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세 포이스티
Lasse Pöysti라세 포이스티 | |
---|---|
태어난 | |
죽은 | 2019년 4월 5일 핀란드 헬싱키 | (92)
직업 |
|
라세 에릭 포이스티(Lasse Erik Pöysti, 1927년 1월 24일 ~ 2019년 4월 5일)[1][2]는 핀란드의 배우, 감독, 극장 매니저, 작가였다. 그는 소르타발라에서 태어났다.
전기
Pöysti는 아역 배우로서 활동을 시작하였고, 핀란드 대중들에게 "수민 가족" 영화에서 올리 수민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3][4] 수오미센 퍼헤(1941)로 이 영화들 중 첫 번째. Pöysti는 영화 당시 14살이었다. Pöysti는 1945년 헬싱키 노멀 리슘에서 결혼했다.[5]
1967년부터 1974년까지 포이스티는 전처 비르기타 울프슨과 함께 [6]릴라 테이터른의 매니저를 지냈고, 스웨덴어에서도 많은 역할을 했다. 1974-1981년 동안 그는 탐페레 노동자극장의 매니저였고, 1981-1985년 스톡홀름의 왕립극극장의 매니저였다.[4][6] 그의 후기 경력에서 그는 뮤지컬 연극에서 많은 연설 역할을 해 왔다. 스트린드버그의 주연인 구스타프 3세(핀란드어: 쿠스타 3세)와 에릭 14세 등 텔레비전에서도 많은 역할을 맡았다.[6][7] 또 다른 공연은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은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연극 갈릴레오의 타이틀 롤이었다. 그는 또한 어린이 프로그램에서 취침 시간 이야기를 읽었다.[8]
포에스티는 무대 경력 외에도 자신의 회고록을 포함해 여러 권의 책을 썼다.[9] 2002년 포이스티는 카리 호타카인넨의 주옥수하오단티(Juoksuhaudantie)라는 책을 핀란드상 수상자로 선정했다.[10] Pöysti는 한때 파리에 살았지만, 후에 헬싱키의 Lauttasaari에서 살았다. 그의 아들 톰 포이스티도 많은 영화와 연극 배역에 출연했다.[11][12] 2010년, 포에스티는 평생의 업적으로 콘크리트-쥬시(Concrete-Jussi)를 받았다(Jussi Awards는 핀란드의 오스카상과 맞먹는 상이다).[3]
그의 아들 에릭 포이스티와 손녀 알마 포이스티는 둘 다 헬싱키에서 배우다.
선택 필모그래피
- 1941: Suomisen perhe - 올리 수오민
- 1941: 타이소수마 - 스키어(미인증)
- 1941: 온넬리넨 장관 - 심부름꾼 (미수)
- 1942: Suomisen Ollin tempaus - Oli Suominen
- 1943: Suomisen taiteilijat - Oli Suominen
- 1944: 수오미센 올리 라카스투 - 올리 수오민엔
- 1945: Suomisen Oli Ylléttae - Oli Suominen
- 1948: 하비스톤 레니 - (미인증)
- 1948: 킬로이센테키 - 피트
- 1948: 호르무닛 발루얀 - 페나
- 1949: 루마 엘사 - 우스코 아무넨
- 1949: 카투필린 다카나 - 아르비드
- 1949: 시누트 미네 타흐돈 - 세포 베사
- 1949: 교수 마사 - 펜티 시몰라
- 1950: 이사파파 자 켈타노카 - 아이모 탐멜라
- 1950: noampi Piiroisen pésiékin - Heikki Piiparinen의 Rakkaus.
- 1951: Bany laulajapoikia - 시르헤 박사
- 1951: 라디오 테키 머론 - 라디오 리포터
- 1951: 장군의 약혼자 - 코르프라알리 주카 옥사페에
- 1951: A Night in Rio - Lasse
- 1951: 투키조엘라 - -뢰-쿠스타
- 1951: 비한 시누아 - 라카스 - 타우노 카르날라
- 1952: 카이키엔 나이스텐 몬니 - 알로카스 니미넨
- 1953: Two Funny Guy - Sébeltejae Jussi Maeki
- 1953: 백만장자 모집 - 비후리
- 1954: 코바나마 - 에스코 페쿠리 기자
- 1954: 라이바스턴 몬니트 마이사 - 마이스테리 세게르스트룰레
- 1954: Putkinotko - 말라키아스
- 1955: 네케미인 헬레나 - 레누
- 1955: 산카리오카스 - 알로카스 에스코 시롤라 / 레기오날 T. 스미스 / T. 맥도널드
- 1955: Miss Eurooppa Metzestéméssé - Antero W. Lintunen.
