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고 부인

Lady Saigō
사이고 부인
西郷局
일본 시즈오카시 호다이인 사이고 부인 초상화
태어난
토즈카 마사코 (戸塚昌子)

1552
죽은1589년 7월 1일 (36-37세)
일본 스루가 순푸
휴식처시즈오카 시 호다이인
34°58'12 ″N 138°22'59 ″E / 34.970102°N 138.383158°E / 34.970102; 138.383158
기타이름사이고노 쓰보네
배우자.도쿠가와 이에야스
아이들.도쿠가와 히데타다, 마쓰다이라 타다요시 등 4명
부모
친척들.
아너즈궁정 원로원 1등

사이고 西郷局(, 1552년 ~ 1589년 7월 1일)는 사이고 西郷の局의 후궁으로, 16세기 말에 일본을 통일하고 쇼군으로 통치한 무사왕 도쿠가와 이에야스후궁 중 한 명입니다. 그녀는 또한 제2대 도쿠가와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어머니이기도 했습니다. 그녀의 공은 매우 중요하게 여겨져서 그녀는 사후에 일본 천황이 수여할 수 있는 최고의 영예인 황실수석 1등에 헌액되었습니다.

사이고 부인은 이에야스가 센고쿠 시대 후기에 권력을 장악하면서 그의 철학, 동맹국 선택, 정책 등에 영향을 미쳤고, 이에 따라 도쿠가와 막부의 조직과 구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비록 그 시대의 몇몇 다른 인물들보다 덜 알려져 있지만, 그녀는 일반적으로 "왕좌의 권력"으로 여겨지고, 그녀의 삶은 봉건 시대 일본의 "신데렐라 이야기"에 비유되어 왔습니다.[1]

그녀가 이에야스의 후계자의 어머니이자 후궁으로서 존경받고 안정된 위치에 있을 때, 사이고 부인은 그녀의 영향력과 부를 자선 목적으로 사용했습니다. 독실한 불교신자였던 그녀는 스루가 지방의 사원에 돈을 기부했고, 처음에는 하마마쓰 성에, 나중에는 순푸 성에 이에야스의 공작으로 거주했습니다. 그녀는 근시였기 때문에 다른 지원 수단 없이 시각 장애 여성을 돕는 자선 단체를 설립하기도 했습니다. 사이고 부인은 다소 불가사의한 정황 속에서 꽤 젊은 나이에 사망했습니다. 살인 혐의가 있지만 범인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사이고 부인은 4명의 자녀를 두었는데, 사이고 가쓰타다와 도쿠히메는 결혼하면서 2명의 아들을 낳았다. 도쿠가와 히데타다와 마쓰다이라 타다요시. 사이고 부인의 후손 중에는 메쇼 황후(1624-1696)가 있었는데, 이는 황후로서 국화 왕좌에 오른 극소수의 여성들 중 하나였습니다.

이름.

대부분의 역사 문헌에서 사용되는 사이고노쓰보네라는 용어는 이름이 아닌 공식적인 호칭입니다. 어른이 되었을 때 그녀는 사이고 씨에 입양되었고, 그래서 그녀는 성을 사용하는 것이 허락되었습니다. 후에 그녀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첫 번째 후작으로 임명되었을 때, "쓰보네" (ts ɯ본)라는 호칭이 성에 붙여졌습니다. 이 제목은 고위직 여성에게 주어지는 여러 개의 제목 접미사 중 하나였습니다(다른 것들은 -kata-dono를 포함합니다). 작위의 수여는 그녀가 합법적인 아내인지 첩인지, 그리고 그녀가 그에 의해 아이를 낳았는지 아닌지와 같은 사회 계층과 사무라이 영주와의 관계에 달려 있었습니다.[2][3] 츠본이라는 단어는 궁정의 여인들을 위한 거처를 의미하며,[4] 자녀를 둔 고위 후궁과 같이 사택을 하사받은 사람들을 위한 명칭이 되었습니다.[2] 헤이안 시대부터 메이지 시대(8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후궁들을 위해 쓰였던 쓰본( ts本)이라는 호칭은 영어 호칭인 '아가씨'로 번역됩니다.

