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인성 질환

Waterborne diseases
수인성 질환
Groundwater Contamination Latin America Sm.png
수인성 질병은 지하수를 통해 전염될 수 있으며 지하수는 구덩이 변소에서 나오는 분변 병원균으로 오염된다.
전문전염병

수인성 질환에서 전염되는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야기되는 질병(사망, 장애, 질병 또는 [1]: 47 장애 등 인간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입니다.이러한 질병들은 목욕, 씻기, 물 마시기 또는 오염된 [2]물에 노출된 음식을 먹음으로써 전파될 수 있다.그것들은 전 세계의 개발도상국들 사이에서 농촌 지역에서 긴급한 문제이다.설사와 구토가 가장 흔하게 보고된 수인성 질환의 증상인 반면, 다른 증상으로는 피부,[3] 귀, 호흡기 또는 눈의 문제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청정수 공급, 위생위생(WASH) 부족은 지역사회에서 수인성 질병의 확산의 주요 원인이다.따라서 깨끗한 식수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접근과 위생이 수인성 [4]질환을 예방하는 주요 방법이다.

특징적으로 수인성 질환을 일으키는 미생물은 원생동물과 박테리아를 포함하며, 그들 중 다수는 장내 기생충이거나 소화관의 벽을 통해 조직이나 순환계에 침입한다.다른 다양한 수인성 질병은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

그러나 다른 중요한 종류의 수인성 질병은 메타조아 기생충에 의해 발생한다.전형적인 예로는 특정 선충, 즉 "회충"이 있다.수인성 선충 감염의 예로서 중요한 수인성 선충병이 있다.선충의 벡터 역할을 하는 특정 요각류가 발생하는 물을 삼킴으로써 획득됩니다.Dracunculus속 선충에 감염된 요각류를 삼키는 사람은 누구나 감염되기 쉽다.애벌레는 기니 웜병[5]일으킨다.

다른 종류의 수인성 메타조아 병원균은 혈액 플럭의 한 과인 주혈흡충과의 특정 구성원이다.그들은 보통 [5]물과 접촉하는 사람들을 감염시킨다.혈액 플룩은 다양한 형태의 주혈흡충증을 일으키는 병원균으로 전세계 [6]수억 명의 사람들에게 다소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

용어.

수인성 질환이라는 용어는 주로 미생물 오염수의 접촉이나 소비를 통해 전염되는 감염을 위해 사용된다.많은 감염은 미생물이나 기생충에 의해 전염될 수 있는데, 그들은 아마도 예외적인 상황의 결과로 우연히 물에 들어갔을 것이다.그러나 간혹 감염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이 그 결과 발생하는 질병을 "수인성"으로 분류하는 것이 유용하다는 것을 의미할 필요는 없다.또한 모기들이 생활 주기에 수생기를 가지고 있거나, 모기들이 서식하는 물을 치료하는 것이 매개체[citation needed]모기를 통제하는 효과적인 전략이기 때문에 말라리아와 같은 질병을 "수인성"이라고 부르는 것은 흔한 관행도 아니다.

관련 용어는 "물 관련 질병"으로 정의되며, 이는 "사망, 장애, 질병 또는 장애와 같이 인간 건강에 대한 유의하거나 광범위한 악영향, 즉 상태에 의해 직간접적으로 발생하거나 물의 [1]: 47 양이나 품질의 변화"로 정의된다.물과 관련된 질병은 전염 메커니즘에 따라 분류된다: 물 매개, 물 위생, 물 기반, 물 관련.[1]: 47 수인성 질환의 주요 전염 모드는 오염된 물의 섭취입니다.

원인들

청정수 공급, 위생위생(WASH) 부족은 지역사회에서 수인성 질병의 확산의 주요 원인이다.분변-구강 경로는 수인성 [citation needed]질병의 질병 전염 경로이다.빈곤은 또한 지역사회가 수인성 질병에 의해 영향을 받을 위험을 증가시킨다.예를 들어, 지역사회의 경제적 수준은 깨끗한 [7]물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저개발국은 잠재적 수인성 질병 발생 위험이 더 높을 수 있지만, 더 발전된 지역은 수인성 질병 [8]발생 위험도 높다.

