쟈토카
JhatkaJhatka 또는 Jhataka 또는 chatka는 시크교 내에서 칼이나 도끼의 단 한방에 머리를 베는 것과 같은 동물로부터 즉사된 고기이다.이런 종류의 도살은 대부분의 시크교도들뿐만 아니라 고기를 먹는 불교 신자들과 펀자브 지역과 북인도의 일부 카티크들에 의해 선호되며, 또한 이 도살 방법 안에 있는 동물 도살 전에 겁을 먹거나 흔들려서는 안 된다.
어원학
Jhatka (펀자비:'구르무키', '샤무키'는 '즉시, 빨리,[1][2] 한 번에'라는 뜻의 산스크리트어 '자티티'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크교의 중요성
비록 모든 시크교도들이 이런 방식으로 고기를 먹는 관행을 유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시크교도들은 10명의 시크교 구루스에 의해 위임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시크교 전통에 따르면, 즉사시키는 무기의 일격에 죽은 동물에게서 얻은 고기만이 인간의 소비에 적합하다.구루 고빈드 싱은 이 문제 전체의 이 측면을 다소 심각하게 보았다.따라서 그는 육체를 음식으로 삼는 것을 허용하면서도 이 희생의 모든 이론을 부인했다.따라서, 그는 고기를 음식의 일부로 섭취하는 것에 관심이 있는 시크교도들에게 jhatka 고기를 의무적으로 만들었다.
--
공식 칼사 행동 강령과 시크 리핫 마리아다에서 언급되었듯이, 쿠타 고기는 금지되어 있으며, 시크교도들은 자트카 형태의 [6][7]고기를 먹는 것이 권장된다.
Jhatka karna 또는 Jhatkaund는 최소한의 고통을 [2]주면서 동물을 죽이려는 근본적인 의도로, 어떤 무기의 단 한 번의 타격으로 동물의 머리가 순간적으로 절단되는 것을 말한다.
영국 라지 통치 기간 동안 시크교도들은 [4]Jhatka를 통해 학살할 권리를 주장하기 시작했다.자트카 고기는 감옥에 들어갈 수 없었고 시크교도들은 이 권리를 지키기 위해 폭력과 선동에 의존하기 위해 아칼리 운동에 가담했다는 이유로 구금되었다.1942년 펀자브에서 아칼리족과 무슬림 연합주의 정부 사이의 정착지에서 사용된 용어 중 하나는 시크교도들에 의해 jhatka 고기가 계속된다는 것이었다.
Harzur Sahib Nanded와 많은 다른 시크교 축제에서 Hola Mohalla와 Vaisakhi를 포함한 종교적 시크교 축제에서, Jhatka 고기는 구르드와라의 [8]모든 방문객들에게 "마하프라사드"로 제공됩니다.이 관습은 식민지 시대의 "마한스"와 "우다시스"가 시크 구르드와라스에 [8]도입된 이후 구루드와라 안에 락토-채식 랑가르만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믿는 현대 시크파들에 의해 받아들여지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Akhand Kirtani Jatha와 같은 일부 시크교도 단체들은 고기 소비와 관련된 그들만의 행동 규범을 가지고 있다.이 단체들은 쿠타 고기를 도축된 고기의 어떤 종류로 정의하며, 종교적인 축제와 개인의 "악한드팻" 3일 기도 이외에 [9]어떤 종류의 고기를 먹는 것은 금지된다.
Kosher 및 Halal 방법과의 비교
두 방법 모두 날카로운 칼을 사용한다.기관, 식도, 경동맥, 경동맥, 경정맥 및 미주신경을 절단하는 신속하고 중단 없는 절개 1회에 의해 동물을 도살하고, 그 후 동물의 혈액이 [10][11]배출되는 기간으로 한다.Jhatka 방법은 빠르고 끊김 없는 칼자국이 머리와 [10][11]척추를 갈라놓습니다.세키타와 다비하에서는 도살 과정을 시작할 때 신에게 기도하는 것이 요구됩니다.세키타에서는 여러 마리의 동물을 도살하는데 한 번의 기도로 충분합니다.다비하에서는 각 동물이 [11]도살되기 전에 별도의 기도가 필요합니다.
