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드데이
Land Day랜드데이 | |
---|---|
![]() 토지의 날 포스터 아베드 엘 하메드, 1985 | |
관찰자 |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점령지에 있는 팔레스타인인들 |
날짜. | 3월30일 |
다음에 | 2025년 3월 30일 |
빈도수. | 연간. |
토지의 날 (아랍어: يَوْم اَلْأَرْض어, 로마자: 요맘 알 ʾ 아르 ḍ어, 히브리어: יוֹם הַאֲדָמָה어, 로마자: 3월 30일에 반복되는 욤 하아다마(Yom Ha Adama)는 이스라엘의 아랍 시민들과 1976년 이스라엘에서 있었던 그 날의 사건들의 이스라엘 점령지에 있는 사람들 모두를 위한 기념일입니다.
1976년 이스라엘 정부는 사크닌과 아라바 사이에 있는 약 20,000 두남(20km2; 7.7sq mi)의 토지를 몰수할 계획을 발표했으며, 이 중 6,300 두남(6.3km2; 2.4sq mi)은 아랍 소유였습니다.[1] 갈릴리의 유다화를 목표로 한 이스라엘 정부의 전략의 일부를 구성했습니다. 이에 아랍의 도시들은 총파업을 선포하고 갈릴리에서 네게브까지 행진을 벌였습니다.[2][3] 이스라엘 군경은 비무장[4] 아랍인 시위자 6명을 살해했으며, 그 중 절반은 여성이었고, 100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수백 명이 체포되었습니다.[3][5][6][7]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에 대한 장학금은 토지를 둘러싼 투쟁과 이스라엘 국가 및 단체 정치에 대한 아랍 시민들의 관계에서 토지의 날을 중추적인 사건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내 아랍인들이 팔레스타인 민족단체로서 이스라엘 정책에 대한 대응을 조직한 것은 1948년 이후 처음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2] 그 이후로 팔레스타인 국가 정치 달력에서 중요한 기념일인 이 날은 이스라엘의 아랍 시민들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팔레스타인 사람들에 의해서도 기념되고 있습니다.[8]
배경

의무 팔레스타인의 아랍인들은 대부분 농업 민족이었고, 그들 중 75%는 이스라엘 국가가 세워지기 전에[need quotation to verify] 땅으로 생계를 유지했습니다.[9][10] 1948년 팔레스타인 전쟁 동안 팔레스타인이 추방되고 도주한 후, 토지는 이스라엘의 국가가 된 내부에 남아있던 156,000명의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의 삶에서 공동체의 정체성, 명예 및 목적의 원천으로 계속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9][11]
이스라엘 정부는 1950년 유대인의 이스라엘 이민과 유대인 난민 흡수를 촉진하기 위해 반환법을 채택했습니다. 1950년 3월 이스라엘 부재자 재산법은 부재자 소유자의 재산권을 정부가 임명한 부재자 재산 관리인에게 양도했습니다. 또한 "국가 내부에 존재하지만 법적으로는 '부재'[12]로 분류되는" 이스라엘의 아랍 시민들의 땅을 압수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120만 명의 이스라엘 아랍 시민 중 "현재 부재중인" 또는 내부적으로 추방된 팔레스타인인의 수는 200,000명으로 추정되며, 이는 이스라엘 전체 팔레스타인 아랍 인구의 거의 17%에 해당합니다.[12] 살만 아부-시타는 1948년에서 2003년 사이에 이스라엘의 아랍 시민들(현재 부재자 및 기타)로부터 1,000 평방 킬로미터 이상의 토지가 수용되었다고 추정합니다.[13]
Oren Yiftachel에 따르면, 1970년대 중반 이전에는 이스라엘에서 아랍인들의 국가 정책과 관행에 대한 공개 시위가 드물었는데, 이는 그들의 지역에 대한 군사적 통치, 빈곤, 고립, 분열 및 새로운 이스라엘 국가에서의 주변 위치를 포함한 복합적인 요인 때문입니다.[14] 토지 수용과 아랍 시민들의 제한에 반대하여 일어난 시위들은 군사적 통치 하에 (1948년-1966년) Shany Payes에 의해 그 시기의 특징적인 이동, 표현 및 집회의 자유에 대한 권리에 대한 제한으로 인해 "무례적"이고 "제한적"으로 묘사됩니다.[15] 정치 운동 알아드("The Land")가 약 10년간 활동한 반면, 1964년 불법으로 선언되었고, 그렇지 않은 가장 주목할 만한 반정부 행사는 공산당이 매년 벌인 5월 1일 시위였습니다.[14]