- 1955년: 빌리 포홀라 - 카팍카피아니스티
- 1957: 베펠린 카우후 - 자스카
- 1957: 신티푸키 - 프란스 코익칼라이넨
- 1958:아세소린나이슈오레 -베익코파주키비
- 1958: 소타포잔 헤이븐 - 알로카스 에스코 푸우스티넨
- 1959: 타아스 타파암메 수오미센 페르헤엔 - 올리 수오민엔
- 1960: Justus Jérjestae kaiken - Justus
- 1964: Bröllopsbesvér - 페들러
- 1966: Syskonbaed 1782 - 선술집 손님
- 1968: 푸나힐크카 - 마티 - 항공사 조종사
- 1969: Mumintrollet (TV Series) - Mumintrollet
- 1976: Pyha Perhe - Paavo Maekinen
- 1977: Pikku Kakkonen (TV Series) - Self - 호스트
- 1978: 피카소의 모험 - 시르카의 아버지 (미인증)
- 1979: Linus Eller Tegelhusets hemligheet - 앤티크 딜러
- 1979: Herr Puntila와 그의 하인 Matti - 요하네스 Puntila
- 1980: Barna från Blåsjöjellet - Lasso-Lassi
- 1980: Det Blir Juff På Mölleglegrden (TV Series) - 픽시
- 1982: 독수리의 비행 - 사진작가
- 1984: 클랜 – 개구리 이야기 - 시일리페에
- 1984: 더티 스토리 - 사설 탐정
- 1986년: 덴 노든의 플루흐트
- 1986: 쿠닝가스 레테 란스카안 - 스테이블마스터
- 1986: På liv och död - Sångare i tunnelbanan.
- 1986: 네케미인, Hyveti - Lauri 밸브, Tuulan isé
- 1987: 레인 울코풀라 - 법원 의장
- 1988: 인간 생명의 영광과 불행 - 마르티 홍기스토
- 1989: D:rfinkar och dönkar (TV Mini-Series) - Morfar
- 1989: 츠렌스 år (TV 무비) - 온켈 제고르
- 1992: 메스타리 - Kalevi Suomalainen
- 1993: 맥클린 (TV 시리즈) - 칼 아우구스트 에렌스베르트
- 1993: 로젠바움 (TV 시리즈) - 에릭 '룬칸' 룬드크비스트
- 1995: 비타 뢰그너 - 린드크비스트
- 1995년: 페트리 티아라 - 더 파이어블
- 1999: 라핀 쿨란 키말루스 - 콘래드 식재
- 2008: 토마스 - 토마스
참조
- ^ 핀란드 국립 영화관 라세 포이스티
- ^ Petäjä, Jukka. "Näyttelijä ja ohjaaja Lasse Pöysti on kuollut" (in Finnish). Helsingin Sanomat. Retrieved 5 April 2019.
- ^ a b 2010년 1월 31일 (핀란드어로) 라세 포에스티 팍카시 베토니쥬신(Lasse Pöysti pkasi Betoni-Jussin, Ilta-Sanomat) 2010년 11월 17일 검색됨
- ^ a b 반햄, 마틴 (에드) 1995. 케임브리지 극장 안내서.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P. 371. ISBN 0-521-43437-8
- ^ 안넬리 부오리코스키: 쿨투리아 반하스타 비이푸린 레니스테. Wiipurin arkistoyhdistys ry. (핀란드어로)
- ^ a b c 피터 폰 바그: 포이스티, 라세 (yle.fi) (핀란드어로)
- ^ 쿠스타 3세 일레 엘레베 아키스토(yle.fi) (핀란드어로)
- ^ 라디오 노바 (핀란드어로)
- ^ 시벨리우스의 피아노 5중주곡과 멜로 드라마. 책자, 8페이지. BIS-CD-1412 2007, BIS 레코드 AB, å커스베르가.
- ^ 카리 호타카넨이 핀란드 문학상을 수상한다. Helsingin Sanomat, International Edition, Culture, 5.12.22 2013년 2월 17일 아카이브.오늘
- ^ Lasse Pöysti péti uransa – Itku tuli. 2012년 10월 27일 일탈레티 (핀란드어로)
- ^ 핀란드 국립 영화관 톰 포이스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