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카렌코이트-(Ce)

Kukharenkoite-(Ce)
쿠카렌코이트-(Ce)
Kukharenkoite-(Ce)-479622.jpg
퀘벡 주 몬테레기 데믹스 바렌스 채석장에서 온 쿠카렌코이트-(Ce)
일반
카테고리탄산염광물
공식
(기존 단위)
Ba2CeF(CO3)3
IMA 기호크크체[1]
스트룬츠 분류5.BD.10
크리스털 시스템단음이의
크리스털 클래스프리즘(2/m)
(동일한 H-M 기호)
스페이스 그룹P21/m
식별
참조[2][3][4]

쿠카렌코이트-(Ce)는 불소 세륨 불소 탄산염 미네랄, 공식 BaCeF2(CO3)이다.3러시아 퀘벡몽생힐라레 알칼리성 침입 단지와 코라 반도 키비니 마시프에서 발견된 표본에서 확인됐다.그것은 러시아의 광물학자 알렉산더 A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쿠카렌코(1914~1993)[3][4]

비슷한 중후아케라이트는 중국산 광물을 함유한 세륨으로 유효 광물이 아닌 쿠카렌코이트-(Ce) 또는 황호이트-(Ce)로 간주된다.[5]

참고 항목

참조

  1. ^ Warr, L.N. (2021). "IMA–CNMNC approved mineral symbols". Mineralogical Magazine. 85 (3): 291–320. Bibcode:2021MinM...85..291W. doi:10.1180/mgm.2021.43. S2CID 235729616.
  2. ^ 광물에나틀라스
  3. ^ a b 위치 데이터 관련 주의사항
  4. ^ a b 웹미네랄 데이터
  5. ^ 민닷 - 중후아세라이트-(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