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타사리
Lauttasaari
라우타사아리( ) 핀란드어:[ˈ ɑu ̯t ɑː ːɑˌ리];스웨덴어:Drumö(드럼쇠)는 핀란드 헬싱키에 있는 섬으로, 도시 중심에서 서쪽으로 약 3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합니다.주변에 사람이 살지 않는 작은 섬들과 함께 라우타사리는 헬싱키의 한 지역이기도 합니다.파스타 올란드에 이어 핀란드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섬입니다.[1]그것의 땅 면적은 3.85 km2 입니다.
라우타사리는 주로 주거 지역이지만 여러 마리나와 카누 클럽을 포함한 서비스도 포함하고 있습니다.도심에서 가깝지만, 라우타사리는 아직 완전히 지어지지 않았습니다.특히 해안선의 거의 대부분은 산책로, 해변, 운동장, 숲의 일부, 바위가 많은 노두 등 공공장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라우타사아리(Lauttasaari)라는 이름은 문자 그대로 "페리 섬"을 의미하지만, 현재 이 섬은 헬싱키의 나머지 지역과 에스푸 시와 다리, 도로, 헬싱키 지하철로 연결되어 있습니다.이 섬에는 00200과 00210 두 개의 우편번호가 있습니다.

어원
라우타사리 섬은 중세 이전부터 핀란드인들의 휴양지였을 것이며 핀란드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이 이름은 스웨덴의 식민주의자가 그 섬에 집을 지었을 때 버려졌습니다.레미솔름(Lemisholm)이나 포로빅(Porovik) 같은 스웨덴 지명들은 원래의 핀란드 지명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습니다.[2]
섬의 이름은 [3]그 이름은 전통적으로 뚱뚱하고 어설픈 사람을 의미하는 드럼버(Drumber)라는 스웨덴어 별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집니다.[3]
( 드롬멘쇠, 1543년 드롬멘스비, 1556년 드롬만쇠와 드롬쇠로 처음 언급되어 현재의 이름이 되었습니다.2000년대에 그 이름이 모레인 언덕을 의미하는 게일어-색슨어 드럼(drumn)에 기반을 둔 것이라고 제안되었습니다.따라서 그 이름은 핀란드 해안의 바이킹에서 유래되었습니다.[4]
핀란드 이름 라우타사리는 1919년에 사용되었으며 당시 섬과 헬싱키 본토 사이의 페리 교통을 의미합니다.[3]줄리어스 톨버그가 소유한 증기선 드럼쇠는 1914년부터 1936년까지 루오홀라티와 라우타사리 사이를 운행했습니다.다리가 완공된 후 부두에서 페리가 연장되었고, 1941년에 코르케아사리 페리로 새로운 서비스로 이전되었습니다.1945년에 그 배는 소련에 전쟁 배상금으로 기부되었습니다.[5]
역사

라우타사리에는 헤이카스와 베르타스라는 두 농장이 있었습니다.1650년 크리스티나 여왕이 헬싱키에 섬을 기증했지만, 대감소 기간 동안 이 기증은 취소되었고 농장들은 개인 소유로 돌아갔습니다.그들은 나중에 라우타사리 장원으로 합쳐졌고, 현재의 본관은 1837년에 Claes Wilhelm Gildén에 의해 의뢰되었습니다.[6]: 15