병원체 유형별 질병

원생동물

질병 및 전염[3][9] 미생물제 급수제 공급원 일반적인 증상
아칸사메바 각막염(오염수로 콘택트렌즈 세척) 아칸사메바(A. castellanii 및 A. polyphaga) 지표수, 수돗물, 수영장 및 콘택트렌즈 용액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수생환경에서 볼 수 있는 널리 분포하는 자유생활 아메바 눈의 통증, 눈의 충혈, 흐릿한 시야, 빛에 대한 민감성, 눈에 있는 사물의 감각, 과도한 눈물
아메바증(입에서 입으로) 원생동물(Entamoeba histolytica) (낭포성 외관) 하수, 미처리 식수, 급수 파리, 타액 이송(상대방이 병에 걸린 경우) 복부 불쾌감, 피로감, 체중 감소, 설사, 팽창, 발열
크립토스폴리듐증(구강) 원생동물(Cryptosporidium parvum) 소독할 수 없는 여과기와 막, 동물의 배설물, 계절에 따른 물의 유출을 수집합니다. 독감 유사 증상, 묽은 설사, 식욕부진, 상당한 체중 감소, 팽창, 가스 증가, 메스꺼움
사이클로스포라증 원생 기생충(Cyclospora cayetanensis) 하수, 미처리 식수 경련, 메스꺼움, 구토, 근육통, 발열 및 피로
지아디아스(분비-구강)(구강) 원생동물(Giardia lamblia) 가장 흔한 장내 기생충 처리되지 않은 물, 열악한 소독, 파이프 파손, 누출, 지하수 오염, 인간과 야생동물이 동일한 수원을 사용하는 야영장.비버머스크랫은 지아디아의 저수지 역할을 하는 연못을 만든다. 설사, 복부 불쾌감, 팽만감, 팽만감
미소포자충증 원생동물문(Microsporidia)이지만 곰팡이와 가까운 관계 식수원인[10] 지하수에서 뇌성 장염이 검출됐다. 면역력이 떨어진 사람에게서 설사와 낭비가 나타난다.
내장뇌염(원발성 아메바성 뇌수막염)(비강) 원생동물(Negleria fowleri) (낭포성 외관) 워터포트, 비염소수 두통, 구토, 혼란, 균형 상실, 빛 민감성, 환각, 피로, 체중 감소, 발열 및 혼수

박테리아

질병 및 전염[11][12] 미생물제 급수제 공급원 일반적인 증상
보툴리즘 보툴리누스속 박테리아는 오염된 수원에서 열린 상처로 들어갈 수 있다.오염된 식수 또는 (더 일반적으로) 음식을 섭취하여 소화관으로 들어갈 수 있다. 구강건조, 흐릿하거나 이중시력, 삼키기 어려움, 근육 약화, 호흡곤란, 구토, 때로는 설사.사망은 보통 호흡 부전으로 인해 발생한다.
캄필로박테리아증 Campylobacter jejuni에 의해 가장 많이 발생한다. 대변에 오염된 음용수 고열과 함께 이질적인 증상을 일으킨다.보통 2~10일간 지속됩니다.
콜레라 Vibrio cholerae균에 의해 전파됨 세균에 오염된 음용수 심각한 형태에서는 가장 빨리 치명적인 질병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증상에는 매우 묽은 설사, 메스꺼움, 경련, 코피, 빠른 맥박, 구토, 그리고 12시간에서 18시간 후에 사망할 수 있는 저혈당 쇼크가 포함됩니다.
대장균 감염 대장균의 특정 변종(일반적으로 대장균) 세균에 오염된 물 대부분 설사를 해요.장기간에 걸친 질병으로 인한 탈수로 인해 면역력이 저하된 사람, 매우 젊은 사람 및 노인에게 사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M. 마리눔 감염 미코박테륨마리눔 자연적으로 물에서 발생하며, 수영장이나 수족관에서의 노출로 인한 대부분의 경우; 면역력이 떨어진 개인에게 주로 감염되기 때문에 드문 감염이다. 증상으로는 일반적으로 팔꿈치, 무릎 및 발에 위치하는 병변(수영장) 또는 손(수영장)이 있습니다.병변은 통증이 없거나 아플 수 있다.
이질 ShigellaSalmonella속의 많은 종에 의해 발생하며, 가장 일반적인 것은 Shigella 이질균이다. 세균에 오염된 물 혈액 및/또는 점액과 함께 대변이 자주 배출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혈액을 토하기도 한다.
레지오넬라증 (두 가지 다른 형태: 레지오넬라병과 폰티악열) 레지오넬라속 세균에 의해 발생(90%가 레지오넬라 폐렴균의해 발생) 레지오넬라는 따뜻한 물에서 많은 [13]수의 생식을 하는 매우 흔한 유기체이다; 하지만 에어로졸화 될 [14]때만 심각한 질병을 일으킨다. 폰티액열은 폐렴 없이 급성 인플루엔자와 비슷한 가벼운 증상을 일으킨다.레지오넬라병은 발열, 오한, 폐렴(가래가 나오는 기침 포함), 운동실조증, 거식증, 근육통, 불안감, 때때로 설사와 구토 등의 심각한 증상이 있습니다.
렙토스피라증 렙토스피라속 세균에 의해 발생 세균을 운반하는 동물의 소변으로 오염된 물 독감과 같은 증상으로 시작해서 해결된다.두 번째 단계는 뇌수막염, 간손상(황달원인), 신부전을 수반합니다
외이도염(수영자의 귀) 많은 세균곰팡이 종에 의해 발생합니다. 병원균에 오염된 물속에서 수영하는 행위 귓구멍이 붓고, 만지면 통증과 부드러움을 일으킨다.
살모넬라증 살모넬라속의 많은 세균에 의해 발생함 박테리아에 오염된 식수음식으로 인한 질병으로 더 흔하다. 증상으로는 설사, 발열, 구토, 복부경련 등이 있습니다
장티푸스 살모넬라티푸스 감염자의 대변에 오염된 물의 섭취 최대 40°C(104°F)까지 열이 지속되고 땀을 많이 흘리며 설사, 근육통, 피로 및 변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증상들은 섬망으로 진행되며, 치료하지 않으면 비장간이 비대해진다.이 경우 4주까지 지속되며 사망에 이를 수 있다.장티푸스를 앓고 있는 몇몇 사람들은 "장미 반점"이라고 불리는 발진이 생기는데, 복부와 가슴에 작은 붉은 반점이 생긴다.
비브리오 병 Vibrio vulnificus, Vibrio alginolyticusVibrio 부용혈증 오염된 물로 인한 상처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오염된 물을 마시거나 덜 익힌 굴을 먹어서도 획득됩니다. 증상으로는 복부 압통, 흥분, 혈변, 오한, 혼란, 주의력 결핍, 정신착란, 변덕스러운 기분, 환각, 코피, 심한 피로, 느림, 무기력감, 무기력감, 약함 등이 있다.

