랑베이나이트

Langbeinite
랑베이나이트
Langbeinite-553833.jpg
일반
카테고리황산염광물
공식
(기존 단위)
K2Mg2(SO4)3
스트룬츠 분류7.AC.10
크리스털 시스템큐빅
크리스털 클래스테타로이드(23)
(동일한 H-M 기호)
스페이스 그룹P213
단위세포a = 9.92 å; Z = 4
식별
노란색, 분홍색, 빨간색, 녹색, 회색 등의 옅은 색조가 있는 무색
수정습관결절로서, 널리 퍼진 곡물들, 침상된 거대한 덩어리진
골절콘코이드
고집브리틀
모스 눈금 경도3.5 - 4
루스터유리성
발데인성투명
비중2.83
광학 특성등방성
굴절률n = 1.5329–1.5347
용해성240 g/L(20°C),[1] 천천히 물에 용해
기타 특성압전기
참조[2][3][4]

랑베이나이트는 화학적 공식 KMG22(SO4)를 가진 황산칼륨 광물로,3 랑베나이트는 이소계-태타토이드(큐빅) 시스템에서 투명한 무색 또는 흰색, 황색에서 녹색 및 보라색 결정질량의 옅은 색조를 띤 결정화한다. 그것은 유리 광택을 낸다. 모스 경도는 3.5 대 4이며, 비중도 2.83이다. 그 결정들은 압전이다.[2]

광물은 칼륨의 광석이며 카르날라이트, 할라이트, 실바이트와 연관된 해양 증발산염 퇴적물에서 발생한다.[2]

1891년 독일 작센-안할트할베르슈타트 빌헬름스홀(Wilhelmshall)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처음 기술되었으며, A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독일 레오폴드샬의 랑베인.[2][3]

랑베이나이트는 같은 입방 구조를 가진 물질과 사면 음이온, 크고 작은 양이온인 랑베이나이트에게 그 이름을 준다.

관련 물질로는 수화염 레오나이트(KMG2(SO424 등이 있다.HO2) 및 Picromerite(KMG2(SO4)/26H2O).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