라우타사리의 최남단 지역은 크림 전쟁 동안 러시아 군대의 사용에 빼앗겼습니다.라우타사리에는 수비대가 세워지지 않았지만, 해안포의 요새와 탄약고가 섬에 세워졌습니다.[7]: 21–22 핀란드가 독립한 후 이 지역은 핀란드 국가의 소유였지만, 핀란드 국방군이 이 지역을 사용할 수 없게 되자 1927년 헬싱키 시로 이관되어 이 지역에 민속공원을 설립했습니다.[6]: 25
겨울 전쟁과 계속되는 전쟁 동안, 헬싱키 폭격에 대항하는 대공 포대가 라우타사리의 밀리칼리오에 위치했습니다.전쟁이 계속되는 동안 포대는 6개의 중 대공포로 무장되어 있었습니다.이 대포들 중 하나는 1980년 6월 12일에 밀리칼리오에 기념비로 공개되었습니다.남서부 지역의 선두 포대는 라우타사리의 베이자리부오렌니에미에 위치해 있었으며, 그 중 한 대포는 기념비로 현장에 보존되어 있습니다.[citation needed]
줄리어스 톨버그 시대와 초기 건축계획
라우타사리의 발전 속도는 교통 연결로 결정되었습니다.20세기 초에 그 섬에는 농장과 빌라들만 살고 있었습니다.[7]: 28 1911년 Julius Tallberg는 로타사리 장원을 75만 핀란드 마르크카에 샀고, 그 땅들은 섬의 약 절반을 차지했습니다.Tallberg는 헬싱키 시에 땅을 팔려고 했지만, 그 도시가 그 섬으로 땅이 퍼질 것을 예상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 거래는 실패했습니다.[7]: 24–26 Tallberg는 그 섬을 스스로 개발하기 시작했고 건축 계획을 세우기 위해 Birger Brunila를 고용했습니다.계획에 따르면, 섬은 주로 빌라 마을로 지어질 것이지만, 이 계획이 실행되기까지 20년 이상이 걸렸습니다.Tallberg는 이 섬에 해양 스파와 Drumö Casino라는 이름의 카페를 설립했습니다.[7]: 53 1913년부터 1917년까지 이 섬은 현재의 라우타사렌티 거리의 시작 부분에 있는 페리 부두에서 카타자하르준니에미로 가는 말이 끄는 전차도 운행되기도 했습니다.[8]
엘리엘 사리넨의 1918년 프로 헬싱포스 계획에 따르면 라우타사리의 상당 부분은 현재 링 I과 란시배일래의 위치에 있는 레페바아라 기차역에서 기차로 연결되는 항구 지역으로 지정될 것입니다.[9]이 계획은 아무 것도 되지 않았습니다.
시정촌사
1919년에 라우타사리와 뭉키니에미는 헬싱키의 시골 지방 자치제에서 분리되어 후오팔라흐티(Hoopalahti, 호플락스)라는 지방 자치제를 만들었습니다.1917년 라우타사리는 인구가 밀집된 공동체로 형성되었습니다.[10]: 43 1946년 1월 1일 로타사리는 후오팔라티의 나머지 지역과 함께 헬싱키에 합병되었습니다.[10]: 13 라우타사리 회중은 이미 몇 년 전에 헬싱키에 합병되었고, 1939년에는 헬싱키에서 북부 핀란드어를 사용하는 회중과 북부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회중에 합병되었습니다.
라우타사리 다리가 섬의 발전에 미치는 중요성
1935년[10]: 48 라우타사리 다리가 완공되었을 때 그 섬은 큰 변화를 겪었습니다.비거 브루닐라의 1913년 계획은 마침내 실행에 옮겨졌고 첫 번째 아파트 건물들은 장원의 들판에 지어졌습니다.그와 동시에, 요르박센티는 섬 전체를 관통하는 중심가 라우타사렌티의 서쪽 확장으로 지어졌습니다.섬의 현재 구역 계획은 대부분 브루닐라의 원래 계획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6]: 21 당시 설계된 건물 블록 중 일부는 공원으로 남겨졌고, Länsiväylä 고속도로의 건설은 섬의 서부 및 북부 구역 계획에 상당한 변화를 요구했습니다.
