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키엔 키트
Koo Kien Keat구키엔 키트 | ||||||||||||||||||||||||||||||||||||||||||||||||||||||||||||||||||||||||||||||||||||||||||||||||||||||||||||||||||||||||||
---|---|---|---|---|---|---|---|---|---|---|---|---|---|---|---|---|---|---|---|---|---|---|---|---|---|---|---|---|---|---|---|---|---|---|---|---|---|---|---|---|---|---|---|---|---|---|---|---|---|---|---|---|---|---|---|---|---|---|---|---|---|---|---|---|---|---|---|---|---|---|---|---|---|---|---|---|---|---|---|---|---|---|---|---|---|---|---|---|---|---|---|---|---|---|---|---|---|---|---|---|---|---|---|---|---|---|---|---|---|---|---|---|---|---|---|---|---|---|---|---|---|---|
![]() 구키엔 키트 | ||||||||||||||||||||||||||||||||||||||||||||||||||||||||||||||||||||||||||||||||||||||||||||||||||||||||||||||||||||||||||
개인정보 | ||||||||||||||||||||||||||||||||||||||||||||||||||||||||||||||||||||||||||||||||||||||||||||||||||||||||||||||||||||||||||
나라 | 말레이시아 | |||||||||||||||||||||||||||||||||||||||||||||||||||||||||||||||||||||||||||||||||||||||||||||||||||||||||||||||||||||||||
태어난 | 이포, 페락, 말레이시아 | 1985년 9월 18일 |||||||||||||||||||||||||||||||||||||||||||||||||||||||||||||||||||||||||||||||||||||||||||||||||||||||||||||||||||||||||
높이 | 1.79m(5ft 10인치)[1] | |||||||||||||||||||||||||||||||||||||||||||||||||||||||||||||||||||||||||||||||||||||||||||||||||||||||||||||||||||||||||
무게 | 75 kg (150 lb; 11.8 st)[1] | |||||||||||||||||||||||||||||||||||||||||||||||||||||||||||||||||||||||||||||||||||||||||||||||||||||||||||||||||||||||||
년 활동 | 2003–2016 | |||||||||||||||||||||||||||||||||||||||||||||||||||||||||||||||||||||||||||||||||||||||||||||||||||||||||||||||||||||||||
은퇴한 | 2016년 11월 | |||||||||||||||||||||||||||||||||||||||||||||||||||||||||||||||||||||||||||||||||||||||||||||||||||||||||||||||||||||||||
핸드니스 | 오른쪽[1] | |||||||||||||||||||||||||||||||||||||||||||||||||||||||||||||||||||||||||||||||||||||||||||||||||||||||||||||||||||||||||
남자 복식 | ||||||||||||||||||||||||||||||||||||||||||||||||||||||||||||||||||||||||||||||||||||||||||||||||||||||||||||||||||||||||||
최고 순위 | 1(2007년 10월 11일) | |||||||||||||||||||||||||||||||||||||||||||||||||||||||||||||||||||||||||||||||||||||||||||||||||||||||||||||||||||||||||
메달 기록
| ||||||||||||||||||||||||||||||||||||||||||||||||||||||||||||||||||||||||||||||||||||||||||||||||||||||||||||||||||||||||||
BWF 프로필 |
구키엔 키트 | |||||||||||
---|---|---|---|---|---|---|---|---|---|---|---|
중국어 번체 | 古健傑 | ||||||||||
중국어 간체 | 古健杰 | ||||||||||
|
구키엔 키트 ARB(1985년 9월 18일생)는 말레이시아의 전직 프로 배드민턴 선수다. 그는 남자 복식과 혼합 복식에서 모두 성공했지만, 탄 분 흐엉과 함께 세계 랭킹 1위에 오른 것으로 가장 [2]잘 알려져 있다.
경력
2004년에는 츄춘엥과 함께 토마스컵에 출전하였다. 이들은 인도네시아의 플랑디 림펠레와 엥 히안과의 2차 복식 경기에서 강력한 활약을 펼쳤다. 하지만, 대회가 끝난 후, 말레이시아 배드민턴 협회는 그를 이전에 춘잉과 파트너였던 찬총밍과 파트너십을 맺기로 결정했다. 이후 2005년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동메달을 땄다.