Jhatka 이외의 제품에 대한 용어
코셰르나 할랄과 같은 수단에 의한 도축은 jhatka의 요건을 충족하지 않으며, 그 생산물은 kutha meat라고 불린다.- 기권은 Rehat Maryada(시크어 행동 [12][13][14][15]강령)에 따라 시크교도들이 개시된 Khalsa 또는 sahjdhari가 되어야 하는 요건 중 하나이다.
시크교에서, 비짜트카나 쿠타 제품에 대한 세 가지 반대가 있다: 첫 번째는 신의 이름으로 동물을 제물로 바치는 것이 의식이고 피해야 할 것이라는 믿음이고, 두 번째는 느린 출혈 방법으로 동물을 죽이는 것이 비인간적이라는 믿음이고, 세 번째는 이슬람 통치자의 권리에 대한 역사적인 반대이다.비이슬람교도에게 [16]관행을 강요하는 것.하지만,[17] 쿠타 고기는 할랄이나 코셰르 고기뿐만 아니라 힌두교에서 의식적으로 도축된 동물의 고기를 포함하여 천천히 피를 흘리거나 동물의 종교적 제물로 인식된 고기를 포함한다.
예의상 식사 기피
시크교도들은 또한 힌두교도들의 감정을 고려해서 그리고 또한 소, 버팔로 그리고 소가 시크교 지방의 [18][19]생계에 필수적인 부분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쇠고기 섭취를 피한다.비슷하게, 그들은 이슬람교도들과 함께 있을 때 돼지고기를 먹는 것을 피한다.하지만, 소고기와 [18]돼지고기를 먹는 것에 대한 종교적인 금지는 없습니다.
유용성
아즈메르(인도 라자스탄)에는 많은 jhatka 숍이 있으며, 다양한 내규에 따라 jhatka [20]고기를 판매한다는 것을 명시해야 한다.
반면 할랄 고기를 파는 가게에는 마크를 붙이는 규정이 없다.
과거에는 영국에서는 jhatka 고기를 거의 구할 수 없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jhatka를 [22]더 널리 사용할 수 있게 [21]되었지만 다른 종류의 고기를 먹는 것을 발견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독일 Koeln University, jhaTiti 산스크리트 영어사전; 동일한 정의는 Monier Williams 산스크리트 영어사전 및 Apte 어원과 사전에 있습니다.
- ^ a b 폴 Fieldhouse(2017년).음식, Feasts, 그리고 믿음:백과 사전 식품 문화 세계 Religions니다.ABC-CLIO.를 대신하여 서명함. 30–31.아이 에스비엔 978-1-61069-412-4., 이렇게 말했지"Jhatka는 산스크리트어jhatiti 의미에서 나온다"at once"학살을 한끼니가 증가 급속한 놈 혹은 머리기 위해 동물에 고통 받고 최소의 양을 생산할 것으로 생각된다, 것도 방법.(...)이슬람의 경우와는 달리, 그 살인을 동반한다. 어떤 종교적 의식이 있다.".
- ^ HS Singha (2009), Sikhism: 완전한 소개, Hemkunt Press, ISBN 978-8170102458, 81-82 페이지
- ^ a b Skoda, Uwe; Lettmann, Birgit (October 30, 2017). India and Its Visual Cultures: Community, Class and Gender in a Symbolic Landscape. SAGE Publishing India. ISBN 9789386446695 – via Google Books.
- ^ Chandar, Y. Udaya (2020-02-25). The Strange Compatriots for Over a Thousand Years. Notion Press. ISBN 978-1-64760-859-0.
- ^ Singh, I. J., Sikhs, Sikhism ISBN 81-7304-058-3 "그리고 시크교 행동 강령에서 명백히 거부된 셈족의 관습 중 하나는 의식적으로 요리된 동물의 살을 먹는 것이다; 이것은 고분고분하고 할랄한 고기를 의미할 것이다.그 이유는 다시 종교적 교의에 있는 것이 아니라 기도로 동물을 죽이는 것이 육체를 고귀하게 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에 있다.어떤 의식도, 누가 하든지 간에, 동물에게도, 식당에도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배고픔을 달래기 위해 인간이 해야 할 일을 하게 하라.만약 그가 얻은 것을 유용하게 쓰고, 가난한 사람들과 공유한다면, 그것은 잘 쓰이고 잘 쓰이고, 잘 쓰이고, 그렇지 않으면 그렇지 않다.
