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이터 로스앤젤레스에 사는 한국계 미국인들
Korean Americans in Greater Los Angeles시리즈의 일부: |
로스앤젤레스의 민족 |
---|
2008년 현재, 그레이터 로스앤젤레스에 거주하는 6만 명의 한국인들이 미국에서 가장 큰 한인 사회를 구성하고 있습니다.그들의 수는 한국의 [1]한국계 미국인 인구의 15 퍼센트를 차지했습니다.
역사
첫 번째 한국 이민자들은 벙커 힐 기슭에 정착하여 트럭 농부, 가정부,[2] 웨이터, 가정부로 일했습니다.대한예수교장로회는 1905년 웨스트 제퍼슨 대로에 설립되었습니다.이 [3]교회를 중심으로 한인 사회가 형성되었습니다.
새로운 한국인 이민자들을 위한 커뮤니티 센터와 안내, 숙박, 커뮤니티 지원 센터 역할을 했던 안창호 거주지에는 식료품점과 한인회 로스앤젤레스 지부, 영 한인 아카데미 [4]사무실이 자리하고 있었습니다.1930년대에 한국인 인구는 제퍼슨 대로 지역의 노먼디와 버몬트 거리 사이의 지역으로 이동했습니다."Old Korea town"으로 알려지게 된 이 한국 지역은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과 가까웠습니다.그때까지 한국 이민자들의 1세대는 아이들을 낳았고, 그들은 올드 코리아타운 [2]주변에 살았습니다.
1950년대에, 로스앤젤레스는 한국 전쟁으로 인한 한국 이민자들의 두 번째 물결을 받았고 이민 1세대의 아이들은 다음 세대를 낳았습니다.1965년 하트-셀라 법이 통과된 후, 한국인 이민은 증가했습니다.1965년 와츠 폭동 이후, 많은 한국인들이 교외 지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했습니다.1970년, 로스앤젤레스와 오렌지 카운티의 한인들은 미국 내 한인들의 63%를 차지했습니다.이 시기를 전후로 한인 커뮤니티 지역은 현대적인 한인타운이 [2]위치한 올림픽 대로로 이전했습니다.
한인 사회는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으로 심각한 영향을 받았습니다.한 한국계 미국인 민간인 에드워드 송 리가 폭동으로 [5]사망했습니다.상점 주인들과 지역 사회 구성원들이 건물 옥상에서 총기를 사용하여 그들을 보호하려고 시도하는 동안에도 2,000개 이상의 한국계[6] 주민들이 소유한 사업체를 파괴하는 등 4억 달러 이상의 피해가 발생했습니다.한인 사회의 대부분의 구성원들은 한국어로 그들을 4-2-9 폭동이라고 부릅니다.이 이름은 한국 [5]역사에서 정치적 사건의 정수 이름 체계를 따릅니다.이 행사 이후, 많은 한국인들이 오렌지 카운티와 두 개의 인랜드 엠파이어 카운티의 교외로 이주했습니다.리버사이드와 샌버나디노.그 이후로, 코리아타운에서 발생한 투자는 지역 사회를 [6][7]재건하게 했습니다.
2014년에는 일본의 소수 우익 정치인들로[8] 구성된 대표단이 캘리포니아 글렌데일의 한 지역에서 제2차 세계대전 한국인 위안부 소녀상의 철거를 요청해 [9]논란이 일기도 했습니다.한 연방 판사는 소녀상 철거 소송을 기각하고 "위안부의 [10][11][12][13]곤경에 대한 국제적인 인식을 높이기 위한 대규모 노력"의 일환으로 로스앤젤레스 시의회, 한국-글렌데일 자매도시 협회, 그리고 캘리포니아 한인 포럼의 지지를 받았습니다.일본계 미국인 시민 연맹과 다른 일본계 미국인 단체들은 소녀상을 지지했고 그것이 [8]선전으로서 일본계 미국인들에 대한 인종적 동기에 의한 괴롭힘으로 이어졌다는 일본 대표단의 주장을 개탄했습니다.
지리학
2008년 현재 로스앤젤레스 [14]카운티에는 약 35만 명의 교포가 살고 있습니다.2008년 현재 로스앤젤레스에서 가장 큰 한인 거주지는 코리아타운이며 대부분의 한인들이 그 [1]지역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2008년까지 채스워스, 그라나다 힐스, 노스리지, 포터 랜치를 포함한 많은 한국계 커뮤니티가 샌 페르난도 계곡 북서부에 나타났습니다.그 해, 샌 페르난도 밸리 한국인 사업자 명부에는 샌 페르난도 밸리에 있는 거의 1,500개의 한국인 소유 사업자들의 목록이 있었습니다.로스앤젤레스 타임즈의 아만다 코바루비아스는 지역 한인 사회 지도자들이 2008년에 [14]샌 페르난도 계곡에 5만에서 6만 명의 한국인들이 살고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습니다.
