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크교의 역사
History of Sikhism다음에 대한 시리즈 일부 |
시크교 |
---|
![]() |
시크교는 구루 고빈드 싱 지에 의해 만들어졌다. 그는 인도 아대륙 북부 펀자브 지역에서 17세기 10번째 구루였다. 신앙의 실천은 1699년 4월 13일 구루 고빈드 싱 지에 의해 공식화되었다.[1] 후자는 인도의 여러 지역에서 온 시크교도 5명에게 세례를 주었고, 칼사(ਖ਼ਲਲਾ)를 형성할 수 있는 사회적 배경이 달랐다. 처음 다섯 명인 퓨어 원스는 그 후 고빈드 싱지에게 세례를 주고 칼사 접안에 들어갔다.[2] 이것은 약 300년의 역사인 Khalsa의 질서를 부여한다.
시크교의 역사는 펀자브의 역사와 16세기 인도 아대륙 북서부의 사회정치적 상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무굴 황제 자한기르 (1605년–1627년)r에 의한 인도의 통치로부터, 시크교는 무굴의 정치적 계승에 영향을 미치면서 이슬람의 성도들을 소중히 하고 있었기 때문에 무굴의 법과 충돌하게 되었다. 무굴 통치자들은 그들의 명령에 복종하지 않고,[3] 시크교도들의 박해에 반대한다는 이유로 많은 저명한 시크교도들을 죽였다.[4] 총 10명의 시크교도 gurus,[5][6][7][8][9]두 전문가들 중에서 자신과 여러 전문가들의(구루 Arjan 데브와 구루 Tegh의 바하두르)[10][11]과 가까운 친척이 실행된 잔인하게 시크교의 수많은 다른 중요한 존경 받는 인물들과 죽은 반 장관은( 같은 고문을 당했고와 함께( 같은 7, 그리고 아홉살짜리 아들의 지도자 싱)[12][13]을 죽였다 고문당했다.다 바하두르(1716년), Bhai Mati D.그들의 명령을 거부하고 [3][5][13][12]시크교도와 힌두교의 박해를 반대하여 무굴의 통치자들이 지은,[9][12][13] Bhai Sati Das와 Bhai Dayala는 다음과 같다.[4][11][6][9] 그 후, 시크교는 무굴 패권에 반대하기 위해 군국화했다. 마하라자 란지트 싱(. 1792년–1839년)r 통치하의 실족과 시크 제국 치하의 시크 연합군의 등장은 권력의 위치에 있는 기독교인, 무슬림, 힌두교도와 함께 종교적 관용과 다원주의가 특징이었다. 1799년 시크 제국의 성립은 일반적으로 정치권에서 시크교의 절정으로 여겨지는데,[14] 그 존재 기간(1799년 ~ 1849년)에 시크 제국은 카슈미르, 라다크, 페샤와르를 포함하게 되었다. 많은 이슬람교와 힌두교 농민들이 시크교로 개종했다.[15] 1825년부터 1837년까지 북서 프론티어를 따라 있는 시크 군의 총사령관 하리 싱 날와는 시크 제국의 경계선을 카이버 고개 바로 입구로 가져갔다. 시크 제국의 세속적인 행정부는 혁신적인 군사, 경제, 정부 개혁을 통합했다.
타라 싱 사부님이 이끄는 칼사 드완 서장과 시로마니 아칼리 달 등 시크교도 단체들은 파키스탄이 탄생할 가능성을 박해를 불러오는 것으로 보고 인도의 칸막이에 강력히 반대했다.[16] 1947년 인도의 분할에 이르는 몇 달 동안 시크교도와 이슬람교도의 펀자브에서는 웨스트 펀자브에서 펀자비 시크교도와 힌두교도의 효과적인 종교적 이주를 목격하고 이스트 펀자브에서 펀자비 무슬림들의 유사한 종교적 이주를 미러링한 많은 분쟁이 있었다. 현재 시크교도의 대다수는 인도의 펀자브 주에 살고 있다.
얼리 모던 (1469 CE –1708 CE)
구루나낙 데브

식히즘의 창시자인 구루 나낙 데브(1469–1539)는 현재 라호르 근방의 난카나 사이브로 불리는 탈완디 마을의 메흐타 칼루와 마타 트립타에서 태어났다.[17] 메타 칼루라는 이름의 그의 아버지는 정부의 토지 수익 회계사 팻와리였다. 나낙의 어머니는 마타 트립타(Mata Tripta)였고, 그에게는 누나 비비난키(Bibi Nanki)가 한 명 있었다.
구루나낙 데브 지는 어려서부터 의문과 탐구심을 갖게 된 것 같았고, 어린 시절에는 제뉴라고 불리는 의식주의적인 '성스러운' 실을 입는 것을 거부했으며, 대신 그 실이 부러지거나 더럽혀지거나 타거나 잃어버릴 수도 있는 실이 어떤 안전장치도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신의 본명을 마음 속에 보호장치로 쓰겠다고 말했다. 모두. 어린 시절부터 비비난키는 오빠에게서 신의 빛을 보았지만 그녀는 이 비밀을 누구에게도 밝히지 않았다. 구루나낙의 첫 제자로 알려져 있다.
소년 시절에도 삶의 신비를 탐구하려는 욕망은 결국 그를 집을 떠나게 했다. 나낙은 바탈라 출신의 무역업자 몰찬드 초나의 딸 술라크니와 결혼하여 두 아들을 두었다.
누이 난키의 남편인 처남 재람은 술탄푸르에서 관작 곡창의 지배인으로 취직했다. 스물여덟 살이 되던 어느 날 아침, 구루 나낙 데브는 여느 때처럼 강가로 내려가 목욕을 하고 명상을 했다. 사흘 동안 자리를 비웠다고 한다. 그가 다시 나타났을 때, 그는 "하나님의 영으로 가득 찼다"고 한다. 그가 재등장하고 나서 처음 한 말은 "힌두교도 없고, 이슬람교도도 없다"는 것이었다. 이 세속적인 원칙을 가지고 그는 선교 활동을 시작했다.[18] 그는 수천 킬로미터에 이르는 우다시스라고 불리는 4개의 다른 방향으로 뚜렷이 구별되는 4개의 주요 여행을 하면서 신의 메시지를 설교했다.[17]
구루 나낙은 랑가르 무료 복음식이 있는 카르타르푸르에서 생애 마지막 해를 보냈다. 그 음식은 힌두교도들, 부자, 가난한 사람들, 높은 카스트와 소위 낮은 카스트에 의해 나누어 질 것이다. 구루나낙은 밭일을 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새로운 시크 구루(Sikh Guru)로 바이 레나를 임명한 후, 1539년 9월 22일 70세의 나이로 구루 나낙이 세상을 떠났다.
구루 앙가드 데브

1538년 구루 나낙은 그의 아들 중 한 명이 아니라 그의 제자 레나(Lehna)를 구루십의 후계자로 선택했다.[18] 바이 레나는 구루 앙가드(Guru Angad)로 명명되어 구루 나낙의 후계자가 되었다. 바이 레나는 1504년 3월 31일 펀자브 페로제푸르 지구의 하리케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는 페루라는 작은 무역업자의 아들이었다. 그의 어머니의 이름은 마타 라모(마타 사비라이, 만사 데비, 다야 카우르라고도 한다)이다. 바바 나라얀 다스 트레한은 그의 조부였는데, 그의 조상은 묵차르 근처 마테디사라이에 있었다.
어머니의 영향으로 바이 레나는 두르가(힌두교의 여신)를 숭배하기 시작했다. 그는 매년 힌두교 신도들을 이끌고 자왈라무크히 사원으로 가곤 했다. 1520년 1월 마타 기비와 결혼하여 아들 2명(다수와 다투), 딸 2명(암로와 아노키)을 두었다. 바부르 황제와 함께 온 무굴과 발로치 군대의 난투극 때문에 페루 집안 전체가 조상의 마을을 떠나야 했다. 이후 가족들은 암리차르 시에서 약 25km 떨어진 소도시 타른 타란사히브 인근 베아스 강변의 카두르사히브 마을에 정착했다.
어느 날, 바이 레나는 카두르 사이브에 있던 바이조다(구루 나낙 사이브의 식)로부터 구루 나낙의 찬송가 낭송을 들었다. 그는 감격하여 카르타르푸르로 가서 구루 나낙과 함께 청중(다르산)을 두기로 했다. 그래서 매년 즈왈라무크히 사원을 순례하는 동안, 바하 레흐나는 카르타르푸르를 방문하여 바바 나낙을 보기 위한 여정을 떠났다. 구루나낙과의 첫 만남이 그를 완전히 변화시켰다. 그는 힌두 여신 예배를 포기하고 구루 나낙의 예배에 전념하여 그의 제자(그의 시크)가 되었고, 카르타르푸르에서 살기 시작했다.
구루나낙에 대한 헌신과 봉사(세와)와 그의 거룩한 사명이 대단하여 1539년 9월 7일 구루나낙에 의해 제2나악으로 책봉되었다. 일찍이 구루 나낙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그를 시험하여 그에게서 순종과 봉사의 구현을 찾아냈다. 그는 카르타르푸르에서 구루나낙을 섬기며 6, 7년을 보냈다.
구루 나낙이 1539년 9월 22일 세상을 떠나자 구루 앙가드는 카르타르푸르를 떠나 하두르 사이브 마을(고인드왈 사이브 인근)으로 향했다. 그는 구루나낙의 원리를 문자와 정신으로 모두 계승했다. 각기 다른 종파의 요기스와 성도들이 그를 찾아 그와 함께 식히즘에 대한 자세한 논의를 가졌다.
구루 앙가드는 구르무키 문자라고 알려진 새로운 알파벳을 도입하여 옛 푼자비 문자들을 수정하였다. 곧, 이 대본은 매우 유명해졌고, 일반 대중들이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는 많은 학교를 개교하여 아이들의 교육에 큰 관심을 가져 문맹자를 늘렸다. 청년들을 위해 그는 정신적 운동은 물론 육체적 운동까지 하는 몰 아카라의 전통을 시작했다. 그는 바이발라로부터 구루나낙의 생애에 관한 사실을 수집하여 구루나낙의 첫 전기를 썼다. 구루 그란트 사히브에 포함된 살로크(스탠자스) 63편도 썼다. 구루나낙이 시작한 구루카 랑가르 제도를 대중화하고 확장했다.
구루 앙가드는 널리 여행했고 구루 나낙이 시크교도의 설교를 위해 설립한 모든 중요한 종교 장소와 센터를 방문했다. 그는 또한 수백 개의 새로운 식히즘 센터(식 종교 기관)를 설립하여 식히즘의 저변을 강화하였다. 그의 구루시즘은 가장 결정적인 시기였다. 시크교 공동체는 창립자를 갖는 것에서 구루스의 계승자로 옮겨갔고 시크교 사회의 기반시설은 강화되고 결정화되었다. 유아기에서 시크교는 어린 아이로 옮겨갔고, 주변에 있는 위험에 직면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
구루 아마르 다스

구루 아마르 다스는 1552년 73세의 나이로 세 번째 시크 구루가 되었다. 곤드왈은 구루 아마르 다스의 구루십 시대에 시크교의 중요한 중심지가 되었다. 그는 계속해서 여성의 평등의 원칙, 사티의 금지와 랑가르의 실천을 설파했다.[19] 1567년, 아크바르 황제는 랑가르를 두기 위해 펀자브의 평범하고 가난한 사람들과 함께 앉았다. 구루 아마르 다스도 140명의 사도들을 훈련시켰는데, 이 중 52명이 여성이었다.[20] 1574년 95세의 나이로 사망하기 전에 사위 제타를 제4대 시크 구루로 임명하였다.
시크교도가 되기 전 바이샤나브 다스는 당시 알려진 대로 독실한 힌두교의 모든 의식 순례와 금식을 수행하며 일생의 대부분을 보낸 매우 종교적인 바이샤나브 힌두교인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어느 날, Bhai Amar Das는 제2의 시크 구루인 Guru Angad의 딸인 Bibi Amro Ji가 부르는 구루 나낙의 찬송가를 들었다. 비비 암로는 바이사히브의 형인 바이 마낙 찬드의 아들과 결혼하여 바이 자소라고 불렸다. 바이사히브는 이들 샤바드에 감명을 받고 감동한 나머지 즉시 하두르사히브에 있는 구루 앙가드를 만나러 가기로 했다. 이 행사는 Bhai Saibh가 61세일 때 일어났다고 기록되어 있다.
1535년 구루 앙가드를 만나자 바이사히브는 구루의 메시지에 감동하여 독실한 시크교도가 되었다. 곧 구루와 공동체에 세와(서비스)에 관여하게 되었다. 구루 앙가드와 구루스의 가르침 아래 바이 아마르 다스는 독실한 시크교도가 되었다. 구루를 자신의 영적 안내자(구루)로 삼았다. 바이사히브는 카두르 사이브에서 살기 시작했는데, 그곳에서 아침 일찍 일어나 구루의 목욕을 위해 비아스 강에서 물을 길어 오곤 했다. 그는 구루의 옷을 빨고 '구루 카랑가르'를 위해 정글에서 나무를 가져오곤 했다. 그는 세와 구루에게 너무나 헌신적이었고 자존심을 완전히 소멸시켰으며 이 헌신으로 완전히 상실되어 생명에 관심이 없는 노인으로 여겨졌고, 암루(Amru)라 불렸으며, 일반적으로 버림받았다.
그러나 식히 원리에 대한 바이 사이브의 헌신과 헌신적인 봉사, 시크 대의에 대한 헌신의 결과, 구루 앙가드 사이브는 1552년 3월 73세의 나이로 구루 아마르 다스 사이브를 제3의 나낙으로 임명하였다. 구루 앙가드가 세운 새로 지은 고인왈에 본부를 세웠다.
곧 많은 시크교도들이 새로운 구루를 보기 위해 고인왈로 몰려들기 시작했다. 여기서 구루 아마르 다스(Guru Amar Das)는 시크교 신앙을 왕성하고 체계적이며 계획적인 태도로 전파했다. 그는 시크산가트 지역을 22개의 설교 센터 또는 만지스로 나누었는데, 각각은 독실한 시크교도의 책임하에 있었다. 그 자신이 직접 방문해 시크교 선교사를 인도 각지로 파견해 시크교를 전파했다.
구루 아마르 다스(Guru Amar Das)는 보이 구르다스의 힌디와 산스크리트어(Sanskritt)에 대한 철저한 지식과 힌두교 경전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구루 아마르 다스(Guru Amar Das)는 마산드를 전국으로 내보내는 전통에 따라 보이 구르다스를 아그라에 귀속시켜 식히즘의 복음을 전파하였다. 구루 아마르 다스는 떠나기 전에 시크교도들에게 다음과 같은 루틴을 처방했다.
참 구루의 시크교라고 자칭하는 자는 아침에 일어나 기도를 드려야 한다. 그는 이른 시간에 일어나 성스러운 탱크에서 목욕을 해야 한다. 구루의 조언대로 하나님을 명상해야 한다. 그리고 그에게 죄와 악에 대한 괴로움을 없애라. 날이 밝으면 경전을 읊고, 모든 활동에서 하나님의 이름을 되풀이해야 한다. 구루가 친절하게 데려가는 사람이 길을 안내한다. 나낙! 나는 구루의 시크교인의 발에 있는 먼지를 구하여 하나님을 기억하고 다른 사람이 하나님을 기억하게 한다.(가우리)
구루지는 '구루 카 랑가르'의 전통을 강화하고 '펠레 팡가트 피르 상가트'(먼저 랑가르를 방문하고 구루로 간다)면서 구루 방문객에게 먼저 식사를 의무화했다. 일단 황제 악바르가 구루사히브를 만나러 왔고 그는 구루사히브와 인터뷰를 하기 전에 랑가르에 있는 거친 쌀을 먹어야 했다. 그는 이 제도에 깊은 감명을 받아 '구루 카랑가르'를 위해 왕실의 재산을 어느 정도 부여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으나 구루 사히브는 존경의 표시로 이를 거절했다.
그는 새로운 출생, 결혼, 그리고 죽음의 의식을 소개했다. 이에 그는 여성의 지위를 높였고, 살해된 여성 영아들이 아무런 신분도 없다고 판단되어 의심의 여지없이 권리를 보호했다. 이러한 가르침은 정교회 힌두교도의 완강한 저항에 부딪혔다.
구루 아마르 다스(Guru Amar Das)는 그들의 카스트에 관계없는 사람들의 평등을 설파했을 뿐만 아니라 여성 평등 사상을 육성했다. 그는 사티(남편의 장송이에 불타는 힌두교 아내)의 관행에 강력히 반대했다. 구루 아마르 다스 역시 젊은 과부가 평생 미혼으로 남아 있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겼다.
구루 아마르 다스(Guru Amar Das)는 고인달사히브에 84보의 '바올리(Baoli)'를 건설하여 시크교 사상 처음으로 시크교 순례지로 만들었다. 그는 구루나낙과 구루안가드의 찬송가를 더 많이 복제했다. 또한 그는 아난드 사이브를 포함한 869(일부 연대기에 따르면 이것들은 709년)의 시(스탠자스)를 작곡했고, 이후 구루 아르잔(5번째 구루)에서는 모든 샤바드를 구루 그란트 사이브의 일부로 만들었다.
구루의 어린 딸 비비 바니가 결혼할 때가 되자 라호르에서 온 예타라는 이름의 경건하고 부지런한 젊은 추종자를 골랐다. 제타는 라호르에서 온 순례자 일행과 함께 구루를 찾아왔으며 구루의 가르침에 매혹되어 고인왈에 정착하기로 마음먹었다. 이곳에서 그는 삶은 병아리를 파는 생계를 꾸렸고, 여가 시간에 구루 아마르 다스의 봉사에 정기적으로 참석하곤 했다.
구루 아마르 다스는 자신의 아들 중 누구도 구루십에 적합하다고 생각하지 않고 대신 사위(구루) 람 다스를 후계자로 선택했다. 구루 아마르 다스 사이브는 95세의 나이로 1574년 9월 1일, 구루 람 다스 제4나막에게 구루십의 책임을 전가한 후 암리차르 지방 고인드왈에서 사망하였다.
구루 람 다스
구루 람 다스(펀자비: ਗੁੂੂਮ))))) (1534년 9월 24일 파키스탄 펀자브 라호르에서 출생, 1581년 9월 1일, 암리차르 펀자브 인도)는 시크교 10구루 중 4번째였으며, 구루 아마르 다스의 뒤를 이어 1574년 8월 30일 구루가 되었다. 그는 라호르에서 카트리족의 소디 가문 출신이다. 아버지는 하리 다스와 어머니 아놉 데비(Anup Devi)이며, 이름은 '처음 태어난 것'이라는 뜻의 제타(Jetha)이다. 그의 아내는 시크교도들의 세 번째 구루인 구루 아마르 다스의 작은 딸인 비비 바니였다. 그들에게는 프리티 찬드, 마한 데브, 아르잔 데브라는 세 아들이 있었다.[citation needed]
구루로서 식히즘에 대한 그의 주된 공헌 중 하나는 식사회 구조를 조직하는 것이었다. 덧붙여 그는 결혼 의식의 찬송가 라바의 저자, 하르만디르 사이브의 설계자, 람다스푸르(나머지 암리차르) 마을의 기획자 겸 창작자였다.[citation needed]
구루 그란트 사히브 305 앙의 구루 람 다스의 찬송가: "자신을 참 구루의 식이라고 부르는 자는 아침 일찍 일어나 주의 이름을 명상하라. 양면 수영장에서 정기적으로 세척, 목욕 및 담그기를 하십시오. 구루의 지시에 따라 하르를 부르고, 하르를 노래하며, 모든 악행과 죄와 고통이 사라지게 하였다.
구루 람 다스는 시크교도들의 다음 구루로 막내아들 구루 아르잔(Guru Arjan)을 지명했다.
구루 아르잔 데브

1581년 네 번째 구루의 막내아들 구루 아르잔은 시크교도들의 다섯 번째 구루가 되었다. 황금사원 건립을 책임지는 것 외에도 구루 그란스 사히브에 2000여 곡의 찬송가를 친히 증정하여 시크 신성한 본문을 준비하였다. 그는 가장 많은 찬송가를 편찬하고 작곡했다. 그는 셰이크 패리드, 산트 카비르, 바갓 남데브, 바이 마르다나 등 수피 세인츠, 바가트, 바트, 구르시크 등의 구르시크 구르기도 했다.