바이러스

Hepatitis A is one of waterborne diseases and its symptoms are only acute. Symptoms include fatigue, fever, etc.
A형 간염 A형 간염은 수인성 질환 중 하나로 증상이 급할 뿐이다.피로,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질병 및 전염[10][15][3][16][17] 바이러스제 급수제 공급원 일반적인 증상
A형 간염 A형 간염 바이러스(HAV) 물(및 음식)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은 급성일 이고 피로, 발열, 불쾌감, 복통, 메스꺼움, 설사, 체중 감소, 가려움증, 황달, 우울증포함한다.
E형 간염(분비-구강) E형 간염 바이러스(HEV) 감염된 사람의 대변을 통해 물속으로 들어간다. 발열, 피로, 식욕부진, 메스꺼움, 구토, 복통, 황달, 거무스름한 소변, 점토색 변, 관절통 급성간염(간질환) 증상
급성 위장병(AGI) (분비-구강, 음식, 물, 사람 대 사람, 찜질 등에 의해 전파됨) 노로바이러스 감염된 사람의 대변을 통해 물속으로 들어간다. 설사, 구토, 메스꺼움, 복통
소아마비(폴리오) 폴리오바이러스 감염된 사람의 대변을 통해 물속으로 들어간다. 환자의 90~95%는 증상이 없고, 4~8%는 섬망, 두통, 발열, 간혹 발작을 동반하는 경미한 증상, 경련성 마비, 1%는 무균성 뇌수막염 증상을 보인다.나머지는 마비나 사망에 이르는 심각한 증상이 있습니다
폴리오마 바이러스 감염 폴리오마 바이러스의 2종 : JC 바이러스BK 바이러스 매우 널리 퍼지고, 물속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인구의 80%가 폴리오마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가지고 있다. BK 바이러스는 가벼운 호흡기 감염을 일으켜 면역력이 저하된 이식 환자의 신장을 감염시킬 수 있다.JC 바이러스는 호흡기와 신장을 감염시키거나 진행성 다초점 백혈병(치명적)을 일으킬 수 있다.