이벤트 촉매화
이스라엘 정부는 공식적인 사용을 위해 갈릴리에 있는 땅을 수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혔고, 이는 아랍 마을인 사크닌과 아라바 사이의 약 2만 두남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 중 6,300두남은 아랍인 소유였습니다.[1] 1976년 3월 11일, 정부는 수용 계획을 발표했습니다.[16]
Yiftachel은 북부 갈릴리의 유대인 정착지에 대한 토지 몰수와 확장이 정부의 지속적인 전략의 일부를 형성했고, 그 자체가 "팔레스타인 저항"에 대한 대응이자 촉매제가 되었고, 토지의 날 사건으로 끝이 났다고 쓰고 있습니다.[17] 팔레스타인 해방을 위한 민주 전선(DFLP)의 지도자 나예프 하왓메에 따르면, 이 땅은 1975년 소위 갈릴리 개발 계획의 실행으로 8개의 유대인 산업 마을을 건설하는 데 사용될 것이라고 합니다. 농무부는 이 계획을 발표하면서 갈릴리의 인구구조를 변화시켜 이 지역에 유대인이 다수를 차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라고 공개적으로 선언했습니다."[4][18] 예루살렘 포스트의 오를리 헬퍼는 이 땅들이 보안 목적으로 정부에 의해 몰수되었으며, 이후 군사 훈련 캠프를 건설하는 데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유대인 정착촌이라고 쓰고 있습니다.[4]
Yifat Holzman-Gazit는 1976년 발표를 1975년에 고안된 더 큰 계획의 틀 안에 놓았습니다. 유대인 마을 카르미엘을 확장하기 위해 약 1900개의 아랍 땅 두남이 수용될 예정이었습니다. 또한, 이 계획은 1977년에서 1981년 사이에 각각 20가구 미만으로 구성될 미츠핌(단조어: mitzpim)으로 알려진 50개의 새로운 유대인 정착촌을 설립하는 것을 계획했습니다. 이 계획은 갈릴리 중부의 아랍 마을 클러스터 사이에 위치하여 약 20,000 두남(이 중 30%는 아랍인, 15%는 유대인, 나머지는 국유 토지)에 영향을 미칠 것을 요구했습니다.[19] 데이비드 맥도월(David McDowall)은 1970년대 중반 갈릴리의 토지 압류 재개와 요르단강 서안의 토지 수용 가속화를 토지의 날 시위와 요르단강 서안에서 동시에 일어나고 있던 유사한 시위의 즉각적인 촉매제라고 말합니다. 그는 다음과 같이 적습니다: "토지 문제보다 정치적으로 두 팔레스타인 공동체를 하나로 모으는 데 도움이 된 것은 없습니다."[20]
1976년 항쟁
정부의 토지 몰수 결정에는 1976년 3월 29일 오후 5시부터 사크닌, 아라바, 데이르 한나, 투란, 탐라, 카불 마을에 대한 통행금지령이 선포되었습니다.[4] 나사렛 시장을 겸임한 타우피크 지아드 등 라카당 소속 현지 아랍 지도자들은 3월 30일 토지 몰수에 반대하는 시위와 총파업의 날을 촉구하며 맞불을 놓았습니다.[21] 3월 18일, 지역 아랍 의회 의장들과 노동당 의원들은 쉐파 암르에서 만나 행동일을 지지하는 것에 반대표를 던졌습니다. 결정 소식이 알려지자 시청사 밖에서 시위가 벌어졌고 최루탄이 뿌려졌습니다.[22] 정부는 모든 시위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한 학교 교사들과 같은 '시위꾼'들을 직장에서 해고하겠다고 위협했습니다.[23] 그러나 위협은 효과적이지 않았고, 많은 교사들은 학생들을 교실 밖으로 이끌고 북쪽의 갈릴리에서 남쪽의 네게브에 이르기까지 이스라엘의 아랍 도시 전역에서 벌어진 총파업과 행군에 동참했습니다.[2][4][23] 연대 파업도 요르단강 서안과 가자지구, 레바논에 있는 팔레스타인 난민 수용소 대부분에서 거의 동시에 진행됐습니다.[24]
