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단병

Legionary
1-3세기 로리카 세그먼트타를 입은 로마 군단병들의 재창조

로마 군단병(라틴어로 레지오나리우스, 복수의 레지오나리우스)은 로마 군대전문 중보병이었습니다.이 병사들은 공화정 말기공국 시대에 고대 로마의 영토를 정복하고 방어하기 위해 보조병기병대를 파견했습니다.그 절정기에 로마 군단병들은 고전적인 로마 군단병이 사라진 지 몇 세기 후에 베지티우스와 같은 논평가들이 그들의 전투 효과를 칭찬하면서 로마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전투 세력으로 여겨졌습니다.[1]

로마 군단병들은 45세 미만의 로마 시민들로부터 모집되었습니다.그들은 처음에는 주로 로마 이탈리아에서 온 신병들로 이루어졌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방에서 더 많은 신병들이 모집되었습니다.군단병들이 새롭게 정복된 속주로 이주하면서, 그들은 원주민들을 로마화하는 것을 도왔고, 로마 제국의 이질적인 지역들을 하나의 정치로 통합하는 것을 도왔습니다.이들은 25년간 복무하면서 군단에 입대했는데, 이는 선거운동만을 위해 입대했던 초기 관행에서 변화된 것입니다.군단병들이 싸울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그들은 또한 로마 제국의 많은 기반시설을 건설했고 지방의 치안유지군 역할을 했습니다.그들은 벽, 다리, 도로와 같은 대규모 공공 사업 프로젝트를 지었습니다.군단병의 마지막 5년간 복무는 가벼운 임무였습니다.[2]일단 은퇴한 로마 군단병은 땅이나 그에 상응하는 돈을 받았고 종종 사회의 중요한 일원이 되었습니다.[3]

역사

시작:마리우스의 개혁

기원전 101년 가이우스 펀다니우스가 주조한 동전에서 승리자로 묘사된 가이우스 마리우스.그는 심브리크 전쟁에서의 승리로 승리를 거두었습니다.[4]

마리아 개혁은 로마 공화정 후기 동안 로마 군대의 구성과 운영에 대한 변경이라고 주장되었는데, 이는 보통 가이우스 마리우스(기원전[5] 107년, 104년–100년, 86년 집정관이었던 장군)에 기인합니다.그들이 주장한 변화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군인들의 사회경제적 배경의 변화에 관한 것이었습니다.다른 변화는 코호트의 도입, 단일 형태의 중보병과 균일한 장비의 도입, 독수리 표준의 보편적인 채택, 시민 기병대의 폐지를 포함한다고 생각되었습니다.[6]일반적으로 마리우스는 재산이 없는 시민들이 로마 군대에 입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군인들의 사회 경제적 배경을 변화시켰다고 믿었는데, 이 과정을 "프롤레타리아화"라고 불렀습니다.[7]이 프롤레타리아화는 토지 보조금에 동기부여를 받은 반전문적인 계급의 군인들을 만들었고, 그들은 다시 그들의 장군들의 고객이 되었고, 그들은 공화정을 전복시키기 위해 그것들을 사용했습니다.[8]

1840년대 독일 학자들은 폴리비우스와 마리우스 시대 사이에 로마 군대의 변화는 하나의 개혁 사건에 기인한다고 믿었습니다.이 믿음은 비교적 무비판적으로 퍼져나갔고 1850년대와 20세기의 많은 부분을 통해 대체로 증명되었다고 받아들여졌습니다.그러나 마리우스 시대의 채용 관행에 영구적이거나 중대한 변화가 있었다는 고대의 증거는 거의 없습니다.[9][10][11]마리우스에 의해 주도된 그러한 포괄적인 개혁의 발생은 더 이상 전문가들에 의해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12][13] 21세기의 학자들은 그 개혁을 "현대 학문의 구성체"라고 불렀습니다.[14][15]

마리우스가 한 것으로 알려진 군대의 운영과 장비에 대한 다른 개혁들도 학자들에 의해 대부분 거부되고 있습니다.[16]그들 중 고대와 고고학적 증거에 대한 근거가 있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17]다른 것들은 날짜가 잘못되었거나 잘못 지정되었습니다.후기 공화정의 로마 군대의 변화는 (기원전 2세기 말이 아니라 사회 전쟁내전 중에) 나중에 일어났고, 개혁파 마리아의 비전보다는 상황에서 나타났습니다.