사이고 부인의 이름은 그 당시의 현존하는 문서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마사코(昌子)라는 좋은 증거가 있지만, 이 이름은 매우 드물게 사용됩니다. 그녀가 가장 흔하게 사용한 이름은 오아이(お愛 또는 "사랑"을 의미하는 於愛)였고, 대부분의 자료들은 이것이 그녀가 어렸을 때 얻은 별명이라고 동의합니다. 친밀한 친구들과 가족들은 그녀를 평생 동안 Oai라고 불렀고, 그것은 현대 대중 문화 문헌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이름입니다. 사후에 그녀는 불교의 시호를 받았고, 호다이인 (宝台院)이라는 이름의 약칭이 경건한 존경심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배경

사이고 가문은 15세기에 미카와 국으로 북상한 규슈의 대표적인 기쿠치 가문의 한 분파였습니다. 1524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조부 마쓰다이라 기요야스(1511년 ~ 1536년)의 군대가 미카와 지방을 정복하는 동안 야마나카 성에 있는 사이고 씨의 본거지를 습격하여 점령했습니다. 전투 직후, 사이고의 3대 당주인 노부사다 사이고는 마쓰다이라 가문에 항복했습니다.[12] 1536년 기요야스가 요절하고, 마쓰다이라 히로타다(1526년 ~ 1549년)가 요절하자, 지도자가 없는 마쓰다이라 가문은 미카와 동쪽 스루가 국 이마가와 요시모토(1519년 ~ 1560년)에게 항복했습니다. 마쓰다이라 가문이 이마가와 가문에 함락되자 사이고 가문을 포함한 가신 가문도 이마가와 가문에 제출했습니다.[12] 사이고 마사카쓰는 오케하자마 전투(1560년) 이후 이마가와 가문에 영지를 양보하면서 씨족의 독립을 다시 주장하려 했습니다. 이에 이마가와 우지자네는 13명의 사이고인을 체포하여 요시다 성 근처에 수직으로 임관하게 했습니다.[13] 1562년 이마가와는 미카와 동쪽으로 토벌하여 사이고 성을 공격했습니다. 마사카쓰는 고혼마쓰 성 전투에서 전사했고, 장남 모토마사는 와치가야 성 전투에서 전사했습니다.[13] 마사카쓰의 아들 사이고 기요카즈(1533년 ~ 1594년)가 이마가와를 상대로 한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지도하에 마쓰다이라 가문에 충성을 맹세했습니다. 1569년, 가케가와 성을 포위하는 것으로 이마가와 성의 세력은 끝이 났습니다.[14][15]

사이고 기요카즈의 누나였던 것으로 알려졌지만, 현존하는 어떤 문서에도 사이고 부인의 어머니의 이름이나 생몰년월일은 기록되어 있지 않습니다.[16] 사이고 부인의 아버지는 이마가와 씨의 직할지인 도토미 국 도즈카 다다하루였다. 다다하루와 그의 아내의 결혼은 이마가와 가문이 주선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8]

전기

초기생

사이고 부인은 1552년에 사이고 씨의 분성인 니시카와 성에서 [17]태어났으며 출생 직후에 마사코라는 이름이 붙여졌을 가능성이 높습니다.[9][13] 일본의 결혼은 보통 모계 지역이 아니지만,[18] 타다하루는 아마 이마가와의 대리인으로 니시카와 성에 배속되었을 것입니다. 마사코는 어린 시절을 두 남매와 함께 미카와 지방 동부에서 보냈고, 어느 순간부터 오아이라는 별명을 얻었습니다. 덴쇼 3년([19]1554년), 아버지 다다하루가 엔슈오모리 전투에서 사망했다. 2년 후, 그녀의 어머니는 하토리 마사나오와 결혼했고, 두 명의 아이들만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남았지만, 그들은 4명의 아이들을 낳았습니다.[20][21]

일부 자료에 따르면, 오아이는 성인이 되었을 Note a때 결혼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과부가 되었다고 합니다.[9][10] 남편의 이름은 언급되지 않았고 아이도 없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다른 정보원들은 결혼에 대해 언급하지 않거나, 더 이른 "첫 번째" 결혼이 없었다고 제안합니다.[7][20] 1567년,[20][21][22] 오아이는 사촌이자 모토마사의 아들인 사이고 요시카쓰와 결혼했고, 그의 아내는 이미 두 아이를 낳았다. 1570년 경에 사이고 가쓰타다( was田 daughter子)가 태어났으며, 도쿠히메( toimeh)라는 딸을 낳았다.