그날의 사건은 전례가 없었습니다.[23] 국제유대인평화연합에 따르면 "육지의 날에 이스라엘 내부의 사건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헬리콥터로 운반되는 전술 부대와 육군 부대를 포함한 약 4,000명의 경찰이 갈릴리에 배치되었습니다 [...]"[25] 시위 동안 4명의 비무장 시위자가 이스라엘 방위군(IDF)의 총에 맞아 사망했고 2명이 경찰에 의해 추가로 사망했습니다.[4] 나흘라 압도와 로니트 렌틴은 사망자 중 3명이 여성이며 "군대는 갈릴리의 여러 마을의 비포장 도로를 따라 장갑차와 탱크를 운전할 수 있도록 허용되었다"고 썼습니다.[23] 약 100명의 아랍인들이 부상을 입었고 수백 명이 체포되었습니다.[5][6]
뉴욕타임스는 이번 살해가 "이스라엘의 아랍 땅 수용에 항의하기 위해 갈릴리 지역에서 일어난 폭동" 중 경찰에 의해 자행됐다고 보도했습니다.[26] 에즈라 하레비는 아루츠 셰바에서 폭동은 전날 밤 이스라엘-아랍인들이 경찰과 군인들에게 돌과 화염병을 던지면서 시작되었다고 쓰고 있습니다. 폭동은 다음날에도 계속되었고 격화되어 이스라엘 보안군의 많은 부상자들과 6명의 아랍 폭동자들이 사망했습니다."[27] 요세프 고엘은 예루살렘 포스트에 기고한 글에서, "실제로 죽음에 이르게 한 폭동을 촉발한 것은 수백 명의 젊은 아랍인들이 사크닌, 아라베, 데이르 한나 마을의 도로를 운전하는 용의자 없는 IDF 호송대를 타고 격렬하게 공격한 것입니다. 이스라엘 갈릴리의 심장부에 있는 이스라엘 육군 부대가 있는 곳에서 도발을 보겠다고 고집하지 않는 한, IDF 호송대 측에서 사전 도발은 없었습니다."[28]
2003년 이스라엘 정부 문서에 따르면, "아랍 공인들은 시위를 제한하려 했지만, 행사에 대한 통제력을 잃었습니다. 시위 참가자들은 타이어를 불태우고, 도로를 막고, 돌멩이와 화염병을 던졌습니다." 사망자 6명을 시위 참가자와 보안군의 '심각한 충돌' 상황에 놓으면서 양측에 부상자가 많았다는 점도 주목됩니다.[29] 바룩 키멀링과 조엘 S. 미그달은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인들이 1956년에 완전히 자신감과 정치적 인식이 결여되었다는 점에서 토지의 날이 카프르 카심 학살과 다르다고 썼습니다. 이번에는 아랍 시민들이 소극적이고 순종적이지 않았습니다. 대신 그들은 국가적 차원에서 정치 활동을 시작하고 조정했으며, 자신들의 폭력으로 경찰의 잔혹성에 대응했습니다."[30]
영향
토지의 날 행사 동안, 국가와 경찰에 대한 분노와 죽은 시위자들에 대한 슬픔과 함께 새로운 국가적 자부심이 이스라엘의 아랍 공동체 사이에서 발전했습니다.[30] 아랍 정당인 라카와 압나 알발라드 사이에 분열이 일어났습니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에 대한 두 국가의 해결책을 약속한 라카는 요르단강 서안지구 출신 팔레스타인인들의 개입에 대해 크게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습니다. 반대로, 압나 알 발라드는 단일 민주 팔레스타인 수립에 대한 약속으로 토지, 평등, 난민 및 점령 문제를 "포괄적이고 통합적이며 나눌 수 없는 전체"로 보았습니다.[20] Rakah는 여전히 두 국가의 해결책에 전념하고 있지만, 그것은 섬세한 균형을 이루었고, 공동체의 정서에 더 부합하도록 팔레스타인의 정체성을 더 명확하게 표현했습니다. 예를 들어, 토지의 날 직후, Tawfiq Ziad는 "이제부터 공동체와 종교 단체는 없고 팔레스타인 국가의 일부인 단 한 명의 아랍 소수자만 있을 것입니다."라고 선언했습니다.[20]

토지의 날은 또한 아랍인들이 더 이상 무시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이스라엘 정치에서 존재감을 갖게 했습니다. 이스라엘의 아랍 시민사회는 서로 협력하기 시작했고,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시위는 토지와 계획 정책, 사회경제적 조건, 팔레스타인의 국가적 권리 등 세 가지 주요 문제에 초점을 맞춰 잦아졌습니다.[14]
이 시위는 1975년 토지 수용 계획을 저지하는 데 별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 미츠핌의 설립 수는 1981년에 26개, 1988년에 52개에 달했습니다. 이 미츠핌과 상부 나사렛, 마알롯, 미그달 하메크, 카르미엘의 "개발 도시"는 갈릴리의 인구 구조를 크게 변화시켰습니다. 이스라엘이 건국된 후 몇 년 동안 아랍인이 갈릴리 인구의 92%를 차지했지만, 1994년에는 지역 인구 68만 명 중 72%로 줄었고, 유대인이 28%를 차지했습니다. 갈릴리의 대규모 토지 수용은 1980년대 이후 이스라엘 정부에 의해 일반적으로 기피되었습니다.[19]
