a b Eidintas 2015, 페이지 301
- ^ 리투아니아 나치 탈출 사형 선고 스메토나 대통령, 독일 문제 해결을 위해 형량 변경;독수리, 1935년 5월 18일 p. 1
- ^ '나치스, 메멜 귀환 축하: 리투아니아 사람들이 공공연하게 우는 동안 독일인들은 노래하고 춤을 추며; 난민들은 멈췄습니다'; 프리랜스 스타 (버지니아주 프레더릭스버그) 1939년 3월 22일 1면
- ^ Kamuntavičius, Rūstis; Vaida Kamuntavičienė; Remigijus Civinskas; Kastytis Antanaitis (2001). Lietuvos istorija 11–12 klasėms (in Lithuanian). Vilnius: Vaga. pp. 396–397. ISBN 5-415-01502-7.
- ^ a b Eidintas, žalys & Senn 1999, 페이지 117–119
- ^ Eidintas, žalys & Senn 1999, 182페이지
- ^ 반 보렌, 로버트; 소화되지 않은 과거: 리투아니아의 홀로코스트, p. 24 ISBN 9042033711
- ^ Jakubavičienė, Ingrida (17 August 2014). "Istorijos puslapiai: kaip A. Smetona prezidentavo pasitraukęs iš Lietuvos". Kauno diena (in Lithuanian). Retrieved 17 August 2014.
- ^ Ašmenskas, Viktoras. "Didžiosios tautos aukos". Partizanai.org. Retrieved 3 November 2017.
- ^ Jakubavičienė, Ingrida. "Prezidentas Antanas Smetona egzilyje: "Nenoriu savo rankomis subolševikinti Lietuvą"". Pasauliolietuvis.lt (in Lithuanian). Retrieved 12 June 2019.
- ^ Eidintas 2015, p. 387
- ^ Eidintas 2015, pp. 388–389
- ^ Eidintas 2015, 390쪽
- ^ Eidintas 2015, pp. 391–392
- ^ Eidintas 2015, p. 392
- ^ Eidintas 2015, p. 396
- ^ Eidintas 2015, p. 399
- ^ a b Skirius 2010, 페이지 80
- ^ a b c d Skirius 2010, 79쪽
- ^ Eidintas 2015, p. 397
- ^ Eidintas 2015, 페이지 400
- ^ 망명자 추모 센터.
- ^ Skirius 2010, 페이지 88
- ^ Skirius 2010, 페이지 87
- ^ Eidintas, Alfonsas. (2015). 안타나스 스메토나와 그의 리투아니아. 보스턴: 브릴 로도피
- ^ 리투아니아의 스메토나 수장, 클리블랜드 평원 딜러, 클리블랜드 화재로 사망, 1944년 10월 1일 1페이지
- ^ '안타나스 스메토나 화재로 사망: 클리블랜드에서 리투아니아 대통령 사망; 러시아 점령으로 국외로 도주'; 몬트리올 가제트 1944년 1월 10일 19면
서지학
- Eidintas, Alfonsas; Žalys, Vytautas; Senn, Alfred Erich (1999). Tuskenis, Edvardas (ed.). Lithuania in European Politics: The Years of the First Republic, 1918–1940 (Paperback ed.). New York: St. Martin's Press. ISBN 0-312-22458-3.
- Eidintas, Alfonsas (2015). Antanas Smetona and His Lithuania: From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to an Authoritarian Regime (1893-1940). On the Boundary of Two Worlds. Translated by Alfred Erich Senn. Brill Rodopi. ISBN 9789004302037.
- Merkelis, Aleksandras (1964). Antanas Smetona: jo visuomeninė, kultūrinė ir politinė veikla (in Lithuanian). New York: Amerikos lietuvių tautinės sąjunga. OCLC 494741879.
- Senn, Alfred Erich (2007). Lithuania 1940: Revolution from Above. On the Boundary of Two Worlds. Brill Rodopi. ISBN 978-90-420-2225-6.
- Skirius, Juozas (2010). "Prezidento Antano Ametonos atvykimas į JAV 1941 metais ir išeivijos pozicija" (PDF). Lietuvos istorijos metraštis (in Lithuanian). 2. ISSN 0202-334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3 February 2017. Retrieved 12 February 2017.
- Smetona, Marius; Smetonienė, Anželika (2016). "Prezidentas A. Smetona, Lėno ir Užulėnio Smetonos: genealoginė apžvalga". Lituanistica (in Lithuanian). 62 (2). doi:10.6001/lituanistica.v62i2.3342. ISSN 2424-4716.
- Truska, Liudas (1995). "Antanas Smetona". In Liekis, Algimantas (ed.). Lietuvos respublikos prezidentai (in Lithuanian). Vilnius: Valstybinis leidybos centras. OCLC 654379537.
- Žukas, Vladas (2000). Marijos ir Jurgio Šlapelių lietuvių knygynas Vilniuje (in Lithuanian). Vilnius: Mokslo ir enciklopedijų leidybos institutas. ISBN 97854200145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