게다가, 2008년까지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의 Cerritos와 Hacienda [14]Heights, 그리고 오렌지 카운티의 Buena Park와 Fullerton에 한국 커뮤니티가 나타났습니다.
또한, 코리아타운 또는 리틀 서울로 알려진 오래된 공동체는 1970년대부터 가든 그로브에 있었습니다.이것은 나중에 부에나 공원, 풀러턴, 사이프레스, 어바인으로 [15]퍼져나간 오렌지 카운티 한인 사회의 중심을 형성했습니다.
인구통계학
2008년 기준으로 로스앤젤레스, 오렌지 카운티, 벤추라, 샌버너디노, 리버사이드 카운티에는 257,975명의 한국계 미국인이 살고 있으며, 전체 한국계 미국인의 25%를 차지합니다.그 해 현재, 4만 6천 명 이상의 한인들이 코리아타운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는 그곳 거주민의 20.1%를 차지합니다.한인타운에는 한인들 외에도 다른 민족들도 [6]거주하고 있습니다.
경제학
1988년까지, 로스앤젤레스에서, 많은 한국인 가게들이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이웃들에 문을 열었고, 그 때까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에 의한 한국인 사업들에 대한 몇 [16]번의 불매운동이 일어났습니다.그 무렵 많은 한국 의류 제조업체들은 히스패닉 노동자들을 고용하고 백인 소유의 [17]의류 제조업체들에게 제품을 판매함으로써 중개인 역할을 했습니다.
2014년에 연방 정부는 자금 세탁이라고 비난한 사업 운영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했습니다.2015년까지 일부 한국 사업주들은 라틴 아메리카 고객 감소, 증가하는 최저 임금, 그리고 2014년 [18]습격 이후에 발생한 노동법의 엄격한 집행으로 인해 로스앤젤레스에서 사업을 철수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문화
교육
주간 학교
사립 주간 학교인 윌셔 사립학교(구 한국학교, 윌셔 초등학교, 윌셔 학교)는 [19]코리아타운에 위치해 있습니다.이 학교는 남가주한국연구원([20]KISC, KISC, Korean Institute of Southern California (KISC, Korean Institute of Southern California)
첫 번째 물결의 한국 이민자들의 자녀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한 학교들은 로스앤젤레스 고등학교, 수동 예술 고등학교, 그리고 제임스 A를 포함했습니다. 포샤이 학습 센터.[2]
주말학교
KISC와 미주한인학교협회는 총 16,059명의 학생들과 함께 주말 한국어 학교를 운영하고 있습니다.2003년 현재 KISC는 12개 학교를 운영하고 있으며, 147명의 교사와 5,048명의 [21]학생을 고용하고 있습니다.1992년에는 그레이터 로스앤젤레스에 152개의 학교가 KSAA에 [22]등록되었습니다.2003년에 KSAA는 1,820명의 교사를 고용하고 13,659명의 [21]학생을 등록하여 244개의 학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KSAA에 등록된 학교의 수는 [22]2005년에 254개로 증가했습니다.
1988년 현재 KISC 캠퍼스 중 하나는 반누이스에 [23]있습니다.
저명인사
- 필립 안 - 배우
- Steven Choi - 오렌지 카운티 출신의 캘리포니아 주 하원의원
- 조슈아 홍 - 가수이자 그룹 세븐틴의 멤버
- Young Kim - 오렌지 카운티 거주 정치인, 지역 국회의원
- 그레이스 리 - 영화 감독
- 이희숙 - 사업가, BCD 두부하우스 체인 창업자
- 레나 박 - 가수
- 제시카 정 - 가수이자 소녀시대의 전 멤버
- 크리스탈 정 - 가수 F(x) (밴드)
- 미셸 스틸, 지역 하원의원
- 덤파운데드 - 래퍼
- 송오균 - 한국의 독립운동가
- 티파니 영 - 여배우이자 소녀시대의 멤버
- Cathy Park Hong - 시인, 작가, 사소한 감정의 저자: 아시아계 미국인의 계산
- 로이 최 - 요리사, 개성, Kogi 설립자
- 박준 - 가수 G.O.D
레퍼런스
- 아벨만, 낸시, 그리고 존 리.블루 드림스: 한국계 미국인들과 로스앤젤레스 폭동.하버드 대학 출판부, 2009년 6월 30일 ISBN0674020030, 9780674020030.
- 김종윤 씨.뉴욕과 로스앤젤레스 한인노인이민자의 적응문제와 자원이 가족내 심리적 고통과 지위에 미치는 영향(논문)ProQuest, 2008. ISBN 0549566058, 9780549566052.UMI 번호 3307607.