이스라엘 언론의 보도에 관한 연구
이스라엘 학계는 랜드데이에 대한 이스라엘 언론의 보도를 분석하고 비판했습니다. 이스라엘의 7개 주요 신문에 대한 Alina Koren의 1994년 연구는 그날의 준비와 결과에 대한 보도가 1976년 3월-4월에 광범위하게 이루어졌으며, 보고서는 장관, 고문 또는 "아랍인에 대한 전문가"와 같은 이스라엘 공식 정보원의 진술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랍의 조직자들과 참가자들의 목소리에 할애되는 공간은 거의 없었습니다. 조사한 모든 신문은 이념적 차이가 무엇이든 원인을 최소화하고 대신 시위를 한계적이고 대표성이 없는 소수의 소행으로 묘사하고 국가 안보와 법과 질서에 대한 잠재적 위협으로 묘사하는 두 가지 주요 주제를 강조했습니다. 다니엘 바르탈과 요나 테이히만은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특별히 중요한 것은 모든 신문이 공산주의자, 민족주의자, 극단주의자, 선동가, 선동가, 적 또는 폭력적인 사람들로서 참가자들을 정당화했다는 발견입니다."[31]
바-탈과 테이크먼은 또한 가디 울프스펠트, 엘리 에이브러햄 및 이삼 아부라이야 교수의 2000년 연구를 인용하여 1977년과 1997년 사이의 연례 기념 행사에 대한 하레츠와 예디오트 아하로노트의 보도를 분석한 결과, 매년 행사 이전의 보도는 경찰과 군 소식통의 뉴스 기사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랍인들에 대한 보고서는 그들의 지도부가 제시한 선동과 선동에 국한되어 있는 가운데, 안보 준비에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시위 이유에 대한 정보는 출판된 이야기의 6%에서 7% 사이에서 제공되었습니다. 거의 대부분의 기자들이 유대인이었고, 하레츠만이 아랍인들을 취재하기 위해 특별히 배정된 기자가 있었습니다. 이 사건은 정부에 요구하는 시민들이 아니라 적으로 규정된 아랍 시위자들과의 아랍-이스라엘 갈등의 맥락에서 틀이 잡혔습니다. 예를 들어 1997년 3월 22일 예디오트 아흐로노스의 사설에는 "시위권에는 폭동을 일으킬 권리, 도로를 폐쇄할 권리, 지나가는 차량에 돌을 던질 권리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 다시 말하지만, 이스라엘 아랍인들에게 그들의 대부분의 이스라엘 민족은 그들의 나라와 그 법에 빚진 충성심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해야 합니다. 만약 그들이 이 법들을 원하지 않는다면 아무도 그들이 떠나는 것을 막고 있지 않습니다."[31]
유산

팔레스타인인들에게 토지의 날은 그 이후로 그들의 땅과 정체성을 지키기 위한 투쟁에서 쓰러진 사람들을 기념하고 추모하는 날이 되었습니다. 1988년 이스라엘의 아랍 시민들, 특히 평등한 토지와 시민권 문제를 둘러싼 정치적 불만을 표출하는 날이 종종 있었습니다. 그들은 토지의 날이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시민 기념일이자 매년 시위와 총파업으로 점철될 요르단강 서안지구와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인들과 동일시하는 날"이 되어야 한다고 선언했습니다.[4][30]
랜드 데이는 이스라엘의 아랍 시민들 사이에 정치적 연대를 형성하는 데 효과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1948 아랍인"들이 더 큰 팔레스타인 세계와 주류 팔레스타인 민족주의의 중심부로 다시 돌아가도록 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었습니다.[30] 이 날은 매년 요르단강 서안, 가자 지구, 동예루살렘의 팔레스타인인들에 의해 기념되며, 더 나아가 난민 수용소와 전 세계 팔레스타인 디아스포라의 현장에서 기념됩니다.[18] 2007년 팔레스타인 민족 당국의 프레스 센터는 "...팔레스타인인들이 그들의 조상의 땅, 그들의 정체성, 그리고 그들의 존재를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에...