1604년 그는 시크교도의 성서로서 처음으로 아디 그란트를 설치하였다. 그는 제한기르의 아들에게 랑게르를 주고, 그의 아들인 후스라우가 제한기르에게 반기를 든다는 말을 듣게 했기 때문에 샤히단-데-사라지 또는 순교자 왕관으로 알려져 있다. 구루 아르잔 데브 지 씨는 선택권이 주어졌을 때 이슬람으로 개종하는 것을 거부했다.[18]
구루하고빈드사이브지

구루 하고빈드는 시크교도들의 여섯 번째 구루가 되었다. 그는 영적인 이유와 일시적(세계적인) 이유 때문에 검을 두 자루 들고 다녔다.[21][self-published source] 이때부터 시크교도들은 군사력이 되었고 항상 그들의 독립을 지키기 위해 훈련된 전투력을 가지고 있었다.
구루 하고빈드는 아칼 타흐트 앞 아칼 분가에 니시안 사히브 2대를 고정시켰다. 한 기는 하르만디르 사히브 쪽으로, 다른 한 기는 아칼 타흐트를 향해 있다. 첫째는 영적 권위의 고삐를 나타내고, 후자는 시간적 권력이 영적 권위의 고삐 아래에 있어야 한다는 시간적 힘을 나타낸다.
구루하라이

구루하라이(펀자비: ਗੁੂੂ))))))(1630년 2월 26일 ~ 1661년 10월 6일)는 식히즘의 열 구루 중 일곱 번째로, 여섯 번째 구루였던 할아버지 구루 하 고빈드의 뒤를 이어 1644년 3월 8일에 구루가 되었다. 구루 하라이가 죽기 전, 시크교도들의 다음 구루로 막내아들 구루 하 크리샨을 지명했다.
아주 어린 아이였을 때, 그는 지나가는 길에 자신의 가운에 의해 훼손된 꽃의 고통에 의해 방해를 받았다. 그런 감정이 아이들에게 흔하지만 구루 하라이는 평생 동안 삶과 생물에 대한 연민으로 주목받곤 했다. 열렬한 사냥꾼으로 유명했던 그의 할아버지는 호랑이의 공격 중에 모굴황제 자한기르의 목숨을 구했다고 한다. 구루 하라이는 31세까지 사냥을 계속했고, 구루는 할아버지의 전통을 따랐지만, 어떤 동물도 그의 웅장한 시카르족에게 죽이지 못하게 했다. 구루는 대신 그 동물을 잡아 자신의 동물원에 추가했다. 그는 펀자브의 말라와 도아바 지역을 여러 번 여행했다.
구루 나낙의 시(미티 무살마안 키 파에라이 쿠미하르)에서 한 줄에 걸쳐 아우랑제브의 우려를 달래려는 그의 아들 람 라이는 무살만이라는 말이 카피스트 측의 실수임을 시사하여 바니를 왜곡시켰다. 구루는 그와 다시 만나기를 거부했다. 구루는 "람라이, 너는 나의 명령을 어기고 죄를 지었구나. 당신의 외도 때문에 다시는 당신을 만나지 못할 겁니다." 또한 람라이가 아버지의 직접 지시에 반대하여 무굴의 궁중에서도 기적을 행했다는 사실도 구루에게 보고되었다. 시크교도들은 구루스에 의해 마법과 신화나 기적을 믿지 않을 수 밖에 없게 된다. 31세의 나이로 죽기 직전 구루하라이는 나낙의 갓디(Gaddi)를 다섯 살 어린 아들 구루하 크리슈안에게 물려주었다.
구루 하라이는 바바 구르디타와 마타 니할 카우르(마타 아난티 지라고도 한다)의 아들이었다. 바바 구르디타는 여섯 번째 구루인 구루 하르고빈드의 아들이었다. 구루 하라이는 삼바트 1697년 우타르 프라데시(Bulandshahr)의 스리 다야 람(Sri Daya Ram)의 딸 마타 키산 카우르(Sulakhni라고도 한다)와 결혼했다. 구루하라이에게는 바바 람라이와 스리하 크리슈안이라는 두 아들이 있었다.
구루하라이는 평화로운 사람이었지만 일찍이 할아버지 구루하르고빈드에 의해 유지되었던 무장한 시크 전사(성병)를 해체한 적은 없었다. 그는 언제나 시크교도들의 군사정신을 고양시켰지만, 현대 무굴 제국과 어떤 직접적인 정치, 무장 논쟁에도 결코 빠져들지 않았다. 한번은 다라 시코(샤 자한 천황의 장남)가 구루하라이에 와서 동생인 오랑제브와 후계 전쟁에서 도움을 청한 적이 있다. 구루는 할아버지에게 시크 기병대를 방어용으로만 쓰겠다고 약속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라 시코가 탈출할 때 사용하는 강 건널목에 있는 나룻배들을 자신의 시크 전사들이 모두 숨기도록 함으로써 오랑제브의 피비린내 나는 손에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도왔다.
구루하르 크리슈안
키라트 푸르, 로파르(펀자비: ਗੁੂੂਿ)))))) (1656년 7월 7일 ~ 1664년 3월 30일)는 식히즘의 10구루 중 여덟 번째로 아버지 구루하라이의 뒤를 이어 1661년 10월 7일 구루가 되었다. 하 크리슈안이 천연두 합병증으로 사망하기 전에, 그는 그의 손자인 구루 테그 바아두르를 시크교도들의 다음 구루로 지명했다. 다음은 그의 짧은 생애의 주요 하이라이트를 요약한 것이다.
스리 구루 하르크리산 지씨는 감성과 관대함, 용기의 대명사였다. 어릴 때부터 유명한 사건이 있다. 펀자브에서 델리로 가는 길에 판조카라 마을에서 랄 찬드라고 불리는 거만한 브라만 푼디트를 만났다. 펀디트는 크리슈나 경의 이름과 비슷하니 게타에서 살로카스를 암송해 달라고 부탁했다. 구루지는 차주 메흐라라는 벙어리 사람을 초대하여 그의 머리 위에 지팡이를 올려놓았다. 그는 즉시 Geeta에서 온 살로카를 해석하기 시작했다. 주위의 모든 사람들이 놀라서 입을 다물었다. 랄 챈드의 오만함도 산산조각이 나서 구루지의 용서를 구했다.
하 크리슈안이 델리에 머물렀을 때 천연두가 유행했고 많은 사람들이 죽고 있었다. 하 크리슈안의 축복을 받은 시크 역사에 따르면, 방글라사히브의 호수는 수천 명의 치료제를 제공했다. 구르드와라 방글라 사히브는 구루의 기억 속에 건설되었다. 이곳은 그가 델리를 방문하는 동안 머물렀던 곳이다. 구르드와라 발라 사이브는 야무나 강의 둑을 제외한 남부 델리 지역에 세워졌으며, 하르 크리슈안은 약 7년 8개월의 나이로 화장되었다. 구루하르 크리슈안은 겨우 7살의 최연소 구루였다. 그는 구르바니에게 어떤 기여도 하지 않았다.
구루 테그 바하두르
구루 테그 바하두르는 시크 구루스의 아홉 번째였다. 8시크 구루 구루 구루 하 크리산, 그가 죽기 전에 그의 손자인 그를 다음 구루로 지명했다. 구루 테그 바하두르는 사실 6대 시크 구루 구루 구루 구루 하고빈드의 아들이었다.
그는 힌두교도들을 보호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했다. 오룽제브는 힌두교도를 강제로 이슬람교도로 개종시키고 있었다. 카슈미르에서 온 힌두교도들은 보호를 위해 구루 테그 바하두르로 와서 지원을 요청했다. 구루는 그들에게 오룽제브에게 그가 구루 테그 바하두르를 이슬람으로 개종할 수 있다면 그들 모두는 이슬람교도가 될 것이라고 말해달라고 부탁했다. 그는 무굴 황제 오룽제브로부터 보수적인 나크슈반디 성직자들의 강압에 의해 이슬람으로 개종하거나 자신을 희생하라는 요청을 받았다. 그가 죽은 정확한 장소는 델리의 레드 포트(랄 킬라) 앞이며 구르드와라는 시스간지(Sisganj)라고 불린다.[22] 이것이 시크교도의 전환점이 되었다. 그의 후계자인 구루 고빈드 싱은 추종자들을 더욱 무장시켰다.
한편, 그의 동생인 Bhai Sati Das와 함께 Bhai Mati Das는 초기 시크 역사의 순교자였다. 구루 테흐 바하두르의 순교 직전 아우랑제브 황제의 특명 명령에 따라 델리 찬드니 차우크 지역의 코트왈리(경찰역)에서 바이 마티 다스, 바이 다얄라, 바이 사티 다스가 처형되었다. 바이 마티 다스는 두 기둥 사이에 묶여 두 동강 난 채 처형되었다.[23]
샤-아이-센샤 단 구루 고빈드 싱지 (1676년-1708년 CE)
출생과 유년기
구루 고빈드 싱은 시크교도의 열 번째 구루였다. 그는 1666년 파트나(인도 비하르의 수도)에서 태어났다.거기서 기본적인 학교 교육을 했다. 그는 종교 경전과 함께 파트나에서 비하리어를 공부하기도 했다. 그의 삼촌인 Bhai Kripal은 그에게 활쏘기와 검술을 훈련시켰고 곧 그는 훌륭한 명사수가 되었다. 구루 테그 바하두르가 다카(현 방글라데시 수도)에서 파트나로 돌아왔을 때, 그는 다섯 살짜리 아이를 처음 보았고, 그의 신성한 아들에게 키스하고 포옹했다. 구루는 아버지의 영적인 지도 아래 꽃을 피웠지만 구루 테그 바하두르가 파트나를 떠나 아난드푸르로 가야 했기 때문에 수명이 짧았다.
고빈드 라이는 당시 부름을 받았듯이 많은 이슬람교도들을 포함한 파트나에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다. 그 아이는 잠깐이라도 만나는 모든 사람들을 끌어당기는 매력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그가 6살이었을 때 그는 힌디, 마라티, 구루무키를 배웠다. 그는 매우 대담하고 용기 있는 소년이었고, 위대한 인물과 타고난 지도자의 모든 자질을 갖추고 있었다.
라자의 자식이 없는 여왕은 어린 구루 고빈드 싱에게 특별한 애정을 갖게 되었는데, 그녀 역시 여왕의 무릎에 앉기 위해 종종 이곳에 와서 그녀에게 엄청난 기쁨과 정신적 위안을 주었다. 그녀는 차일드 고빈드와 그의 놀이 동료들에게 그의 요구에 따라 삶은 그램과 소금에 절인 그램을 먹였다.
인카슈미르
1675년 인도의 카슈미르에서 온 아난드푸르 사히브는 오랑제브가 이슬람으로 개종하도록 강요하는 것에 대해 구루 테그 바하두르(구루 고빈드 싱의 아버지)에게 간청했다. 구루 테그 바하두르는 그들에게 위인의 순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의 아들 구루 고빈드 싱은 아버지에게 "누가 너보다 더 위대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구루 테그 바하두르는 전문가들에게 오랑제브의 부하들에게 구루 테그 바하두르가 이슬람교도가 된다면 그들 모두가 이슬람교도가 될 것이라고 말하라고 말했다.
파오타나 사이브와 아난드푸르 사이브에 머무르십시오.
구루 테그 바하두르 지의 순교자 구루 고빈드 싱 지(Guru Gobind Singh Ji)가 자파르나마, 우가르단디스, 라키 정글 칼사, 히카야탄, 아칼 우스타트, 잡지 사이브 등 많은 시편과 글자를 만든 후, 이들은 각각 다삼 그란트와 사르블로 그란트에 편입되었다. 그는 그의 생애의 대부분을 아난푸르 사이브에 머물렀고 힌두 힐 치프테인은 그의 부를 시기했다. 그래서 칼루르, 빌라스푸르, 가르활, 그리고 공통 힌두교도들은 그와 싸우기 위해 동맹을 맺었다. 그와 우나 왕국은 동맹을 맺고 방가니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히마찰리 주들은 더욱 더 동맹을 맺었고 여전히 패소했다. 이를 통해 구루지의 영향력과 이 지역에서의 군사력을 알 수 있었다.
무굴-시크 전쟁과 시바다의 죽음
그들은 시린드의 와지르 칸과 라호르의 수베다르와 동맹을 맺었는데, 그들은 여전히 함께 패했고, 어느 날 구루지는 아난푸르 사이브에서 후퇴하기 시작했고, 그는 차가운 사틀루즈 강으로 인해 5살과 9살 된 두 아들과 헤어졌다. 그는 자신의 브라만 요리사인 강구 브라만에게 그들을 돌볼 것을 맡겼지만 와지르 칸에게 팔았다. 그 사이에 오랑제브는 5만 7만 5천 명의 병력을 파견하여 구루지를 공격하였다. 장로들과 42명을 보내어 겨우 1만 7천 명의 무굴을 물리치고 돌아온 후에, 그의 장로들은 용맹과 명예로 전장에서 죽었다. 동생들과 할머니는 형제가 죽은 바로 그 주에 갇혀 있었다. 와지르 칸은 그들이 변절하고 죽지 않으면 그들이 죽음을 택하면 재물을 주겠다고 말했고, 지금까지 사히바다 파테 싱은 세계 역사상 가장 어린 순교자였다. 구루 고빈드 싱 지(Guru Gobind Singh Ji)가 아랑제브에게 승전장을 보내고 그들은 조약을 맺었다. 후에 아우랑제브가 죽고 구루가 라즈푸타나에 있을 때 무함마드 아잠 샤와 바하두르 샤 1세, 구루 고빈드 싱 지 사이에 후계 전쟁이 일어났는데 그의 견해는 세속적인 바하두르 샤 1세의 편을 들었다. 오랑가바드로 가는 도중 그는 폐에 세 차례 찔려 암살자를 죽였다. 그는 3주 더 살아남았지만 후에 그의 상처로 죽었다.
구루 고빈드 싱은 세상을 떠나기 직전에 구루 그란트 사히브(식크 성서)가 시크교도들의 궁극적인 영적 권위가 될 것이며 시간적 권위는 칼사 판스 – 시크 민족에 귀속될 것이라고 명령했다. 최초의 시크 성경은 AD 1604년에 제5구루 구루 아르잔이 편찬하고 편집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초기 구루 중 일부는 그들의 폭로를 문서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신앙의 창시자들이 생전에 편찬한 몇 안 되는 경전 중의 하나이다. 구루 그란트사히브는 구르무크히 대본으로 쓰여 있다는 점에서 특히 성문 중에서도 특이하지만, 푼자비, 힌두스탄, 산스크리트어, 보즈푸리, 아랍어, 페르시아어 등 많은 언어를 포함하고 있다. 시크교도들은 구루 그란트 사히브를 마지막 영구적인 살아있는 구루라고 여긴다.
Keshgarh Saib Gurudwara는 Khalsa의 출생지인 펀자브 아난푸르 사이브에서 태어났다.
제10대 시크 구루인 구루 고빈드 싱에 의해 시작된 칼사 창시.
칼사가 형성된 아난푸르 사이브
후기 근대 (1708-1748 CE)
반다 싱 바하두르
반다 싱 바하두르는 구루 고빈드 싱에 의해 시크교도들을 이끌게 되었다.[24] 우타르프라데시에서 펀자브까지 번진 시크 제국을 세우는 데 성공했다. 그는 무굴국가의 폭정에 맞서 싸웠고 펀자브 평민들에게 용기와 평등, 권리를 주었다.[25][26] 펀자브에 가는 길에, 반다 싱은 강도들과 다른 범죄 요소들을 처벌하여 사람들에게 인기를 끌었다.[27] 반다 싱은 시크교도들을 신앙과 국가의 수호자로 여기게 된 비무슬림인들의 마음에 영감을 주었다.[28] 반다 싱은 군대를 보유하지 않았지만 후캄나마의 구루 고빈드 싱은 펀자브 사람들에게 반다 싱을 타도하고 억압적인 무굴 통치자들과 [29]억압된 무슬림들 그리고 억압된 힌두교도들도 폭군들에 대한 민중 봉기에 동참하도록 요구했다.[30]
반다 싱 바하두르는 거기서 소니파트 부근의 하르코다에 진을 치고, 그 곳에서 소니팟과 카이탈을 점령하였다.[31] 1709년 반다 싱은 억압된 힌두교도와 일반 백성들을 반란을 일으켜 무굴 도시 사마나를 점령하여 약 1만 명의 이슬람교도를 살해하였다.[32][33] 동전의 채굴로 유명한 사마나는 이 금고로 시크교도들은 재정적으로 안정적이 되었다. 시크교도들은 곧 사라스와티 나가르와[34] 사도라(자가드리 근처)를 점령했다.[35] 시크교도들은 그 후 구르함, 카포리, 바누어, 말러코틀라, 나한 등 펀자브의 시스수틀레 지역을 점령했다. 시크교도들은 1710년 시린드를 사로잡아 시린드에서 구루 고빈드 싱의 두 막내아들의 죽음에 책임이 있는 와지르 칸 총독을 살해했다. 시린드 반다 싱의 통치자가 되어 그 땅의 소유권을 농민들에게 주고 품위와 자존심을 지키며 살도록 하라는 명령을 내렸다.[36] 하급 관리들도 그 변화에 만족했다. 인근 마을의 관리인 딘다르 칸은 암리트를 데리고 딘더 싱이 되었고 시린드의 신문작가 미르 나시르우딘이 미르 나시르 싱이[37] 되었다.
반다 싱은 무클리스가르 마을을 개발하여 그의 수도로 삼았다. 그리고 도시 이름을 로하르(철강 짐)로 바꾸었다. 그곳에서 그는 자신의 조폐를 발행했다.[38] 이 동전은 로가르를 묘사했다: "평화의 도시에서, 시민 생활의 아름다움과 복된 왕좌의 장식을 보여준다." 그는 반년 동안 잠시 펀자브에 주를 세웠다. 반다 싱은 시크교도들을 우타르 프라데시 강으로 보냈고 시크교도들은 사하라푸르, 잘랄라바드, 사하라푸르, 그리고 그 밖의 인근 지역들을 점령하여 억압받는 주민들을 구제했다.[39] 잘란다르와 암리차르 지역에서는 시크교도들이 민중의 권리를 위해 싸우기 시작했다. 이들은 새로 확립된 권력을 이용해 부패한 관료들을 제거하고 정직한 관료로 교체했다.[39]
반다 싱은 자신이 활동하던 시기에 자민다리 제도를 폐지하거나 중단시키고 농민들에게 자기 땅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40] 모든 계급의 공무원들이 갈취와 부패에 중독되었고 규제와 질서의 전체 체계가 전복된 것 같다.[41] 지역 전통은 사다우라 인근 사람들이 집주인들의 죄악 관행을 불평하며 반다 싱으로 왔다고 회상한다. 반다 싱은 바즈 싱에게 그들에게 발포하라고 명령했다. 사람들은 그들의 대표에 대한 이상한 대답에 놀라며, 그에게 무슨 뜻인지 물었다. 그는 그들에게 그들이 수천명이 될 때 더 나은 대우를 받을 자격이 없다고 말했다. 그들은 여전히 소수의 자민다르에 의해 겁먹도록 내버려두었다.[42]
라호르 동쪽 펀자브 전체를 둘러싼 시크교도들의 통치는 펀자브의 수도인 델리와 라호르의 통신을 방해했고, 이로 인해 걱정스러운 무굴 황제 바하두르 샤는 라자스탄 반군을 제압하려던 계획을 포기하고 펀자브를 향해 진군했다.[43] 제국군 전체가 조직되어 반다 싱을 무찌르고 죽였다.[44] 모든 장군들은 황제군에 입대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육군 캠프에 시크교 요원이 없도록 하기 위해 1710년 8월 29일 모든 힌두교도에게 수염을 깎으라는 명령이 내려졌다.[45]
반다 싱은 무님 칸의[46] 명을 받은 모갈군이 시린드로 진군할 때 우타르프라데시에 있었고, 반다 싱이 돌아오기 전에는 이미 시린드와 그 주변 지역을 점령한 상태였다. 시크교도들은 마지막 전투를 위해 로하르로 이동했다. 시크교도들은 군대를 물리쳤으나 증원군이 소집되어 6만 명의 병력으로 요새를 포위하였다.[47][48] 굴라브 싱은 반다 싱의 옷을 입고 그 자리에 앉았다.[49] 반다 싱은 밤에 요새를 떠나 언덕과 참바 숲의 비밀 장소로 갔다. 반다 싱을 죽이거나 잡지 못한 군대의 실패는 황제 바하두르 샤를 충격에 빠뜨렸고 1710년 12월 10일 그는 시크교인이 발견된 곳이면 어디든지 그를 살해하라고 명령했다.[50] 황제는 정신적으로 동요되어 1712년 2월 18일에 죽었다.[51]
반다 싱 바하두르는 시크교도들에게 후캄나마스에게 그들 자신을 재편성해서 즉시 그와 합류하라고 말했다.[52] 1711년 시크교도들은 키라트푸르 사이브 근처에 모여 구루 고빈드 싱에 맞서 모든 힐 라하스를 조직하고 그와 전투를 선동하는 책임을 맡고 있는 [53]라자 빔 찬드를 무찔렀다. 빔 챈드가 죽은 후 다른 힐 라하스는 그들의 부하 지위를 받아들이고 반다 싱에게 수입을 지불했다. 바하두르 샤의 네 아들이 무굴 황제 반다[54] 싱 바하두르가 사두라와 로하르를 탈환하는 동안 자살하고 있었다. 차기 모굴 황제 파루크 시야르는 압두스 사마드 칸을 라호르와 자카리아 칸의 총독으로 임명했고, 압두스 사마드 칸의 아들인 잠무의 파우즈다르를 임명했다.[55] 1713년 시크교도들은 로가르와 사두라를 떠나 잠무의 외딴 언덕으로 가서 데라 바바 반다 싱을 세웠다.[56] 이 기간 동안 시크교도들은 특히 구르다스푸르 지역의 병동들에게 쫓기고 있었다.[57] 반다 싱은 나와서 파루크 시야르에게 무할을 발령하라고 꾸짖은 칼라나우르스와 바탈라를[58] 붙잡았고, 그의 군대를 강화하기 위해 라호르로 군대를 이동시키기 위해 힌두교 관리들과 추장들은 라호르로 진격했다.[59]
1715년 3월, 반다 싱 바하두르는 펀자브 구르다스 낭갈 마을에 있었는데, 당시 델리의 [60]모굴 왕인 사마드 칸의 통치하에 있던 군대가 시크 군을 포위했다.[61] 시크교도들은 8개월 동안 이 작은 요새를 지키며 싸웠다.[62] 1715년 12월 7일 반다 싱의 굶주린 군인들이 붙잡혔다.
