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자르 라자레비치
Lazar Lazarević라자르 라자레비치 | |
---|---|
모스타르뒤브노와 트레빈제미르칸의 총독 비카르와 트레빈제-미르칸의 프로비카르 | |
![]() | |
교회 | 가톨릭교회 |
교구 | 트레빈제엠칸 |
임명됨 | 1907 |
기간이 종료됨 | 1919 |
기타 게시물 | 트레빈제-미르칸의 프로비카르 (1867–19)모스타-두브노와 트레빈제-미르칸의 비카르 카피툴라 (1910–12) |
개인내역 | |
태어난 | |
죽은 | 1919년 9월 17일 모스타르, 세르비아 왕국,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 | (80세)
파묻힌 | 그라닥, 느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국적 | 크로아티아 |
디노미네이션 | 가톨릭의 |
모교 | 교황청 도시 대학 |
라자르 라자레비치(1838년 12월 28일~1919년 9월 17일)는 헤르체고비니아계 크로아티아 가톨릭 신부로서 1867년부터 트레빈제-미르칸 교구의 주교 대리(도)를 지냈으며, 1910년부터 1912년까지 모스타르-두브노와 트레빈제-미르칸 교구의 정신적 행정관을 지냈다.라자레비치는 이웃 교구의 행정으로부터 트레빈제-미르칸 교구가 독립하는 것을 지지하는 사람이었다.
초기생활과 헤르체고비나 봉기
라자르 라자레비치는 1838년 12월 28일 오스만 제국의 헤르체고비나 네움 근처 호탄지 후토프스키에서 아버지 안드리아와 어머니 안드리아 네에 슈탈로 사이에서 태어났다.[1][2]당시 그의 교구는 두브로브니크 주교들이 관리하고 있었다.[3][4]라자레비치는 네움 그라닥에 있는 예수회 사제들로부터 기본적인 교육을 받았다.[1][2]두브로브니크 토마 제데를리니치 주교는 라자레비치를 1853년부터 1865년까지 로마 폰티피컬 그레고리오 대학교에 유학시켰다.[1][2]1865년 4월 2일 학업을 마친 라자레비치는 트레빈제-미르칸 교구의 사제 서품을 받았다.[1][2][4]처음에는 라자레비치가 삼촌 니콜라 라자레비치의 목사로 임명되었는데, 니움 인근 두브라베 교구의 사제였다.1867년 라자레비치는 스톨락에서 교구 사제, 트레빈제-미르칸의 단서로 임명되었다.[1][2]
1872년 라자레비치는 초등학교 건설을 마치고 1873년 행정관이 되었다.같은 해, 그는 페제슈비카에 예배당을 지었고 그것을 교구 교회로 만들고 싶었다.[2]1875년 오스만 제국에 대항한 기독교인들의 봉기 때, 오스만 당국은 라자레비치에 봉기에 연루된 가톨릭 신자들을 진정시키기 위해 노력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그는 실패했다.그는 두려워서 교구로 돌아왔지만 1875년 7월 1일 두브로브니크로 떠났다.많은 다른 사제들은 가톨릭 신자들과 함께 달마티아로 도망쳤다.[5]많은 교회와 집들이 파괴되었다.[3]187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점령과 난민들이 고향으로 돌아온 후 상황은 호전되었다.[3]교회와 학교를 개조하고 새 교회를 짓고 있어 천주교 신자가 늘어나고 있었다.[6]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가 도착하자 라자레비치는 교구를 가로질러 수많은 축하 행사를 이끌었다.[7]
오스트리아-헝가리 점령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가톨릭 교회의 조직에 대한 논의에서 가브릴로 로디치 달마티아 총독과 이반 자프론 두브로브니크 주교는 트레빈제-미르칸을 두브로브니크 주교 관할구역에서 면제하는 것에 반대했지만 가톨릭 인구와 성직자들은 그들만의 주교를 원했다.이반 자프론 주교는 이후 이 시책을 지지하고 이집트 주교의 사도교 비카르를 트레빈제-미르칸의 새 주교로 제안하였다.[8]
오스트리아-헝가리 정부는 숫자가 적은 가톨릭 신자들이 동방 정교회보다 주교를 더 많이 두는 것을 허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재정적인 의무와 동방 정교회에 대한 배려 때문에 이러한 요구를 들어줄 수 없었다.1881년 협약에서 가톨릭 성직자들은 두브로브니크 주교의 관리하에 트레빈제-미르칸을 떠나기로 합의했다.[8]
트레빈제-엠르칸의 가톨릭 신자들은 새로운 당국의 물질적 원조가 부족하고 두브로브니크 마토 보다피치 신임 주교의 무활동으로 좌절했다.모스타르두브노의 파스칼 부콘지치 주교는 자신의 교구를 위해 트레빈제-미르칸 교구의 북쪽과 북동쪽 부분을 조직적으로 침범했다.[6]엑하크 아우구스타에 따르면, 모스타르-두브노 교구의 경계는 노비 파자르에 이르렀고, 모스타르-두브노 교구와 트레빈제-미르칸 교구의 북쪽 경계는 불분명했다.[9]