공국 기간 중

기원전 27년 아우구스투스가 권력을 공고히 하고 공국을 세우면서, 그는 로마 군단을 더욱 전문화하고 그의 장군에 대한 군단의 의존을 깨려고 했습니다.그의 치하에서 군단병의 복무 기간은 25년으로 상향 조정되었고(그 이전에는 군단병의 평균 복무 기간은 10년에 불과했습니다), 급여는 군단 전체에서 표준화되었습니다.로마 군단병들은 또한 그의 복무가 끝날 때 토지 보조금이나 현금 지급을 보장받았으므로, 로마 군단병들은 전역 후 보상을 장군들에게 덜 의존하게 되었습니다.아우구스투스는 또한 군인들이 장군이 아닌 황제에게만 충성을 맹세하도록 성찬을 바꿨습니다.그래서 아우구스투스는 후기 로마 공화국을 규정하고 황제에게만 광범위하게 충성하는 군대를 만든 내전을 겨우 종식시켰습니다.[3]

군단병들은 아우구스투스와 미래의 황제들이 이끄는 군사 작전을 통해 브리타니아, 다키아, 북아프리카 등을 포함하여 로마의 국경을 확장시켰습니다.[18]

쇠락

로마 제국 후기의 중기병의 한 종류인 클리비나리이는 로마 군단이 쇠퇴하면서 다른 형태의 기병들과 함께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셉티무스 세베루스의 치세 이후부터, 로마 군단은 점차 그의 우위를 상실했습니다.이러한 감소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었지만 모두 충성도 및/또는 규율의 점진적인 저하를 지적했습니다.셉티무스 세베루스는 아마도 자신도 모르게 자신의 군단병들에게 기부금과 임금 인상을 아끼지 않았고, 그들이 황제가 되고 유지하기 위한 자신의 열쇠임을 인식하면서 이 쇠퇴를 시작했습니다.그러나, 그들이 황제들에게 점점 더 많은 보상을 기대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이것은 군단병들의 규율에 해로웠습니다.[19]셉티무스 세베루스의 후계자 카라칼라의 치하에서, 로마 제국의 모든 자유민들은 로마 시민이 되었고, 사실상 보조군과 군단병의 구분을 없앴습니다.이는 로마군의 지속적인 확장과 동시에 더욱 의심스러운 기준의 신병들이 군단에 합류하여 로마 군단의 질을 더욱 떨어뜨렸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20]

3세기 위기 동안, 로마 제국의 긴 국경을 넘어 위협이 발생함에 따라, 더 기동적인 군대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따라서 기마 기병은 제국에 대한 다양한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필수적인 것이 되었습니다.이 때문에, 로마의 중보병은 지배에서 더 멀어져 갔습니다.4세기에 이르러 로마 보병대는 고전적인 군단의 방탄복이 많이 부족해졌으며, 전임자들필라보다는 다트를 사용했습니다.[18]

기능들

비록 군단병이 처음이자 가장 중요한 군인이었지만, 그는 다른 여러 가지 중요한 기능들을 제공했습니다.전문 경찰력이 부족한 주지사들은 평화를 유지하고 중요한 시설을 보호하기 위해 군단병들을 사용할 것입니다.[21]로마 제국에는 대규모 시민 행정이 없었기 때문에, 군대는 종종 많은 행정직을 받았습니다.고위 군인들은 종종 지역 주민들 사이의 분쟁에서 심판관 역할을 했고, 군대는 세금 징수의 중요한 요소였습니다.[22]군단병들은 또한 그들이 주둔했던 지방 전역에 로마 문화를 전파하는 역할을 했습니다.군단병들이 지방에 정착하면서, 그들 주변에 도시들이 생겨났고, 종종 대도시가 되었습니다.이렇게 군단병들이 지역 주민들과 함께 어울리고 혼혈을 하면서, 그들은 자신들이 보호하는 지방을 로마화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로마 군단병들은 노동력과 전문성의 원천으로서도 역할을 했습니다.이처럼 제국을 연결하는 많은 기반시설들은 군단병들에 의해 지어졌습니다.도로, 운하, 다리들은 요새와 성벽과 같은 더 방어적인 구조물뿐만 아니라 군단병들에 의해서 지어졌습니다.[18]로마 공학의 기념비적인 예인 하드리아누스의 성벽은 이 지역에 주둔하고 있던 3개 군단에 의해 세워졌습니다.[23]군단병들은 단지 대규모 엔지니어링 프로젝트를 건설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았습니다.육군 내의 조사관, 의사, 장인, 기술자는 일반적인 군사적 역할과 함께 다양한 공무원으로 사용될 것입니다.[22]