실행
1715년 12월 7일 반다 싱 바하두르는[63] 구르다스 난갈 요새에서 붙잡혀 철창에 갇혔고 나머지 시크교도들은 쇠사슬에 묶여 붙잡혔다.[64] 시크교도들은 780명의 시크교도 포로들과 2,000명의 시크교도들이 창문에 매달린 채 행렬을 지어 델리로 끌려갔고, 700여 대의 도살된 시크교도들이 인구를 공포에 떨게 하기 위해 사용했던 수레에 실려 있었다.[65][66] 그들은 델리 요새에 배치되어 그들의 신앙을 포기하고 무슬림이 되라는 압력을 받았다.[67] 그들의 단호한 거절로 그들 모두는 처형당했다. 매일 100명의 시크교도들이 요새에서 끌려나와 매일 공공장소에서 살해당했는데,[68] 이 사건은 대략 7일 동안 계속되었다.3개월의 감금[69] 후 1716년 6월 9일, 반다 싱의 눈은 구겨지고 사지가 절단되고 피부가 벗겨진 후 살해되었다.[70]
시크교도 정글로 후퇴하다.

1716년 무굴 황제 파루크 시야르는 모든 시크교도들을 이슬람교로 개종시키거나 죽도록 공표했는데, 시크교도들의 힘을 파괴하고 공동체 전체를 말살하려는 시도였다.[71] 시크교마다 우두머리에게 상이 주어졌다.[72] 한동안 그 땅에서 시크교도의 이름을 지워 버리겠다는 파루크 시야르의 자랑이 이루어질 것처럼 보였다. 수백 명의 시크교도들이 마을에서 끌려와 처형당했고, 단지 부티 때문에 합류한 수천 명이 머리를 자르고 다시 힌두교 접구로 돌아갔다.[73] 이들 외에도 구루 고빈드 싱의 세례를 아직 받지 못한 시크교도들도 있었고, 겉으로 드러나는 상징의 채택은 죽음을 구애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그렇게 하도록 격려를 받지 못한 사람들도 있었다.
몇 년 후 아드부스 사마드 칸, 라호르 총독 펀자브와 다른 무굴 장교들이 시크교도들을 덜 추격하기 시작했고, 따라서 시크교도들은 마을로 돌아와 시크교도들이 숨어 있을 때 우다시스가 관리하는 구르드와라스로 다시 가기 시작했다.[74] 시크교도들은 하만디르 사이브에서 반디 초르 디와스와 바이사키를 축하했다. Khalsa는 반디아 Khalsa와 Tat Khalsa 두 개의 주요 파벌로 나뉘어져 있었고 둘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고 있었다.
Under the authority of Mata Sundari Bhai Mani Singh become the Jathedar of the Harminder Sahib[75] and a leader of the Sikhs and the Bandia Khalsa and Tat Khalsa joined by Bhai Mani Singh into the Tat Khalsa[76] and after the event from that day the Bandeis assumed a quieter role and practically disappeared from the pages of history. 암리차르에는 시크교도들을 견제하기 위한 경찰 초소가 설치되었다. Mani Singh는 그의 몸통 각각을 절단하여 죽었다.[77]
압두스 사마드 칸(Abdus Samad Khan)은 1726년 무탄(Multan)으로 이양되었고, 그의 보다 정력적인 손(Son)인 자카리아 칸(Khan Bahadur)도 라호르 총독으로 임명되었다.[78] 1726년, 유명한 시크교 지도자인 완의 타라 싱과 그의 26명의 부하들이 자카리아 칸 총독에 의해 그의 부관인 모민 칸의 지휘로 말 2200마리와 잠부락 40마리와 코끼리 5마리와 대포 4문을 보냈다.[79] 타라 싱의 살인은 펀자브에 있는 시크교도들과 시크교도들에게 퍼졌다. 주변에서 시크교도들을 찾지 못한 정부는 각 마을에서 드럼의 박자로 모든 시크교도들은 제거되었지만 일반인들은 그렇지 않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거짓으로 진실을 알고 있었다.[80] 시크교도들은 수가 적기 때문에 직접 군대를 상대하지는 않았지만, 다이하이 푸트 게릴라전(뺑소니) 전술을 채택했다.
나와브 카푸오르 싱과 자테다르 다르바라 싱의 지도하에, 그들의 적을 약화시키려는 시도로 무굴의 카라반과 보급품들을 약탈했고, 몇 년 동안 수입으로 얻은 돈은 정부 재정에 도달할 수 없었다.[81] 정부군이 무법자들을 처벌하려 하자 시크교도들은 집이나 요새에 살지 않고 숲이나 접근하기 어려운 다른 곳에서 그들의 랑데부로 도망쳤기 때문에 그들에게 연락할 수 없었다.
나와브 카푸르 싱
나와브 카푸르 싱은 1697년 지금의 파키스탄 펀자브에 있는 셰이크후푸라 근처의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는 다르바르 사이브 암리차르의 자원 봉사자였다. 다바르사히브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 오는 상갓의 구두를 닦고, 다바르사히브에게 먹이를 주기 위해 부엌에서 일을 하고 있었다. 1733년 펀자브 총독이 시크교도들에게 나왓십십(유산의 소유)과 귀중한 왕복을 제안했을 때, 칼사는 카푸르 싱의 이름으로 모든 것을 받아들였다.[82] 그 후, 그는 나와브 카푸르 싱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748년 그는 초기 시크 미슬을 달 칼사(부다 달과 타르나 달)로 조직하였다.[83]
나와브 카푸르 싱의 아버지는 구르바니 니템을 암기하고 전쟁의 기술을 배운 소년으로서 차우드리 데일립 싱이었다.[84] 카푸르 싱은 1726년 반 마을의 바이 타라 싱이 처형된 후 칼사 판에 끌렸다.[85]
무굴정부에 대한 광범위한 약탈
칼사는 회의를 열어 이 지역 주민들에 대한 국가 탄압에 대한 대응 계획을 수립하고, 행정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정부 돈과 무기를 소유하기로 했으며, 일상적 공격에 대처할 수 있는 장비를 갖추기로 결정했다.[84] 카푸르 싱은 이 프로젝트들을 계획하고 실행하도록 임명되었다.
무탄에서 라호르 보물까지 돈이 운반되고 있다는 정보가 입수되었다. 칼사는 그 돈을 약탈하고 경비원들의 팔과 말을 빼앗았다.[84] 그 후 그들은 카수르에서 라호르로 가는 카수르 부동산 금고에서 라흐 루피 한 개를 넘겨받았다.[86] 다음으로 그들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온 캐러밴을 잡았고, 그 결과 수많은 무기와 말을 붙잡았다.
Khalsa는 무르타자 칸으로부터 많은 빌라야티(수퍼리어 중앙아시아) 말들을 탈취하여 카나카차 정글의 델리로 가고 있었다.[81][87] 아프가니스탄에서 델리로 전쟁 물자를 추가로 수송하고 있었고 카푸르 싱은 이들을 잡기 위해 공격을 조직했다. 또 다른 공격으로 칼사는 왕실 관리인 자파르 칸이 페샤와르에서 델리로 운반하려던 금과 은을 되찾았다.[86]
Khalsa 정부측
무굴 통치자들과 델리 정부 옆에 있던 지휘관들은 탄압을 통해 시크교도들을 무찌를 모든 희망을 잃고 또 다른 전략을 전개하기로 결정했는데, 라호르 총독인 자카리아 칸은 그곳에서 시크교도들과 친구가 되어 그들과 협력하여 통치하기로 결정되었고 1733년에 델리 통치자들은 모든 명령을 철회했다. 칼사 [88]족 시크교도들은 이제 토지를 소유하고 그에 대한 어떠한 국가 폭력도 없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89] 칼사 판스와 협력하고, 국민의 호의를 얻기 위해 정부는 유명한 라호르 시크, 수베그 싱을 통해 부동산과 나왓십의 제안을 보냈다.[90] 칼사족은 자유롭게 다스리고 싶지 않았고 종속적인 지위의 지배를 받지 않으려고 했다. 그러나 이 제의는 결국 받아들여졌고 오할사스 발에 의해 신성화 된 후 카푸르 싱에게 이 칭호가 수여되었다.[91] 그리하여 카푸르 싱은 나와브 카푸르 싱이 되었다. 카푸르 싱은 시크교도들을 지도하여 스스로를 강화시키고 사람들에게 구르마트를 설교하도록 하였다. 그는 평화는 단명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는 사람들이 자유롭게 구르드와라스를 방문하고 마을에서 친척들을 만나도록 격려했다.[89]
달 칼사
칼사는 스스로를 두 개의 부대로 재편성했고, 젊은 세대는 주 전투력을 제공하는 타루나 달(Taruna Dal)의 일부인 반면, 40세 이상의 시크교도들은 구르드와라스와 구르마트 설교 경영진의 책임을 제공한 부다달(Budha Dal)의 일부가 될 것이다.[92] 부다달은 정부군의 움직임을 추적하고, 그들의 방어 전략을 계획하고, 타루나달에게 예비전력을 제공할 책임이 있을 것이다.[89]
나워브 카푸르 싱에 의해 다음과 같은 대책이 수립되었다.[93]
- 자타가 어디서든 얻은 돈은 모두 공동 칼사 기금에 예치되어야 한다.
- 칼사족은 두 달족을 위해 공통의 랑거를 가져야 한다.
- 모든 시크교도들은 자테다르의 명령을 존중해야 한다. 아무데나 가는 사람은 그의 허락을 받고 그가 돌아오면 그에게 보고할 것이다.
달 칼사의 시크 미슬 5개
타루나 달은 순식간에 신병이 1만2000여 명으로 늘어났고, 곧 한 곳에서 이렇게 많은 사람을 먹이고 집을 관리하는 것이 어려워졌다.[93] 그 후 달 5개 사단을 두기로 결정되었는데, 각 사단은 중앙 주식에서 배급을 받아 자체 랑가르를 요리한다.[94] 이 5개 사단은 암리차르 주변의 5개 사로바르(성스러운 웅덩이) 주변에 주둔하고 있었는데, 람사르, 비벡사르, 라흐만사르, 카울사르, 산토크사르였다.[95] 그 사단은 후에 Misls로 알려졌고 그들의 수는 11개로 늘어났다. 각자가 펀자브의 다른 지역을 점령하고 통치했다. 집단적으로 그들은 자신을 사르밧 칼사라고 불렀다.
Jassa Singh Ahluwalia 리더십 준비
구루 고빈드 싱의 아내는 마타 순다리에게서 추가 책임을 얻어 알루왈리아라는 젊은 자사 싱을 보내어 알루왈리아는 아들 같으며 나워브는 그를 이상적인 시크처럼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알루왈리아는 카푸르 싱의 지도 아래 구르바니에서 좋은 교육을 받고 시크교 사정에 대한 철저한 훈련을 받았다.[96] 나중에 자사 싱 알루왈리아는 시크교도들을 자치로 이끄는 중요한 역할이 될 것이다.
국가 탄압
1735년, 라호르의 통치자들은 시크교도들에게 주어진 자길르(재산)를 불과 2년[97] 전에 공격하고 압류했지만, 나와브 카푸르 싱은 이에 대한 반응으로 펀자브 전체가 시크교도들에 의해 점령되어야 한다고 결정했다.[98] 이 결정은 많은 역경에도 불구하고 Khalsa에 의해 지지되었고 모든 Sikhs는 그가 자치권을 위한 노력에 전적으로 협조할 것을 보증했다. 자카리야 칸 바하두르는 시크교도들을 사냥하고 죽이기 위해 로밍 스쿼드를 보냈다. 모든 관리자들은 마을 관리들에게 시크교도들을 구하거나, 그들을 살해하거나, 체포하거나, 그들의 행방을 정부에 보고하라는 명령이 내려졌다. 시크교인을 살해하고 그의 머리를 파출소에 전달하는 사람에게는 1년치 임금이 주어졌다.[96] 시크교도 체포를 도운 사람들에게도 보상금이 약속되었다. 시크교도들에게 음식이나 피난처를 제공하거나 어떤 식으로든 그들을 돕는 사람들은 엄벌에 처했다.[99]
시크교도들이 톱으로 토막내어 [100]산 채로 불에 탔고,[101] 머리가 망치로[102] 짓눌려 어린 아이들이 어머니의 눈앞에서 창으로 뚫리는 시기였다.[103] 시크교도들은 사기를 높이기 위해 그들만의 고음질 용어와 슬로건을 개발했다.[102] 예를 들어, 음식을 위해 끓인 나뭇잎을 '녹색 접시'라고 불렀고, 바싹 마른 병아리를 '아몬드'라고 불렀고, 바불 나무는 '장미'라고 불렀고, 맹인은 '용감한 사람'으로 버팔로의 등에 올라탔다.
군대는 언덕 근처에 숨어 있는 시크교도들을 추격하여 강물을 건너 말와 트랙에서 안전을 도모하도록 강요했다.[104] 카푸르 싱이 파티알라에 도착했을 때, 그는 마하라자 바바 알라 싱을 만났고, 마하라자 바바 알라 싱은 암리트를[105] 데려갔고 카푸르 싱은 그가 그의 주의 경계를 늘리는 것을 도왔다. 1736년 칼사족은 구루 고빈드 싱의 두 어린 아들이 살해된 시린드를 공격했다. 칼사가 도시를 점령하고, 재무부를 점령하고, 역사적인 장소에 구르드와라를 세우고 철수했다.[102] 라호르 정부는 암리차르 근처에 군대를 파견하여 시크교도들을 공격하였다. 카푸르 싱은 자사 싱 알루왈리아에게 국고를 맡기고, 시크교도는 충분한 양으로 군대와 교전하도록 했다. Jassa Singh가 상당한 거리에 도달했을 때, Khalsa는 Taran Sib로 안전하게 후퇴했다. 카푸르 싱은 타우나 달에게 싸움을 도와달라는 메시지를 보냈다. Khalsa가 파놓은 참호에서 카푸르 싱과 하루 동안 싸운 후, 많은 무굴 장교들과 함께 세 명의 장군을 죽인 지휘부를 기습 공격했다. 그래서 무굴군은 라호르로 후퇴했다.
자카리아 칸은 시크교도들을 상대하기 위한 또 다른 전략을 짜기 위해 그의 조언자들을 불렀다. 시크교도들이 생명의 샘이자 힘의 원천으로 여겨지는 암리트 사로바르를 방문하는 것을 허락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106] 강력한 우발자들이 도시 주변에 게시되었고 하르만디르 사이브에 들어가는 모든 참가자들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시크교도들은 목숨을 걸고 계속 성지에 경의를 표하고 밤의 어둠 속에서 사로바르(성스러운 풀장)에 몸을 담그었다. 카푸르 싱이 암리차르에 갔을 때 그는 카디 압둘 레만과 싸웠다. 그는 시크교도들이 소위 사자라고 불리는 사람들이라면 감히 암리차르에 와서 그와 대면할 수 없다고 선언했었다. 이어진 싸움에서 압둘 레만은 살해되었다.[107] 아들이 그를 구하려 하자 그도 목숨을 잃었다. 1738년에 Bhai Mani Singh가 처형되었다.
시크교도 나더 샤를 공격한다.

1739년 투르크계 아프샤리드 왕조의 나데르 샤가 침략하여 인도 아대륙의 금고를 약탈하였다. 나더 샤는 델리에서 1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을 죽이고 금과 귀중품을 모두 운반했다.[108] 그는 수천 명의 젊은 여성들과 인도 장인과 함께 수백 마리의 코끼리와 말을 캐러밴에 추가했다.[109] 카푸르 싱이 이 사실을 알게 되었을 때, 그는 나더 샤에게 지역 통치자들이 아니라면 시크교도들과 힌두교도들의 무고한 여성들이 노예로 팔리지 않도록 보호해 줄 것이라고 경고하기로 결정했다. 시크교도들은 The Chenab 강을 건너는 동안 캐러밴의 후미를 공격하여 많은 여인들을 풀어주고 장인들을 풀어주었으며 보물의 일부를 되찾았다.[110]
시크교도 마사 랑가르 살해
무굴 관리 마사 랑가르가 암리차르의 지배권을 넘겨받았었다. 하르만디르 사이브에서 담배를 피우고 술을 마시면서 그는 노치걸들의 춤을 지켜보았다.[111] 안전을 위해 사막 지역인 비카네르로 이주한 시크교도들은 이런 모독을 듣고 격분했다. 1740년 수카 싱과 메탁 싱은 수입 수집가로 가장하여 암리차르로 갔다.[112] 그들은 밖에서 말을 묶고 곧장 하만디르 사이브로 걸어 들어가 머리를 잘라 가지고 갔다.[113] 어떤 폭군도 처벌받지 않을 것이라는 것은 지배자에게 교훈이었다.
시크교도 압두스 사마드 칸을 약탈한다.
무굴 왕실의 원로인 압두스 사마드 칸은 델리에서 파견되어 시크교도들을 제압했다.[114] 카푸르 싱은 이 계획을 알게 되었고 그에 따라 자신의 전략을 계획했다. 시크교도들을 사냥하기 위해 군대를 내보내는 순간, 칸의 전령으로 가장한 특공대원의 자타가 무기고로 갔다. 그곳의 사령관은 압두스 사마드 칸이 시크교도들을 포위하고 있다는 말을 듣고, 그가 모든 병력을 동원해 시크교도들을 체포하기를 바랐다. 뒤에 남겨진 몇 명의 경비병들은 그때 시크교도들에게 제압당했고, 모든 무기와 탄약들은 약탈당해 시크교도소로 끌려갔다.[115]
에이지 오브 레볼루션 (1748-1799 CE)
무굴은 박해를 증가시킨다.
압두스 사마드 칸은 많은 로밍 스쿼드를 파견하여 시크교도들을 색출하여 죽였다. 그는 하만디르 사이브의 우두머리 그란티인 [116]바이 마니 싱의 고문과 살해에 책임이 있었다. 사마드 칸은 시크교도들이 자신을 죽일까 봐 두려워서 전선에 한참 뒤떨어져 있었다.[117] 카푸르 싱은 그를 잡을 계획이 있었다. 전투 중에 카푸르 싱은 부하들에게 전투군을 이끌고 후퇴하라고 명령했다. 그리고는 빙글빙글 돌다가 군대의 후미에 쓰러졌다.[118] 사마드 칸과 그의 경호원들은 몇 시간 안에 들판에 죽어 있었다. 펀자브 총독은 시크교도들에 대한 안전에도 각별한 주의를 기울였다. 그는 요새에서 살기 시작했다. 그는 기도하러 요새 밖에 있는 모스크를 감히 방문할 엄두도 내지 못했다.