1571년 다케히로 전투에서 아키야마 노부토모가 이끄는 다케다 씨의 침략군과 싸우며 요시카쓰 사이고는 전사했습니다.[25] 요시카쓰가 사망한 직후, 오아이는 사이고 씨의 숙부인 사이고 키요카즈에게 입양되었지만, 그녀는 양아버지의 집에서 어머니와 함께 살기로 결정했습니다.[10][20]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쿠가와 이에야스

오아이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처음 만난 것은 17세나 18세 무렵으로, 그는 사이고 가문을 방문하여 차를 대접했습니다.[26] 그녀는 그 때 그의 눈에 띄었다고 생각되지만, 그녀는 아직 결혼한 상태였기 때문에 그 당시에는 아무것도 나오지 않았습니다. 이후 1570년대에는 두 사람 사이에 우정과 진정한 애정이 형성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10] 이 견해는 이에야스가 자신의 삶의 모든 여성과 모든 자손을 씨족이나 자신의 야망을 위해 필요한 상품으로 취급하는 무자비한 지도자였다고 주장하는 일반적인 인상과 모순됩니다.[27] 그러나 혈통보다 개인적인 장점을 중시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이 시기에 이에야스는 오카자키에 있는 아내 츠키야마 부인의 거처에서 멀리 떨어진 미카와 동부에 집을 지었습니다.[28][29] 이에야스와 쓰키야마 부인의 결혼은 표면적으로는 두 씨족 간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 그녀의 삼촌 이마가와 요시모토가 주선했지만, 이에야스는 아내의 질투심과 격한 기분, 괴팍한 습관으로 살기가 어려웠습니다.[30][31]

이에야스는 미카타가하라 전투(1573년)를 전후해 오아이에 대한 속마음을 털어놓기 시작했고, 여러 가지 일에 대해 조언을 구했습니다. 이 시기에 두 사람이 연인 관계를 시작했을 수도 있습니다. 오아이는 나가시노 전투(1575년)가 다가오면서 이에야스에게 조언을 해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이에야스의 경력과 일본의 역사 모두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32] 또한 이에야스는 코마키나가쿠테 전투(1584년) 때까지도 다른 전투나 동맹에 대한 조언을 계속 구했다고 생각됩니다.[7]

1578년 봄, 오아이는 하마마쓰 성으로 이주하여 부엌의 관리를 맡았습니다. 그녀는 그녀의 아름다움에 감탄했을 뿐만 아니라, 그녀를 미카와의 여성들의 온화하고 덕망 있는 본보기로 여겼던 고향 지방의 무사들의 부대와 함께 큰 인기를 끌게 되었습니다.[7] 그녀의 예의와 고상함은 모범적이었지만, 기회가 허락한다면, 그녀는 거리가 먼 성 전초기지에서 촌스러운 전사들을 중심으로 성장한 결과로, 거침없이 말하거나 빈정거리는 말을 할 수 있었습니다.[8] 오아이는 이에야스의 궁정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예비 후궁들이 이에야스의 아이를 낳을 기회를 놓고 서로 계획을 세우고 경쟁하는 쓰라린 장으로 들어갔습니다.[11][26] 강력한 무사, 특히 아들의 자녀를 둔 것은 이 시대의 야심 찬 젊은 여성이 신분을 높이고 편안한 삶을 보장하며 가족의 번영을 보장하는 한 가지 방법이었습니다.[2][33] 이 여성들은 보통 신체적 특성과 성적 기량에 의존하여 영주의 관심을 끌었고, 어떤 여성들은 무항진제를 사용하기도 했습니다.[10] 이런 궁인들과는 달리 오아이는 이미 이에야스의 관심을 받아 일부 사람들의 야망을 약화시켰을 것이고, 일본의 해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원한과 적대감, 음모의 표적이 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10][33][34]