면역자

정규 훈련을 받은 군단병들은 밀리테스로 알려졌고, 현대의 이등병 계급과 맞먹었습니다.군대를 제외하고, 면역관, 공병, 포병, 훈련 및 무기 교관, 목수의무병과 같은 2차적인 역할을 하는 전문 군인들이 이 계급에 포함되었습니다.그러나 이 사람들은 여전히 충분히 훈련된 군단병들이었고, 부름을 받으면 대열에서 싸울 것이었습니다.그들은 훈련과 피로와 같은 더 힘든 일들을 용서받았고, 무장한 동료들보다 더 많은 보수를 받았습니다.[24]

채용

로마의 군단병들은 대부분 자원봉사자 시민들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신병 징집공화정 시대를 거쳐 공국까지, 특히 위기의 시기에 계속되었습니다.이것은 제방이 로마 군단의 중요한 부분으로 남아있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25]국가가 신병들에게 장비를 제공하고 재산을 요구하지 않았기 때문에, 가장 가난한 로마 시민들도 군단에 합류할 수 있었습니다.하지만, 군대는 명예롭고 가치 있는 직업으로 여겨졌습니다.안정적인 급여, 좋은 퇴직 수당, 그리고 심지어 어떤 법적인 혜택까지, 군단병은 일반 시민들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많은 특전들을 가지고 있었습니다.이처럼 가난한 시민들은 군대에 입대할 수 있었지만, 평민 계급을 초월한 구성원들은 로마 군단에서 발견되었습니다.실제로 군대는 로마 세계에서 몇 안 되는 상향 이동 경로 중 하나였습니다.[26]

군대는 적극적으로 대장장이, 목수, 도살자와 같은 유용한 기술을 가진 신병들을 찾아 나섰습니다.글을 읽고 쓰는 능력은 필요하지는 않지만, 세기와 같은 높은 계급으로 승진하기 위해서는 글쓰기에 대한 지식이 필요했기 때문에 유용했습니다.[27]공화정 후기 동안, 로마 군단병들은 주로 로마를 둘러싼 지역들에서 왔습니다.하지만 로마가 확장되면서 이탈리아의 다른 지역에서 신병들이 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서서히 이탈리아 자체보다는 군단이 주둔하고 있는 지역에서 신병들이 몰려왔습니다.트라야누스의 치세까지, 이탈리아에서 기원한 모든 군단에 대해 지방에서 기원한 4-5개의 군단이 있었습니다.[25]

장비.

카로발리스타를 관리하는 로리카 분절이 있는 군단병을 보여주는 트라야누스 칼럼의 부조

적대적인 지역에서 행군할 때, 군단병들은 완전한 갑옷, 보급품, 장비를 휴대하거나 착용했습니다.이것은 일반적으로 로리카 하마타, 로리카 스쿼마타, 또는 1-3세기 로리카 세그먼트타, 방패(스커텀), 헬멧(갈레아), 두 개의 재블린(하나의 무거운 기둥과 하나의 가벼운 베루툼), 짧은 검(글라디우스), 단검(푸지오), 벨트(발테우스), 무거운 샌들(칼리개), 그리브 쌍, 매니카 한 쌍, 마칭 팩(사르시나), 아보ut 14일치 식량, 수피(포스카용 bladder), 조리기구, 팔리세이드 건축을 위한 말뚝 2개(sud 벽화), , 심는 바구니.