조류

질병 및 전염[18] 미생물제 급수제 공급원 일반적인 증상
데스모데스모스 감염 데스모데스무스 아마투스 물속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한다.열린 상처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곰팡이 감염과 비슷해요

기생충

질병 및 전염[5][3] 대리인 급수제 공급원 일반적인 증상
드라쿤쿨라증[기네아 지렁이병](오염수의 소화불량) 메디넨시스메디넨시스 암컷 벌레는 숙주의 피부에서 나와 유충을 물 속에 풀어놓습니다. 미열, 가려운 발진, 메스꺼움, 구토, 설사, 어지럼증, 통증 있는 물집 형성(일반적으로 하체 부위)

예방

깨끗한 식수대한 신뢰성 높은 접근과 위생은 수인성 [4]질환을 예방하는 주요 방법입니다.목적은 질병 [citation needed]전염의 분변-구강 경로를 깨는 것이다.

역학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수인성 질환은 전세계 질병 부담의 약 3.6%를 차지하며 연간 약 150만 명이 사망한다.세계보건기구(WHO)는 이 부담의 58% 또는 연간 84만2천명의 사망자가 안전한 식수 공급, 위생 및 위생 부족(WASH로 [4]요약)에 기인한다고 추산하고 있습니다.

미국

수인성 질병 및 발병 감시 시스템(WBDOSS)은 미국의 [19]수인성 질병 및 발병과 관련된 원인, 결핍, 물 시스템 및 선원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데이터베이스이다.1971년 이후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주정부 및 지역역학위원회(CSE) 및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휴양수, 식수, 환경과 관련된 수인성 질병 및 발병"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보고하기 위해 이 감시 시스템을 유지해왔다.그리고 결정되지 않은 물에 [19][20]대한 노출." "WBDOSS의 데이터는 음용수 규제를 개발하기 위한 EPA 노력을 지원하고 CDC의 레크리에이션 워터 활동에 대한 지침을 제공했다."[19][20]

WBDOSS는 수인성 질병과 발병 [19]활동에 관한 개별 주, 준주 및 기타 미국 관할 지역의 공중 보건 부서의 완전하고 정확한 데이터에 의존합니다.2009년에는 WBDOSS에 대한 보고가 종이 형태에서 전자 국가발병보고시스템(NORS)[19]으로 전환되었다.WBDOSS가 수집한 데이터에 대한 연간 또는 2년마다의 감시 보고서는 1971년부터 1984년까지 CDC 보고서에 발표되었으며, 1985년부터 감시 데이터는 MMWR([19]이병률 및 사망률 주간 보고서)에 발표되었다.

WBDOSS와 공중보건계는 오염된 물이 수인성 질병의 발생으로 이어지는 원인을 조사하고 이러한 [19]발생을 유지하기 위해 협력합니다.그들은 공중 보건 커뮤니티가 발병을 조사하고 WBDOSS가 보고서를 [19]받도록 함으로써 그렇게 한다.

사회와 문화

사회경제적 영향

수인성 질병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수인성 질환에 감염된 사람들은 대개 관련 의료 비용에 직면한다.이것은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그렇습니다.평균적으로,[21] 감염자 1인당 월평균 가구소득의 약 10%를 지출한다.