2006년, 구혜선의 코치인 렉시 마나키와 구혜선의 좌완 투수 탄 분 흥을 짝짓기로 결정했다.[2] 그들은 함께 2006 도하 아시안 게임에서 불필요한 짝으로 금메달을 땄다. 결승으로 가는 도중, 그들은 마르키스 키도와 인도네시아의 헨드라 세티아완을 포함한 몇몇 상위 페어들을 물리쳤다. 이들은 역대 최연소 남자 복식 페어로 각각 22세와 19세의 나이로 아시안게임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2007년은 구혜선과 탄에게 최고의 해였다. 그들은 여러 차례의 슈퍼시리즈 대회에서 우승하여 세계 랭킹 1위에 올랐다. 그들은 또한 중국 선수들인 카이윤과 푸하이펑을 연달아 꺾고 첫 올잉글랜드 슈퍼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2009년 두 사람은 2009년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동메달을 땄다. 2010년 BWF 세계선수권대회에서는 한국의 라이벌 정재성, 이용대를 제치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 그들은 중국의 궈젠둥과 쉬첸을 21-14, 21-18로 이겼다. 탄과 구혜선은 13년 만에 세계선수권 결승에 진출한 첫 말레이시아 선수가 되었다. 결승에서는 중국의 카이윤과 푸하이펑과 맞붙었으나 21-18, 18-21, 14-21로 졌다.
2010년, 그들은 그들의 고향인 말레이시아에서 세계 1위 페어로 올해의 첫 번째 타이틀을 획득했다. 그들은 올잉글랜드 오픈에서 시드 1위에 올랐지만, 1라운드에서 덴마크의 전 세계 챔피언인 라르스 파스케와 조나스 라스무센에게 졌다.
2010년 BWF 세계선수권대회에서는 중국의 젊은 선수인 차이비오와 장난의 8강전에서, 이후 최대의 라이벌인 한국 선수인 정재성과 이용대를 3세트로 꺾고 4강에 올랐다. 그 후, 그들은 또 다른 중국의 궈젠둥과 쉬첸을 물리치고 세계선수권대회 사상 첫 결승에 올랐다. 그들보다 훨씬 이전에 도달한 유일한 말레이시아인 커플은 체아순 키트와 야프 김호크였다.
2011년 올잉글랜드오픈에서 구혜선과 탄은 2008년 올림픽 챔피언 마르키스 키도와 헨드라 세티아완을 8강전에서 꺾었다. 그리고 그들은 세계 챔피언인 카이윤과 푸하이펑을 21-11, 23-21로 물리쳤다. 그들은 데인스에게 패했고 그 후 세계 랭킹 1위 마티아스 보와 카스텐 모겐센에게 21-15, 18-21, 18-21로 졌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 출전해 최종 금메달리스트에게 패한 뒤 한국과의 동메달 결정전에서 패하는 등 준결승에 올랐다.[1] 2013년에는 2013년 조기탈출과 3년 메이저 타이틀 가뭄이 잇따랐지만 세계랭킹 10위권 안에 머물렀다. 2014년 구혜선은 말레이시아 배드민턴협회와 결별하고 2014년 초 태국 그랜트 클럽의 코치가 됐다. 그해 8월 구혜선은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2014 BWF 세계선수권대회에서 탄과 마지막 토너먼트를 치르기 위해 돌아왔다. 두 사람이 함께 한 마지막 경기는 3라운드에서 중국 타이베이 선수에게 19-21로 패한 것으로 추정된다.[3]
2015년, 구혜선은 그들이 영구적으로 그만두기 전에 2016 리우 올림픽에 출전하기 위해 은퇴를 선언하였다. 그들은 세리 무티아라 개발 Sdn Bhd의 후원을 받았고 독립 클럽에서 뛰었다. 그들은 올해 네덜란드 오픈에서 우승하고 태국 오픈에서 준우승하며 몇 번의 돌파구를 열었다. 그들은 또한 호주와 한국에서 열린 두 개의 슈퍼시리즈 8강에 진출했다.