클라우디우스 황제 (약 41년)의 군사 개혁 이후, 각 군단은 또한 일정한 수의 포병을 징발하게 되었습니다.코호트(약 480명)는 1개의 발레스타를 받게 되고, 각 센츄리아(약 100명)는 1개의 캐로발리스타를 받게 됩니다.[29]10개의 코호르테와 60센투리아로 구성된 일반적인 군단 편성에서, 군단은 10개의 발리스타에 60개의 발리스타에 장착될 것입니다.

전투와 전투

사기유지

로마 군단은 로마 군대의 기본 8인 부대인 그의 컨투버니움과 무엇보다도 먼저 싸웠습니다.[30]같은 컨투버니움의 남자들은 함께 싸우고, 자고, 먹고, 훈련했습니다.이러한 강한 동지애는 로마의 군단병들에게 자부심을 주고 전쟁터에서 계속 싸우게 했습니다.표준 기수인 시그니페리는 로마 병사들이 전투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표준의 상실은 표준이 속한 백년대계의 수치였습니다.이와 같이, 일반적인 기수들은 주변에 집결하는 사람으로서, 그리고 군단병들에게 전투를 권하는 사람으로서 역할을 했습니다.[citation needed]

편대의 후방에 있는 로마 장교들인 옵션스는 전투 외에도 많은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하지만, 전투 중에, 그들의 임무는 군단병들이 진격하는 것을 막는 것이었습니다.볼 엔드를 가진 참모를 실어 나를 경우, 전투에서 도망친 군단병들이 다시 대형을 갖추도록 할 것입니다.전선에서 이끄는 백부장들은 군단병들과 함께 전투를 벌였고, 군단병들이 전투에서 살아남는 데 모범이 되었습니다.[28]

마지막으로, 상벌이 있었고, 이는 전투에서 군단병들에게 인센티브와 억제제 역할을 했습니다.예를 들어, 몹시 탐나는 코로나 시민권은 전투에서 동지를 구한 군단병들에게 주어졌습니다.[31]하지만, 죽음은 다양한 범죄에 대한 처벌이었습니다.비겁함과 직무유기를 저지른 사람들은 동료들에 의해 에 맞아 죽었습니다.부대 전체가 비겁한 모습을 보인 아주 드문 경우에는 병사 10명 중 1명이 처형된 부대가 훼손될 수도 있습니다.덜 극단적인 처벌로는 강등, 밀 배급을 보리로 바꾸고, 일부 식별되는 군 장비를 제거하는 것이 포함되었습니다.[18]

전초전

일반적으로 대군은 만나자마자 곧바로 전투를 시작하지는 않았습니다.오히려 며칠 혹은 심지어 몇 주간의 재배치와 협상이 전투 전에 이루어질 것입니다.파르살루스 전투가 시작되기 며칠 전에 작전이 일어났습니다.[32]전투 전에, 군단병들이 가능한 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했습니다.이것들은 군단병들에게 식사를 제공하고 전투 전에 그들을 쉬게 하는 것을 포함했습니다.[33]그들의 지휘관과 장군도 이 시간 동안 연설을 했습니다.이 연설들은 전투에서 승리하는 것이 군단병들이 전투를 할 수 있는 주요한 동기가 되었기 때문에, 전투에서 승리하는 것이 군단병들에게 주는 약탈과 부를 크게 강조할 것입니다.전투가 시작되기 전에 기병과 보조병들이 적진을 탐색하는 가벼운 교전이 벌어집니다.[28]

격투기 스타일

로마의 스커텀은 위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평면과 타원형에서부터 곡선과 직사각형까지 다양했습니다.모든 로마 스쿠타의 금속 보스는 그들에게 공격력을 부여했습니다.