부다달 회원들의 요청에 따라 카푸르 싱은 파티알라를 방문했다. 파티알라 주의 시조이자 마하라자였던 사르다 알라 싱의 아들들이 그를 왕실 영접했다. 카푸르 싱은 사람들에게 잘 행동하지 않는 델리 주변의 모든 지방 행정관들을 진압했다.
자카리아 칸은 1745년에 죽었다. 그의 후임자는 암리차르 주변의 경비를 강화했다. 카푸르 싱은 암리차르 포위망을 뚫을 계획을 세웠다. 자사 싱 알루왈리아는 시크군을 공격하는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1748년 시크교도들이 공격했다. 자사 싱 알루왈리아는 특공대원을 뒤에 두고 군 지휘관에게 달려들어 칼로 그를 둘로 잘랐다. 사령관의 조카도 살해당했다.
칼사는 군사 개발을 강화한다.
시크교도들은 1748년 Amritsar에 그들의 첫번째 요새 Ram Rauni를 지었다.[119] 1748년 12월, 미르 마누 총독은 아흐마드 샤 압달리의 진격을 저지하기 위해 라호르 외곽에서 병력을 동원해야 했다. 시크교도들은 라호르에 있는 경찰서를 방어하는 경찰을 재빨리 제압하고 무기를 모두 압수하고 죄수들을 모두 석방했다.[120] 나와브 카푸르 싱은 보안관에게 "진정한 황제인 신의 보안관이 와서 명령받은 일을 했다"고 주지사에게 알려달라고 말했다. 경찰이 당국에 이 일을 보고하거나 군대를 소집하기도 전에 칼사 일행은 이미 말을 타고 숲으로 돌아가고 있었다.[121] 나와브 카푸르 싱은 1753년에 죽었다.
자사 싱 알루왈리아
Jassa Singh Ahluwalia는 1718년에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바다르 싱은 알루왈리아가 겨우 네 살이었을 때 죽었다.[122] 그의 어머니는 그를 알루왈리아가 어렸을 때 구루 고빈드 싱의 아내 마타 순다리로 데려갔다.[123][124] 마타 선드리(Mata Sundri)는 그의 선율적인 찬송가 노래에 감명을 받아 알루왈리아(Ahluwalia)를 곁에 두고 있었다. 후에 자사 싱 알루왈리아는 당시 시크 국가의 지도자였던 [125]나와브 카푸오르 싱에 의해 입양되었다. 알루왈리아는 리더인 알루왈리아가 아침에 아사 디 바르를 부르기 위해 필요한 시크 자질을 모두 따랐고, 달 칼사와 알루왈리아는 세바(이기 없는 서비스)를 하느라 바빴던 것에 감사했다. 그는 시크교도들에게 큰 인기를 얻게 되었다. 그는 델리에서 자라면서 자신의 터번을 무굴 패션으로 묶곤 했다. 알루왈리아는 전문 교사들로부터 승마와 검술을 배웠다.[126]
1748년 자사 싱 알루왈리아(Jassa Singh Ahluwalia)는 모든 Misls의 최고 사령관이 되었다.[127] 자사 싱 알루왈리아(Jassa Singh Ahluwalia)는 술탄툴 카움(국왕)이라는 칭호를 받았다.[128] 자사 싱 알루왈리아(Jassa Singh Ahluwalia)는 알루왈리아 미슬(Ahluwalia Misl)의 우두머리였고, 나워브 카푸오르 싱(Nawab Kapoor Singh)이 모든 미슬의 지도자가 된 후 달 할사(Dal Khalsa)라고 공동으로 불렀다. 그는 펀자브에서 칼사를 자치로 이끄는 데 큰 역할을 했다. 1761년 알루왈리아의 지도하에 달 칼사가 펀자브의 수도 라호르를 처음으로 점령하였다.[129] 그들은 몇 달 동안 라호르의 대가였고 '구루나낙 – 구루 고빈드 싱'[130]이라는 이름으로 나낙샤히 루피 동전을 채굴했다.
조타 갈루하라 (소인 학살)
1746년 라호르 총독 자카리아 칸과 자카리아 칸의 디반(재벌 장관) 라흐팟 라이가 군단을 파견하여 시크교도들을 죽이자 무굴 제국의 명령에 의해 약 7천 명의 시크교도들이 살해되고 3천에서 1만 5천[131] 명의 시크교도들이 포로로 잡혔다.[132][133]
에미나바드 지역의 자게르다르(땅주인)이자 라흐팟 라이의 동생인 자스팟 라이는 시크교도들과 전투에서 마주쳤는데 시크교도들 중 한 명이 코끼리의 꼬리를 잡고 뒤에서 등에 올라탔고 빠른 동작으로 머리를 잘랐다.[134] 그들의 주인이 살해되는 것을 보고 부대는 도망쳤다. 라흐팟 라이는 이 사건 이후 시크교도들을 파괴하는 데 전념했다.[133]
1746년 3~5월, 무굴 정부가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자원과 함께 시크교도들에 대한 새로운 폭력의 물결이 시작되었고, 마을 관리들은 탐험에 협력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자카리아 칸은 시크교도들에게 어떤 도움이나 피난처를 주는 사람은 없다는 명령을 내리고, 이러한 명령에 불복하는 사람에게는 엄중한 결과가 내려질 것이라고 경고했다.[135] 현지인들은 군대에 의해 살해될 시크교도들을 찾기 위해 강제로 고용되었다. 라흐팟 라이는 시크교도의 예배 장소를 파괴하고 그들의 성서를 불태우라고 명령했다.[136] 자사 싱 알루왈리아와 시크교도들의 대체를 포함한 정보들은 구르다스푸르 지구(카누완 트랙트)의 강바닥에서 캠핑을 하고 있었다. 자카리아 칸은 간신히 이들 시크교도 3천명을 포로로 잡았고 나중에 나하스(델리 문 밖의 말 시장)에서 일괄적으로 참수시켰다.[137] 시크교도들은 후에 그 곳에 샤히드간지(순교자들의 보물창고)로 알려진 위령 사당을 세웠다.
1747년 샤 나와즈는 라호르 총독으로 취임했다. 시크교도들을 기쁘게 하기 위해 라흐팟 라이는 새 주지사에 의해 감옥에 갇혔다.[132] 라흐팟 라이는 중형을 받았고 결국 시크교도들에 의해 살해되었다.
Amritsar
1747년 새로 부임한 무굴 사령관 살라바트 칸은 암리타르 주변에 경찰을 배치하고 감시 초소를 만들어 암리타 사로바르에 오는 시크교도들을 찾아내어 성스러운 담수를 위해 죽였다.[106] 자사 싱 알루왈리아와 나와브 카푸오르 싱은 시크족을 이끌고 암리타로 갔고 살라바트 칸은 알루왈리아에게 살해당했고 조카는 카푸르 싱의 화살에 맞아 숨졌다.[56][138] 시크교도들은 하만디르 사이브를 복원하고 그곳에서 디왈리 모임을 축하했다.
실의 재편성
1748년 모든 미셀이 한 번의 지휘 아래 그들 스스로 합류하였고, 노쇠한 자테다르 나워 카푸오르 싱 자사 싱 알루왈리아(Jathedar Nawuor Singh Jassa Singh Ahluwalia)의 조언에 따라 최고 지도자가 되었다.[130] 그들은 또한 펀자브가 그들 소유이며 그들은 그들 국가의 통치자가 될 것이라고 선언하기로 결정했다. 시크교도들은 또한 람 라우니라고 불리는 그들의 첫 요새를 암리차르에 건설했다.
정부의 칼사측
잘란다르의 파우즈다르(가리슨 사령관) 아디나 베그(Adina Beg)는 달 칼사 족장에게 민정에 협력하라는 메시지를 보냈고, 그는 이 문제를 논의할 회의를 원했다.[139] 이것은 시크교도들을 무장해제시키고 정부의 통제하에 두려는 속임수로 보였다. 자사 싱 알루왈리아는 그들의 만남의 장소가 전쟁터가 될 것이며 그들의 칼에 의해 토론이 진행될 것이라고 대답했다. 베그는 암리차르에 있는 람 라우니 요새를 공격하여 그곳에 있는 시크교도들을 포위하였다.[140] 드완 카우라 말(Dewan Kaura Mal)은 총독에게 포위망을 풀고, 두라니 침략자 아흐메드 샤 압달리로부터 국가를 보호할 군대를 준비하라고 충고했다. 카우라 말에게는 아므리차르 하만디르 사이브의 개선과 관리를 위해 시크교도들에게 주어지는 패티 지역의 수입의 일부가 있었다.[141]
카우라 말씨는 그곳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무탄으로 가야 했다. 그는 시크교도들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그들은 그와 함께 하기로 동의했다. 무탄에서의 승리 후, 카우라는 다르바르 사이브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 와서 11,000 루피를 바치고 구르드와라 발-렐라를 지었고, 구루 나낙 데브의 출생지인 난카나 사이브에 300만 루피를 들여 사로버(성수)를 지었다.[142] 1752년, 카우라 몰은 아흐메드 샤 압달리와의 전투에서 전사했고 시크교도들에 대한 국가 정책은 빠르게 바뀌었다. 총독인 미르 마누는 시크교도들을 다시 사냥하기 시작했다. 그는 많은 남녀를 체포하여 감옥에 가두어 고문하였다. 1753년 11월,[citation needed] 그가 들판에 숨어 있던 시크교도들을 죽이러 갔을 때, 그들은 그에게 총알 세례를 퍼부었고, 마누는 말에서 떨어졌고 동물은 그를 끌고 죽었다. 시크교도들은 즉시 라호르로 나아가 감옥을 공격하고 죄수들을 모두 석방시켜 숲 속의 안전한 곳으로 인도했다.[143]
하만디르 사히브 1757년 철거
1757년 5월, 아흐마드 샤 압달리의 아프간 두라니 장군 자한 칸은 거대한 군대와 시크교도들이 숲으로 철수하기로 결정한 소수 때문에 암리차르를 공격했다. 그들의 요새인 람 라우니는 철거되었고 [citation needed]하만디르 사이브도 철거되었으며, 군대는 사로바르(홀리 물)를 잔해와 죽은 동물로 메워 더럽혔다.[144] 바바 딥 싱은 2만 명의 두라니 군을 뚫고 암리차르 하만디르 사이브에 이르러 역사를 새로 썼다.[145][146]
Khalsa는 영토를 얻는다.
아디나 베그는 정부에 수입을 주지 않았기 때문에 주지사는 그를[147] 해임하고 그의 자리에 새로운 파우즈다르(가리슨 사령관)를 임명했다. 군대는 그를 체포하기 위해 파견되었고 이로 인해 아디나 베그는 시크에게 도움을 요청하게 되었다. 시크교도들은 상황을 이용하여 정부를 약화시키기 위해 군대에 대항하여 싸웠다. 지휘관 중 한 명은 시크교도에게 살해당했고 다른 한 명은 버려졌다. 후에 시크교도들은 잘란다르를[148] 공격하여 스틀레지와 도아바라고 불리는 비아스 강 사이의 모든 분쟁의 통치자가 되었다.[149] 지금 숲 속을 배회하는 대신에 그들은 도시를 지배하고 있었다.
시크교도들은 더 많은 지역을 통제하고 그들로부터 수익을 실현하기 시작했다. 1758년 마흐라타스와 함께 라호르를 정복하고 몇 달 전 암리트 사로바르에 잔해를 채운 책임이 있는 많은 아프간 병사들을 체포하였다.[150] 그들은 암리차르로 끌려와 사로바르(성스러운 물)를 청소하도록 만들어졌다.[151][152] 사로바르를 청소한 후에 군사들은 다시는 그런 짓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경고와 함께 집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다.
아흐메드 샤 압달리는 1759년 10월에 다시 델리를 약탈하기 위해 왔다. 시크교도들은 그에게 호되게 싸웠고 2,000명 이상의 병사를 죽였다. 시크교도들과 관계를 맺는 대신 델리로 빠르게 진격했다. 칼사는 시크교도들이 국가의 통치자라는 것을 사람들에게 증명하기 위해 라호르로부터 수입을 거두기로 결정했다. 라호르 총독은 성문을 닫고 그들과 싸우러 나오지 않았다. 시크교도들은 도시를 포위했다. 일주일 후 주지사는 시크교도들에게 3만 루피를 지불하기로 동의했다.
아흐메드 샤 압달리는 1761년 3월 카불의 아프간인들에게 팔릴 포로로서 많은 금과 2,000명 이상의 소녀들을 데리고 델리에서 돌아왔다. 압달리가 베아스 강을 건너고 있을 때 시크교도들은 재빨리 그들에게 덤벼들었다. 그들은 여성 포로들을 석방하고 집으로 호송했다. 시크교도들은 압달리가 카불로 돌아온 후인 1761년 9월에 라호르를 점령했다.
Khalsa는 Guru Nanak Dev라는 이름으로 동전을 주조했다. 시크교도들은 도시의 통치자로서 백성들로부터 전폭적인 협조를 받았다. 라호르 총독이 된 후 펀자브 자사 싱 알루왈리아(Punjab Jassa Singh Ahluwalia)는 술탄울카움(국왕)이라는 칭호를 받았다.[153]
와다 갈루하라 (대대대학살)
1762년 겨울, 두라니 황제 아흐마드 샤 압달리는 시크교도들에게 약탈품을 빼앗긴 후, 시크교도들을 영원히 끝내기 위해 크고 잘 갖춰진 군대를 데려왔다. 시크교도들은 남쪽의 숲과 건조한 지역으로 가는 길에 루디아나 근처에 있었고 압달리는 라호르에서 매우 빨리 이동해서 전혀 준비되지 않은 시크교도들을 잡았다.[154] 그들은 그들의 여자, 아이들, 그리고 노인들이 함께 있었다. 무려 3만 명의 시크교도들이 군대에 의해 살해되었다고 한다.[155][156] Jassa Singh Ahluwalia 자신도 약 24개의 상처를 받았다. 희생자들의 머리를 라호르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50개의 병차가 필요했다.[157] 시크교도들은 이것을 와다 갈루하라(위대한 학살)라고 부른다.
하만디르 사히브 1762년 신성 모독
아마드 샤 압달리는 시크교도의 보복을 두려워하며 시크교도들에 의해 통치될 일부 지역을 기꺼이 배정할 용의가 있다는 메시지를 보냈다. Jassa Singh Ahluwalia는 그의 제안을 거절했고 Sikhs가 펀자브를 소유하고 있고 그들은 그의 권위를 전혀 인정하지 않는다고 그에게 말했다. 압달리는 암리차르로 가서 시크교도들의 '생명'의 근원을 없애기를 바라는 화약으로 그 안에 가득 채워 다시 하만디르 사이브를 파괴했다.[158][159] 압달리가 하민더 사이브를 헐고 있을 때 그는 벽돌로 코를 얻어맞았다.[160] 이후 압달리는 그의 코를 소모하는 '강궤양'으로 암으로 죽었다.[161] 몇 달도 안 되어 시크교도들은 시린드를 공격하여 암리차르로 이동했다.[citation needed]
시크교도는 라호르를 탈환했다.
1764년 시크교도들은 시린드의 자인[162] 칸 시린디 두라니 총독을 사살했고, 시린드 주변 지역은 시크교도 미셀다르로 나뉘었고 국고에서 회수된 돈은 하만디르 사이브를 재건하는데 사용되었다. 구르드와라 파테흐가르 사히브는 시린드에 세워졌는데, 그 곳에서 구루 고빈드 싱의 두 어린 아들이 살해되었다. 시크교도들은 고빈드 샤히 동전을[163] 공격하기 시작했고 1765년에 다시 라호르를 점령했다.[164]
1767년 아흐메드 샤 압달리가 다시 왔을 때 그는 시크교도들에게 그들의 협력을 구하는 메시지를 보냈다. 그는 그들에게 펀자브 주지사를 제의했으나 거절당했다.[149] 반복되는 게릴라 공격을 이용한 시크교도들은 카불에서 열매가 달린 낙타 1,000마리의 캐러밴을 빼앗았다.[165] 시크교도들은 수틀레즈와 라비 사이의 지역을 다시 장악하고 있었다. 압달리가 카불로 떠난 후 시크교도들은 수틀레지를 건너 시린드와 다른 지역들을 바로 델리로 데려왔고, 펀자브 전체가 그들의 통제하에 있었다.[156]
델리의 무굴 황제 샤 알람 2세는 알라하바드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가 지휘관 사비타 칸에게 시크교도들과 싸우라고 명령했다.[149] 자비타는 대신[166] 그들과 휴전하고 나서 알람의 군대에서 해임되었다. 그 후 자비타 칸은 시크교도가 되었고 다람 싱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얻게 되었다.[167]
아흐마드 샤 압달리와 함께 펀자브에 와서 많은 시크교 전투 중에 참석한 카디 누르 모하메드는 시크교도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168]
여자도, 아이도, 싸움에서 도망치는 겁쟁이도 죽이지 않는다. 그들은 여왕이든 노예든, 어느 누구도 강탈하지 않으며, 여자의 장신구를 빼앗지 않는다. 그들은 간음하지 않고 오히려 적들의 여자까지도 존중한다. 그들은 항상 도둑과 간병인을 피하며 관대함으로 하심을 능가한다."
암리차르의 평화
아흐마드 샤 압달리는 시크교도들을 두려워하며 카불로 돌아오는 동안 펀자브를 통한 정상적인 경로를 따라가지 않았다. Jassa Singh Ahluwalia는 그의 Misl에 더 많은 지역을 추가하지 않았다. 그 대신에, 어떤 부나 마을이 시크교도들의 손에 들어올 때마다, 그는 그들을 모든 미셀의 야디다르 족에 나누어 주었다. 알루왈리아는 암리차르에서 말년을 보냈다. 그는 가용한 재원으로 모든 건물을 수리하고 구르드와라스의 관리를 개선했으며 암리차르 주민들에게 더 나은 시민 시설을 제공했다. 그는 모든 시크교도들이 달 칼사에 합류하기 전에 암리트를 복용하기를 원했다.[169]
알루왈리아는 1783년에 사망하여 암리차르 근처에서 화장되었다. 그의 이름을 딴 암리차르에는 카트라 알루왈리아라는 도시 블록이 있다. 이 블록은 그가 그곳에 머물면서 암리차르 성을 지킨 것을 기리기 위해 그의 미슬에게 배정되었다.
사르다르 자사 싱 람가히아

Jassa Singh Ramgarhia는 Jassa Singh Alhuwalia의 군대에서 활약했다. 람가히아 미슬을[170] 창설하고 칼사판트 전투에 큰 역할을 하였다. 그는 와다갈루하라에서 약 24개의 부상을 입었다. 자사 싱 람가히아는 지아니 바관 싱의[170] 아들로 1723년에 태어났다. 그들은 라호르 근처의 이코길 마을에 살았다. 그의 할아버지는 구루 고빈드 싱의 생전에 암리트를 데리고 가서,[171] 많은 전투에 참가하였다. 그는 반다 싱 바하두르의 군대에 합류하였다. 람가히아는 다섯 형제 중 맏이였다. 람가히아가 어렸을 때 그는 니템 찬송가를 외우고 암리트를 가져갔다.[171]
부동산상
1733년 펀자브 총독 자카리아 칸은 이란의 침략자 나더 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도움이 필요했다. 그는 시크교도들에게 사유지와 왕복을 제공했다.[172] 카푸르 싱의 이름으로 시크교도들이 그것을 받아들였다. 자카리아 칸은 전투 후, 람가히아의 아버지인 지아니 바관 싱의 용맹에 보답하여 시크교도들에게 다섯 개의 마을을 주었다. 빌리지 발라는 람가히아에게 수여되었는데,[173] 람가히아는 시크교도들의 자테다르(지도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행정 경험을 얻었다. 이 정부와의 평화 기간 동안 시크교도들은 그들의 요새인 람 라우니를 암리차르에 건설했다. 자카리아는 1745년에 죽었고 미르 만누는 라호르 총독이 되었다.
자사 싱은 자사 싱 람가히아 상을 받았다.