이에야스와 사이고 부인의 아들 도쿠가와 히데타다

이에야스의 결혼은 정치적인 이유로 성사되었고, 후대의 많은 후궁들도 같은 정신으로 선택되었지만, 그는 사이고 부인과의 관계를 선택한 것으로 생각됩니다.[10] 이에야스가 계산적이고 냉정한 군벌이라는 이미지에도 불구하고,[27] 사이고 가문은 이미 충성스러운 가신이었기 [12]때문에, 사이고 가문에 대한 문헌들은 사이고 가문을 이에야스의 여성들 중 가장 사랑받는 인물로 언급하고 있습니다.[7][8][10] 게다가 이에야스는 그녀의 지성과 건전한 충고를 소중히 여겼으며, 미카와 지방에서의 공통적인 배경뿐만 아니라 그녀와 함께 있는 것과 침착한 태도를 즐겼다고 여겨집니다.[10] 1579년 5월 2일, 오아이는 이에야스의 셋째 아들을 낳아 도쿠가와 히데타다로 불리게 됩니다. 이 소식은 아마 이에야스에게 관심을 가졌던 모든 사람들에게 충격이었을 것입니다만, 이 사건으로 오아이의 입지는 더욱 확고해졌고, 그녀는 이에야스의 초대 공작으로 받아들여졌습니다.[8][26] 이 관계를 바탕으로, 그녀의 부드러운 태도와 이에야스에 대한 헌신을 존중하여 사이고노쓰보네, 즉 사이고 부인이라는 존칭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8][35]

같은 해 오다 노부나가는 쓰키야마 부인이 타케다 일족과 결탁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증거는 미약했지만, 이에야스는 하마마쓰의 사나루 호숫가에서 아내를 처형함으로써 자신의 동맹을 다시 확인했습니다.[26][36] 이에야스의 맏아들 츠키야마 부인 도쿠가와 노부야스는 이에야스에게 세푸쿠를 명령할 때까지 감금당했습니다. 그들의 죽음으로 사이고 부인의 법정에서의 지위는 양보할 수 없었습니다. 노부야스의 죽음으로 히데타다는 이에야스의 후계자가 되었습니다.Note c[37][38]

1580년 10월 18일에 사이고 부인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마쓰다이라 다다요시는 마쓰다이라 후쿠즈 번주 마쓰다이라 이에타다의 양자가 되어 마쓰다이라 다다요시로 알려지게 됩니다.[39] 같은 해, 사이고 부인은 어머니를 추모하기 위해 절을 세웠으며, 이때쯤 사망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28] 1586년, 사이고 부인은 이에야스의 곁에 있었고, 그가 새롭게 재건된 순푸 성에 입성할 때 의기양양했습니다. 이것은 적에 대한 승리와 지역의 정복을 매우 상징적으로 축하하는 것이었지만, 또한 이에야스가 그녀의 도움을 칭찬하고 그녀를 존경하는 것을 공개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사이고 부인에 대한 가시적이고 상징적인 표현이기도 했습니다.[28]

자선.

순푸 성에 있는 동안 사이고 부인은 류센지 (龍泉寺)라는 불교 사원에서 숭배했습니다. 그녀는 정토종의 가르침에 헌신하게 되었고, 그녀의 신앙심과 자선심으로 알려졌습니다.[28] 고도의 근시를 앓았기 때문에, 그녀는 종종 시각 장애 여성과 그들을 돕는 단체들에 돈, 옷, 음식, 그리고 다른 필수품들을 기부했습니다.[40] 그녀는 결국 류센지 근처에 집이 있는 협동 학교를 설립하여 가난한 시각장애인들에게 샤미센(전통 현악기)을 직업으로 가르쳐주고 취업을 도왔습니다. 이 여성들은 에도 시대 일본에서 여행하는 음유시인과 유사한 괴저로 알려져 있었습니다.[41][42] 여성들은 길드 같은 조직에 가입할 수 있게 되었고, 견습생이 있는 음악가들이 여러 곳으로 파견되었습니다. 그들은 제재를 받은 레퍼토리의 곡들을 연주했고, 높은 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행동과 허용되는 비즈니스 거래에 대한 엄격한 규칙 아래 운영되었습니다.[41][42] 사이고 여사는 임종을 맞이하여 이 단체의 지속적인 유지를 호소하는 편지를 썼습니다.[43]

죽음.