로마 군단의 세 가지 주요 무기는 필룸(자벨린), 스커텀(방패), 글라디우스(단검)였습니다.이상적으로 군단병들은 적군에게 접근할 때 필라를 먼저 던집니다.이 필라들은 종종 적의 방패를 뚫고 들어가 뒤에 있는 병사들을 때릴 수 있었습니다.[1]필라가 방패를 뚫지 못해도 창의 목이 휘어져 방패가 무용지물이 됩니다.이것은 적을 미사일 공격과 군단의 공격에 취약하게 만들었습니다.필라가 초래한 혼란과 피해는 로마 군단병들의 돌격으로 이어지게 됩니다.[18]

Roman scutum은 다양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들은 모두 방패 중앙에 큰 금속 보스를 공유했습니다.이를 통해 군단병은 스커텀을 방어 장비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격 무기로도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군단병들은 적 전투원들에게 주먹을 날리고 밀치기 위해 이 철의 보스를 이용했을 것입니다.[34]이에 수반된 것이 글라디우스였는데, 주로 찌르는 무기였지만 자를 때도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이 꽤 간단한 도구들은 인상적인 훈련과 결합되어 고대 세계에서 로마 군단을 매우 효과적인 군인으로 만들었습니다.[18]

비록 군단병들이 싸웠던 많은 다양한 편대들이 있었지만, 그들은 편대들 사이에 간격이 있는 근접하고 질서 있는 편대들을 지향했습니다.이러한 공백으로 인해 예비군들은 전투에 참가하거나 소규모 병력들이 군단병들의 뒤로 후퇴할 수 있는 통로가 될 것입니다.전투가 소강상태를 보이는 동안, 부상당한 군인들은 이러한 틈을 통해 전선 뒤로 더 끌려갈 수 있습니다.[28]

급여 및 조건

팍스 로마나 기간 동안, 로마 군단의 계급장을 단 한 명의 군단병은 1년에 225 데나리이를 지급받았습니다.이것은 도미티아누스의 통치 기간 동안 300 데나리이로 증가했습니다.그러나, 3세기의 위기 동안, 황제들이 종종 시민들로부터 상품을 빼앗도록 하면서, 인플레이션과 혼란은 군단의 봉급을 방해했습니다.그들의 수입은 군단의 충성심을 확보하기 위해 혹은 성공적인 작전 후에 그들에게 상을 주기 위해 황제들의 기부금으로 보충되었습니다.[18]약탈과 약탈은 군단의 수입을 보충하기도 하고, 병사들이 전투에서 황제를 따르도록 하는 큰 유인책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복무 기간이 끝날 무렵, 로마 군단병들은 약간의 토지를 할당받거나 금전적으로 동등한 금액을 받았습니다.[35]

로마 제국이 굳어지면서, 영구적인 군단 요새들이 지어졌고, 많은 요새들이 마을들로 성장했습니다.이 요새들에는 목욕탕, 주막, 심지어 축제와 동물 전시가 열리는 원형 극장들이 있습니다.그러나 군단병들은 (그들의 배우자들이 종종 인정되기는 했지만)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의 치세까지 합법적으로 결혼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는데, 아마도 군단병이 사망했을 때 과부를 돌보려는 암묵적인 필요성 때문일 것입니다.[36]

훈련과 규율

처음 입대했을 때, 신입 로마인 (티로)은 훈련할 진짜 무기를 주지 않았습니다.대신, 그에게는 전투에서 상대편보다 두 배나 무거운 목검과 방패가 주어졌습니다.이를 통해 신병은 이 목기로 훈련하면서 힘을 키울 수 있었습니다.이 신병은 전투 훈련과 함께 수영이나 캠프를 차리는 것과 같은 다른 필수 기술들도 배웠습니다.[1]하지만 무엇보다 이 신병은 훈육을 받았고, 훈련 기간 동안 하루에 두 번씩 훈련을 받았습니다.최대 6개월까지 지속될 수 있는 이 기간이 지나면, 신병은 민병대가 되어 각각의 군단으로 보내집니다.[18]