라호르 총독 미르 만누(무인울물크)는 시크교도들의 세력이 커지는 것을 우려하여 평화를 깨뜨렸다. 미르 마누도 잘란다르 지역의 파우즈다르(가리슨 사령관) 아디나 베그에게 시크교도들을 죽이기 시작하라고 명령했다.[174] 아디나 베그는 매우 똑똑한 정치인이었고 시크교도들이 그들을 돕는데 관여하기를 원했다. 시크교도들과 좋은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그는 다른 곳에 살고 있는 그들에게 비밀 메시지를 보냈다. 자사 싱 람가히아는 이에 호응하여 파우즈다르와 협력하기로 동의하고 사령관이 되었다.[127] 이 직책은 라호르에 있는 디반 카우라 말과의 좋은 관계를 발전시키고 잘란다르 사단의 시크교도들에게 중요한 직책을 맡기는 데 도움이 되었다.
라호르 총독은 람 라우니를 공격하여 그 요새에 머물고 있는 시크교도들을 죽이라고 명령했다. 아디나 베그도 군대를 보내야 했고 자사 싱은 잘란다르 군대의 지휘관이 되어 요새에서 시크교도들을 죽이기 위해 군에 입대해야 했다.[175] 시크교도는 약 4개월간의 포위 공격 끝에 요새에 식량과 물자가 부족했다. 그는 요새 안의 시크교도들과 접촉하여 그들과 합류했다. 자사 싱은 디반 카우라 말(Divan Kaura Mal)의 사무실을 이용, 포위를 풀었다.[176] 요새를 강화하여 람가르라고 명명하였고, 자사 싱 람가히아는 요새의 자테다르로 지정되어 람가르히아로 유명해졌다.
전제정부와 싸우다
미르 마누는 시크교도들에 대한 폭력과 탄압을 강화했다. 다시 람가르 요새를 포위했을 때 시크교도 900명밖에 없었다.[177] 시크교도들은 수천 명의 군인들을 뚫고 용감하게 출세했다. 군대가 요새를 파괴했다. 시크교도들에 대한 사냥과 고문은 1753년 마누가 죽을 때까지 계속되었다. 마누의 죽음은 펀자브에게 어떤 효과적인 총독도 없게 했다. 시크교도들은 다시 자신을 조직하고 힘을 얻기에 적당한 시기였다. 자사 싱 람가히아가 요새를 재건하고 암리차르 주변 일부 지역을 점령했다. 시크교도들은 침략자들로부터 마을의 사람들을 보호하는 임무를 맡았다.[178] 그들이 백성들로부터 얻은 돈을 라키(보호비)라고 불렀다. 아흐메드 샤 압달리의 아들 타이무르는 시크교도들을 경멸했다. 1757년 그는 다시 시크교도들에게 요새를 비우고 은신처로 이동하도록 강요했다. 요새는 철거되고 하만디르 사이브는 폭파되고 암리트 사로바르에는 파편이 가득했다.[citation needed] 주지사는 아디나 베그를 교체하기로 결정했다. Beg는 시크교도들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그들 둘 다 공통의 적을 약화시킬 기회를 얻었다. 아디나 베그는 전투에서 승리하여 펀자브 총독이 되었다. 시크교도들은 람가르 요새를 재건하고 하만디르 사히브를 수리했다. 베그는 시크교도들의 힘을 잘 알고 있었고, 그가 더 강하게 자라게 하면 그들이 그를 쫓아낼까 봐 강한 군대를 이끌고 요새를 무너뜨렸다.[179] 시크교도들은 용감하게 싸운 후 요새를 떠나기로 결심했다. 아디나 베그는 1758년에 죽었다.
람가히아 미슬 에스테이트
자사 싱 람가히아는 라비 강과 베아스 강 사이의 암리차르 북쪽 지역을 점령했다.[180] 그는 또한 잘란다르 지역과 캉라 언덕 지역을 그의 사유지에 추가했다. 6구루가 세운 도시 스리 하르고빈드푸르에 수도를 두고 있었다. 람가히아의 영토가 큰 것은 다른 시크 미셀의 질투심을 불러일으켰다.[181]
실사이의 갈등
자이 싱 칸하이야와 자사 싱 람가히야의 대립이 전개되었고 방기 미슬 정어리 또한 자이 싱 칸하이야와 차이를 발전시켰다. 한쪽에서는 자이 싱, 차랏 싱, 한쪽에서는 자사 싱 알루왈리아, 반대편에서는 방기스, 람가히아스와 그들의 동료들 사이에 큰 싸움이 벌어졌다. 방기 쪽이 전투에서 졌다.
이후 어느 날 사냥을 하던 자사 싱 알루왈리아(Jassa Singh Ahluwalia)는 우연히 자사 싱 람가히아의 형이 체포한 람가히아 영토로 들어갔다. 람가히아는 동생의 비행에 대해 사과하고, 알루왈리아를 선물로 돌려주었다.[182]
미슬 내 전쟁
서로 질투하는 바람에 시크 사르다르족 사이에 싸움이 계속되었다. 1776년 방기족은 편을 바꾸어 자이 싱 칸하이야와 합세하여 자사 싱 람가히아를 무찔렀다.[183] 스리 하르고빈드푸르에 있는 그의 수도를 점령당했고 그는 마을에서 마을로 따라다니며 마침내 그의 모든 영토를 비워야만 했다.[184] 그는 수틀레지 강을 건너 파티알라의 지배자인 아마르 싱으로 가야 했다. 마하라자 아마르 싱은 람가히아를 환영했고, 람가히아가 결국 그의 아들 조드 싱 람가히아에게 넘겨준 한시와 히사르[185] 지역을 점령했다.
마하라자 아마르 싱과 람가히아는 델리의 서쪽과 북쪽의 마을을 장악하여 현재 하리아나와 서부 우타르프라데시 주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시크교도들은 그들의 이슬람 인구를 괴롭히고 있는 힌두교 나왓들을 처벌하고 법정에 세웠다. 자사 싱 람가히아는 1783년에 델리에 입성했다. 무굴 황제 샤 알람 2세는 시크교도들을 따뜻하게 맞아 주었다.[184] 람가히아는 그에게 선물을 받고 델리를 떠났다. 잠무국 세입분할 문제에서 발생하는 차이 때문에 오랜 친구인 마하 싱과 이웃인 수케르차키아 미슬의 자테다르와 칸헤야 미슬의 자테다르는 적이 되었다. 이것은 시크 역사의 흐름을 바꾸는 전쟁을 초래했다. 마하 싱은 람가히아에게 도와달라고 부탁했다. 이 전투에서 자이 싱은 람가히아스와 싸우다가 아들 구르박시 싱을 잃었다.
시크교도 델리를 사로잡았다.
After continuous raids, Sikhs under Jassa Singh Ahluwalia, Baba Baghel Singh, Jassa Singh Ramgarhia defeated the Mughals on 11 March 1783, captured Delhi and hoisted Sikh flag (Nishan Sahib) in Red Fort and Ahluwalia became King but they gave it back to Mughals after signing peace treaties.
미셀의 탄생
자이 싱 칸헤야의 미망인 며느리 사다 카우르는 비록 매우 어리지만 훌륭한 정치가였다. 사다 카우르는 그런 상호 전투를 통해 칼사 권력의 종말을 보았으나 마하 싱에게 우정의 길을 택하도록 설득할 수 있었다.[186] 이를 위해 그녀는 당시 어린 아이였던 딸의 손을 아들 란지트 싱(펀자브의 마하라자보다 어린 아이)에게 바쳤다. 힘의 균형이 이 통일된 Misl에게 유리하게 이동했다. 이것은 란지트 싱을 Misls의 가장 강력한 연합의 리더로 만들었다.
그러나 1788년 아프간 침공자 자만 샤 두라니(Zaman Shah Durrani)가 왔을 때 시크교도들은 여전히 분열되어 있었다. 람가히아와 반기 미슬스는 란지트 싱을 도와 침략자와 싸우려 하지 않았기 때문에 아프간인들은 라호르를 점령하고 약탈했다. 란지트 싱은 1799년[187] 라호르를 점령했지만 여전히 람가히아족과 방기족은 그를 모든 시크교도들의 지도자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들은 친구들의 지지를 얻어 라호르로 진군하여 란지트 싱에 도전했다. 방기 지도자가 죽었을 때 자사 싱 람가히아는 그의 영토로 돌아왔다.[188] 람가히아는 1803년에 죽었을 때 80세였다. 그의 아들 Jodh Singh Ramgarhia는 Ranjit Singh와 좋은 관계를 발전시켰고 그들은 다시는 싸우지 않았다.
시크교도 전투
- 로힐라 전투
- 카르타르푸르 전투
- 암리차르 전투 (1634년)
- 라히라 전투
- 방가니 전투
- 나둔 전투
- 굴러 전투 (1696년)
- 바솔리 전투
- 제1차 아난푸르 전투
- 니르모히가르 전투 (1702)
- 제2차 아난드푸르 전투
- 제1차 참카우르 전투(1702)
- 제1차 아난드푸르 전투(1704)
- 제2차 아난드푸르 전투(1704)
- 사사 전투
- 제2차 참카우르 전투(1704)
- 묵차르 전투
- 소네팟 전투[189]
- 암발라 전투
- 사마나 전투
- 차파르 치리 전투[63]
- 사다우라 전투[190][191]
- 라혼 전투(1710)
- 로가르 전투
- 잠무 전투
- 카푸리 전투 (1709)
- 잘랄라바드 전투(1710)
- 구르다스푸르 전투 또는 구르다스 낭갈 전투
- 람 라우니 전투
- 암리차르 전투(1757년)
- 라호르 전투(1759년)
- 시알코트 전투(1761년)
- 구즈란왈라 전투(1761년)
- 시크 점령[192]
- 바다 갈루하라 또는 쿱 전투
- 하르눌가르 전투
- 암리차르 전투(1762년)
- 시알코트 전투(1763년)
- 시린트 전투 (1764)[193]
- 힌두교 소녀 구조 (1769년)
- 시크교 점령 (1783년)[194][195]
- 암리차르 전투 (1797)
- 구즈랏 전투 (1797)
- 암리차르 전투 (1798)
- 구르카-시크 전쟁
- 아토크 전투
- 물탄 전투
- 쇼피안 전투
- 페샤와르 전투(1834년)
- 잼루드 전투
- 중-식 전쟁
- 무드키 전투
- 페로제사 전투
- 바도왈 전투
- 알리왈 전투
- 소브라온 전투
- 칠리앙왈라 전투
- 람나가르 전투
- 물탄 공방전
- 구즈라트 전투
- 사라가리 전투
시크 제국 (1799-1849 CE)
란지트 싱은 1801년 4월 12일(바이사키와 동시에) 왕위에 올랐다. 구루 나낙 데브의 후손인 사이브 싱 베디가 대관식을 거행했다.[196] 구즈란왈라는 1799년부터 그의 수도로 일했다. 1802년 그는 수도를 라호르와 암리차르로 옮겼다. 란지트 싱은 단 한 번의 시크교 오슬의 지도자로부터 마침내 펀자브의 마하라자(엠페러)가 되는 아주 짧은 기간에 권좌에 올랐다.
니항 압찰 나가르(하수르 사이브 출신 니항스), 1844년. 차크람으로 터번을 쓰고 있는 시크 군인들을 보여준다.
포메이션
시크 제국(1801–1849년)은 마하라자 란지트 싱에 의해 펀자비 군대의 기초 위에 형성되었다. 제국은 서쪽의 카이버 고개에서 북쪽의 카슈미르, 남쪽의 신드, 동쪽의 티베트까지 뻗어 있었다. 제국의 주요 지리적 발자국은 펀자브였다. 시크 제국의 종교적 인구 통계는 이슬람교도(80%), 시크교도(10%), 힌두교(10%)[198] 순이었다.
펀자브 군대 시절 시크 제국의 기초는 오랑제브의 죽음과 무굴 제국의 몰락에서 출발하여 1707년에 이르면 정의될 수 있었다. 지역 무굴 잔당들과 동맹국 라즈푸트 지도자들과 싸운 후, 아프간과 무굴 제국의 몰락을 편드는 다른 이슬람 세력들의 편을 든 때때로 적대적인 푼자비 무슬림들은 무굴과 아프간들에 대항하여 원정을 이끌 기회를 제공했다. 이로 인해 군대의 성장이 이루어졌고, 이는 각기 다른 펀자비 군대와 그 후 반독립적인 실정으로 분열되었다. 이들 구성요소 군대는 각각 다른 지역과 도시를 관할하는 오슬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1762년–1799년 사이크의 실정에 대한 통치자들은 그들 자신의 실수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시크 제국의 공식적인 시작은 1801년 마하라자 란지트 싱의 대관식 시기에 의해 펀자브 군대가 해체되면서 시작되어 하나의 통일된 정치 제국이 탄생하였다. 육군에 소속된 모든 오역자들은 펀잡의 역사에서 대개 길고 명망 있는 집안 역사를 가진 귀족들이었다.[199]

펀자브는 교육과 예술 분야에서 번창한다.
시크교 지도자들은 다른 종교에 대해 매우 관대했다; 그리고 펀자브에서는 예술, 그림 그리고 글들이 번창했다. 라호르에서만 3대 종교인 힌두교, 이슬람교, 시크교 등 전문학교는 고사하고 전문학교, 언어, 수학, 논리학 외에 여학생을 위한 18개의 학교가 18개 있었다.[200] 그곳에는 미니어처 그림, 스케치, 제도, 건축, 서예 등을 전문으로 하는 공예학교들이 있었다. 그곳에는 학교가 딸려 있지 않은 모스크, 사원, 다람살라는 없었다.[201] 아랍어와 산스크리트어 학교, 대학뿐 아니라 동양문학, 동양법, 논리학, 철학, 의학 등의 모든 과학을 최고수준으로 가르쳤다. 라호르에서는 학교가 오전 7시부터 개교해 정오에 문을 닫았다. 어떤 경우에도 한 학급이 50명의 학생을 초과하도록 허락되지 않았다.[202]
칼사 군
호르차라(말장착) 펀자브의 마하라자 란지트 싱의 경호원.
시크파우이아인(정규군)은 대략 7만10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으며 보병, 기병, 포병부대로 구성되었다.[203] 란지트 싱은 러시아, 이탈리아, 프랑스, 미국을 포함한 많은 나라의 장군들과 군인들을 고용했다.[citation needed]
샤 자만과 티무르 샤 두라니에 의해 시작된 외국 침략에 대항하는 강력한 방어 협력이 있었다. 암리차르 시는 수많은 공격을 받았다. 그러나 시크교 역사학자들은 그 시기를 "영웅의 세기"로 기억한다. 이것은 주로 시크교도들이 큰 역경에 대항하여 정치 권력으로 부상하는 것을 묘사하기 위한 것이다. 상황은 시크교도들보다 지역에서 훨씬 더 큰 다른 종교나 정치권에 비해 적은 시크교도 인구인 시크교도들에 대한 적대적인 종교 환경이었다.
정복과 장군
1834년 하리 싱 날라와 장 바티스트 벤투라 휘하의 칼사족이 페샤와르를 정복하고 시크 라즈를 아프가니스탄의 잼루드까지 확장했다.[204] 그리고 자와하르 싱과 조라와르 싱은 그것을 서 티벳까지 확장시켰다.
이후 하리 싱 날와 하리 싱 나르와 휘하의 시크교도들은 아프간 시크교 전쟁의 3단계에서 아프카니스탄인들에 대항하여 캠페인을 벌였고 그들은 아프가니스탄의 겨울 수도 페샤와르를 점령했다. 하리 싱 날와는 역사상 가장 뛰어난 지휘관 중 한 명으로 평가되며 나폴레옹과 칭기스칸에 비유되며 카이버 고개를 정복하고 통제하는 데 대해 미국은 그의 찬사에 동상을 짓고 싶어했다. 엄마들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아이들이 자도록 '잠이 빨리 온다'고 놀래키기 위해 그의 이름을 말하곤 했다. 그들은 또한 여왕의 보석인 아프가니스탄에서 온 코이누아 다이아몬드와 성문들을 솜낫 신전으로 가지고 왔다.
마하라자는 시크교도들을 좀 더 현대적인 방식으로 훈련시키기 위해 많은 프러시아, 프랑스, 이탈리아 장군들을 고용했다. 그는 군대를 셋으로 나누었는데, 현대적이고 엘리트적인 파우즈-이-카스 군과 기병인 파우-이-아인을 포함한 정규군과 불규칙한 가르카라스-니항스 콰이드 군이다.
제국의 종말
제1차 영국-식 전쟁
1839년 마하라자 란지트 싱(Maharaja Ranjit Singh)이 죽은 후, 제국은 내부 분열과 정치적 실정으로 인해 심각하게 약화되었다. 이 기회는 동인도 회사가 제1차 앵글로-식 전쟁을 일으키는데 이용되었다. 1845년 페로제사 전투는 많은 전환점을 맞았고, 영국은 시크교도들이 "영국 포병보다 나은" 총검으로 문을 열면서 푼자비 군대와 맞닥뜨렸다. 그러나 영국군이 진격함에 따라 시크교도들이 "만약 군대가 사기가 저하되면, 적군의 지위의 중추는 무너질 것"[205]이라고 믿었기 때문에 영국군의 유럽인들이 특히 표적이 되었다. 그 싸움은 "공포의 밤"이라는 별명을 얻으며 밤새 계속되었다. 영국 입장은 "밤이 지남에 따라 화가 났다"고 했고, "총독부 참모들 한 명 한 명이 죽거나 다치는 끔찍한 사상자를 냈다"[206]고 했다.
제임스 호프 그랜트 경은 "정말 그날 밤은 암울하고 금기시되는 날이었으며, 아마도 전쟁 역사상 그렇게 큰 규모의 영국군이 전멸을 수반할 패배에 가까워진 적은 없을 것"이라고 기록했다.[206] 펀자비는 결국 진지를 되찾았고, 영국군은 기진맥진했다. 하르댕그 경은 나폴레오닉 캠페인의 칼을 들고 아들을 무드키로 보냈다. 로버트 니덤 커스터스 일기의 한 메모는 "영국 장군들은 무기를 내려놓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총독부로부터 어제의 우리의 공격이 실패했다는 소식, 사무가 이질적이라는 소식, 모든 국문서가 파괴될 것이라는 소식, 그리고 만일 아침 공격이 모두 실패하면 이 일은 커리 씨가 비밀로 하고 우리는 부상자를 구하기 위해 무조건 항복하는 조치를 강구하고 있었다는..."[206]
그러나 시크교도들이 군대에서 몇몇 저명한 지도자들에게 배반당하는 일련의 사건들이 그 몰락을 초래했다. 마하라자 굴라브 싱과 톈 싱은 잠무 출신의 힌두 도그라스, 군대의 최고 장군이었다. 테즈 싱과 랄 싱은 비밀리에 영국인과 동맹을 맺고 있었다. 그들은 육군의 중요한 전쟁 계획을 제공했고, 영국인들에게 육군의 거래에 대한 최신 정보를 제공했고, 이것은 결국 전쟁의 범위를 바꾸고 영국인들의 지위를 이롭게 했다.[207][208]
제2차 영국-식 전쟁

펀자브 제국은 1849년 제2차 앵글로-시크 전쟁 말기에 영국과의 일련의 전쟁으로 분리된 왕자성 국가로, 국가 지위를 부여받은 영국 펀자브 지방으로, 결국 런던 왕실의 직접 대표로서 라호르에 주둔한 중참 총독이 되었다.
골든 에이지 (1849–1919 CE)
인도의 영국령 라지 휘하의 펀자브
펀자비 교육에 미치는 영향
펀잡의 모든 마을에서는 테실다르(세무사)를 통해 여성들에게 의무적으로 필요한 펀잡 콰이다(초본)를 넉넉히 공급하고 있었기 때문에 거의 모든 펀잡 여성은 구르무키의 룬데 형식을 읽고 쓸 수 있다는 점에서 문맹이었다.[202]
영국은 펀자브를 교육에 있어서 번창하게 만들었고 거의 모든 사람들이 글을 읽고 있었다. 봄베이 주와 마드라스 펀자브 주에 이어 세 번째로 문맹이 많은 주였으며 많은 서적과 작문이 쓰여졌다. 구루 그란트 사히브와 다삼 그란트는 둘 다 영국의 시크교도 개종자 맥스 아서 메트칼프가 나중에 막스 싱 마콜페에 의해 번역되었다.