가장 큰 반도
바투니에미
바투니에미는 라우타사리 섬의 남쪽 부분에 있는 지역입니다.바투니에미는 수오멘 투팍카("Finish Tobacka") 공장이 1995년 활동을 중단하는 등 다양한 기업 활동을 [10]: 193 하는 공업 지역으로 1940년대와 1950년대에 건설되었습니다.[11]이 지역의 다른 이전 공장으로는 헬버그 라디오 공장(Oy Radio E Hellberg Ab), 마호가니오이의[12] 목재 베니어 공장, 이리오이의 접착제 공장 등이 있습니다.[13]이 지역에는 헬카마와 래케투쿠의 본사도 포함되어 있습니다.[12]
바투니에미 산업지역에는 솔라필름과 같은 수많은 사업체들이 여전히 존재합니다.1970년대 이후 바투니에미 지역은 크게 변화했습니다.이 변화는 21세기에도 강하게 계속되고 있습니다.이 지역의 많은 공업용 건물과 사무용 건물들이 해체되고 아파트 건물로 대체되었습니다.이것은 바투니에미의 인구를 빠르게 증가시키고 일자리의 수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었습니다.이 지역의 서비스 선택의 폭이 넓어져 식료품점(S-Market, K-슈퍼마켓, 리들), 수많은 레스토랑, 카페, 헬스 클럽, 특히 베네엔테키엔티 거리를 따라 보트 용품에 집중하는 전문점 등이 있습니다.[14]
카타자하르주
카타자하르주는 라우타사리 북서쪽에 있는 반도로, 현재는 밀리칼리오 지역의 일부로 여겨집니다.[15]
카타자하르주는 란시배일래 고속도로의 북쪽에 위치해 있습니다.카타자하르주 해안가에 있는 주택은 계단식 주택이나 넓은 필지가 있는 단독 주택입니다.[16]반도의 가운데 부분에 있는 건물들은 대부분 1960년대에 지어진 아파트 건물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카타자하르주는 도보다리를 통해 카시사리 섬과 연결되어 있습니다.[17]
그린스페이스 및 다과
라우타사리에서 가장 큰 녹지 공간은 섬 최남단에 있는 베이자리부오리 공원의 옛 군사 지역으로, "리스ä카리"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섬에서 가장 높은 절벽인 마일리칼리오 역시 다양한 방향의 멋진 전망을 가진 녹색 공간입니다.[citation needed]
이 섬에는 두 개의 공공 해변이 있으며, 그 중 소위 카시논란타 해변은 메리킬필래 공원에 위치해 있으며, 베이자리부오리 해변은 섬의 남쪽 끝에 위치해 있습니다.[18]
이 섬에는 동쪽, 서쪽, 북쪽에도 수많은 마리나들이 살고 있습니다.[18]
건축물과 건축물
공공청사
1950년대에 지어진 공공 건물로는 라우타사리 교회와 라우타사리 학교가 있으며, 이 학교는 두 개의 건물(파잘라티 학교와 밀리칼리오 학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라우타사리 교회는 1958년 9월 20일에 설립되었습니다.[10]: 137 라우타사리에 사는 케이조 페태여 교수가 디자인했습니다.[10]: 134 교회의 종탑은 1957년 가을에 사용되었습니다.[citation needed]교회의 기본 보수는 1년 6개월간의 보수를 거쳐 2022년 봄 완공될 것으로 예상됩니다.[19]그때까지 로타사리의 핀란드어와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모임은 바투니에미에 있는 노키아 오이지 연구소의 이전 부지에 임시로 자리를 잡고 일했습니다.[20]
라우타사리 급수탑은 1958년에[10]: 41 세워졌고 2015년 말에 해체되었습니다.[21]
라우타사아렌 이테이스쿨루 학교의 현재 건물은 1968년에 사용되었습니다.[22]이 건물은 2019년에 마지막으로 증축을 하여 체육을 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했습니다.[23]
라우타사리에는 보건소, 수영장, 운동장, 도서관도 있습니다.[18]
기타건물
현재 콘 재단이 소유하고 있는 라우타사리 장원 건물은 라우타사리에 위치해 있습니다.[24]
이소카리 거리를 따라 1950년대에 지어진 많은 아파트 건물들이 엘스 아로팔티오에 의해 설계되었습니다.[25]
거주자 및 아파트
라우타사리 주민 중 79.0%는 핀란드어를 사용하고, 13.6%는 스웨덴어를 사용하고, 7.4%는 다른 언어를 사용합니다.25세 이상 인구 중 70.6%가 고등 교육 수료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2018년 12월 31일 기준).[26]
라우타사리의 주거용 건물은 대부분 아파트 건물입니다.라우타사리의 아파트 중앙 크기는 63.3 평방미터입니다.대부분의 아파트에는 침실이 두 개 있습니다.대부분의 아파트는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지어졌습니다. 1970년대에는 아파트 건설이 줄어들었고 2000년대에는 바투니에미 지역에 새로운 아파트가 지어지기 시작했습니다. 라우타사리의 아파트 중 35.7%는 임대 아파트입니다.[26]2019년 우편번호 지역 00200의 아파트 중앙값은 제곱미터당 6102유로, 바투니에미 우편번호 지역 5976유로이며 헬싱키의 중앙값은 4323유로였습니다.[27]
교통.