팔레스타인인들의 투쟁 역사에서 주목할 만한 날"이라고 묘사했습니다.[32]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관측통들은 이스라엘 내부의 아랍인들이 과대 광고를 홍보하려는 조직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시위에 덜 열광하는 것처럼 보인다고 언급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이것을 풀뿌리 차원에서 화해가 증가하고 있다는 신호로 보고 있습니다.[33]
매년 기념 및 시위

이스라엘 사법부의 한 연구에 따르면, 2000년 연례 기념 기간 동안 이스라엘에서 행해진 총파업과 행진은 사크닌에서의 시위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평화롭게 진행되었다고 합니다. 그곳에는 수백 명의 젊은이들이 모여 서쪽 마을과 인접한 이스라엘 군 기지를 향해 이동했습니다. 담장을 뿌리째 뽑으며 기지를 파고들어 안으로 팔레스타인 국기를 흔들었습니다. 연설을 하기 위해 그곳에 있었던 아랍의 공인들은 그들을 제압하려고 시도했지만, 적대감과 심지어 구타를 당했습니다. 기지를 보강하기 위해 도착한 국경 경찰은 시위대에 돌을 맞았고, 일부는 마스크를 쓰고 숲에 불을 질렀습니다. 최루탄과 고무탄을 동원해 시위대를 충돌이 계속되는 간선도로 쪽으로 다시 밀어냈습니다. 이번 충돌로 부상한 사람들 중에는 무함마드 지단 아랍 고등추종위원회 위원장도 포함돼 있으며, 사크닌 출신의 72세 여성은 최루탄 흡입으로 부상을 입고 병원에서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29] 2006년 예루살렘 포스트지의 한 보고서에 따르면, 오늘날 아랍 시민들이 매년 기념하는 이날 행사에서 이스라엘 보안군은 경계 태세에 돌입했지만 시위에는 개입하지 않는다고 합니다.[4]
2001년 제2차 인티파다 기간 동안, 매주 "분노의 날"인 금요일에 해당하는 토지의 날 25주년에 팔레스타인인들이 시위를 하도록 요청되었습니다.[34] 수만 명의 아랍 시민들은 일부 유대인들과 함께 팔레스타인 국기를 들고 이스라엘 내부에서 평화적인 행진을 벌였습니다.[34] 요르단강 서안지구 시위 과정에서 이스라엘군이 돌과 화염병을 던지는 시위대에 실탄을 사용해 팔레스타인인 4명이 숨지고 36명이 다쳤습니다.[34] 라말라에서는 군인들이 아리엘 샤론의 사진을 불태우고 이라크와 팔레스타인 국기를 흔들며 시위대 2천 명과 충돌해 팔레스타인인 1명이 총에 맞아 숨지고 11명이 다쳤습니다. 팔레스타인 무장 괴한들도 한 시간 만에 충돌에 가세해 탱크에 장착된 기관총에서 이스라엘군의 거센 포격을 받았습니다.[34] 가자 지구와 레바논의 팔레스타인 난민 캠프 아인 알 힐웨에서도 시위가 벌어졌습니다.[34]

2002년 토지의 날 시위에서 이스라엘의 아랍 시민들은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지도자 야세르 아라파트의 본부를 포위한 것"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며 요르단강 서안과 가자 지구의 팔레스타인인들에 대한 연대를 표명했습니다.[35] 2005년 토지의 날 기념식은 네게브의 알려지지 않은 마을들의 곤경에 바쳐졌는데, 주최측은 8만 명의 아랍 시민들이 기본적인 편의시설을 이용하지 못하고 살고 있고 3만 가구가 철거 명령을 받았다고 말했습니다.[36] 2008년의 행진에는 1,000명의 아랍 시민들이 토지의 날 기념 행사를 통해 도시 내 토지 몰수가 가속화되고 있다고 묘사한 것에 주목하기 위해 자파에서 조직된 행진이 포함되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유대인들을 그들의 자리에 정착시키기 위해 그들을 그들의 집 밖으로 쫓아내기 위해 고안된 퇴거와 철거 명령에 직면하고 있다고 불평했습니다.[37]