로마 병사는 군 생활 내내 특히 엄격한 훈련을 받았습니다; 규율은 군대의 성공의 기반이었고, 병사들은 무기와 특히 훈련으로 끈질기고 끊임없이 훈련을 받았습니다 – 만원의 부하와 촘촘한 편대로 행군하는 것은 빈번했습니다.규율이 중요했기 때문에, 위반 행위는 세기 사람들에 의해 심하게 벌을 받았습니다.처벌은 요새화된 캠프의 보호 보안 밖에서 밤을 보내야 하는 의무에서부터 곤봉으로 구타를 당하는 것(긴 행군 동안 '느린 사람들'에 대한 일반적인 처벌인 푸스투아리움), 개인이나 단위 처형에 대한 돌팔매질까지 다양할 수 있습니다.그러나, 명예, 보상, 그리고 진급은 전투에서 또는 모범적인 복무를 통해 두각을 나타낸 군단병들에게 자주 수여되었습니다.[18]

강력한 훈육 훈련의 목표 중 하나는 로마 군인으로부터 공포를 없애는 것이었습니다.공포와 종종 뒤따르는 공포는 전쟁터에 있는 군대에게 파괴적인 힘입니다.로마인들은 엄격한 신체적, 정신적 훈련을 통해 두려움을 없애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37]그러나 전투에 대한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군인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다른 두려움이 사용되었습니다. 그것은 그들의 지휘관들에 의한 가혹한 처벌에 대한 두려움이었습니다.요셉푸스는 "두려움으로 인해 전쟁에 대비하여 더욱 단단해졌다. 그들의 법은 병사들이 대열에서 도망치는 것뿐만 아니라 나태하고 활동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도 사형을 가하기 때문이다."[38]라고 말합니다.

다이어트

로마 군단병은 하루에 두세 끼를 먹었습니다.아침식사프랑디움, 저녁식사는.이러한 식사를 위해, 군인들은 군인들의 총 배급량의 약 60-70%를 차지하는 밀을 주성분으로 하는 일반적인 배급량을 받았습니다.[33]이것은 빵이나 죽의 형태로 소비될 것입니다.하지만, 전투 중에, 군인들은 밀 보급품을 오랫동안 지속되는 비스킷인 하드택으로 요리하곤 했습니다.[18]

병사들의 밀 보급품을 보충한 것은 곡물 이외의 보급품인 시바리아였습니다.여기에는 주로 와인, 식초, 야채(주로 콩이나 렌틸콩), 소금, 소금-돼지고기, 치즈, 올리브 오일 등이 포함되었습니다.그러나, 이것은 과일을 포함하지 않았습니다.로마의 군단병들은 수렵, 상인들과의 교역, 징발, 또는 전역 중 습격을 통해 그의 보급품에 포함되지 않은 다른 식량들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그 결과, 일반 병사들의 식단은 대체로 영양가가 높고 포만감이 넘쳤습니다.[33]

헬스케어

영구적인 로마의 요새들은 의사들이 부상을 입거나, 부상을 입거나, 병든 군단병들을 수술하는 병원들을 포함하고 있을 것입니다.[39]이 의료진들은 또한 아픈 군인들을 격리시켜서 군대를 통해 전염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낮췄습니다.로마의 요새와 캠프 또한 수인성 질병의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해 계획되었고, 이는 많은 고대 군대를 황폐하게 만들었습니다.기술자들은 수용소에 담수를 공급하고 물을 주는 장소의 하류에 하수를 운반하는 데 특별한 주의를 기울였습니다.[35]심각하고 영구적으로 부상을 입거나 부상을 입은 군단병들은 의무적으로 제대할 수 있습니다.이 해고는 일부 세금과 일부 시민 의무 면제를 포함한 많은 혜택과 함께 올 것입니다.