영국군의 시크교도
1858년 동인도 컴퍼니 밑에서 영국의 식민지 지배를 받은 시크교도들은 그들의 무술 실력으로 인해 두려움과 존경을 받았다. 1857-8년의 인도 반란을 진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후. 시크교도들은 '로얄'로만 보여지는 것이 아니라, 식민지 정부가 종교적 전통과 대중적 관습이 그들을 숙련된 투사로 만든 '계엄 민족'이라고 믿었기 때문에 점점 인도군에 편입되었다.[209]
시크교도들은 1897년 영국령 인도 시크 연대 4대대대(당시 36대 시크교) 21명이 아프간과 오락자이 부족 1만여 명으로부터 육군 초소를 지키다가 사망한 사라가르히 전투에서 다시 영광을 안았다.[210] 칸막이 시크교도의 말기에는 1%의 인구에도 불구하고 영국군의 20%가 되었다.
펀자브 외곽의 정착지
1800년대 후반과 1900년대 초 펀자비와 시크교도 동아프리카, 극동, 캐나다, 미국, 영국 등으로 이민을 가기 시작했다.
직책 및 직업 | 공동체, 종교질서 또는 종파 | 정착지 |
---|---|---|
경찰관 | 쟈트 |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중국, 홍콩, 캐나다 및 미국 |
테일러 | 람가리아 | 케냐, 우간다, 아삼, 버마 |
육군 | 쟈트 | 유럽, 미국, 일본, 버마, 북아프리카, 지중해 |
노동 | 마자하비, 방기 | 잉글랜드, 코친, 타밀 나두, 봄베이 대통령직 |
부이스맨 | 아로라, 하트리 | 미국, 캐나다, 영국 |
농민들 | 다양한 카스트와 부족 | 캘리포니아, 스코틀랜드, 웨스트 우타르 프라데시, 비하르 및 동아프리카 |
장인과 시인 | 하트리스 | 영국, 스칸디나비아, 오만 |
전통 전사 | 니항스 | 하이데라바드와 이집트 |
세계 대전의 시크교도
두 번의 세계 대전에서 8만3천5백5명의 시크 군인들이 죽고 10만9천45명이 부상당했다.[211] 시크 군인들은 영국과 세계의 자유를 위해 그리고 포탄 발사 중에 죽거나 부상을 입었다.
제1차 세계대전을 상쇄했을 때 시크 군대는 영국 국군의 22% 수준인 16만1000명 중 3만5000여명에 달했지만 시크 군대는 인도 전체 인구의 2%에도 미치지 못했다.[212] 시크교도들은 맹렬함으로 독일군과 중국군에 의해 '검은사자'로 알려져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의 시크교도.
인도 시크 군인들이 이탈리아 캠페인을 하고 있다.
1915년 프랑스 르사르트의 15번째 시크교도 회사
1915년 프랑스 르사르트의 15번째 시크교도 회사.
1944년 3월 프랑스 대서양벽을 지키는 인도 군단의 시크 군인들. 수바스 찬드라 보세는 축 열강과 함께 싸우는 군사력으로 군단의 결성을 개시했다.
근대식 초기 개발
1920년에는 구르드와라를 부패한 마산드(측정원)로부터 해방시키기 위해 아카리당이 창설되고, 시로마니 구르드와라 파르반다학위원회(SPGC)가 창설된다.[213] 1925년 펀자브의 역사적인 구르드와라스에 대한 통제를 시로마니 구르드와라 파르반다학 위원회에 이양하는 펀자브 시크 구르드와라스 법이 통과된다.[214]
싱 사바 운동 (1880-1919 CE)
싱 사바운동은 1870년대 펀자브에서 기독교인, 힌두교 개혁운동(Brahmo Samajis, Arya Samaj)과 무슬림(알리가르운동, 아마디야)의 산문적 활동에 반발하여 시작된 시크운동이었다. 이 운동은 시크 제국이 동인도 컴퍼니에 의해 해체되고 합병되어 칼사가 그 위신을 잃었고, 주류 시크교도들이 빠르게 다른 종교로 개종하고 있던 시대에 창설되었다. 이 운동의 목적은 "진정한 시크교를 창도하고 시크교를 그 본래의 영광을 되찾게 하고 시크교도의 역사 및 종교 서적을 저술하여 배포하고, 잡지나 매체를 통해 구르무키 푼자비를 전파하는 것"이었다. 이 운동은 시크교를 개혁하고 다른 종교로 개종한 변절자들을 시크교로 다시 불러들이려 했으며, 또한 시크교 공동체를 발전시키는데 영국의 영향력 있는 관리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노력했다. 설립 당시 싱 사바 정책은 힌두교, 기독교, 이슬람교 양성자들과는 달리 다른 종교와 정치적 문제에 대한 비판을 피하는 것이었다.
동인도 회사는 제2차 앵글로-시크 전쟁 이후 1849년에 시크 제국을 합병했다. 그 후, 기독교 선교사들은 펀자브 중심부에서 산문 활동을 증가시켰다. 1853년, 마지막 시크교 통치자인 마하라자 달립 싱은 논쟁의 여지없이 기독교로 개종되었다. 이와 병행하여 힌두교의 브라모 사마지와 아리아 사마지 개혁 운동은 시크교도들을 그들의 수디 의식으로 적극적으로 추구하기 시작했다. 이슬람 산문가들은 라호르의 시크교도들 사이에서 안주만-이슬람아니아를 형성했고, 아흐마디야 운동은 그들의 신앙으로 개종하려는 시도를 했다. 영국 식민지 정부는 19세기 중반 시크 제국을 합병한 후, 이 마족들에게 계속해서 후원하고 토지 보조금을 지급함으로써 그들의 힘을 증가시키고 시크교 신당의 우상숭배를 지속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19세기 중반 펀자브가 동인도회사에 합병되면서 구르드와라 경영이 심각하게 악화되었다.
이렇게 해서 란지트 싱의 군대는 해체되고 펀자브 비무장지대, 시크 군대는 공개적으로 무기를 버리고 농업이나 다른 추격에 복귀하도록 요구되었다. 그러나 수익 없는 땅(자기르다르)을 소유하는 사람들처럼, 특히 '레벨'로 보이면, 영국인들은 시크교도들에게 자기네 구르드와라를 완화하지 않고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경계했고, 시크교도 귀족이나 시크교도 같은 영국인에게 충성하는 것으로 보이는 시크교도파로부터 이끌어냈다.후원과 연금을 받은 es와 18세기와 19세기 초에 역사적 구르드와라를 지배한 우다시스는 토지와 구르드와라 건물에 대한 소유권을 보유할 수 있도록 허용되었다. 식민지 행정은 시크교 체질을 최대한 통제하기 위해 그러한 충신들을 황금사원에 투입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 그 이유 중 하나는 합방 직후 니란카리스, 남다리스, 싱 사바 운동과 같은 시크 부흥주의 집단의 출현이었다; 이 부흥주의는 제대로 된 시크교 관습의 감퇴에 대한 일반 시크교인들의 계급 내에서의 증가하는 불만에 의해 촉발되었다.
시크교 제도들은 식민지 정부의 지원을 받아 마족들의 행정 아래 더욱 악화되었는데, 그는 당시의 시크교 공동체의 요구를 무시한 것으로 여겨지는 것 외에도 구르드와라들이 좀도둑, 주정뱅이, 포주, 불미스러운 및 감시의 행상들과 같은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사람들을 위한 공간으로 변모시키는 것을 허용하였다.음악과 문학은 그들 스스로 그러한 활동에 참여하였다. 또한 우상숭배, 카스트 차별, 비식팬디트, 점성술사 등 구르드워라에도 비식, 브라흐마니컬적인 관행이 뿌리내릴 수 있도록 허용하였고, 구르드제물과 기타 기부금을 개인적인 수입으로 사용함에 따라 일반 시크교도 공동체의 요구를 단순히 무시하기 시작했다.그리고 그들의 지위는 점점 부패하고 세습적으로 변했다. 일부 지역 집단은 이들에 대한 대중의 압력과 지배권을 포기하라는 압력을 가했지만, 구르드와라 토지에서 창출된 많은 수입으로 인해 그들은 그러한 압력에 저항할 수 있었다.
포스트 골든 에이지 (1919-1978 CE)
영국령 인도에서 고전하는 시크교도
얄리안왈라 바그 학살
1919년 바이사키 축제 기간 동안 암리차르에서 일어난 잘리안왈라 바그 학살 사건에서 레지날드 다이어의 명령에 따라 총격을 가한 여성, 어린이, 노인 등 4000명의 평화 시위대가 발생했다.[215][216][217][218][219][220]
시크 혁명가
소한 싱 바흐나, 카르타르 싱 사라바, 다른 많은 푼자비들과 함께, 무장 혁명을 통해 인도에서 영국의 식민지 지배권을 전복하기 위해 가다르당을 설립했다. 가다르당은 1921년 주류 비폭력 아칼리 운동에서 탈피한 '우유한' 시크교도들의 분열된 집단인 밥바르 아칼리 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1914년 바바 구르디트 싱은 346 시크교도들을 태운 채 코마가타 마루호를 이끌고 밴쿠버 항구로 향했고, 7월 23일 강제 출항했다.[221] 윌리엄 홉킨슨 경감의 정보원이자 요원인 벨라 싱 자인은 웨스트 2번가에 있는 칼사 디완 소사이어티 구드와라 사이브에서 총 2발을 꺼내어 총을 쏘기 시작했다. 그는 Bhai Bhag Singh를 살해했고 Battan Singh와 Bela Singh는 살인 혐의로 기소되었지만, Hopkinson은 그의 사건에 증인으로 출두하기로 결정했고 그의 추적에서 그의 증언의 상당 부분을 보충했고 이후 Bela Singh는 무죄 판결을 받았다. 1914년 10월 21일, 칼사 디완 소사이어티의 그란티(Granthi)인 Bhai Mewa Singh는 인도 이민자들을 염탐하기 위해 정보원을 동원하여 그가 비양심적이고 부패하다고 믿었기 때문에 두 개의 권총으로 어사이즈 법원 복도에서 윌리엄 홉킨슨을 사살했다. 캐나다 경찰관 윌리엄 홉킨슨은 나중에 사형을 선고받은 므와 싱에 의해 총격을 가해 사망했다.[222]
1926년 식스 바바(문학적으로, 사자) 혁명가 아칼리스(Akalis)는 교수형에 처해진다.[223]
1931년 Bhagat Singh, Rajguru, Sukhdev는 경찰 수사관 J.P. Sunders를 살해한 혐의로 유죄판결을 받고 처형된다;[224] Bhagat Singh는 일반적으로 Shaheidey Azam (최고 순교자)로 알려져 있다.
1940년 인도 혁명 사회주의자 우담 싱은 잘리안왈라 바그 대학살에 대한 정의의 복수를 위해 마이클 오드웨어를 암살했는데, 이때 암리차르에서[215] 평화적인 시위 끝에 여성, 어린이 등 1만5000~2만 명이 총살당했다.
Bhagat Puran Singh Pingalwara는 그의 삶을 '인류의 이타적인 봉사'[225]에 바쳤다. 그는 1947년 소수의 환자와 함께 Amritsar 거리의 방치되고 거부된 환자와 함께 Pingalwara를 설립했다. 오늘날 우리가 '녹색 혁명'이라고 부르는 것의 초기 주창자였던 Bhagat Puran Singh는 환경 오염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고 그러한 생각이 대중화되기 훨씬 전에 토양 침식을 증가시키고 있었다.[226]
시크교도들은 인도의 독립운동에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그들은 전적으로 그들의 인구 통계적 강도에 비례하여 희생을 했다. (식족은 인도 인구의 2% 미만을 차지한다.[citation needed]
(Maulana Abul Azad 의회가 독립 당시 제공한 아래 그림)
독립운동 중 사망한 인도인 2125명 가운데 1550명(73%)이 시크교도였다.
안다만 제도(식민지 정부가 정치범과 경직된 범죄자를 추방한 곳)로 평생 추방된 인도인 2646명 중 2147명(80%)이 시크교도였다.
교수대에 파견된 127명의 인도인 중 92명(80%)이 시크교도였다.
얄리안왈라 바그에서는 1302명의 남자, 여자, 어린이 중 799명(61%)이 시크교도였다.
인도 해방군에서는 2만여 명의 대위와 장교 중 1만2000명(60%)이 시크교도였다.
독립운동 중 처형된 121명 중 73명(60%)이 시크교도였다.
인도의 칸막이
타라 싱 사부님이 이끄는 칼사 드완 서장과 시로마니 아칼리 달 등 시크교도 단체들은 라호르 결의안과 파키스탄을 건국하려는 운동을 비난하며, 이를 박해 가능성 있는 것으로 보고, 인도의 분할에 크게 반대했다.[16]
분할 후 연도
1947년 인도의 분할에 이르는 몇 달 동안, 시크교도와 이슬람교도의 펀자브에서는 펀자비 시크교도가 웨스트 펀자브에서 힌두교도로 이주하는 효과적 종교적 이주를 목격했고, 펀자브 무슬림들의 이주와 비슷한 종교 이주를 이스트 펀자브교도는 이스트 펀자브에서 큰 갈등을 겪었다.[227] 1960년대는 인도의 푼자비 시크교와 힌두교도들 사이에서 점점 더 적대감과 폭동이 일어나고 있는데,[228] 푼자비 시크교도들은 인도 독립 협상 기간 동안 시크교도의 정치적 지원에 대한 대가로 네루로부터 식의 지도자인 타라 싱에게 약속된 사업이다.[229] 시크교도는 1966년 11월 1일 시크교 다수주 펀자브를 얻었다.
1950년에 시크 레하트 마리아다가 출판된다.
1962년 인도 파티알라에서 펀자비 대학교가 개교한다.
푼자비 수바 모차
인도 분할 이후 시크교도들은 여러 면에서 경멸을 받아왔다. 자와할랄 네루와 간디는 이렇게 말했다.
"판자브의 용감한 시크교도들은 특별한 배려를 받을 자격이 있소. 나는 시크교도들이 자유의 빛을 경험할 수 있는 북쪽 지역과 세트장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본다. (자와할랄 네루, 의회 회의: 캘커타 - 1944년 7월)
그러나 인도의 분할 이후 그는 시크교도들에게 심지어 국가조차도 그들 자신에게 주지 않았고 이것은 더 많은 불평을 야기시켰다. 많은 힌두교도들은 푼자비를 그들의 언어로 유지하기를 거부했고 시크교도들만이 그들의 언어를 푼자비로 보았다. 펀자브는 힌두교인들의 배신으로 인해 더욱 분할되었다.
시크 인 더 인디안 군
시크교도는 인도군의 40%를 구성했으며 인도에서 가장 장식이 잘 된 연대다. 시크교도들은 시크 연대, 시크 라이트 보병, 쟈트 연대, 라즈푸트 연대의 대부분을 구성했다. 그들은 인도-파키스탄 전쟁과 분쟁, 중-인도 전쟁에서 싸웠고 많은 타이틀과 용감한 상을 받았다.
암흑기(1978-현 CE)
시크-니란카리 충돌
1978년, 니란카리 바바카 구르바찬 싱은 반식 구호를 외치며 구루스가 자신의 노예라고 말하면서 암리차르를 가로지르는 퍼레이드를 이끌었다. 그는 아므리트를 이용해 구루 그란트 사이브의 발과 페이지를 닦아서 닦았다. 산트 자네일 싱 빈드란왈레는 그에게 평화적인 시위대를 보냈지만 니란카리스는 무고한 시크교도들을 총살하기 시작했다.
블루스타와 힌두-식 대학살 작전
시크교 선교사 Jarnee Singh Bindranwale은 1982년 정부가 Dhra Dun에 Darbar Sihib의 모형을 만들어 공격을 계획하고 있다는 것을 들었다.[231] 역사학자들은 1975년 간디의 비상권력 가정으로 '정치의 합법적이고 공정한 기계'가 약화됐고, 반대 정치집단의 '파라노아'가 증가하면서 '정치적 이익을 위해 서로 캐스트, 종교, 정치집단을 상대하는 불경스러운 정책'을 부추겼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행동에 대한 반응으로 시크교도들의 정의를 위해 목소리를 높였던 시크교도 지도자인 산트 자네일 싱 빈드란왈레의 등장이 나타났다. 이로 인해 펀자브는 평화로운 시위로 발전했다.[232]
시크교도들은 자치구나 주조차 얻지 못했기 때문에 1947년 인도의 독립에 이어 시크교도 정당인 아칼리 달(Akali Dal)이 주도한 푼자비 수바 운동이 펀자브 주를 경시했다. 그 후 정부는 시크교도들에게 5년 후에는 찬디가르가르가르가르가 수도가 되고 시크교는 지난 세기 동안 그랬던 것처럼 별도의 종교로 간주될 것이라고 장담했다. 이러한 약속은 펀자브 해역의 83.5%가 이행되지 않았고 여전히 사막화로 이어지는 다른 주들로 가고 있으며 시크교도들은 여전히 힌두교 결혼법과 분리되어 있으며 찬디가르는 여전히 연합의 영역이다. 그 후 시크교 지도자들의 한 섹션은 중앙 정부가 펀자브를 차별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국가들에 대한 더 많은 자치권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동등한 권리를 위한 시크교도의 초기 단계는 평화로웠으며, 한 논평자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 10만 명이 넘는 [식] 자원봉사자들이 체포되었다. 이 많은 수의 체포는 의심할 여지 없이 국가 기록이며, 이 규모의 사티아그라 (시위)가 시크교도들이 극도의 관용을 가지고 다루어 온 평화로운 본성이었습니다."
1981년 9월 빈드란왈레는 암리차르에서 자진하여 체포를 제의하였고, 그곳에서 25일간 구금되어 심문을 받았으나 증거 불충분으로 석방되었다. "내가 아는 한, 그 [빈드란왈레]는 완전히 순진하고 진실로 구루스의 가르침에 전념하고 있다." 1983년 12월, 찬디가르의 한 고위 장교는 "우리가 그를 계속 온갖 것에 대해 비난하고 있는 동안 우리가 그에게 [빈드란왈레]에 대해 별로 반감을 갖지 않는다는 것은 정말 충격적인 일"이라고 고백했다.
빈드란왈레와 그의 추종자들은 전통적인 칼, 방패, 사향포로 무장하고 있었다. 드라구노프 소총, 카슈가노프, Ak-74s, Ak-47s도 거의 없었다. 이것들은 인도 정부에 의해 허가되고 공급되었다. 그것은 냉전의 절정이었고 인도는 러시아 쪽으로 기울고 있었고 파키스탄은 미국과 동맹을 맺고 있었다. 빈드란왈레가 러시아제 총기를 소지하고 있었던 것도 이 때문이다. 인도 정부는 빈드란왈레가 힌두교도들을 죽이고 파키스탄과 연합하여 칼리스탄을 만들었다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칼리스탄이라는 말이 처음 나온 것은 힌드 사마차르 신문그룹에 있었다. 검은 고양이라고 불리는 인도의 비밀 작전은 인디라 간디가 펀자브 경찰을 테러리스트로 위장하고 시골에서 힌두교도들을 살해하기 위해 만들었다. 빈드란왈레는 이것들을 비난했지만, 정부가 통제했기 때문에 어떤 신문에도 윤곽이 드러나지 않았다. 그는 또한 힌두교를 싫어하지 않으며 힌두교와 시크교 건축물과 만디르스를 복원하기 위해 5 라크를 기부했다고 연설했다. 그는 힌두교 여성까지 딸로 입양했다.
1984년 6월 인도 정부는 구르드와라스에서 많은 순례자들과 함께 있던 자네일 싱 빈드란왈레가 이끄는 하르만디르 사이브, 암리차르, 그리고 30명의 다른 구르드와라스를 무고한 시크교도들을 제거하기 위한 군사 작전인 블루 스타 작전을 명령했다. 이 작전 동안 인도군은 3000명 정도의 사상자와 700명의 부상자를 냈고, 200–250명의 시크교도들이 목숨을 잃었다. 작전의 처리와 성지 훼손, 양측 모두의 인명 피해가 인도 정부에 대한 광범위한 비난으로 이어졌다. 인도 총리 인디라 간디는 그녀의 두 시크교도 경호원들에 의해 보복으로 암살당했다. 그녀가 죽은 후 1984년 반식 폭동으로 시크교도 1만7000명이 사망했다. 이후 펀자브 반란은 시크 디아스포라 지역의 한 구역의 지원을 받아 펀자브에서 여러 분리주의 무장 단체가 활동하게 되었다. 자스완트 시크 칼라는 인도 보안군이 1990년대 초 무고한 시크교도들을 집단 학살함으로써 반란을 진압했으며 250만 명이 넘는 시크교도들이 정부에 반했다는 이유로 경찰에 의해 살해됐다고 전했다.