본토와 연결
라우타사리와 헬싱키 본토를 연결하는 두 개의 다리가 있습니다.라우타사리 다리는 루오홀라흐티에서 라우타사리엔티로 연결되며, 라핀라흐티 다리는 1960년대에 건설된 로타사리 다리의 북쪽에 위치한 헬싱키에서 서쪽으로 이어지는 Länsiväylä 고속도로의 일부입니다.라핀라흐티 다리는 완공되자마자 그 당시 헬싱키에서 가장 긴 다리였습니다.Länsiväylä 고속도로가 건설되기 전에 Lauttasaarentie 거리는 헬싱키에서 서쪽으로 이어지는 주요 도로의 일부였습니다.Länsiväylä의 전신인 Jorbaksentie 거리는 서쪽 끝에서 시작되었습니다.
1950년대에 1935년의 원래 라우타사리 다리는 너무 좁게 여겨졌고, 북쪽의 고속도로 다리가 완공된 지 2년 후인 1967년에 해체되었습니다.현재 4차선인 라우타사리 다리는 해체된 다리를 대신해 세워졌습니다.[10]: 48–52
대중교통
메트로

헬싱키 지하철에는 라우타사리 역과 코이부사리 역 두 개가 있습니다.라우트사아리 지하철역은 로트티스 쇼핑 센터와 질데닌티에 있는 두 개의 출입구가 있습니다.
버스
20번, 21번, 21번 버스와 같은 모든 내부 버스 노선은 적어도 하나의 지하철역과 연결되며, 20번과 21번 버스 노선은 도심으로 이어집니다.115A번과 555번 버스 노선은 섬 중앙에서 출발합니다.115A번 노선은 타피올라를 거쳐 에스푸의 망카아까지, 555번 노선은 에스푸를 거쳐 반타의 마르틴락소까지 운행됩니다.라우타사리에는 도심에서 20N번과 112N번 야간 버스 노선도 운행됩니다.
차
헬싱키 중심부와 에스푸를 연결하는 국도 51호선(Länsiväylä) 고속도로가 라우타사리를 통과하며, 섬에는 두 개의 교차로가 있습니다.에스푸 쪽은 웨스트엔드 지역에서 시작합니다.Länsiväylä는 헬싱키의 도심을 향해 1969년 12월 말에 지어진 Lauttasaari 다리를 따라 달릴 것입니다.[28]다리의 길이는 317미터, 폭은 23.5미터이며 철근 콘크리트로 만들어졌으며, 길이는 56.6미터입니다.[29]
조직활동
라우타사리는 조직적으로 활동하는 지역입니다.이것은 영향력 있고 정치적으로 독립적인 지역 라우타사리 협회로부터 명백합니다.
1916년에 Julius Tallberg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에밀 와텐(Emil Wathén[30])의 주도로 지역의 자발적인 소방대가 설립되었으며, 이를 위해 Tallberg는 자신의 소방대 집을 위한 건물 부지와 건물 용품을 기부했습니다.[10]: 193 호스탑이 있는 전형적인 목조 소방대 가옥은 1965년 해체될 때까지 사용되었고, 현재의 돌로 지어진 소방대 가옥으로 대체되었습니다.
소방대의 역사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라우타사리에 사는 "포겔리"라는 별명을 가진 예술가 올라 포겔베르그가 몇 년 동안 소방대장으로 근무했다는 것입니다.그의 초상화는 소방대원의 집 벽에 다른 서장들과 명예 회원들의 초상화와 함께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그의 추장 임기는 겨울 전쟁이 시작되면서 끝이 났습니다.[30]
미래.