1887년 6월 11일 라자레비치는 로마의 선전에 다시 편지를 써서 새 주교의 임명과 새 당국으로부터의 가톨릭 신자 보호를 요청했다.[6]1887년 중반 라자레비치는 사라예보에 있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정부에 부콘지치 주교가 트레빈제-미르칸에 침입했다는 내용의 편지를 쓰기도 했으나 그의 청원에는 긍정적인 답변이 없었다.라자레비치는 두브로브니크 마토 보다피치 주교에게도 사도행자 행정관으로서의 임무에 대해 경고했지만 보다피치는 별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10]
선전선동 추기경 지오바니 시메오니는 마리아노 람폴라 추기경에게 트레빈제-미르칸의 가톨릭 신자들의 상태 개선을 도와달라고 요청했다.람폴라는 교황에게 상황을 알렸고 교황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정부에 새로운 협상을 요청했다.빈의 새 수녀인 루이지 갈림베르티 추기경은 구스타프 칼노키 백작과 협상을 시작해 람폴라의 친서를 그에게 선물했다.칼노키는 벨니 칼레이 재무장관에게 상황을 알렸고, 이후 1888년 6월 칼레이는 부콘지치가 트레빈제-미르칸에 가담한 것에 대한 조사를 지시했다.[11]
1888년 9월 5일 트레빈제-미르칸의 성직자들은 다시 갈림베르티에게 새 주교를 요청하고 1881년 교황령인 엑하 아우구스타에 제정된 트레빈제-미르칸의 경계를 부콘지치 주교에게 존중해 줄 것을 요청했다.[12]1889년 6월 17일 사라예보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정부와 공동 재무부는 갈림베르티에게 그들의 제안을 제출했고, 그들은 모스타르-뒤브노 주교가 트레빈제-미르칸을 관리해야 한다고 제안했다.[13]제안의 주된 동기는 동방 정교회 인구에 불만을 품지 않기 위해서였다.[14]오스트리아-헝가리 정부도 사도행자였던 모스타르-두브노 주교에게 트레빈제-미르칸에 정기적인 관할권이 있어야 하며, 프란치스코인을 사제직무에 임명할 수 있도록 요청했다.[15]시메오니와 람폴라는 첫 번째 제안에[14] 동의했지만 두 번째 제안은 거절했다.[15]오스트리아-헝가리 정부는 1889년 9월 23일 그들의 결정에 대한 통지를 받았다.[14]《선전》은 1890년 6월 16일 모스타르-두브노 주교에게 트레빈제-미르칸을 관리하라고 명령했는데, 1890년 7월 8일 교황에 의해 확인된 결정이다.부콘지치는 새로운 법령으로 헤르체고비나 전체를 관할하게 되었다.[16]
모스타르
1899년 비데 푸티카는 스톨락에서 라자레비치를 교구 사제로 교체했다.[17]1890년 파스칼 부콘지치가 트레빈제-미르칸에 대한 행정권을 장악한 후 라자레비치는 모스타르로 이주하여 트레빈제-미르칸의 주교 고문을 지냈다.[4]1907년 라자레비치는 두 헤르체고비니아 교구의 총대리인으로 임명되었다.[18][19]
부콘지치는 1910년 12월 8일 모스타르에서 사망하였다.[20]캐논법의 요구에 따라 1910년 12월 19일, 대도시 대주교 조십 스타들러는 두 헤르체고비니아 교구의 영적인 문제에 라자레비치 행정관을 임명했다.교구의 물질적 관리는 프란시스칸 라도슬라브 글라바시에게 주어졌다.[4]프랑시스칸은 라자레비치의 임명을 그의 성공회 지명을 위한 전주곡이자 그들의 이익에 대한 위협으로 보았다.[18]
트레빈제-미르칸의 성직자들은 다시 한번 자신의 주교를 요청하고 라자레비치의 임명을 요청했고, 이후 트레빈제의 교구 사제인 아넬코 글라비니치의 임명을 요청했다.그러나 스타들러 대주교는 자신의 장군인 비카르 스테판 하드로비치 장군을 성공회 사무소에 임명하기를 원했다.트레빈제-Mrkan의 성직자들은 이것을 반역죄로 보고 Stadler의 계획에 격렬하게 반대했다.[21]
주교좌 후보자인 보스니아 알로지제 미시치 프란치스코주 주지사는 동료 프란치스코인 및 반자 루카 마리잔 마르코비치 사도교 행정관에게 편지를 보내 정부가 모스타르의 주교좌를 유지하기 위해 모든 힘을 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고 말했다.[22]
모스타르의 주교 후보에 대한 마찰이 있은 후, 오스트리아-헝가리 당국은 1912년 1월 5일 로마 미시치를 두 번째로 공식 그 자리에 제안하였다.[23]교황은 그 제안을 받아들였고 부리안은 황제에게 2월 14일 황제에게 미시치를 임명해 달라고 요청하였다.[24]1912년 4월 29일 교황은 미시치를 새로운 주교로 선포했다.[25]
라자레비치는 1919년 9월 17일 모스타르에서 사망하고 넴의 그라닥에 있는 교회 앞에 묻혔다.[1][4][18]
메모들
- ^ a b c d e f 풀지치 2004, 페이지 128.