2016년 구혜선과 탄광호는 가까스로 세계랭킹 15위 안에 진입했다. 그러나 BWF가 정한 새로운 올림픽 자격요건 때문에 각국이 종목별 대표 2명을 보낼 수 있는 자격요건은 세계랭킹 8위 이내와 그렇지 않을 경우 최고위급 대표만 출전하는 것으로 구 선수와 탄 선수는 가까스로 올림픽 출전권을 따내지 못했다. 예선 기간이 끝날 무렵 두 사람은 세계랭킹 14위에 올라 대신 선발돼 은메달을 따낸 동포 고 브 셈과 탄 위 키옹에 이어 1계단 뒤졌다. 지난 11월 구혜선은 홍콩오픈을 마지막 대회로 꼽으며 프로배드민턴 은퇴를 다시 선언했다.
사생활
구혜선은 세인트루이스에서 공부를 시작했다. 페라크 주 이포에 있는 마이클스 연구소. 이후 부킷 잘릴스포츠스쿨에 진학하겠다는 제의를 받아 중등학교 공부를 마치고 SPM(시질 펠라자란 말레이시아) 시험에 응시했다. 2013년 오드리 탄수벤과 결혼해 2014년 태어난 아들 데이슨이 있다.
플레이 스타일
구혜선은 네트 지역을 중심으로 매우 빠르게 움직이며, 기만적인 슛으로 모험을 한다. 그는 또한 빠른 플랫 교환에도 매우 잘 반응한다. 좋아하는 포메이션은 그가 앞 코트에 있고 그의 파트너인 스매셔가 코트 뒤쪽에서 강력한 왼손 스매쉬로 공격을 하는 것이다.
구혜선과 탄은 게임 스타일에서 폭발적이고 역동적인 한 쌍이다.
업적
BWF 세계 선수권 대회
남자 복식
연도 | 장소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2005 | 미국 애너하임 애로우헤드 폰드 | ![]() | ![]() ![]() | 9–15, 11–15 | ![]() |
2009 | 인도 하이데라바드 가치보울리 실내 경기장 | ![]() | ![]() ![]() | 21–16, 14–21, 20–22 | ![]() |
2010 | 프랑스 파리 스타드 피에르 드 쿠베르탱 | ![]() | ![]() ![]() | 21–18, 18–21, 14–21 | ![]() |
남녀 혼합 복식
연도 | 장소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2006 | 스페인 마드리드의 팔라시오 데 데포르테스 데 라 코무니다드 | ![]() | ![]() ![]() | 14–21, 12–21 | ![]() |
영연방 경기 대회
남자 복식
연도 | 장소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2006 | 호주 멜버른 컨벤션 센터 | ![]() | ![]() ![]() | 21–13, 21–14 | ![]() |
2010 | 인도 뉴델리 시리 포트 스포츠 콤플렉스 | ![]() | ![]() ![]() | 21–19, 21–14 | ![]() |
남녀 혼합 복식
연도 | 장소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2010 | 인도 뉴델리 시리 포트 스포츠 콤플렉스 | ![]() | ![]() ![]() | 22–20, 21–12 | ![]() |
아시안 게임
남자 복식
연도 | 장소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2006 | 카타르 도하 아스피레 3관 | ![]() | ![]() ![]() | 21–13, 21–14 | ![]() |
2010 | 중국 광저우 톈허 체육관 | ![]() | ![]() ![]() | 21–16, 24–26, 19–21 | ![]() |
아시아 선수권 대회
남자 복식
연도 | 장소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2007 | 말레이시아 조호르 바루 반다라야 스타디움 | ![]() | ![]() ![]() | 14–21, 21–11, 12–21 | ![]() |
2008 | 말레이시아 조호르 바루 반다라야 스타디움 | ![]() | ![]() ![]() | 21–16, 16–21, 18–21 | ![]() |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남자 복식
연도 | 장소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2005 | 필리핀 메트로 마닐라 필스포츠 아레나 | ![]() | ![]() ![]() | 13–15, 13–15 | ![]() |
2009 | 라오스 비엔티안 국립체육관 제1관 | ![]() | ![]() ![]() | 17–21, 17–21 | ![]() |
남녀 혼합 복식
연도 | 장소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2005 | 필리핀 메트로 마닐라 필스포츠 아레나 | ![]() | ![]() ![]() | 9–15, 5–15 | ![]() |
2009 | 라오스 비엔티안 국립체육관 제1관 | ![]() | ![]() ![]() | 15–21, 15–21 | ![]() |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소년복식
연도 | 장소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2002 |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레토리아의 프리토리아 쇼그라운드 | ![]() | ![]() ![]() | 15–7, 8–15, 4–15 | ![]() |
아시아 주니어 선수권 대회
소년복식
연도 | 장소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2002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배드민턴 경기장 | ![]() | ![]() ![]() | 15–13, 15–13 | ![]() |
남녀 혼합 복식
연도 | 장소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2002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배드민턴 경기장 | ![]() | ![]() ![]() | 4–11, 6–11 | ![]() |
BWF 슈퍼시리즈
2006년 12월 14일 출범해 2007년 시행된 BWF 슈퍼시리즈는 세계배드민턴연맹(BWF)이 허가한 엘리트 배드민턴 대회 시리즈다.[4] BWF 슈퍼시리즈 레벨은 슈퍼시리즈와 슈퍼시리즈 프리미어다. 슈퍼시리즈의 한 시즌은 2011년부터 소개된 전세계 12개 대회로 구성되어 있다.[5] 매년 말에 열리는 슈퍼시리즈 결승전에 성공한 선수들이 초청된다.