사이고 부인 묘소

순푸 성에 거주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사이고 부인의 건강은 악화되기 시작했습니다. "신체적, 정서적 고통"이 그녀의 건강에 피해를 주고 있다고 했지만, 그녀를 도울 수 있는 어떤 것도 할 수 없었습니다.[7] 사이고 부인은 1589년 7월 1일 37세의 나이로 사망했습니다.[28] 그녀의 이른 죽음의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고, 당시 살인이 의심되는 가운데 범인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후에 이에야스의 죽은 아내 츠키야마 부인에게 바쳐진 여종에게 독살당했다는 소문이 있었습니다.[44]

사망할 무렵 사이고 부인은 말로는 아니더라도 이에야스의 아내로 대접받았습니다.[45] 사이고 부인의 유해는 류센지에 안치되었습니다.[7] 그녀가 죽자 다수의 시각장애인 여성들이 절 앞에 모여 기도했다고 합니다.[46]

레거시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동맹을 맺고 활동을 계속했습니다. 1590년 오다와라 성 포위전에서 승리한 이에야스는 동쪽의 관동 지역을 대신해 히데요시에게 영지를 양도하기로 합의했습니다.[47] 히데요시는 1598년에 사망했습니다. 1603년에 이에야스는 순포성을 회복하고 일본의 통일을 완성하고 천황에 의해 쇼군으로 임명되었습니다.[48][49] 이듬해에는 류센지를 유노키에서 순푸 성 근처의 고야마치로Note d 이주시키고, 사이고 부인의 사망일에 거행된 불교 장례식에 참석시켰습니다. 이에야스는 그 날을 기념하기 위해 자신이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가타나와 당시의 모습을 담은 초상화를 사원 제사장들에게 선물했습니다. 이 물건들은 여전히 시즈오카시에 있는 절에서 볼 수 있습니다.[7]

1628년, 은퇴한 2대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는 사망 기념일에 어머니를 기리기 위해 거행된 의식에 참석했습니다.[40] 이 의식들은 그녀의 정신이 부처의 지위를 얻는 것을 돕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그는 또한 그녀의 사후 이름을 바꾸고 사원의 이름에 처음 세 글자를 추가함으로써 그녀가 사원의 명예로운 수호자가 되었다고 보았습니다. 오늘날, 류센지 사원은 주로 호다이인(호다이인)[7]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동시에 고미즈노 천황은 사이고 부인에게 源 晶子 마사코(미나모토 마사코)라는 이름을 수여하고, 후에 그녀를 황족의 번주인 미나모토 씨(源氏)로 추대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그 새로운 이름은 황실의 하급 1등에 헌액되었습니다.[7][40] 그녀의 지위는 후에 일본의 역사에 중대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황실 밖의 몇몇 신하들에게 수여되는, 그때나 지금이나 가장 높고 중요한 상인 수석 일등으로 격상되었습니다.[51]

1938년, 호다이인에 있는 사이고 부인의 묘소는 그녀의 무덤 위에 5단의 부도와 그녀의 영혼을 숭배하는 성소로 구성되어 있었고,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었습니다. 1940년 1월 15일 시즈오카 대화재로 사찰 단지 전체가 파괴된 후 지정이 취소되었습니다.[50] 스투파는 남아 있지만, 넘어졌을 때 입은 손상의 증거는 분명합니다. 1604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남긴 검과 초상화, 사이고 부인의 초상화 등 사원의 많은 보물들은 불타고 있는 사원에서 도망치기 전에 창문과 문밖으로 물건들을 내던진 신관들에 의해 지켜졌습니다. 그 사원은 1970년에 강철로 보강된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재건되었습니다. 1940년의 화재에서 구해진 역사적 유물들이 시즈오카시의 새로운 호다이인 사원에 전시되어 있습니다.[7]