2020년대 말 라우타사리의 인구는 24,797명으로 추정됩니다.[31]
라우타사리 지하철역과 코이부사리 지하철역의 방문객이 하루 3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면서 라우타사리의 교통량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citation needed]
라우타사엔티와 라우티스

라우트사아렌티는 많은 주민들이 살고 있는 라우트사아리의 주요 간선도로이며, 라우트사아리 지하철역의 출입구 중 하나이기도 한 쇼핑몰 라우트티스의 위치입니다.[32]쇼핑몰은 섬의 상업적 중심지이며, 지리적 중심지 근처에 있습니다.
하위구

라우타사아리 현은 4개의 하위 구역으로 나뉩니다.[1]
코이부사리
코이부사리의 하위 구역은 라우타사아리와 좁은 수로로 분리된 별개의 섬입니다.2017년 현재 거주자는 없습니다.[1]우편번호는 00200입니다.코이부사리 지하철역은 토지를 메워 섬을 확장하고 그 위에 주거용 건물을 지을 것을 기대하며 지어졌습니다.
고타카부오리
코트카부오리의 하위 구역은 헬싱키 도심에서 가장 가까운 섬의 북동쪽 부분으로 구성됩니다.주택은 주로 아파트 건물입니다.하위 구역에는 1958년부터 2015년까지 라우타사리 급수탑이 있던 섬의 두 개의 주요 언덕 중 하나가 있습니다.
2017년 기준으로 코타부오리에는 8,117명의 주민이 살고 있습니다.[1]우편번호는 00200입니다.
밀리칼리오
마일리칼리오의 하위 구역은 섬의 서쪽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주택은 주로 아파트 건물입니다.하위 구역은 섬의 두 개의 주요 언덕 중 하나를 가지고 있습니다.
카타자하르주(Katajaharju)는 란시배일래 고속도로 북쪽에 위치한 밀리칼리오의 일부 지역입니다.주택은 주로 개인 거주 주택입니다.
밀리칼리오는 2017년 기준으로 7,066명의 주민이 살고 있습니다.[1]우편번호는 00200입니다.
바투니에미
바투니에미의 하위 구역은 섬의 남쪽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이 지역은 1950년대에 공업 지대로 건설되었습니다.2000년 이후 지역 구성에 큰 변화가 생겼고, 사무실과 산업시설이 여러 곳 철거되고 이를 대체할 아파트가 들어서고 있습니다.현재 주거용 부동산의 중위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아 주거 구성이 젊은층과 부유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주요 거리는 서쪽의 사르키니멘티에, 동쪽의 바투니멘카투입니다.
바투니에미의 인구는 2017년 기준으로 8,043명입니다.[1]우편번호는 00210입니다.
주목할 만한 거주자
- 자하라 압둘라(Zahra Abdulla, 1966–), 정치인
- 일카 쿠시스토 (1933–), 작곡가
- 스페데 파사넨, 코미디언, 감독, 발명가
- 시르파 아스코 셀자바라(Sirpa Asko-Seljavara, 1939–), 정치인
참고 항목
참고문헌
- ^ a b c d e f "Statistical yearbook of Helsinki 2017" (PDF). City of Helsinki. 2017. Retrieved 13 January 2018.
- ^ 케프수, 사울로:Uuteen Maahan - Helsinginja Vantaan vanhaasutus janimistö, 핀란드 문학 학회 2005, pp. 80-82ISBN 978-951-7-46723-0.
- ^ a b c Terho, Olavi 등:Helsingin kadunnimet 1, 2차 개정판 19페이지1981년 헬싱키 시 명칭국, ISBN 951-771-220-02015년 5월 20일 접속.
- ^ 사르만토, 테리: Lauttasa aren vuoden 1913 asemakaavaluonoksen nimistö.2017년 헬싱키 대학 석사논문
- ^ 엘로마아, 빌: 라우타사 아렌 라우타 알로이켄텐세 사타 부오타 시텐.Lauttasaari magazine, 2014년 5월 2일 18호, pp. 6-7. Lauttasaari society.
- ^ a b c Uino, Ari: Lauttasa는 역사적 리시아 바이헤이타 줄리어스 톨베르긴자스타 2000-루블.Lauttasaari 재단, 2005.ISBN 952-91-9261-4.
- ^ a b c d 브롬멜스, 마리안, 게스트린, 크리스틴 루이:라우타사아리 엔넨 실타. (드럼쇠: Innan bronbygdes)마르조 우시킬래가 핀란드어로 번역했습니다.스벤스카 쿨투르폰덴, 1999.ISBN 951-9211-44-6.