토지 몰수가 진행 중인 것에 항의하기 위해 비폭력 저항 활동을 시작하라는 요구는 토지의 날에 정기적으로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팔레스타인 거주 및 난민 권리를 위한 BADIL Resource Center for Palestinal Resident and Refuge Rights는 2006년 Land Day에 대한 보도 자료를 내고 "이스라엘에 대한 보이콧, 매각 및 제재"와 "인종 차별, 점령 및 식민지화"를 중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38] 2009년 토지의 날을 기념하는 동안, 마르셀 클라이피의 팔레스타인 민족주의 노래를 부르는 50명의 팔레스타인 여성 그룹과 일부 국제인들이 예루살렘 구시가지 다마스쿠스 문에 모여 이스라엘 제품 불매 운동을 촉구하는 포스터와 티셔츠를 나누어 주었습니다.[39]
또한 2009년에도 수천 명의 아랍 시민들이 팔레스타인 국기를 들고 아라베와 사크닌 마을을 행진하며 "우리는 모두 이스라엘의 파시즘과 인종차별 아래 단결되어 있습니다"라는 기치를 내걸었습니다. 아랍 크네세트의 탈라벨사나 회원은 정부에 "갈릴리와 네게브를 유대화하는 인종차별적 계획을 중단하고 모든 갈릴리와 네게브 주민들을 위한 개발 정책을 채택하라"고 요구했습니다.[40] 와이넷은 미국, 캐나다, 독일, 핀란드, 프랑스, 벨기에 등 전 세계 곳곳에서 팔레스타인인들의 시위가 계획돼 있다며 세계사회포럼(WSF)이 모든 관계국에 이스라엘 파문을 촉구하는 캠페인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사브라와 샤틸라 난민촌에서도 미술 전시와 음악 행사를 통해 랜드데이를 기념했고 팔레스타인 영토에서는 팔레스타인인들이 시위를 벌이며 나알린과 제이유스의 이스라엘 서안 장벽 근처에서 돌을 던졌습니다.[40][41]
2012년 토지의 날 시위를 예상한 이스라엘은 요르단강 서안 지구를 봉쇄했습니다(그러나 이스라엘 정착민에게는 제한이 적용되지 않았습니다).[42] 시위는 가자 지구와 요르단강 서안에서 열렸습니다. 가자지구에서는 이스라엘군이 경비 철책을 넘으려는 시위대를 향해 총격을 가해 1명이 숨지고 37명이 다쳤습니다.[43] 칼란디아 검문소에서는 돌을 던지는 팔레스타인 청년들이 이스라엘 군인들과 고무탄을 쏘고 수류탄을 터뜨려 팔레스타인인 39명이 다쳤습니다.[44] 요르단에서는 팔레스타인인을 포함한 1만 5천 명이 평화적인 농성에 동참했습니다. 팔레스타인 난민들도 레바논 보퍼트 성 근처에서 시위를 벌였습니다.[44]
2018년 토지의 날 시위 당시 가자 국경에서 팔레스타인의 반환권을 요구하는 행진 중 이스라엘군의 총격으로 하마스 대원 5명을 포함해 팔레스타인인 17명이 사망했고,[45][46] 1,4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습니다.[47]
참고 항목
참고문헌
- ^ a b 엔델만, 1997, 페이지 292.
- ^ a b c 레비와 와이스, 2002, p. 200.
- ^ a b Khouri, Jack; Stern, Yoav (June 15, 2008). "Israeli Arab leader on Land Day: We'll fight Israel's 'rising fascism'". Haaretz.
- ^ a b c d e f g h Orly Halpern (March 30, 2006). "Israel's Arabs to Mark Land Day". The Jerusalem Post, English Online Edition. Retrieved November 1, 2006.
- ^ a b 바이먼, 2002, p. 132.
- ^ a b "Remembering Land Day". BBC News. March 30, 2001. Retrieved November 1, 2006.
- ^ Lappin, Yaakov (March 30, 2008). "Thousands of Arabs mark Land Day". Jerusalem Po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16, 2011.
- ^ 슐츠와 해머, 2003, 페이지 77.
- ^ a b King-Irani, Laurie (Fall 2000). "Land, Identity and the Limits of Resistance in the Galilee". Middle East Report. No. 216, Losing Ground? The Politics of Environment and Spa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8, 2001. Retrieved March 24, 2024.