주목할 만한 후손들

사이고 부인은 에도 시대 제2대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로 시작하여 제7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쓰구(1709년 ~ 1716년)로 끝난 쇼군의 조상신이었습니다.[52] 이 외에도 사이고 부인은 황실과 연결되기도 했습니다. 1620년, 히데타다의 딸 도쿠가와 마사코(, 1607년 ~ 1678년)는 고미즈노 천황과 결혼하여 황궁에 들어갔습니다.[53][54] 황후의 후궁으로서, 마사코는 황실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었고, 예술을 지원하였고, 다음 세 군주들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첫째는 그녀의 딸이었고, 그 뒤를 이은 두 명의 고코묘 천황과 고사이 천황은 서로 다른 후궁들에 의해 고미즈노 천황의 아들이었습니다.[55][56] 사이고 부인의 증손녀이자 마사코의 딸인 오키코 공주(, 1624년 ~ 1696년)[57]는 1629년에 메이쇼 황후즉위했다.[58][59] 그녀는 1643년 퇴위할 때까지 일본 역사상 단 8명의 황후들 중 7번째인 109대 일본 군주로 15년간 통치했습니다.[60][61]

참고 항목

메모들

a.^봉건 시대 일본의 여성들은 13세에서 15세 사이에 열린 개인의 겐푸쿠 의식에서 "성년"이 이루어졌습니다. 성인이 되자마자, 그 젊은 여성은 처음으로 눈썹을 밀었고, 그녀의 이를 검게 물들였고, 결혼할 자격이 있다고 여겨졌습니다.[62][63]
b.^ 오아이의 딸 토쿠히메는 이에야스와 니시고리 부인의 딸 토쿠히메나 오다 노부나가의 딸 토쿠히메와 혼동해서는 안됩니다.
c.^ 이에야스의 둘째 아들은 1574년에 아내의 시중드는 사람에 의해 태어났는데, 그는 아버지에 의해 기피되었고 후에 동맹국에 입양되었습니다.[64]
d.^ 유노키와 고야마치는 현재 시즈오카시 아오이구의 일부입니다.

참고문헌

  1. ^ 모치다(2000~2013).
  2. ^ a b c Downer (2008) 2012년 6월 3일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되었습니다.
  3. ^ Hata (2008), pp. 172–90, 175–78.
  4. ^ a b 그리피스 (1915), 88쪽.
  5. ^ a b 아키야마 (1990)
  6. ^ Murdoch (1996), p. 3.
  7. ^ a b c d e f g h i j k l Hōdai-in (2010).
  8. ^ a b c d e f g 고바야시와 마키노 (1994), 392쪽.
  9. ^ a b c 효도. (2007), p. 546.
  10. ^ a b c d e f g h i 나카시마 (1999), 79쪽.
  11. ^ a b 니혼 (2007), pp. 78–79.
  12. ^ a b c 고바야시와 마키노 (1994), 610쪽.
  13. ^ a b c 고바야시와 마키노 (1994), 612쪽.
  14. ^ 새들러 (1937), 73쪽.
  15. ^ 젠코쿠(2000), 122쪽.
  16. ^ 고바야시와 마키노 (1994), 394쪽.
  17. ^ 아이치 (1998), 101쪽.
  18. ^ 우에노 (2009), 199–201쪽.
  19. ^ 고바야시와 마키노 (1994), 399쪽.
  20. ^ a b c d 고바야시와 마키노 (1994), p.393.
  21. ^ a b 고바야시와 마키노 (1994), 395쪽.
  22. ^ a b 고바야시와 마키노 (1994), 398쪽.
  23. ^ 고바야시와 마키노 (1994), 373쪽.
  24. ^ 나카시마 (1999), 91쪽.
  25. ^ 고바야시와 마키노 (1994), 372쪽.
  26. ^ a b c d 나카시마 (1999), 80쪽.
  27. ^ a b Sadler (1937), p. 284.
  28. ^ a b c d e 고바야시와 마키노 (1994), 400쪽.
  29. ^ 새들러 (1937), p. 75.
  30. ^ 새들러 (1937), 페이지 75, 92.
  31. ^ 토트먼 (1983), 32쪽.
  32. ^ 고바야시와 마키노 (1994), 384쪽.
  33. ^ a b 수염 (1953), pp. 4, 8.
  34. ^ Levy (1971), p. 39.
  35. ^ 고바야시와 마키노 (1994), 614쪽.
  36. ^ 새들러 (1937), 94쪽.
  37. ^ 그리피스(1883), 272쪽.
  38. ^ 새들러 (1937), 페이지 141.
  39. ^ 토트만 (1983), p. 191.
  40. ^ a b c 고바야시와 마키노(1994), 401쪽.
  41. ^ a b 프리치 (2002).
  42. ^ a b 그로머(2001).
  43. ^ 고바야시와 마키노 (1994), 402쪽.
  44. ^ 나카시마 (1999), 81쪽.
  45. ^ 고바야시와 마키노 (1994), 411쪽.
  46. ^ 고바야시와 마키노 (1994), 408쪽.
  47. ^ 새들러 (1937), 164쪽.
  48. ^ Titsingh (1834), pp. 405, 409.
  49. ^ 새들러 (1937), 226-27쪽.
  50. ^ a b 이토(2003), 445쪽.
  51. ^ 고바야시와 마키노 (1994), 617쪽.
  52. ^ Screech (2006), pp. 97–98.
  53. ^ Ponsonby-Fane (1959), pp. 113–14.
  54. ^ Titsingh (1834), p. 410.
  55. ^ Ponsonby-Fane (1959), pp. 115–16.
  56. ^ 릴호즈 (1996).
  57. ^ Ponsonby-Fane (1959), p. 9.
  58. ^ Frederic and Roth (2002), pp. 256–57.
  59. ^ Titsingh (1834), p. 411.
  60. ^ Titsingh (1834), pp. 411–12.
  61. ^ 궁내청(2004).
  62. ^ Bryant (1994), 10-11쪽.
  63. ^ 린(2002), 403쪽.
  64. ^ Sadler (1937), p. 333.