- Kim, Katherine Yungmee.로스앤젤레스의 코리아타운Arcadia Publishing, 2011. ISBN 0738575526, 9780738575520.
- 라이트, 이반 휴버트, 에드나 보나치치이민 기업가: 로스앤젤레스의 한국인, 1965년 ~ 1982년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1988. ISBN 0520076567, 9780520076563
메모들
- ^ a b 김 종윤 75페이지
- ^ a b c d Kim, Katherine Yungme, 9페이지
- ^ 할리, 데이비드.성장통을 겪고 있는 코리아타운로스앤젤레스 타임스1985. 12. 8. p. 2. 2014. 3. 7. 검색됨
- ^ Kim, Katherine Yungme, 8페이지
- ^ a b 아벨만과 거짓말, p.ix (서면).
- ^ a b c Kim, Katherine Yungme, 10페이지
- ^ Bates, Karen Grigsby (2012-04-27). "How Koreatown Rose From The Ashes Of L.A. Riots". NPR. Retrieved 2014-05-03.
- ^ a b Johnston, Eric (2014-02-27). "'Comfort women' statues spur debate". The Japan Times. Retrieved 2021-03-14.
- ^ 해밀턴, 발레리"캘리포니아 동상, 한국에선 열정, 일본에선 분노" PRI2014년 1월 29일2014년 2월 1일에 검색되었습니다.
- ^ Huang, Josie. "Glendale wins legal battle over monument to WW II 'comfort women'". Southern California Public Radio.
- ^ Levine, Brittany; Wells, Jason (July 30, 2013). "Glendale unveils 'comfort women' statue, honors 'innocent victims'". Los Angeles Times.
- ^ Levine, Brittany (February 22, 2014). "Lawsuit seeks removal of Glendale 'comfort women' statue". Los Angeles Times.
- ^ Levine, Brittany (August 11, 2014). "Federal judge upholds 'comfort women' statue in Glendale park". Los Angeles Times. Retrieved 18 March 2016.
- ^ a b c 코바루비아스, 아만다."코리아타운은 교외의 집을 찾습니다."로스앤젤레스 타임스2008년 2월 23일2014년 2월 25일에 검색되었습니다.
- ^ "A guide to Koreatown in Garden Grove: Orange County's Korean cultural center". Los Angeles Times. 27 November 2019.
- ^ 빛과 보나치치, 12페이지
- ^ 빛과 보나치치, 13페이지
- ^ 킴, 빅토리아"한국 기업들의 LA 잔류를 위한 싸움" 로스앤젤레스 타임스2015년 9월 2일2015년 9월 14일에 검색되었습니다.
- ^ 파크, 앤드류"아시아 학교들의 ABC."Transpacific, Transpacific Media, Inc. 9.4 (1994년 6월): p46+.Gale Group 문서 ID: Gale A15239827의 General OneFile에서 사용 가능
- ^ 보그호시안, 나우쉬."분산된 사람들은 전통을 보존하기 위해 노력합니다."로스앤젤레스 데일리 뉴스.2005년 10월 5일2014년 3월 8일 무료 도서관에서 검색되었습니다."한국인 윌셔 초등학교와 13개의 토요 학교를 운영하는 남가주 한국 연구소 이사회에서 근무하고 있는 찰스 김은 미국에서 새로운 세대가 성장함에 따라 언어를 잃는 것이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 ^ a b Kim, Michael Namkil(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소장)"캘리포니아 남부 한국어 교육의 몇 가지 문제점"(자료실)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2003. 2014년 3월 8일 검색됨.
- ^ a b Zhou, Min, Kim, Susan S.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공동체 역량, 사회적 자본 및 교육 성과: 중국과 한국 이민자 사회의 보충 교육 사례"(자료실).Harvard Educational Review, 2006. 76 (1), 1-29. -- 인용: 12페이지
- ^ 링거, 미셸."초기 언어학자들: 사립 외국어 학교들은 이중 언어 교육에 새로운 변화를 줍니다."로스앤젤레스 타임스1988. 4. 28. 페이지 3. 2015. 6. 29. 검색됨
진일보한 내용
- 줘, 헬렌 루이스.로스앤젤레스 카운티에 있는 한인 사회.1974년 1월 1일, R 및 E 연구 협회.Google Books에서 스니펫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평갑민.로스앤젤레스 한인이민자(사회과학분야 ISSR 실무논문 2권 2호)캘리포니아 대학교 사회과학 연구소, 로스앤젤레스, 1990.Google Books에서 스니펫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외부 링크
- 한국자원센터
- 주 로스앤젤레스 한국교육원
- 미주한인학교협회
- 미주한인학교협회 (한국어)
- 남가주한국연구원
- 로스앤젤레스의 한국계 미국인, 인터뷰 시리즈, 구술사 연구 센터, UCLA 도서관 특별 소장품,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