- ^ Herb and Kaplan, 1999, p. 260. "[...] 이스라엘에서 아랍 정체성의 지리적 규모는 20세기 동안 몇 차례 극적으로 변화했습니다. 1948년 참담한 패배 이전에, 그들은 점차 민족 의식을 구축하고 있던 팔레스타인 농업 사회의 필수적인 부분이었습니다."
- ^ Nassar and Heacock, 1990, p. 29. 1967년 전쟁 이후 팔레스타인 사람들 사이에 등장한 인기 구호는 "명예 앞의 땅"이었습니다.
- ^ a b Uri Davis. "A Democratic State for all of its Citizens and Refugees". MidEast Journal 2001, Original Abridged version in Ha'aretz, June 25, 20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14, 2007.
- ^ 살만 아부 시타 인 마살하와 사이드, 2005, p. 287, 각주 33. Sitta는 또한 수용 이전에 아랍 시민들이 소유했던 총 토지 면적에 대한 추정치를 제공합니다. 1,400 평방 킬로미터 (540 평방 마일). 이 중 절반인 약 700평방킬로미터(270평방킬로미터)가 1960년대 초까지 수용되었습니다.
- ^ a b c Yiftachel, 2006, p. 170.
- ^ 페이즈, 2005, 페이지 7.
- ^ 예루살렘 포스트의 웨이백 머신에서 2006년 8월 13일 기록된 토지의 날
- ^ Yiftachel, 2006, p. 69.
- ^ a b Nayef Hawatmeh (April 7–13, 2005). "Remembering Land Day". Al-Ahram Weekly Onl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9, 2006. Retrieved November 1, 2006.
- ^ a b Holzman-Gazit, 2007, p. 140.
- ^ a b c 맥도월, 1990, 페이지 157-158.
- ^ Kimmerling and Migdal, 1993, p. 178.
- ^ 파페, 이란 (2011) 잊혀진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팔레스타인의 역사. 예일대. ISBN 978-0-300-13441-4. pp.130,131
- ^ a b c d Abdo and Lentin, 2002, p. 139.
- ^ Frankel, 1988, p. 40.
- ^ 국제유대인평화연합(IJPU), 1987, p. 26.
- ^ "After the War: Arab Strike Held Only in Occupied Areas". The New York Times. March 31, 1991. Retrieved February 1, 2006.
- ^ HaLevi, Ezra (March 31, 2006). "Israeli Arabs Observe 'Land Day' in Lod, Wave Hamas Flags". Arutz Sheva. Retrieved March 30, 2022.
- ^ Yosef Goell (March 26, 2001). "Land Day? No: Call it 'Lie Day'". The Jerusalem Po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5, 2007.
- ^ a b State of Israel Judicial Authority. "The State of Israel Judicial Authority: Investigation committees" (in Hebrew).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 2009. Retrieved July 30, 2009.
- ^ a b c d Kimmerling and Migdal, 2006, p. 196.
- ^ a b Bar-Tal and Teichman, 2005, pp. 153-154.
- ^ "On the eve of Land Day, Israel Continues Aggression". International Press Center, Palestine. May 9,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28, 2006. Retrieved May 28, 2007.
- ^ Jerusalem Post Editorial (April 2, 2014). "Lackluster Land Day". Jerusalem Post. Retrieved April 2, 2014.
- ^ a b c d e "Five Palestinians Killed as War of Words Flares in the Middle East". Mid-East Realities. March 30, 2001. Retrieved August 1, 2009.
- ^ Agence France Press (March 30, 2002). "Israeli Arabs Protest Against Arafat Siege on "Land Day"". Common Dreams News Cent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9, 2006. Retrieved November 1, 2006.
- ^ "Israeli Arab groups mark Land Day". BBC News. March 30, 2005. Retrieved August 1, 2009.
- ^ "Palestinians protest over evictions". Al Jazeera English. March 28, 2008. Retrieved August 1, 2009.
- ^ "Press Release: Palestine Land Day 2006". BADIL Resource Center for Palestinian Residency and Refugee Rights. March 30,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5, 2006. Retrieved March 30, 2006.
- ^ "Land Day Protest: Palestinian Women's Group Rallies at Damascus Gate in Jerusalem". Alternative Information Center. March 30,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2, 2009. Retrieved August 1, 2009.