기타 군단병

군단병은 또한 고대 로마의 중보병과 유사하지는 않지만, "군단"이라는 칭호를 부여받은 다양한 군대의 구성원들에게 사용되는 용어입니다.18세기와 19세기 초에 이 명칭은 때때로 탑재된 구성 요소와 발 부분으로 구성된 단위에 따라 지정되었습니다.최근에는 프랑스 외인부대, 스페인 외인부대, 폴란드 외인부대가 이 칭호를 사용했습니다.이러한 현대 군단의 구성원들은 종종 레지오넬라라고 불리는데, 레지오넬라는 프랑스어로 레지오넬라를 뜻합니다.[citation needed]

이 용어는 영어로 철위대라고 알려진 루마니아 극우 준군사조직에서도 사용되었습니다.[citation needed]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a b c Brevik, Mads. "The Military Institutions of the Romans (De Re Militari)". www.digitalattic.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7-05. Retrieved 2018-07-04.
  2. ^ TED-Ed (2018-03-29), A day in the life of a Roman soldier – Robert Garla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7-01, retrieved 2018-06-24
  3. ^ a b A companion to the Roman army. Erdkamp, Paul. Malden, MA: Blackwell. 2007. ISBN 978-0470996577. OCLC 184983640.{{cite book}}: CS1 메인 : 기타 (링크)
  4. ^ Crawford, Michael H (1974). Roman republican coinage. Vol. 1 (1st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328. ISBN 0-521-07492-4. LCCN 77-164450.
  5. ^ Broughton, Thomas Robert Shannon (1952). The magistrates of the Roman republic. Vol. 2. New York: American Philological Association. p. 589.
  6. ^ 파즈차 2021, 페이지 21.eg Taylor 2019, p. 76 및 Cadiou 2018, p. 395 참조.
  7. ^ 캐디우 2018, 페이지 18.
  8. ^ Eg Scullard 2011, 페이지 47-48.
  9. ^ Gauthier 2020, p. 283 "최근 병역을 위해 재산 자격을 영구히 폐지하는 광범위한 '마리안 개혁'의 생각이 철저하게 반박되고 있습니다."
  10. ^ 키브니 2007, 93-94쪽. "마리우스는 가끔 해야 할 일을 거의 하지 않았습니다.그는 로마군을 용병 부대로 만들지 않았습니다.그는 혁명군을 만들지 않았습니다."
  11. ^ Rafferty 2021."[카디우]의 결론은 '라르메 로망디테 « 포스트 마리엔 » 에스트 신기루 히스토리오그라피크' ['포스트 마리안'이라고 불리는 로마군은 역사적 신기루입니다.
  12. ^ 2008년 프로스트."현대의 연구는 대부분 동의하지만, 마리아의 개혁과 가난한 남자들의 군복무가 로마 군대에 혁명을 일으켰다고 더 이상 말할 수 없습니다."
  13. ^ Faszcza 2021, 페이지 14-15.
  14. ^ Taylor 2019, p. 79. "비교적 소박한 사실들이 궁극적으로 현대 학문의 구성 요소인 '마리아인 개혁'에 반영되었습니다."
  15. ^ Cadiou 2018, p. 395. « L'armée romainite 후기 마리엔느 est un mirage historographique 엘렌 아자마는 현대에 존재합니다. 앙센스, 라르메 시토이엔 파우레스 라켈레 역사 전기 현대 쿠튀르 레스파빌리테결정적 단스 크리세 에 라 레퓌블리크 로망스 아파렌테, 파이트, 아운 아르메 이미지네르.
  16. ^ Rosenstein 2020, p. 301. [Gauthier]는 학자들 사이에서 점점 더 받아들여지게 된 입장에서 출발합니다(비록 인기 작가들 사이에서는 인기가 없지만), 즉 마리우스가 1세기 군단들을 공화정 중기의 전임자들과 구별되게 한 주요 변화에 대해 책임이 없다는 것입니다.
  17. ^ 군대 모집 외에 마리우스에게 직접적으로 귀속된 유일한 두 가지 변화는 필룸의 재설계와 독수리가 아닌 기준의 제거입니다.두 고대의 주장은 고고학적 증거에 의해 증명되었습니다.테일러 2019, 페이지 78.
  18. ^ a b c d e f g h i j Rodgers, Nigel (2006). Roman Empire. Dodge, Hazel. London: Lorenz Books. ISBN 0754816028. OCLC 62177842.
  19. ^ R., Dixon, Karen (2014) [1996]. The late Roman army. Abingdon, Oxon: Routledge. ISBN 978-1134724222. OCLC 881839972.{{cite book}}: CS1 유지 : 여러 이름 : 저자 목록 (링크)
  20. ^ Rocco, Marco (January 2010). "The reasons behind Constitutio Antoniniana and its effects on the Roman military". Acta Classica Universitatis Scientiarum Debreceniensi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4-07. Retrieved 2019-04-29.
  21. ^ "Police Work in Roman Times History Today". www.historytoday.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7-25. Retrieved 2018-07-25.
  22. ^ a b The Cambridge history of Greek and Roman warfare. Sabin, Philip A.G., Wees, Hans van., Whitby, Michael.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ISBN 978-0521857796. OCLC 190966775.{{cite book}}: CS1 메인 : 기타 (링크)