남자 복식
연도 | 토너먼트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2007 | 말레이시아 오픈 | ![]() | ![]() ![]() | 21–15, 21–18 | ![]() |
2007 | 올잉글랜드 오픈 | ![]() | ![]() ![]() | 21–15, 21–18 | ![]() |
2007 | 스위스 오픈 | ![]() | ![]() ![]() | 17–21, 21–16, 21–12 | ![]() |
2007 | 덴마크 오픈 | ![]() | ![]() ![]() | 14–21, 21–14, 21–12 | ![]() |
2008 | 월드 슈퍼시리즈 마스터스 파이널 | ![]() | ![]() ![]() | 21–18, 21–14 | ![]() |
2009 | 스위스 오픈 | ![]() | ![]() ![]() | 21–14, 21–18 | ![]() |
2009 | 덴마크 오픈 | ![]() | ![]() ![]() | 20–22, 21–14, 21–17 | ![]() |
2009 | 프렌치 오픈 | ![]() | ![]() ![]() | 21–15, 15–21, 14–21 | ![]() |
2009 | 차이나 오픈 | ![]() | ![]() ![]() | 13–21, 21–19, 18–21 | ![]() |
2010 | 말레이시아 오픈 | ![]() | ![]() ![]() | 21–15, 17–21, 21–16 | ![]() |
2010 | 스위스 오픈 | ![]() | ![]() ![]() | 18–21, 16–21 | ![]() |
2010 | 재팬 오픈 | ![]() | ![]() ![]() | 21–18, 14–21, 12–21 | ![]() |
2011 | 올잉글랜드 오픈 | ![]() | ![]() ![]() | 21–15, 18–21, 18–21 | ![]() |
2012 | 재팬 오픈 | ![]() | ![]() ![]() | 16–21, 19–21 | ![]() |
2012 | 덴마크 오픈 | ![]() | ![]() ![]() | 21–19, 11–21, 19–21 | ![]() |
2012 | 홍콩 오픈 | ![]() | ![]() ![]() | 16–21, 17–21 | ![]() |
2013 | 프렌치 오픈 | ![]() | ![]() ![]() | 16–21, 18–21 | ![]() |
- BWF 슈퍼시리즈 파이널 토너먼트
- BWF 슈퍼시리즈 프리미어 토너먼트
- BWF 슈퍼시리즈 토너먼트
BWF 그랑프리
BWF 그랑프리에는 BWF 그랑프리, 그랑프리 골드 등 두 가지 레벨이 있었다.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세계배드민턴연맹(BWF)이 허가한 일련의 배드민턴 대회였다. 세계 배드민턴 그랑프리는 1983년부터 2006년까지 국제배드민턴연맹의 제재를 받았다.