1984년 간디의 산트 자네일 싱 빈드란왈레 제거 행동은 블루스타 작전의 황금사원을 모독하게 만들었고 결국 그녀의 시크 경호원들에 의해 간디가 암살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많은 소식통에 따르면 1984년 6월 이후 인도 경찰과 폭도들에 의해 50만 명에 달하는 무고한 시크교도들이 사망했고 1986년 이후 시크교도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위험한 사람들이며 살인, 방화, 테러 행위를 저지르겠다고 다짐한 "아미트다리스"에 대한 모든 지식은 즉시 당국의 통지에 있어야 한다. 이 사람들은 외부에서 보면 무해해 보일지 모르지만 기본적으로 테러리즘에 헌신한다. 우리 모두의 이익을 위해, 그들의 신원과 행방은 항상 공개되어야 한다.- 우드로즈 작전 중 인디라 간디
[232] 이로 인해 사르밧 칼사는 시크족 자치령인 칼리스탄의 창설을 옹호하게 되었다.[citation needed] 이로 인해 반 시크교도 폭동으로 시크교도 사회에 대한 폭력이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이로 인해 인도 전역에서 수천 명의 시크교도들이 학살되었다; 후슈완트 싱은 그 행동을 "우리 나라에서 난민처럼 느끼는 시크교도"라고 묘사했다. 사실 나치 독일의 유대인 같은 느낌이 들었다고 말했다.2002년, "식스는 힌두교도"라는 인기 우파 힌두교 조직의 주장은 시크교 감성을 분노케 했다.[233] 많은 시크교도들은 여전히 희생자들을 위한 정의를 위해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오직 한 사람만이 칼리스탄 운동에 지지한 펀자브의 폭력과 정치 경제적 필요성에 대해 1984년 반식 폭동으로 감옥에 갔다.
시크 평등 운동 (1984-1996)
인도 정부의 시크교도 탄압에 따라 일부 시크교도들은 게릴라 대역을 결성하여 마러딩 경찰을 맡았다. 시크 저항 운동이 한창일 때, 수백 명의 남자들이 펀자브에서 소위 보안군과 싸웠다. 몇몇은 또한 인도의 다른 곳에서도 표적 암살에 가담했는데, 가장 잘 알려진 것은 황금사원에 대한 공격에서 인도군을 이끌었던 바이다 장군의 살해였다. 주요 집단은 바바 칼사, 칼리스탄의 빈드란왈라 호랑이 부대, 칼리스탄 특공대, 칼리스탄 해방군, 올인디아 시크학생연합이었다.
1984년 여름, 15~24세 청소년이 대거 집에서 쫓겨나는 우드로즈 작전으로 급진화되면서 많은 회원들이 저항세력에 가담했다. 대부분은 군대나 경찰에게 친척이나 친구를 잃었다. 다른 사람들은 여성들이 고문과 학대로 경찰에 의해 연행되는 것을 목격했다. 많은 사람들이 국가에 대항하여 무기를 들기 전에 개인적으로 고문을 당했다.
1996년 이후
1996년 종교나 신앙의 자유에 관한 인권위원회의 특별보고관인 압델파타 아모르(Tunisia, 1993–2004)는 종교차별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인도를 방문했다. 아모르는 1997년 "종교계의 시크교도들의 상황은 만족스럽지만 정치(외국의 간섭, 테러 등), 경제(특히 물 공급 공유에 관한 것)와 직업 분야에서도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결론지었다.[234] 비정부(sic) 출처로부터 받은 정보는 공공 행정의 특정 분야에 차별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인디라 간디 살해 이후 시크교도의 경찰 병력 감소와 개인 경호대에 시크교도의 부재 등이 있다."[235] 인도 군대에서 시크교도들의 섭취가 줄어든 것도 1975/1977년 인도 비상사태에서 내려진 특정 명령을 따른 덕분이다.[236]
참고 항목
참조
- ^ "BBC History of Sikhism – The Khalsa". Sikh world history. BBC Religion & Ethics. 29 August 2003. Retrieved 4 April 2008.
- ^ Singh, Patwant (2000). The Sikhs. Knopf. pp. 14. ISBN 0-375-40728-6.
- ^ a b 파샤우라 싱(2005), 단한 스리 구루 아르잔 데브 지, 펀자브 연구 저널, 12(1) 페이지 29~62쪽
- ^ a b McLeod, Hew (1987). "Sikhs and Muslims in the Punjab". South Asia: Journal of South Asian Studies. 22 (s1): 155–165. doi:10.1080/00856408708723379.
- ^ a b V. D. 마하얀(1970). 인도의 무슬림 통치 S. Chand, New Delhi, p.223.
- ^ a b Irvine, William (2012). Later Mughals. Harvard Press. ISBN 9781290917766.
- ^ Pashaura Singh; Louis Fenech (2014). The Oxford handbook of Sikh studies.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pp. 236–238. ISBN 978-0-19-969930-8.
- ^ Gandhi, Surjit (2007). History of Sikh gurus retold. Atlantic Publishers. pp. 653–691. ISBN 978-81-269-0858-5.
- ^ a b c Singh, Prithi (2006). The history of Sikh gurus. Lotus Press. p. 124. ISBN 978-81-8382-075-2.
- ^ Singh, Prof. Kartar (1 January 2003). Life Story Of Guru Nanak. Hemkunt Press. p. 90. ISBN 978-81-7010-162-8. Retrieved 26 November 2010.
- ^ a b Siṅgha, Kirapāla (2006). Select documents on Partition of Punjab-1947. National Book. p. 234. ISBN 978-81-7116-445-5.
- ^ a b c Singh, Prithi Pal (2006). The history of Sikh Gurus. Lotus Press. p. 158. ISBN 81-8382-075-1.
- ^ a b c Abel, Ernest. "Life of Banda Singh".[영구적 데드링크]
- ^ Lafont, Jean-Marie (16 May 2002). Maharaja Ranjit Singh: Lord of the Five Rivers (French Sources of Indian History Sources). USA: Oxford University Press. pp. 23–29. ISBN 0-19-566111-7.
- ^ Singh, Pritam (2008). Federalism, Nationalism and Development: India and the Punjab Economy. Routledge. ISBN 9781134049455.
A lot of Hindu and Muslim peasants converted to Sikhism from conviction, fear, economic motives, or a combination of the three (Khushwant Singh 1999: 106; Ganda Singh 1935: 73).
- ^ a b Kudaisya, Gyanesh; Yong, Tan Tai (2004). The Aftermath of Partition in South Asia. Routledge. p. 100. ISBN 978-1-134-44048-1.
No sooner was it made public than the Sikhs launched a virulent campaign against the Lahore Resolution. Pakistan was portrayed as a possible return to an unhappy past when Sikhs were persecuted and Muslims the persecutor. Public speeches by various Sikh political leaders on the subject of Pakistan invariably raised images of atrocities committed by Muslims on Sikhs and of the martyrdom of their gurus and heroes. Reactions to the Lahore Resolution were uniformly negative and Sikh leaders of all political persuasions made it clear that Pakistan would be 'wholeheartedly resisted'. The Shiromani Akali Dal, the party with a substantial following amongst the rural Sikhs, organized several well-attended conferences in Lahore to condemn the Muslim League. Master Tara Singh, leader of the Akali Dal, declared that his party would fight Pakistan 'tooth and nail'. Not be outdone, other Sikh political organizations, rival to the Akali Dal, namely the Central Khalsa Young Men Union and the moderate and loyalist Chief Khalsa Dewan, declared in an equally strong language their unequivocal opposition to the Pakistan scheme.
- ^ a b Singh, Khushwant (2006). The Illustrated History of the Sikhs.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pp. 12–13. ISBN 0-19-567747-1. 또한 푸라탄 얀암사크흐(나낙의 탄생 이야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 ^ a b c Shackle, Christopher; Mandair, Arvind-Pal Singh (2005). Teachings of the Sikh Gurus: Selections from the Sikh Scriptures. United Kingdom: Routledge. xiii–xiv. ISBN 0-415-26604-1.
- ^ Duggal, Kartar Singh (1988). Philosophy and Faith of Sikhism. Himalayan Institute Press. p. 15. ISBN 0-89389-109-6.
- ^ Brar, Sandeep Singh (1998). "The Sikhism Homepage: Guru Amar Das". Retrieved 26 May 2006.
- ^ Mahmood, Cynthia (2002). A Sea of Orange. United States: Xlibris. p. 16. ISBN 1-4010-2856-X.
- ^ Rama, Swuami (1986). Celestiyal Song/Gobind Geet: The Dramatic DialogueyBetween Guru Gobind Singh and Banda Singh Bahadyur. Hyimalayan Iystitute Press. pp. 7–8. ISBN 0-89389-103-7.
- ^ Singh, Harjinder (2011). Game of Love (Second ed.). Walsall: Akaal Publishers. p. 15. ISBN 9780955458712.
- ^ Sagoo, Harbans (2001). Banda Singh Bahadur and Sikh Sovereignty. Deep & Deep Publications. p. 94.
- ^ Singh, Gurbaksh (1927). The Khalsa Generals. Canadian Sikh Study & Teaching Society. p. 13. ISBN 0969409249.
- ^ Gandhi, Surjit (2007). History Of Sikh Gurus Retold 1606–1708 C.e. Vol# 2. Atlantic Publishers & Dist. p. 1012. ISBN 9788126908585.
- ^ Seetal, Sohan (1971). Rise of the Sikh Power and Maharaja Ranjeet Singh. The University of Michigan: Dhanpat Rai. p. 31.
- ^ Singh, Teja (1999). A Short History of the Sikhs: 1469–1765. Patiala: Publication Bureau, Punjabi University. p. 86. ISBN 9788173800078.
- ^ Kalsi, Sewa (2009). Sikhism. Infobase Publishing. p. 109. ISBN 9781438106472.
- ^ Singh, Gurbaksh (1927). The Khalsa Generals. Canadian Sikh Study & Teaching Society. p. 7. ISBN 0969409249.
- ^ Ralhan, O. P. (1997). The Great Gurus of the Sikhs: Banda Bahadur, Asht Ratnas etc. Anmol Publications Pvt Ltd. p. 38. ISBN 9788174884794.
- ^ Singh, Teja (1999). A Short History of the Sikhs: 1469–1765. Patiala: Publication Bureau, Punjabi University. p. 79. ISBN 9788173800078.
- ^ Dātā, Piārā (2006). Banda Singh Bahadur. National Book Shop. p. 37. ISBN 9788171160495.
- ^ Singh, Harbans (1995). The Encyclopaedia of Sikhism: A-D. Punjabi University. p. 273. ISBN 9788173801006.
- ^ Sagoo, Harbans (2001). Banda Singh Bahadur and Sikh Sovereignty.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Deep & Deep Publications. p. 128.
- ^ Singh, Gurbaksh (1927). The Khalsa Generals. Canadian Sikh Study & Teaching Society. p. 8. ISBN 0969409249.
- ^ Later Mughal. New Delhi: Atlantic Publishers and Distributors. 1991. p. 98.
- ^ Grewal, J. S. (1998). The Sikhs of the Punjab.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83. ISBN 9780521637640.
- ^ a b Singh, Gurbaksh (1927). The Khalsa Generals. Canadian Sikh Study & Teaching Society. p. 9. ISBN 0969409249.
- ^ Jawandha, Nahar (2010). Glimpses of Sikhism. New Delhi: Sanbun Publishers. p. 81. ISBN 9789380213255.
- ^ Sagoo, Harbans (2001). Banda Singh Bahadur and Sikh Sovereignty. Deep & Deep Publications. p. 158. ISBN 9788176293006.
- ^ Singh, Teja (1999). A Short History of the Sikhs: 1469–1765. Patiala: Publication Bureau, Punjabi University. p. 85. ISBN 9788173800078.
- ^ Singha, H.S. (2005). Sikh Studies, Book 6. Hemkunt Press. p. 14. ISBN 9788170102588.
- ^ Singh, Harbans (1995). The Encyclopaedia of Sikhism: A-D. Punjabi University. p. 27. ISBN 9788173801006.
- ^ Bakshi, S. R. (2005). Early Aryans to Swaraj. Sarup & Sons. p. 25. ISBN 9788176255370.
- ^ Sharma, S.R. (1999). Mughal Empire in India: A Systematic Study Including Source Material, Volume 2. Atlantic Publishers & Distributors. p. 627. ISBN 9788171568185.
- ^ Jaques, Tony (2007). Dictionary of Battles and Sieges. Greenwood Publishing Group. p. 595. ISBN 9780313335389.
- ^ Gupta, Hari (1978). History of the Sikhs: Evolution of Sikh confederacies, 1708–1769 (3rd rev. ed.). the University of Virginia: Munshiram Manoharlal. p. 19.
- ^ Ralhan, O. P. (1997). The Great Gurus of the Sikhs: Banda Bahadur, Asht Ratnas etc. Anmol Publications Pvt Ltd. p. 17. ISBN 9788174884794.
- ^ Singh, Gurbaksh (1927). The Khalsa Generals. Canadian Sikh Study & Teaching Society. p. 10. ISBN 0969409249.
- ^ Johar, Surinder (2002). The Sikh Sword to Power. The University of Michigan: Arsee Publishers. p. 27.
- ^ Singh, Teja (1999). A Short History of the Sikhs: 1469–1765. Patiala: Publication Bureau, Punjabi University. p. 91. ISBN 9788173800078.
- ^ Kapoor, Sukhbir (1988). The Ideal Man: The Concept of Guru Gobind Singh, the Tenth Prophet of the Sikhs. The University of Virginia: Khalsa College London Press. p. 177.
- ^ General Knowledge Digest 2010. Tata McGraw-Hill Education. 2010. p. 2.134. ISBN 9780070699397.
- ^ Singh, Teja (1999). A Short History of the Sikhs: 1469–1765. Patiala: Publication Bureau, Punjabi University. p. 93. ISBN 9788173800078.
- ^ a b Singh, Patwant (2007). The Sikhs. Random House Digital, Inc. ISBN 9780307429339.
- ^ Sastri, Kallidaikurichi (1978). A Comprehensive History of India: 1712–1772. the University of Michigan: Orient Longmans. p. 243.
- ^ Gill, Pritam (1978). History of Sikh nation: foundation, assassination, resurrection. The University of Michigan: New Academic Pub. Co. p. 279.
- ^ Singh, Teja (1999). A Short History of the Sikhs: 1469–1765. Patiala: Publication Bureau, Punjabi University. p. 94. ISBN 9788173800078.
- ^ Jawandha, Nahar (2010). Glimpses of Sikhism. New Delhi: Sanbun Publishers. p. 82. ISBN 9789380213255.
- ^ Pletcher, Kenneth (2010). The History of India. The Rosen Publishing Group. p. 200. ISBN 9781615302017.
- ^ Hoiberg, Dale (2000). Students' Britannica India, Volumes 1-5. New Delhi: Popular Prakashan. p. 157. ISBN 9780852297605.
- ^ a b Sagoo, Harbans (2001). Banda Singh Bahadur and Sikh Sovereignty. Deep & Deep Publications. ISBN 9788176293006.
- ^ Duggal, Kartar (2001). Maharaja Ranjit Singh: The Last to Lay Arms. Abhinav Publications. p. 41. ISBN 9788170174103.
- ^ Johar, Surinder (1987). Guru Gobind Singh. The University of Michigan: Enkay Publishers. p. 208. ISBN 9788185148045.
- ^ Sastri, Kallidaikurichi (1978). A Comprehensive History of India: 1712–1772. The University of Michigan: Orient Longmans. p. 245.
- ^ Singh, Gurbaksh (1927). The Khalsa Generals. Canadian Sikh Study & Teaching Society. p. 12. ISBN 0969409249.
- ^ Jawandha, Nahar (2010). Glimpses of Sikhism. Sanbun Publishers. p. 89. ISBN 9789380213255.
- ^ Singh, Ganda (1935). Life of Banda Singh Bahadur: Based on Contemporary and Original Records. Sikh History Research Department. p. 229.
- ^ Singh, Kulwant (2006). Sri Gur Panth Prakash: Episodes 1 to 81. Institute of Sikh Studies. p. 415. ISBN 9788185815282.
- ^ Grewal, Jaspal (1998). The Sikhs of the Punjab (Revis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83. ISBN 9780521637640.
- ^ Kohli, Surinder (1993). The Sikh and Sikhism. New Delhi: Atlantic Publishers & Distributors. p. 59.
- ^ Gandhi, Surjit (1999). Sikhs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ir Struggle for Survival and Supremacy. the University of Michigan: Singh Bros. p. 80. ISBN 9788172052171.
- ^ Singh, Teja (1999). A Short History of the Sikhs: 1469–1765. Patiala: Publication Bureau, Punjabi University. p. 106. ISBN 9788173800078.
- ^ Jawandha, Nahar (2010). Glimpses of Sikhism. Sanbun Publishers. p. 58. ISBN 9789380213255.
- ^ Dhanoa, Surain (2005). Raj Karega Khalsa. Sanbun Publishers. p. 142.
- ^ Singh, Bhagat (1978). Sikh Polity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Oriental Publishers & Distributors. p. 58.
- ^ Singh, Teja (1999). A Short History of the Sikhs: 1469–1765. Patiala: Publication Bureau, Punjabi University. p. 113. ISBN 9788173800078.
- ^ Singh, Teja (1999). A Short History of the Sikhs: 1469–1765. Patiala: Publication Bureau, Punjabi University. p. 115. ISBN 9788173800078.
- ^ Singh, Gurbaksh (1927). The Khalsa Generals. Canadian Sikh Study & Teaching Society. p. 15. ISBN 0969409249.
- ^ a b Singh, Teja (1999). A Short History of the Sikhs: 1469–1765. Patiala: Publication Bureau, Punjabi University. p. 116. ISBN 9788173800078.
- ^ McLeod, W. H. (2009). The A to Z of Sikhism. Scarecrow Press. p. 107. ISBN 9780810863446.
- ^ Singha, H.S. (2005). Sikh Studies, Book 7. Hemkunt Press. p. 35. ISBN 9788170102458.
- ^ a b c Singh, Gurbaksh (1927). The Khalsa Generals. Canadian Sikh Study & Teaching Society. p. 14. ISBN 0969409249.
- ^ Singha, H.S. (2005). Sikh Studies, Book 6. Hemkunt Press. p. 27. ISBN 9788170102588.
- ^ a b Johar, Surinder (2002). The Sikh Sword to Power. the University of Michigan: Arsee Publishers. p. 48.
- ^ Dhamija, Sumant (2004). "The Lion Hearted Jassa Singh Ahluwalia of Punjab". Indian Defence Review. 2. 25: 88.
- ^ McLeod, W. H. (2009). My library My History Books on Google Play The A to Z of Sikhism. Scarecrow Press. p. 107. ISBN 9780810863446.
- ^ a b c Singh, Gurbaksh (1927). The Khalsa Generals. Canadian Sikh Study & Teaching Society. p. 16. ISBN 0969409249.
- ^ Jawandha, Nahar (2010). Glimpses of Sikhism. Sanbun Publishers. p. 221. ISBN 9789380213255.
- ^ Singh, Teja (1999). A Short History of the Sikhs: 1469–1765. Patiala: Publication Bureau,Punjabi University. p. 117. ISBN 9788173800078.
- ^ H. S. Singha (2000). The Encyclopedia of Sikhism. Hemkunt Press. p. 39. ISBN 9788170103011.
- ^ a b Singh, Gurbaksh (1927). The Khalsa Generals. Canadian Sikh Study & Teaching Society. p. 17. ISBN 0969409249.
- ^ Chhabra, G. S. (1968). Advanced History of the Punjab, Volume 1. he University of Virginia: New Academic Publishing Company. p. 358.
- ^ Nijjar, Bakhshish (1972). Panjab Under the Later Mughals, 1707–1759. New Academic Publishing Company. p. 107.
- ^ a b Singh, Gurbaksh (1927). The Khalsa Generals. Canadian Sikh Study & Teaching Society. p. 18. ISBN 0969409249.
- ^ Singha, H.S. (2005). Sikh Studies, Book 6. Hemkunt Press. p. 30. ISBN 9788170102588.
- ^ Singh, Sangat (1995). The Sikhs in History. New York: S. Singh. p. 99.