서지학

  • Aichi Board of Education (1998). 愛知県中世城館跡調査報告 [Survey Report of Castle Hall Sites from the Medieval Period of Aichi Prefecture] (in Japanese). Vol. 3: East Mikawa Region. Nagoya, Japan: Association for the Diffusion of Books and Maps of Cultural Assets.
  • Akiyama, Terukazu (1990). "Women Painters at the Heian Court". In Marsha Weider (ed.). Flowering in the Shadows: Women in the History of Chinese and Japanese Painting. Meribeth Graybill. Honolulu, Hawaii: University of Hawaii Press. pp. 159–184. ISBN 978-0-8248-1149-5.
  • Beard, Mary Ritter (1953). The Force of Women in Japanese History. Washington, D.C.: Public Affairs Press. ISBN 978-0-8183-0167-4.
  • Bryant, Anthony J. (26 May 1994). Samurai 1550–1600. Oxford: Osprey Publishing. ISBN 978-1-85532-345-2.
  • Downer, Lesley (2008). "Secrets of the Shogun's Hare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une 2012. Retrieved 16 December 2012.
  • Frederic, Louis (2002). Japan Encyclopedia. Kathe Roth. Cambridge, US: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01753-5.
  • Fritsch, Ingrid (1992). "Blind Female Musicians on the Road: The Social Organization of Goze in Japan". Chime. 5 (Spring): 58–64. ISSN 0926-7263.
  • Griffis, William (1883). The Mikado's Empire. Vol. I. New York: Harper & Brothers.
  • Griffis, William (1915). The Mikado: Institution and Person.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88. ISBN 978-1-279-41346-3. tsubone concubine.
  • Groemer, Gerald (2001). "The Guild of the Blind in Tokugawa Japan". Monumenta Nipponica. 56 (3): 349–80. doi:10.2307/3096791. JSTOR 3096791.
  • Hata, Hisako (2008). "9: Servants of the Inner Quarters: The Women of the Shogun's Great Interior". In Anne Walthall (ed.). Servants of the Dynasty: Palace Women in World History. Berkeley and Los Angeles,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172–90. ISBN 978-0-520-25443-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July 2023. Retrieved 26 October 2020.
  • Hōdai-in (2010). "宝台院の由来" [History of Hōdai-in]. Hōdai-in: Konpei-san, Jodo sect (in Japa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July 2011. Retrieved 1 January 2011.
  • Hyodo, Masao; Fujii, Takashi; Fujita, Shizuyo; Yoshikawa, Toshiaki, eds. (2007). 豊橋百科事典 [Toyohashi Encyclopedia] (in Japanese). Toyohashi, Japan: Toyohashi City Department of Citizens' Culture, Culture Section.
  • Imperial Household Agency (2004). "明正天皇 月輪陵" [Empress Meisho, Tsukinowanomisasagi]. 天皇陵 [The Imperial Tombs] (in Japanese). Imperial Household Agenc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une 2011. Retrieved 7 May 2011.