역사

수인성 질병은 한때 나쁜 공기가 [22][23]질병의 확산을 일으킨다는 이론인 미아즈마 이론에 의해 잘못 설명되었다.하지만, 사람들은 수질과 수인성 질병 사이의 상관관계를 발견하기 시작했고, 이로 인해 모래 여과와 식수 염소 처리와 같은 다른 정수 방법이 생겨났다.현미경의 창시자인 안토니 리우웬훅로버트 후크는 새로 발명된 현미경을 사용하여 물에 떠 있는 작은 물질 입자를 처음으로 관찰함으로써 수인성 병원균과 [24]수인성 질병에 대한 미래의 이해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 b c Von Sperling, M. (2015). "Wastewater Characteristics, Treatment and Disposal". Water Intelligence Online. 6: 9781780402086. doi:10.2166/9781780402086. ISSN 1476-1777.
  2. ^ "Water-Borne Diseases". News-Medical.net. 2018-05-14. Retrieved 2021-10-27.
  3. ^ a b c d Guidelines for drinking-water quality. World Health Organization (Fourth edition incorporating the first addendum ed.). Geneva. 2017. ISBN 9789241549950. OCLC 975491910.{{cite book}}: CS1 유지보수: 기타 (링크)
  4. ^ a b c "Burden of disease and cost-effectiveness estimates". World Health Organiz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13, 2014. Retrieved April 5, 2014.
  5. ^ a b c Janovy J, Schmidt GD, Roberts LS (1996). Gerald D. Schmidt & Larry S. Roberts' Foundations of parasitology. Dubuque, Iowa: Wm. C. Brown. ISBN 978-0-697-26071-0.
  6.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Center for Emerging and Zoonotic Infectious Diseases (NCEZID), Division of Global Migration and Quarantine (DGMQ) (2011). "Chapter 3". In Brunette GW (ed.). CDC Health Information for International Travel 2012. The Yellow Boo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76901-8.
  7. ^ Adelodun B, Ajibade FO, Ighalo JO, Odey G, Ibrahim RG, Kareem KY, et al. (October 2020). "Assessment of socioeconomic inequality based on virus-contaminated water usage in developing countries: A review". Environmental Research. 192: 110309. doi:10.1016/j.envres.2020.110309. PMC 7546968. PMID 33045227.
  8. ^ Smith A, Reacher M, Smerdon W, Adak GK, Nichols G, Chalmers RM (December 2006). "Outbreaks of waterborne infectious intestinal disease in England and Wales, 1992-2003". Epidemiology and Infection. 134 (6): 1141–9. doi:10.1017/S0950268806006406. PMC 2870523. PMID 16690002.
  9. ^ Baldursson S, Karanis P (December 2011). "Waterborne transmission of protozoan parasites: review of worldwide outbreaks - an update 2004-2010". Water Research. 45 (20): 6603–14. doi:10.1016/j.watres.2011.10.013. PMID 22048017.
  10. ^ a b Nwachcuku N, Gerba CP (June 2004). "Emerging waterborne pathogens: can we kill them all?" (PDF).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15 (3): 175–80. doi:10.1016/j.copbio.2004.04.010. PMC 7134665. PMID 1519332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8-03-07. Retrieved 2007-08-09.
  11. ^ Dziuban EJ, Liang JL, Craun GF, Hill V, Yu PA, Painter J, et al. (December 2006). "Surveillance for waterborne disease and outbreaks associated with recreational water--United States, 2003-2004".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Surveillance Summaries. 55 (12): 1–30. PMID 1718323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October 2017.
  12. ^ Petrini B (October 2006). "Mycobacterium marinum: ubiquitous agent of waterborne granulomatous skin infections".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 Infectious Diseases. 25 (10): 609–13. doi:10.1007/s10096-006-0201-4. PMID 17047903. S2CID 7485002.
  13. ^ "Legionnaires' Disease eTool: Facts and FAQs". www.osha.gov.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November 2017. Retrieved 29 April 2018.
  14. ^ "Legionella - Causes and Transmission - Legionnaires - CDC". www.cdc.gov. 8 December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March 2016. Retrieved 29 April 2018.
  15. ^ Nwachuku N, Gerba CP, Oswald A, Mashadi FD (September 2005). "Comparative inactivation of adenovirus serotypes by UV light disinfection" (PDF).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71 (9): 5633–6. Bibcode:2005ApEnM..71.5633N. doi:10.1128/AEM.71.9.5633-5636.2005. PMC 1214670. PMID 16151167.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07-09-26.
  16. ^ Gall AM, Mariñas BJ, Lu Y, Shisler JL (June 2015). "Waterborne Viruses: A Barrier to Safe Drinking Water". PLOS Pathogens. 11 (6): e1004867. doi:10.1371/journal.ppat.1004867. PMC 4482390. PMID 26110535.
  17. ^ "Hepatitis A". www.who.int. Retrieved 2020-11-19.
  18. ^ Westblade LF, Ranganath S, Dunne WM, Burnham CA, Fader R, Ford BA (March 2015). "Infection with a chlorophyllic eukaryote after a traumatic freshwater injury".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2 (10): 982–4. doi:10.1056/NEJMc1401816. PMID 25738686.
  19. ^ a b c d e f g h "Waterborne Disease & Outbreak Surveillance Reporting Water-related Topics Healthy Water CDC". www.cdc.gov. 2017-10-16. Retrieved 2018-12-07. Public Domain 이 문서에는 퍼블릭 도메인에 있는 이 소스로부터의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20. ^ a b Craun GF (2004). Methods for the investigation and prevention of waterborne disease outbreaks; EPA/600/1-90/005A. Health Effects Research Laboratory,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CLC 41657130.
  21. ^ Schnabel B. "Drastic consequences of diarrhoeal disea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9-23.
  22. ^ Juuti PS, Katko T, Vuorinen H (2007-02-01). Environmental History of Water. IWA Publishing. ISBN 978-1-84339-110-4.
  23. ^ "ESSAI College Publications College of DuPage". dc.cod.edu. Retrieved 2020-11-24.
  24. ^ "The Use of the Microscope in Water Filter History". Retrieved 2012-12-1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