- ^ H.S.의 시크교 미니 백과사전싱하, 델리 헴쿤트 프레스입니다ISBN 81-7010-200-6 "구루스의 실천은 불확실하다.구루 나나크는 브라만족에 대한 비난을 불러일으킨 쿠룩셰트라에서 그가 요리한 다른 자남사키 버전의 음식에 따라 사슴고기와 염소를 먹은 것으로 보인다.구루 아마르다스는 쌀과 렌즈콩만 먹었지만, 이 금주를 채식주의의 증거로 볼 수는 없고, 단지 소박한 삶을 살고 있다.구루 고빈드 싱도 고기를 먹는 것은 허용했지만 이슬람식인 할랄 고기는 절대 안 된다고 규정했습니다.
- ^ a b "차우니의 가장 특별한 행사는 열흘 동안 열리는 디왈리 축제입니다. 이곳은 암리차르에서 마하 프라사드(고기)가 랑가르에서 특별한 행사에 봉납되는 유일한 시크교 성지다.", The Sikh Review, 제35권, 제409호 - 제36권, 제420호, 1988년 시크교 문화센터
- ^ Spirit, Khalsa. "Khalsa Rehat". KhalsaSpirit.com. KhalsaSpirit.com. Retrieved 13 March 2016.
- ^ a b Neville Gregory and Temple Grandin (2007), 동물복지와 육류생산, CABI, ISBN 978-1845932152, 207-208페이지
- ^ a b c Amy J Fitzgerald (2015), Animals as Food, 미시간 주립 대학 출판부, ISBN 978-1611861747
- ^ Opinderjit Kaur Takhar (2016). Sikh Identity: An Exploration of Groups Among Sikhs. Taylor & Francis. pp. 38–39. ISBN 978-1-351-90010-2.
- ^ Karen Pechilis; Selva J. Raj (2013). South Asian Religions: Tradition and Today. Routledge. p. 242. ISBN 978-0-415-44851-2.
The Sikh Rahit Maryada forbids hair cutting, adultery, the use of intoxicants, and the eating of kutha meat, or meat of an animal or fowl slaughtered slowly.
- ^ Pashaura 싱(2013년).카렌 Pechilis, 셀바 라지(eds.).남 아시아 Religions:전통과 오늘날.라우 틀리지. 우편 242.아이 에스비엔 978-0-415-44851-2., 이렇게 말했지"이 시크교도 Rahit Maryada 머리 자르기, 간통, 곡차의 사용, 그리고 Kutha은 고기를 먹는, 무슬림 이슬람 공인 육류, 동물들의 느린 출혈이나 종교적 희생을 통해서 얻어지는 것을 금하는".
- ^ Jamie S. Scott (2012). The Religions of Canadian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p. 320. ISBN 978-1-4426-0516-9.
- ^ Singha, Dr. H.S. (30 May 2009). "7 Sikh Traditions and Customs". Sikhism: A Complete Introduction. Sikh Studies. Vol. Book 7 (Paperback ed.). New Delhi: Hemkunt Press. p. 81. ISBN 978-81-7010-245-8. Retrieved 25 November 2010.
- ^ Aditya Menon (14 May 2020). "Why Hindutva Outfits Are Calling for a Boycott of Halal Products". The Quint. Retrieved 23 October 2021.
- ^ a b Rait, S.K. (2005). Sikh Women in England: Their Religious and Cultural Beliefs and Social Practices. Trentham Books. p. 62. ISBN 9781858563534.
- ^ Arvind-Pal Singh Mandair (2013). Sikhism: A Guide for the Perplexed. Bloomsbury Academic. pp. 171–172. ISBN 978-1-4411-0231-7.
- ^ 주문 번호 Tax/F.15(25) DLB/63이 정부에 공표되었습니다.1965년 2월 13일 공보 (6부)
- ^ 영국의 시크교 여성: 그들의 종교적, 문화적 신념과 사회적 실천 S. K. Rait, 63페이지 Trentham Books, 2005 ISBN 1-85856-353-4
- ^ 식품의 안전과 품질 보증: 윌리엄 T.의 동물 유래 식품.Hubbert, 254페이지, Wiley-Blackwell, 1996년 ISBN 0-8138-0714-X
외부 링크
- 시크교 정체성의 정치: 종교적 배제의 이해, Paramjit S. Judge and Manjit Kaur (2010)
- 염소의 희생과 사합 신화
- 시크교 학자의 다이어트 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