- ^ a b c d e f 페리치 2021 페이지 97.
- ^ a b c 브란키치 2016 페이지 128–129.
- ^ a b c d e 브란키치 2018, 페이지 262.
- ^ 판디치 2001, 페이지 94.
- ^ a b c 브란키치 2016, 페이지 130.
- ^ 니키치 2011, 페이지 390.
- ^ a b 브란키치 2016, 페이지 129.
- ^ 판디치 2001, 페이지 111.
- ^ 브란키치 2016 페이지 130–131.
- ^ 브란키치 2016, 페이지 131.
- ^ 브란키치 2016, 페이지 132.
- ^ 브란키치 2016, 페이지 132–133.
- ^ a b c 브란키치 2016, 페이지 133.
- ^ a b 브란키치 2016, 페이지 134.
- ^ 브란키치 2016, 페이지 135.
- ^ 슈파 스톨락
- ^ a b c 페리치 2009, 페이지 78.
- ^ 페리치 2021 페이지 98.
- ^ 브란키치 2018, 페이지 261.
- ^ 브란키치 2018, 페이지 265.
- ^ 페리치 2009, 페이지 78-79.
- ^ 브란키치 2018, 페이지 275.
- ^ 브란키치 2018, 페이지 276.
- ^ 브란키치 2018, 페이지 277.
참조
책들
- Pandžić, Bazilije (2001). Hercegovački franjevci - sedam stoljeća s narodom [Herzegovinian Franciscans - seven centuries with the people] (in Croatian). Mostar-Zagreb: ZIRAL.
- Perić, Ratko (2021). Kriste, budi im život Ti! [Christ, be the life to them!] (in Croatian). Mostar: Crkva na kamenu. ISBN 9789926838294.
- Puljić, Ivica (2004). Hrvati katolici donje Hercegovine i Istočna kriza - Hercegovački ustanak (1875.-1878.) [Catholic Croats of lower Herzegovina and Eastern Crisis - the Herzegovinian uprising (1875-1878)] (in Croatian). Dubrovnik-Neum: Državni arhiv Dubrovnik-Zaklada Ruđer Bošković - Donja Hercegovina.
저널스
- Nikić, Andrija (2011). "Čuvodržavnik-kustod Fra Paškal Buconjić (1874.-1879.) i oslobođenje Hercegovine (i Bosne) 1875.-1878. godine" [Guardian statesman-custodian Fr. Paškal Buconjić (1874-1879) and the liberation of Herzegovina (and Bosnia) 1875-1878]. Susreti (in Croatian) (5): 366–404.
- Perić, Ratko (2009). "Imenovanje don Petra Čule mostarsko-duvanjskim biskupom" [Appointment of Fr. Petar Čule as Bishop of Mostar and Duvno]. Službeni vjesnik (in Croatian) (1): 77–89.
- Vrankić, Petar (2016). "Izbori i imenovanja biskupa u Hercegovini u doba austro-ugarske vladavine (1878. - 1918.) na primjeru biskupa fra Paškala Buconjića" [Elections and appointments of bishops in Herzegovina during the Austrian-Hungarian rule (1878 - 1918) on the example of Bishop Fr. Paškal Buconjić]. Hercegovina (in Croatian). 2: 109–140.
- Vrankić, Petar (2018). "Izbori i imenovanja biskupa u Hercegovini u doba austro-ugarske vladavine (1878. - 1918.) na primjeru biskupa fra Alojzija Mišića" [Elections and appointments of bishops in Herzegovina during the Austrian-Hungarian rule (1878 - 1918) on the example of Bishop Fr. Alojzije Mišić (1912)]. Hercegovina (in Croatian). 4: 243–286.
웹사이트
- "O župi" [About the parish] (in Croatian). Župa Stolac. Retrieved 26 September 2018.
- "Ravno: pučanstvo kroz povijest" [Ravno: population through history] (in Croatian). Biskupije Mostarsko-duvanjska i Trebinjsko-mrkanska. Retrieved 26 September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