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카 무사 파샤
Koca Musa Pasha코카 무사 파샤(일반적으로 무사 파샤(Musa Pasha, 1647년 1월 22일, 에우보에아 근처에서 사망)는 오스만 정치가였다. 그는 카푸단 파샤(1645–1647), [1]오스만 총독(1630–1631),[1][2] 오스만 총독 부딘 에얄레(1631–1634, 1637–1638, 1640–1644),[1] 오스만 총독(1644–1645)을 가장 두드러지게 역임했다.[1] 그는 또한 바이저였다.[3]
배경
무사 파샤는 보스니아 집안에서 태어나 엔데룬 궁전 학교에 다녔다.[1]
이집트 총독으로서
무사 파샤의 이집트 총독 임기는 여러 소식통에 의해 잔인하고 테러를 유발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3][4] 디반(정부)을 든 첫날, 그는 한 남자의 머리를 맞고 그의 재산을 몰수당했는데, 그 후 이 지방 샤리프 족장의 아들이 십자가에 못박혔다.[3] 무스타파 파샤는 각종 관공서를 친구들과 하인들에게 나누어 주고 산작비들의 불쾌감에 직면하자, 이전 주인들에게 관공서를 돌려주고는 아그하에게 이 사건을 비난하며, 자신의 거주지를 표면적인 처벌로 몰수했다.[5] 주지사 시절 무사 파샤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급여 체계를 개혁하고 부유한 지역 주민들의 유산을 주장할 방법을 찾을 계획과 프로젝트를 맡았다.[6]
키타스 베이 살인 사건
1631년 3월 술탄 무라드 4세는 무사 파샤에게 페르시아에 대항하는 원정군을 보내라고 명령했다.[6] 무사 파샤는 이들 부대의 지휘권을 서카스 출신 키타스 비에위에게 주었고, 페르시아로 군대를 수송하기 위해 낙타에게 세금을 부과했다. 무사 파샤는 이어 키타스 비에에게 탐험에 필요한 자금이 부족하고 취소되었다고 말했다. 키타스 베이가 항의하자 무사 파샤가 그를 죽였다; 1631년 7월 9일 수요일, 아라파의 날과 에이드 알 아다하 전날, 전통적으로 국왕들이 그를 위해 주지사의 집을 방문했던 날, 키타스 베이는 이제 파샤와 함께 서 있는 가난뱅이에 대한 지식 때문에 재심을 품었음에도 불구하고 출석하고 있었다.[6] 갑자기 무사 파샤는 한 무리의 남자들을 키타스 비에 덮치게 했고, 한 남자는 도끼 한 번 휘두르며 그를 목을 베었고, 40명까지 다른 왕국들이 공포에 질려 대기하자 그의 몸을 찔렀다.[7][8]
여파
카셈 비이가 이끄는 산작비들이 키타스 비이의 장례를 치른 후, 그들은 그날 무사 파샤의 에이드 잔치에 참석하게 되는 자는 사형에 처해질 것이라고 이집트 수비대 전체에 선언했다.[7] 한편 무사 파샤는 손님들이 도착하기를 기다렸으나, 아무도 도착하지 않자 알 나시르 무함마드 모스크로 걸어가 에이드 기도를 드렸고, 그 후 그는 잔치에 가족들과 함께 앉아 나머지는 카이로의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다.[7]
부대 지도자들은 카셈 비이의 집에서 만나 현지 카자스커(고등판사)에게 가서 그를 대표로 삼아 무사 파샤로 갔다.[8] 대표자는 군대를 대표하여 무사 파샤에게 자신이 왜 이렇게 성스러운 날에 살인을 저질렀는지, 콘스탄티노플에서 온 술탄의 명령이 있었는지, 그리고 키타스 비이를 살해한 부하들을 부대에 내주도록 부탁했다.[9] 무사 파샤는 술탄의 명령 밖에서는 아무 일도 하지 않았지만, 어느 부대의 요구에도 응할 수 없었다고 대답했다.[9] 이 같은 반응이 부대원들의 불쾌감을 샀지만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은 채 자리를 떴다.[9][8]
그러자 부대는 무사 파샤의 신임을 받은 네 명을 따라잡아서 죽이고 흩어졌다. 이틀 후인 1631년 7월 11일 금요일, 술탄 하산의 모스크-마드라사(Madrassa)에서 열린 주요 장교 회의인 산작비(sanjak-beys)를 모두 소집했다.[9] 그들은 아까와 같은 카자스커, 나키브 알아샤프라프(아슈라프의 우두머리), 모스크의 머프티(mufti)와 만났다.[9] 이 대표들은 다시 무사 파샤에게 보내져 같은 요구 목록을 가지고 이번에는 암살자 중 8명을 이름을 지어 부대에 넘겨달라고 요구하기도 했다.[9] 무사 파샤는 책임은 전적으로 자신의 책임이며, 부하들은 오로지 그의 명령에 따르고 있을 뿐이며, 자신을 포기하고 병사들에게 자신의 자리에 카일마캄(주지사 대행)을 지명할 수 있도록 해주겠다고 대답했다.[9] 어떤 조치를 취할 것인가를 놓고 부대 지도부는 의견이 분분했지만, 일부 파벌은 총독을 교체할 권한이 없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파벌들은 무사 파샤를 단순 살해하고 8명을 납치하기를 희망하고 있다.[10]