- ^ 라우할라, 조르마: 라우타사 아렌 헤보스티오티에, 핀란드 트램 학회.2019년 1월 14일 접속.
- ^ 히에탈라, 마르자타, 헬미넨, 마르티, 슐만, 해리, 투키매키, 죽카:헬싱키/헬싱포스 – Historial linen kaupunkikartasto/Historic Town Atlas, 헬싱키 시의 정보 센터, 2009 p. 61 (지도).ISBN 978-952-223-330-1.
- ^ a b c d e f g h i 무스토넨, 카우코; 피켈래, 칼레비: 라우타사리: 헬미 헬싱인 크루누사.라우타사 아렌 쿠스타누스, 1976.
- ^ Suomen Tupakka Oy (uusi) — Historia, www.porssitieto.fi2019년 1월 13일 접속.
- ^ a b 엘로마아, 빌: 쿤 바투니에미는 유날루엑시 무투이.라우타사리 매거진 2019년 1월 10일 2호 p. 8. 라우타사리 학회
- ^ Janhunen, Martti: Lauttasa ar lakentamisen vaiheita, histdoc.net2019년 1월 13일 접속.
- ^ Veneentekijäntie, Google Maps.2019년 1월 13일 접속.
- ^ 2012년 11월 26일 헬싱키 시의회 주석 부록: 대상 변경, 헬싱키 시2013년 2월 18일 접속.
- ^ Lauttasaari – Suomen paras as suinalue?, MTV Uutiset 2006년 11월 24일.2019년 1월 14일 접속.
- ^ LYHYESTI: Kaskisa aren sillan vastustajille 800000 markan lunastuskorvaus, Helsing in Sanomat 1990년 4월 4일.2019년 1월 14일 접속.
- ^ a b c d 라우타사리, 라우타사리 학회.2019년 1월 14일 접속.
- ^ 라우타사 아렌 커콘 페루스코르자우스, 헬싱인 쇠락누아트.2021년 3월 4일 접속.
- ^ Seurakunta väistänkian tutkimuskuksen vanhaan toimistoon Heikkiläntielle, Lauttasaari.fi 2020년 8월 19일.2021년 3월 4일 접속.
- ^ 2015년 11월 16일 라카스테투 베시토리 카토시 마이세마스타 – 카초 비데오타, 쿠인카 라우타사 아렌 베시토리 퓨레틴, 헬싱 인 사노마.2019년 1월 13일 접속.
- ^ 1943년 - 라우타사리 재단의 라우타사리 아레 이테이스쿨루2019년 1월 14일 접속.
- ^ "40-vu토티넨 운엘마 토테우투우", Lauttasaari.fi 2018년 8월 30일.2021년 3월 4일 접속.
- ^ 라우타사 아렌 카르타노, 코네 재단.2019년 1월 13일 접속.
- ^ 핀란드 건축 박물관, 아르키테티가 앉아 있습니다.2019년 1월 13일 접속.
- ^ a b 티카넨, 차: 헬싱키 알류에타 2019, 헬싱키 시, p. 52ISSN 2323-4547.
- ^ 마르티넨, 리타: 아순토젠 힌토젠 ja vuokrien vuosijulkaisu 2019, 헬싱키 시 2020
- ^ Kauko Mustonen, Kalevi Pykälä: Lauttasaari: helmi Helsingin kruunusa, pp. 48-52라우타사 아렌 쿠스타누스, 1976.
- ^ 오타반 이소 포쿠스, 제8권, 페이지 4780, taulukko Suomen huomattavimpia siltoja.오타바, 1974년ISBN 951-1-02041-2.
- ^ a b 카르히아호, 이르멜리: 팔로쿤타 아테 이디스티 사레라이셋라우타사리 잡지 2011년 5월 5일 18호
- ^ 브오리, 펙카; 카실라, 마르조:Helsinginja Helsingin seudun väestöenuste 2019-2060, 헬싱키 시 2020, 페이지 66.
- ^ toimitus. ""Lauttis" avautuu ensi vuonna – tältä se näyttää". Retrieved 2016-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