  23. ^ "Hadrian's Wall Roman wall, England". Encyclopedia Britanni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7-25. Retrieved 2018-07-25.
  24. ^ "Rome, The Roman Army". history-world.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6-03. Retrieved 2018-06-24.{{cite web}}: CS1 maint : URL(링크) 부적합
  25. ^ a b A companion to the Roman Empire. Potter, D. S. (David Stone). Malden, MA: Blackwell Pub. 2006. ISBN 0631226443. OCLC 60550606.{{cite book}}: CS1 메인 : 기타 (링크)
  26. ^ C., Knapp, Robert (2011). Invisible Romans (First Harvard University press ed.). Cambridge. ISBN 978-0674063280. OCLC 767736175.{{cite book}}: CS1 maint: 위치 누락 게시자 (링크)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 (링크)
  27. ^ "The Marian Reforms The turning point in Roman history". u.osu.ed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7-09. Retrieved 2018-07-09.
  28. ^ a b c d Ross., Cowan (2003). Roman legionary : 58 BC – AD 69. McBride, Angus. Oxford: Osprey. ISBN 1841766003. OCLC 52661320.
  29. ^ Thomas, Chris (2004). "Claudius and the Roman Army Reforms". Historia: Zeitschrift für Alte Geschichte. 53 (4): 424–452. JSTOR 4436742.
  30. ^ ISO Design (2016-10-26), Roman Army Structure Vindolanda Museu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12-11, retrieved 2018-07-31
  31. ^ "Augustus wearing the Corona Civica Museum of Classical Archaeology Databases". museum.classics.cam.ac.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7-31. Retrieved 2018-07-31.
  32. ^ "Battle of Pharsalus Summary". Encyclopedia Britanni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7-31. Retrieved 2018-07-31.
  33. ^ a b c Roth, Jonathan P. (1999). The logistics of the Roman army at war (264 B.C.-A.D. 235). Leiden: Brill. ISBN 9004112715. OCLC 39778767.
  34. ^ "Roman legionary – Soldier Profile". Military History Monthly. 2010-11-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7-31. Retrieved 2018-07-31.
  35. ^ a b Rodgers, Nigel (2013). Ancient Rome: A Complete History of the Ris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Southwater. ISBN 978-1844778591.
  36. ^ "Septimius Severus Roman emperor". Encyclopedia Britanni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7-05. Retrieved 2018-07-04.
  37. ^ Stout, S. E. (1921). "Training Soldiers for the Roman Legion". The Classical Journal. 16 (7): 423–431. JSTOR 3288082.
  38. ^ Josephus, Flavius (2009). "The Wars of the Jews or History of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Project Gutenberg. Translated by Whiston, William. Retrieved April 3, 2020.
  39. ^ "Roman Fort". World History Encycloped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6-24. Retrieved 2018-06-24.

원천

일반도서

  • 섬너, G. 그리고 라파엘레 다마토.로마 제국 병사의 무기와 갑옷입니다.프론트라인 북스, 2009.
  • 왓슨, G.R. 로마 군인.코넬 대학 출판부, 1993

기타도서

  • 마티삭, 필립군단병 : 로마 병사의 (비공식) 매뉴얼테임즈 & 허드슨, 2009.
  • 코완, 로스, 앵거스 맥브라이드.로마 군단 : 기원전 58년 서기 69년.오스프리 출판사, 2003.

외부 링크

  • 로마 신병은 로마 군단병의 생활, 임무 그리고 장비를 살펴봅니다 (c. 200).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