- ^ a b Sharon Roffe-Ofir (March 30, 2009). "Arab Leaders on Land Day: We're not Afraid of Right". Ynetnews. Retrieved August 1, 2009.
- ^ Sameh A. Habeeb (March 30, 2009). "The Palestine Telegraph". Retrieved August 1, 2009.
- ^ "Israel seals off West Bank for Land Day protests". CBC News. March 30, 2012.
- ^ Guy Azriel (March 30, 2012). "Israeli forces clash with Palestinian protesters marking Land Day". CNN.
- ^ a b "One Palestinian killed, scores injured, as Israeli troops clash with Land Day marchers". Al Arabiya. March 30, 2012.
- ^ "Hamas says 5 killed in Gaza border clashes were its members". Ynetnews. March 31, 2018. Retrieved March 31, 2018.
- ^ "Hamas admits 5 of its gunmen among 16 Gazans killed in Friday's border violence". The Times of Israel. March 31, 2018. Retrieved April 1, 2018.
- ^ "Israeli army kills 17 Palestinians in Gaza protests". www.aljazeera.com.
서지학
- Abdo, Nahla; Lenṭin, Ronit (2002). Women and the politics of military confrontation: Palestinian and Israeli gendered narratives of dislocation. Berghahn Books. ISBN 978-1-57181-498-2. (10)..
- Bar-Tal, Daniel; Teichman, Yona (2005). Stereotypes and prejudice in conflict: representations of Arabs in Israeli Jewish society (Illustrated, reprint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80797-5..
- Byman, Daniel (2002). Keeping the peace: lasting solutions to ethnic conflicts. JHU Press. ISBN 978-0-8018-6804-7.
- Endelman, Todd M. (1997). Comparing Jewish societies (Illustrated ed.).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ISBN 978-0-472-06592-9.
- Frankel, William (1988). Survey of Jewish affairs.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ISBN 978-0-8386-3343-4.
- International Jewish Peace Union, (IJPU) (1987). Israel & Palestine political report (Nos. 130–147 ed.). Magelan S.A.R.L.
- Herb, Guntram Henrik; Kaplan, David H. (1999). Nested identities: nationalism, territory, and scale (Illustrated ed.). Rowman & Littlefield. ISBN 978-0-8476-8467-0. (10)..
- Holzman-Gazit, Yifat (2007). Land expropriation in Israel: law, culture and society]. Ashgate Publishing, Ltd. ISBN 978-0-7546-2543-8. (10)..
- Kimmerling, Baruch; Migdal, Joel S. (1993). Palestinians: the making of a people (Illustrated ed.). Free Press. ISBN 978-0-02-917321-3. (10)..
- Kimmerling, Baruch; Migdal, Joel S. (2003). The Palestinian people: a history (Illustrated ed.).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01129-8. (10)..
- Lévy, Daniel; Weiss, Yfaat (2002). Challenging ethnic citizenship: German and Israeli perspectives on immigration (Illustrated ed.). Berghahn Books. ISBN 978-1-57181-292-6.
- McDowall, David (1990). Palestine and Israel: The Uprising and Beyond (Illustrated, reprint ed.). I.B.Tauris. ISBN 978-1-85043-289-0. (10)..
- Masalha, Nur; Said, Edward W. (2005). Nur Masalha (ed.). Catastrophe remembered: Palestine, Israel and the internal refugees : essays in memory of Edward W. Said (1935–2003). Zed Books. ISBN 978-1-84277-623-0. (10)..
- Payes, Shany (2005). Palestinian NGOs in Israel: the politics of civil society (Illustrated ed.). I.B. Tauris. ISBN 978-1-85043-630-0.
- Nassar, Jamal Raji; Heacock, Roger (1990). Intifada: Palestine at the crossroads (Illustrated ed.). Greenwood Publishing Group. ISBN 978-0-275-93411-8.
- Schulz, Helena Lindholm; Hammer, Juliane (2003). The Palestinian diaspora: formation of identities and politics of homeland (Annotated ed.). Routledge. ISBN 978-0-415-26820-2.
- Sorek, Tamir (2015). Palestinian Commemoration in Israel: Calendars, Monuments, and Martyrs.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804795180.
- Yiftachel, Oren (2006). Ethnocracy: land and identity politics in Israel/Palestine (Illustrated ed.).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ISBN 978-0-8122-3927-0.
외부 링크
Wikimedia Commons에서 Land Day 관련 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