- ^ Singh, Teja (1999). A Short History of the Sikhs: 1469–1765. Patiala: Publication Bureau, Punjabi University. p. 119. ISBN 9788173800078.
- ^ Sethi, Amarjit (1972). Universal Sikhis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emkunt Press. p. 144.
- ^ "The Sikh Review". 53 (7–12, 619–624). 2005: 52. Retrieved 18 September 2013.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 ^ a b c Singh, Gurbaksh (1927). The Khalsa Generals. Canadian Sikh Study & Teaching Society. p. 19. ISBN 0969409249.
- ^ Randhawa, Ajit (2009). Evolution of Faith and Religion: An Exploration. AuthorHouse. p. 238. ISBN 9781449000806.
- ^ Singh, Harbans (1983). The Heritage of the Sikh. Manohar Publications. p. 127.
- ^ H. S. Singha (2000). The Encyclopedia of Sikhism. Hemkunt Press. p. 15. ISBN 9788170103011.
- ^ a b Singha, H.S. (2005). Sikh Studies, Book 6. Hemkunt Press. p. 31. ISBN 9788170102588.
- ^ Surjit, Gandhi (1980). Struggle of the Sikhs for sovereignty. Gur Das Kapur. p. 74.
- ^ Mitchell, Augustus (1840). An accompaniment to Mitchell's map of the world. Harvard University: R.L. Barnes. p. 510.
- ^ "The Sikh Review". 53 (1–6, 613–618). 2005: 40. Retrieved 18 September 2013.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 ^ Chhabra, G. S. (2005). Advance Study in the History of Modern India (Volume 1: 1707–1803). India: Lotus Press. p. 10. ISBN 9788189093068.
- ^ Singh, Parm (1999). Golden Temple. Publication Bureau, Punjabi University. p. 4. ISBN 9788173805691.
- ^ H. S. Singha (2000). The Encyclopedia of Sikhism. Hemkunt Press. p. 137. ISBN 9788170103011.
- ^ Kohli, Surinder (1993). The Sikh and Sikhism. Atlantic Publishers & Distributors. p. 60.
- ^ Singh, Harbans (1964). The Heritage of the Sikhs. Asia Publishing House. p. 56.
- ^ Singh, Gurbaksh (1927). The Khalsa Generals. Canadian Sikh Study & Teaching Society. p. 21. ISBN 0969409249.
- ^ Jawandha, Nahar (2010). Glimpses of Sikhism. New Delhi: Sanbun Publishers. p. 58. ISBN 9789380213255.
- ^ Chhabra, G. S. (1968). Advanced History of the Punjab, Volume 1. The University of Virginia: New Academic Publishing Company. p. 363.
- ^ The Panjab Past and Present, Volume 11.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epartment of Punjab Historical Studies, Punjabi University. 1977. p. 85.
- ^ Kaur, Madanjit (1983). The Golden Temple: Past and Present. The University of Michigan: Department of Guru Nanak Studies, Guru Nanak Dev University Press. p. 43.
- ^ Gill, Tarlochan (1996). History of the Sikhs. Canada Centre Publications. p. 24.
- ^ Singh, Gurbaksh (1927). The Khalsa Generals. Canadian Sikh Study & Teaching Society. p. 24. ISBN 0969409249.
- ^ Jawandha, Nahar (2010). Glimpses of Sikhism. Sanbun Publishers. p. 209. ISBN 9789380213255.
- ^ Dhamija, Sumant (2004). "The Lion Hearted Jassa Singh Ahluwalia of Punjab". Indian Defence Review. 2. 25: 87.
- ^ Singh, Parm (1999). Golden Temple. Publication Bureau, Punjabi University. p. 19. ISBN 9788173805691.
- ^ Singh, Ganda (1990). Sardar Jassa Singh Ahluwalia. Publication Bureau, Punjabi University. p. 32.
- ^ Singh, Gurbaksh (1927). The Khalsa Generals. Canadian Sikh Study & Teaching Society. p. 25. ISBN 0969409249.
- ^ a b H. S. Singha (2000). The Encyclopedia of Sikhism. Hemkunt Press. p. 111. ISBN 9788170103011.
- ^ Griffin, Lepel (1865). The Panjab chiefs, historical and biographical notices. Oxford University. p. 172.
- ^ Singha, H.S. (2005). Sikh Studies, Book 6. Hemkunt Press. p. 39. ISBN 9788170102588.
- ^ a b Singha, H. S. (2000). The Encyclopedia of Sikhism. Hemkunt Press. p. 111. ISBN 9788170103011.
- ^ "The Sikh Review". 51 (1–6, 589–594). 2003: 40. Retrieved 18 September 2013.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 ^ a b Kohli, Surinder (1993). The Sikh and Sikhism. Atlantic Publishers & Distributors. p. 62.
- ^ a b Mehta, Jaswant (2005). Advanced Study in the History of Modern India: 1707 - 1813. Sterling Publishers Pvt. Ltd. p. 675. ISBN 9781932705546.
- ^ Dilagir, Harajindar (1997). The Sikh Reference Book. Denmark: Sikh Educational Trust for Sikh University Centre. p. 446. ISBN 9780969596424.
- ^ Kapoor, Sukhbir (1988). The Ideal Man: The Concept of Guru Gobind Singh, the Tenth Prophet of the Sikhs. Khalsa College London Press. p. 181.
- ^ Johar, Surinder (2002). The Sikh Sword to Power. Arsee Publishers. p. 68.
- ^ Kumar, Ram (1991). The Sikh struggle: origin, evolution, and present phase. Chanakya Publications. p. 75.
- ^ Singh, Gurbaksh (1927). The Khalsa Generals. Canadian Sikh Study & Teaching Society. p. 27. ISBN 0969409249.
- ^ Markovit, Claude (2002). A History of Modern India: 1480 - 1950. Anthem Press. p. 199. ISBN 9781843310044.
- ^ H. S. Singha (2000). The Encyclopedia of Sikhism. Hemkunt Press. p. 10. ISBN 9788170103011.
- ^ Singh, Khushwant (1963). A History of the Sikhs: 1469–1839. Oxford University Press. p. 134.
- ^ Tasneem, Niranjan (2006). The Lost Meaning. Sahitya Akademi. p. 153. ISBN 9788126017966.
- ^ Singh, Gurbaksh (1927). The Khalsa Generals. Canadian Sikh Study & Teaching Society. p. 29. ISBN 0969409249.
- ^ Mehta, Jaswant (2005). Advanced Study in the History of Modern India: 1707 - 1813. Sterling Publishers Pvt. Ltd. p. 256. ISBN 9781932705546.
- ^ Singha, H.S. (2005). Sikh Studies, Book 7. Hemkunt Press. p. 36. ISBN 9788170102458.
- ^ Johar, Surinder (2002). The Sikh Sword to Power. The University of Michigan: Arsee Publishers. p. 88.
- ^ Singh, Diwan (1993). The Revolution of Guru Nanak. Peoples Publishing House. p. 186.
- ^ Dhavan, Purnima (2011). When Sparrows Became Hawks: The Making of the Sikh Warrior Tradition, 1699–1799. Oxford University Press. p. 91. ISBN 9780199756551.
- ^ a b c Singh, Gurbaksh (1927). The Khalsa Generals. Canadian Sikh Study & Teaching Society. p. 33. ISBN 0969409249.
- ^ A. H., Bingley (1970). Sikhs. The University of Michigan: Department of Languages, Punjab. p. 27.
- ^ "The Sikh Courier International". 25, 27 (60, 64). 1985. Retrieved 18 September 2013.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 ^ Sobati, Haracaran (1990). The Sikh Psyche: A Study of the Fictional Writings of Bhai Vir Singh. Eastern Book Linkers. p. 64. ISBN 9788185133423.
- ^ Singh, Patwant (2007). The Sikhs. Random House Digital, Inc. ISBN 9780307429339.
- ^ Rashid, Haroon (2002). History of the Pathans, Volume 1. Haroon Rashid. p. 166.
- ^ Bigelow, Anna (2010). Sharing the Sacred: Practicing Pluralism in Muslim North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p. 69. ISBN 9780195368239.
- ^ a b Mayel, Jaspal (2006). Universality of the Sikh Religion. Jaspal Mayell. p. 58. ISBN 9780977790708.
- ^ Markovitz, Claude (2002). A History of Modern India: 1480 - 1950. Anthem Press. p. 1999. ISBN 9781843310044.
- ^ Nevile, Pran (2004). "Droits, santé et participation démocratique". India Perspectives. 17: 41. doi:10.7202/010572ar.
- ^ Dhavan, Purnima (2011). When Sparrows Became Hawks: The Making of the Sikh Warrior Tradition, 1699–1799. Oxford University Press. p. 112. ISBN 9780199756551.
- ^ Johar, Surinder (1978). The Heritage of Amritsar. University of Michigan: Sundeep Prakashan. p. 69.
- ^ Dalrymple, William (2013). Return of a King: The Battle for Afghanistan, 1839-42. Random House Digital, Inc. ISBN 9780307958297.
- ^ Singh, Parm (1999). Golden Temple. Publication Bureau, Punjabi University. p. 15. ISBN 9788173805691.
- ^ Sen, S. N. (2006). History Modern India. New Age International. p. 10. ISBN 9788122417746.
- ^ Grewal, Jaspal (1998). The Sikhs of the Punjab.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246. ISBN 9780521637640.
- ^ Seetal, Sohan (1971). Rise of the Sikh Power and Maharaja Ranjeet Singh. The University of Michigan: Dhanpat Rai. p. 46.
- ^ Umar, Muhammad (1998). Muslim society in northern India during the eighteenth century. p. 533.
- ^ Jawandha, Nahar (2010). Glimpses of Sikhism. New Delhi: Sanbun Publishers. p. 207. ISBN 9789380213255.
- ^ Singh, Gurbaksh (1927). The Khalsa Generals. Canadian Sikh Study & Teaching Society. p. 34. ISBN 0969409249.
- ^ Singh, Gurbaksh (1927). The Khalsa Generals. Canadian Sikh Study & Teaching Society. p. 35. ISBN 0969409249.
- ^ a b Duggal, Kartar (2001). Maharaja Ranjit Singh: The Last to Lay Arms. Abhinav Publications. p. 46. ISBN 9788170174103.
- ^ a b Singh, Gurbaksh (1927). The Khalsa Generals. Canadian Sikh Study & Teaching Society. p. 36. ISBN 0969409249.
- ^ Markovitz, Claude (2002). A History of Modern India: 1480 - 1950. Anthem Press. p. 198. ISBN 9781843310044.
- ^ Dilagir, Harajindar (1997). The Sikh Reference Book. Denmark: Sikh Educational Trust for Sikh University Centre. p. 447. ISBN 9780969596424.
- ^ Singh, Gurbaksh (1927). The Khalsa Generals. Canadian Sikh Study & Teaching Society. p. 37. ISBN 0969409249.
- ^ Surjit, Gandhi (1980). Struggle of the Sikhs for sovereignty. Gur Das Kapur. p. 316.
- ^ Singh, Khushwant (2006). The Illustrated History of the Sikhs.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p. 60. ISBN 0-19-567747-1. 또한 푸라탄 얀암사크흐(나낙의 탄생 이야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 ^ H. S. Singha (2000). The Encyclopedia of Sikhism. Hemkunt Press. p. 146. ISBN 9788170103011.
- ^ Singh, Gurbaksh (1927). The Khalsa Generals. Canadian Sikh Study & Teaching Society. p. 38. ISBN 0969409249.
- ^ Mehta, Jaswant (2005). Advanced Study in the History of Modern India: 1707 - 1813. Sterling Publishers Pvt. Ltd. p. 257. ISBN 9781932705546.
- ^ Punjab District Gazetteers: Supplement. Controller of Print. and Stationery. 1980. p. 37. Retrieved 18 September 2013.
- ^ Singh, Gurbaksh (1927). The Khalsa Generals. Canadian Sikh Study & Teaching Society. p. 40. ISBN 0969409249.
- ^ Dhavan, Purnima (2011). When Sparrows Became Hawks: The Making of the Sikh Warrior Tradition, 1699–1799. Oxford University Press. p. 85. ISBN 9780199756551.
- ^ Singh, R. N. (2003). Historical Development of Sikhism: Religion to Politics. Commonwealth Publishers. p. 105. ISBN 9788171697038.
- ^ a b Singh, Gurbaksh (1927). The Khalsa Generals. Canadian Sikh Study & Teaching Society. p. 41. ISBN 0969409249.
- ^ Punjab District Gazetteers: Supplement. Controller of Print. and Stationery. 1980. p. 38. Retrieved 18 September 2013.
- ^ Dogra, R. C. (1995). Encyclopaedia of Sikh Religion and Culture. Vikas Publishing House. p. 401. ISBN 9780706983685.
- ^ Chilana, Rajwant (2005). International Bibliography of Sikh Studies. Springer. p. 218. ISBN 9781402030437.
- ^ Singh, Gurbaksh (1927). The Khalsa Generals. Canadian Sikh Study & Teaching Society. p. 42. ISBN 0969409249.
- ^ 구글북스 이슬람 역사 506쪽
- ^ Jacques, Tony (2007). Dictionary of Battles and Sieges. Greenwood Press. p. 948. ISBN 978-0-313-33536-5.
- ^ 자크, 페이지 948
- ^ Mehta, J. L. (2005). Advanced study in the history of modern India 1707–1813. Sterling Publishers Pvt. Ltd. p. 303. ISBN 978-1-932705-54-6. Retrieved 23 September 2010.
- ^ Alikuzai, Hamid Wahed (October 2013). A Concise History of Afghanistan in 25 Volumes, Volume 14. ISBN 9781490714417. Retrieved 29 December 2014.
- ^ Sethi, Jasbir Singh. Views and Reviews. ISBN 9788190825986.
- ^ 하리 람 굽타, 시크교도의 역사: 시크교 무굴제국의 지배, 1764–1803, 2부, 문시람 마노할랄(2000) ISBN 978-8121502139
- ^ ""Ranjit Singh, Maharaja", Sikh Cyber Museum". Sikhcybermuseum.org.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August 2007. Retrieved 9 August 2009.
- ^ 트루디 링, 노엘 왓슨 & 폴 셸링거 2012, 페이지 28–29. 오류: 대상
- ^ K.S. Duggal (1 February 2009). Ranjit Singh: A Secular Sikh Sovereign. Exoticindiaart.com. ISBN 978-8170172444. Retrieved 9 August 2009.
- ^ Chisholm, Hugh, ed.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 22 (11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892. .
- ^ Sheikh, Majid (31 October 2010). "Destruction of schools as Leitner saw them". Dawn. Retrieved 4 June 2013.
- ^ Allender, Tim (2006). Ruling Through Education: The Politics of Schooling in the Colonial Punjab. Sterling Publishers Pvt. Ltd. p. 22. ISBN 9781932705706.
- ^ a b Leitner, Gottlieb (2002). History of Indigenous Education in the Panjab: Since Annexation and in 1882. Sang-e-Meel. ISBN 9789693513127.
- ^ Stronge, Susan (1999). The Arts of the Sikh Kingdoms. V&A Publications. p. 144. ISBN 1851772618.
- ^ Chhabra, G. S. (2005). Advance Study in the History of Modern India (Volume-2: 1803–1920). Lotus Press. p. 117. ISBN 9788189093075.
- ^ 란지트 싱: 행정 및 영국 정책, (프라카시, 페이지 31~33)
- ^ a b c 마하라자 란지트 싱(Maharaja Ranjit Singh), 마지막으로 무기를 든 사람(Duggal, 페이지 136–137)
- ^ Grewal, J. S. (1998). The Sikhs of the Punjab. Cambridge University Press.
- ^ 마하라자 란지트 싱(Maharaja Ranjit Singh), 마지막으로 무기를 든 사람 (Duggal, 페이지 136–138)
- ^ Ballantyne, Tony (2006). Between Colonialism and Diaspora: Sikh Cultural Formations in an Imperial World. Duke University Press. p. 229. ISBN 9780822388111. Retrieved 18 September 2013.
- ^ Sharma, Gautam (1990). Valour and Sacrifice: Famous Regiments of the Indian Army. Allied Publishers. p. 185. ISBN 9788170231400.
- ^ Spencer, Bob (2012). Sanity and Solitude: Cogent Ramblings of a Lone Aesthetic. AuthorHouse. p. 196. ISBN 9781477234679.
- ^ Sidhu, Dawinder (2009). Civil Rights in Wartime: The Post-9/11 Sikh Experience. Ashgate Publishing, Ltd. p. 112. ISBN 9781409496915.
- ^ Singh, Mohinder (2007). The Akali Movement. National Institute of Panjab Studies.
- ^ Hannum, Hurst (2011). Autonomy, Sovereignty, and Self-Determination: The Accommodation of Conflicting Right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 157. ISBN 9780812202182.
- ^ a b 스와미 P. 여왕의 방문. 얄리안왈라 바그가 다시 방문했다. 독립투쟁에서 가장 충격적인 사건 중 하나인 실제 역사를 살펴보자. 최전방. 제14권 : 제22권 : 1997년 11월 14일.
- ^ Singh, Harbans (1998). The Encyclopaedia of Sikhism: S-Z. Publications Bureau. p. 28. ISBN 9788173805301.
- ^ Kohli, M. S. (2003). Miracles of Ardaas: Incredible Adventures and Survivals. Indus Publishing. p. 173. ISBN 9788173871528.
- ^ Bakshi, Ram (1998). Parkash Singh Badal: Chief Minister of Punjab. APH Publishing. p. 62. ISBN 9788170249870.
- ^ "Saka Panja Sahib". thesikhencyclopedia.com. Retrieved 5 June 2013.
- ^ Singh, Harbans (1995). The Encyclopaedia of Sikhism: A-D. Punjabi University. p. 53. ISBN 9788173801006.
- ^ Pannu, Mohinder (2006). Partners of British Rule. Allied Publishers. p. 229. ISBN 9788177648683.
- ^ Strong-Boag, Veronica (1999). Painting the Maple: Essays on Race, Gender, and the Construction of Canada. UBC Press. p. 91. ISBN 9780774806930.
- ^ Dilagir, Harajindar (1997). The Sikh Reference Book. Denmark: Sikh Educational Trust for Sikh University Centre. p. 674. ISBN 9780969596424.
- ^ Gaur, I. D. (2008). Martyr as Bridegroom: A Folk Representation of Bhagat Singh. Anthem Press. p. 72. ISBN 9781843313489.
- ^ Patrika, Ananda (1979). New Delhi, Volume 2, Part 2. p. 70.
- ^ Brewer, Michael (2005). Think RE!: 2. Heinemann. p. 43. ISBN 9780435307264.
- ^ Dutt, Amitava; Devgun, Surinder (23 September 1977). "Diffusion of Sikhism and recent migration patterns of Sikhs in India". GeoJournal. 1 (5): 81–89. doi:10.1007/BF00704966. ISSN 1572-9893. S2CID 189881872.[데드링크]
- ^ Lukas, J. Anthony (20 March 1966), "Hindu vs. Sikh: Why the Killing", The New York Times, p. 209
- ^ Telford, Hamish (November 1992). "The Political Economy of Punjab: Creating Space for Sikh Militancy". Asian Survey. 32 (11): 969–987. doi:10.1525/as.1992.32.11.00p0215k.
- ^ Tatla, Darshan Singh (1993). The politics of homeland : a study of the ethnic linkages and political mobilisation amongst Sikhs in Britain and North America (Thesis). University of Warwick. p. 133.
- ^ Frank, Katherine (7 January 2002). Indira: The Life of Indira Nehru Gandhi. Houghton Mifflin. pp. 312–327. ISBN 0-395-73097-X.
- ^ a b Pace, Eric (1 November 1984), "Assassination in India: Sikhs at the center of the drama; Sikh separation dates back to '47", The New York Times, p. 24
- ^ Rambachan, Anantanand. "The Co-existence of Violence and Non-Violence in Hinduism" (PDF). The Ecumenical Review. 55: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6 February 2008. Retrieved 4 April 2008.
- ^ Pike, John (27 April 2005), Military: Sikhs in Punjab, retrieved 4 April 2008
- ^ Amor, Abdelfattah (1997), UNHR Documents on India, Commission on Human Rights resolution 1996/23: Commission on Human Rights, 53rd Session, pp. 1–22CS1 maint: 위치(링크)
- ^ Singh, Sangat (2001). The Sikhs in History. New Delhi, India: Uncommon Books. p. 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