남자 복식
연도 | 토너먼트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2004 | 중국 타이베이 오픈 | ![]() | ![]() ![]() | 6–15, 15–13, 15–6 | ![]() |
2005 | 덴마크 오픈 | ![]() | ![]() ![]() | 15–6, 15–7 | ![]() |
2006 | 스위스 오픈 | ![]() | ![]() ![]() | 17–14, 8–15, 17–14 | ![]() |
2006 | 말레이시아 오픈 | ![]() | ![]() ![]() | 14–21, 21–11, 21–17 | ![]() |
2006 | 재팬 오픈 | ![]() | ![]() ![]() | 15–21, 14–21 | ![]() |
2007 | 필리핀 오픈 | ![]() | ![]() ![]() | 21–8, 26–24 | ![]() |
2007 | 마카오 오픈 | ![]() | ![]() ![]() | 21–18, 17–21, 23–21 | ![]() |
2008 | 마카오 오픈 | ![]() | ![]() ![]() | 21–16, 21–18 | ![]() |
2009 | 말레이시아 그랑프리 골드 | ![]() | ![]() ![]() | 21–11, 21–13 | ![]() |
2009 | 마카오 오픈 | ![]() | ![]() ![]() | 21–14, 17–21, 21–12 | ![]() |
2011 | 말레이시아 그랑프리 골드 | ![]() | ![]() ![]() | 21–16, 21–7 | ![]() |
2012 | 말레이시아 그랑프리 골드 | ![]() | ![]() ![]() | 21–15, 21–19 | ![]() |
2013 | 말레이시아 그랑프리 골드 | ![]() | ![]() ![]() | 20–22, 15–21 | ![]() |
2015 | 타이 오픈 | ![]() | ![]() ![]() | 22–20, 21–23, 16–21 | ![]() |
2015 | 더치 오픈 | ![]() | ![]() ![]() | 21–15, 21–10 | ![]() |
2016 | 말레이시아 마스터스 | ![]() | ![]() ![]() | 21–18, 13–21, 18–21 | ![]() |
2016 | 베트남 오픈 | ![]() | ![]() ![]() | 21–18, 14–21, 7–21 | ![]() |
남녀 혼합 복식
연도 | 토너먼트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2004 | 싱가포르 오픈 | ![]() | ![]() ![]() | 1–15, 4–15 | ![]() |
2004 | 중국 타이베이 오픈 | ![]() | ![]() ![]() | 15–3, 15–5 | ![]() |
- BWF 그랑프리 골드 토너먼트
- BWF & IBF 그랑프리 토너먼트
BWF 인터내셔널 챌린지/시리즈
남자 복식
연도 | 토너먼트 | 파트너 | 상대 | 점수 | 결과 |
---|---|---|---|---|---|
2002 | 스마일링 어류 위성 | ![]() | ![]() ![]() | 2–7, 5–7, 5–7 | ![]() |
2003 | 말레이시아 위성 | ![]() | ![]() ![]() | 15–7, 17–16 | ![]() |
2004 | 프렌치 인터내셔널 | ![]() | ![]() ![]() | 15–6, 17–15 | ![]() |
2015 | 스리랑카 인터내셔널 | ![]() | ![]() ![]() | 21–19, 21–17 | ![]() |
2015 | 화이트 나이트 | ![]() | ![]() ![]() | 21–10, 21–12 | ![]() |
2015 | 스위스 인터내셔널 | ![]() | ![]() ![]() | 18–21, 21–16, 21–16 | ![]() |
- BWF 인터내셔널 챌린지 토너먼트
- BWF 인터내셔널 시리즈 토너먼트
명예
말레이시아의 명예
말레이시아:
왕국의 수호자 훈장 (A.M.N.) (2006)[6]
참조
- ^ a b c d "Kien Keat Koo". www.london2012.com. London 2012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August 2012. Retrieved 3 January 2021.
- ^ a b Sukumar, Dev (1 July 2020). "Genius in Action: Koo Kien Keat & Tan Boon Heong". bwfbadminton.com. Badminton World Feder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July 2020. Retrieved 3 January 2021.
- ^ Liew, Vincent (28 August 2014). "Koo Kien Keat says farewell in rubber game loss". www.badmintonplanet.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April 2016. Retrieved 3 January 2021.
- ^ "BWF Launches Super Series". Badminton Australia. 15 December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October 2007.
- ^ "Yonex All England Elevated To BWF Premier Super Series Event". www.ibadmintonstor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October 2013. Retrieved 29 September 2013.
- ^ "Musa Hitam gets Tunship". Bernama. The Star. 3 June 2006. Retrieved 3 August 2018.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구키엔키트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말레이시아 배드민턴 협회의 프로필
- Koo Kien Keat BWF.tournamentsoftwa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