직위해제
결국, 그 부대는 합의에 도달했고 나이든 재무 장관인 주지사 대행을 선택했다.[10] 무사 파샤는 즉시 술탄 무라드 4세에게 효과적인 쿠데타를 알려달라고 편지를 썼고, 부대는 같은 방식으로 그들의 불만과 행동에 대한 정당성에 대한 청원서를 보내는 것을 선택했다; 병사들은 터키어로 썼고, 율리아인들은 아랍어 버전을 보냈다.[10] 하산 비이와 에미리트들은 무사 파샤가 자신의 동물과 소지품 대부분을 팔아 치운 것에 대한 배상금으로 많은 돈을 요구했다.[10] 술탄은 부대의 결정에 동의하며 할릴 파샤를 보내 무사 파샤의 대신을 총독으로 앉히도록 했다.[8] 1631년 9월 13일 할릴 파샤의 고문이 도착하였고, 하산 비이는 마침내 할릴 파샤가 도착한 10월까지 주지사 직무대행을 계속하였다.[10]
죽음
무사 파샤(대제독)는 오스만 해군의 카푸단 파샤(대제독)로 임명된 지 불과 2년 만인 1645년 크레탄 전쟁(1645~69년)이나 제5차 오스만-베네티안 전쟁 때 그리스 에우보에아 섬 근처에서 베네치아 함대와 전투를 벌이다 전사했다. 그의 시신은 이스탄불의 위스쿠다르 지구로 옮겨져 그곳에 묻혔다.[1]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d e f Mehmet Süreyya (1996) [1890], Nuri Akbayar; Seyit A. Kahraman (eds.), Sicill-i Osmanî (in Turkish), Beşiktaş, Istanbul: Türkiye Kültür Bakanlığı and Türkiye Ekonomik ve Toplumsal Tarih Vakfı
- ^ Yılmaz Öztuna (1994). Büyük Osmanlı Tarihi: Osmanlı Devleti'nin siyasî, medenî, kültür, teşkilât ve san'at tarihi (in Turkish). 10. Ötüken Neşriyat A.S. pp. 412–416. ISBN 975-437-141-5.
- ^ a b c Accounts and Extracts of the Manuscripts in the Library of the King of France. 2. R. Faulder. 1789. p. 70.
- ^ 7세기부터 18세기까지 카이로의 기념비를 통해 본 디아벤느, 프리세(1983) 아랍 예술(J.I에 의해 프랑스어에서 번역) 에리스트로스피스) 파리 르 시코모어(61페이지), ISBN 0-86356-000-8
- ^ Accounts and Extracts of the Manuscripts in the Library of the King of France. 2. R. Faulder. 1789. pp. 70, 71.
- ^ a b c Accounts and Extracts of the Manuscripts in the Library of the King of France. 2. R. Faulder. 1789. p. 71.
- ^ a b c Accounts and Extracts of the Manuscripts in the Library of the King of France. 2. R. Faulder. 1789. p. 72.
- ^ a b c d Holt, P. M.; Gray, Richard (1975). Fage, J.D.; Oliver, Roland (eds.). "Egypt, the Funj and Darfur".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London, New York, Melbour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V: 14–57. doi:10.1017/CHOL9780521204132.003.
- ^ a b c d e f g Accounts and Extracts of the Manuscripts in the Library of the King of France. 2. R. Faulder. 1789. p. 73.
- ^ a b c d e Accounts and Extracts of the Manuscripts in the Library of the King of France. 2. R. Faulder. 1789. p.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