  • Ito, Mitsuyoshi (2003). 戦災等による焼先文化財 [List of Registered Important Cultural Properties which were Removed from the Official File because of Damage caused by Fires and Other Causes] (in Japanese). Tokyo: Ebisu-Kosoyo Publication Co., Ltd.
  • Kobayashi, Sadayoshi; Makino, Noboru (1994). 西郷氏興亡全史 [Complete History of the Rise and Fall of the Saigō Clan] (in Japanese). Tokyo: Rekishi Chosakenkyu-jo.
  • Levy, Howard Seymour (1971). Sex, Love, and the Japanese. Tokyo: Warm-Soft Village Press.
  • Lillehoj, Elizabeth (1996). "Tōfukumon'in: Empress, Patron and Artist". Woman's Art Journal. 17 (1): 28–34. doi:10.2307/1358526. JSTOR 1358526.
  • Lin, Irene H. (2002). "The Ideology of Imagination: The Tale of Shuten Dōji as a Kenmon Discourse". Cahiers d'Extrême-Asie. 13 (13): 379–410. doi:10.3406/asie.2002.118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July 2023. Retrieved 20 January 2013.
  • Mochida, Shinzaemon (2000–2013). "日本史人物列伝: 西郷局(お愛の方)" [Series of Biographies on Japanese Historical Figures]. よろパラ 文学歴史の10 (in Japane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February 2013. Retrieved 19 January 2013.
  • Murdoch, James (1996). A History of Japan. Vol. III. London: Routledge. ISBN 978-0-415-15417-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July 2023. Retrieved 26 October 2020.
  • Nakashima, Michiko (1999). 徳川三代と女房たち [Three Generations of the Tokugawa and their Women] (in Japanese). Kyoto, Japan: Ritsubu.
  • Nihon Hakugaku Kurabu, ed. (2007). 大奥のすべてがわかる本: 知られざる徳川250年の裏面史 [Book about the Great Interior: Understanding the Tokugawa through 250 Years of Hidden Historical Background]. Kyoto: PHP Research Institute. ISBN 978-4-569-69475-7.
  • Ponsonby-Fane, Richard Arthur Brabazon (1959). The Imperial House of Japan. Kyoto: Ponsonby Memorial Socie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July 2023. Retrieved 26 October 2020.
  • Sadler, A.L. (1937). The Maker of Modern Japan: The Life of Shogun Tokugawa Ieyasu. London: George Allen and Unwin, Ltd. ISBN 978-0-8048-1297-9.
  • Screech, Timon (2006). Secret Memoirs of the Shoguns: Isaac Titsingh and Japan, 1779–1822. London: RoutledgeCurzon. ISBN 978-0-7007-1720-0.
  • Titsingh, Isaac (1834).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Paris: Oriental Translation Fund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nipon o dai itsi ran.
  • Totman, Conrad (1983). Tokugawa Ieyasu: Shogun. San Francisco: Heian International, Inc. ISBN 978-0-89346-210-9.
  • Ueno, Chizuko (2009). The Modern Family in Japan: Its Rise and Fall. Balwyn North, Australia: Trans Pacific Press. ISBN 978-1-876843-62-5.
  • Zenkoku Rekishi Kyoiku Kenkyu Kyogitai (ed.). 日本史用語集 [Glossary of Japanese History]. Vol. B. Tokyo: Yamagawa Publishers.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