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고타미고빈다
Li Gotami Govinda리고타미고빈다 | |
---|---|
![]() | |
태어난 | 라티 쁘띠 1906년 4월 22일 |
죽은 | 1988년 8월 18일 | (82)
국적 | 인디언 |
배우자 | (m.1947; 1985년 사망) |
리 고타미 고빈다(Li Gotami Gobinda, 1906년 4월 22일 ~ 1988년 8월 18일)는 인도의 화가, 사진작가, 작가, 작곡가였다. 그녀는 발레와 무대공예에도 능숙했다. 그녀는 마하야나 불교로의 개종과 티베트 여행으로 명성을 얻었다.
전기
라티 쁘띠는 1906년 4월 22일 봄베이에서 부유한 파르시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가족은 봄베이 주 컴발라 힐에 있는 보만지 딘쇼 쁘띠 파르세 종합병원을 소유하고 있었다. 고타미에게는 적어도 한 명의 누이동생인 쿠미 바하리아와 한 명의 오빠인 마네크지 쁘띠가 있었다. 그녀는 영국에서 힐의 해로우에 위치한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고, 이후 1924년 슬레이드 미술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Ratti Petit은 1930년대에 인도로 돌아오기 전에 유럽을 광범위하게 여행했다. 인도에서 그녀는 그녀를 벵골 예술학교에 소개한 예술가 마니시 데이와 함께 일했는데, 이것은 그녀에게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쁘띠는 1930년대에 미술품 수집가 겸 비평가인 칼 잠셰드 칸달라발라와 결혼했다. 그러나 결혼 생활은 짧았다.[1] 쁘띠는 1930년대에 봄베이의 카메라 화보리스트를 공동 설립하기도 했다.[2]
쁘띠는 1934년 예술가 난달랄 보세(Nandalal Bose)의 밑에서 공부하고 마니푸리 춤을 배우기 위해 산티니케탄에 있는 라빈드라나트 타고레의 애쉬램을 여행했다. 리 고타미의 조카인 실라 말비(Sila Malvi)에 따르면 "그녀의 부모는 그녀가 떠나가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았다. 사실 할아버지는 동생(마네크지 쁘띠)을 보내어 확인까지 시키셨어." 프티는 12년 동안 산티니케탄에서 지냈다. 그녀는 또한 예술 음악 학교에서 졸업장을 받았다. 그녀는 8년 후 예술학교에서 가르친 화가 아바닌드라나트 타고레를 만났다. Tagore는 Petit의 그림에 감명을 받아 그녀의 멘토가 되었다. 말비에 따르면, "그녀는 아바닌드라나트 타고레를 절대적으로 숭배했다. 그녀가 종교와 아이들의 그림에 뛰어날 것이라고 말한 것은 바로 그였다."[1]
샨티니케탄에 있는 동안 쁘띠는 비슈와바라티 대학의 볼리비아-독일 교수인 아나가리카 고빈다 밑에서 공부하기도 했다.[1] 쁘띠는 1947년 고빈다와 결혼하여 네 번의 별도의 의식을 치렀다. 봄베이와 다르질링에서 시민 의식이 열렸으며, 추비 계곡에서는 아조 린포체와 고빈다가 직접 '라마 결혼' 의식을 치렀다.[3] 쁘띠는 마하야나 불교로 개종하여 독실한 조로아스터교 부모의 뜻에 반하여 리 고타미라는 이름을 채택하였다.[1] 1938년 영국 시민권을 취득한 고빈다는 1947년 인도 시민이 됐다.[4] 이 부부는 인도 북부 알모라 인근 카사르 데비의 작가 월터 에반스-웬츠로부터 빌린 집에서 살았다.[5] '크랭크의 산등성이'로 알려진 히피 서클의 카사르 데비는 얼 브루스터, 알프레드 소렌센, 존 블로펠드 같은 예술가, 작가, 정신적 추구자들이 사는 보헤미안 식민지였다. 비트 시인 앨런 긴스버그와 게리 스나이더, LSD 구루스 티머시 레리와 랄프 메츠너, 정신과 의사 R. D. 라잉, 티베트학자 로버트 서먼 등 많은 영적 추구자들이 고빈다의 아슈람을 찾아 왔다. 방문객의 수가 너무 많아져서 그 부부는 결국 원치 않는 방문객들을 멀리하기 위해 표지판을 붙였다.[5]
카사르 데비에서 리 고타미와 고빈다는 1947년부터 49년까지 티베트 중서부 지역으로의 여러 탐험에 착수했다. 그 탐험은 일러스트레이티드 위클리 오브 인디아에서 자금을 조달했다.[6] 이러한 탐험 동안, 그들은 많은 그림, 그림, 사진들을 만들었다. 이 여행들은 고빈다의 책 "백운들의 길"에 설명되어 있다. 리 고타미와 고빈다는 1948년 7월 티베트 서부의 차파랑 원정에 나서 9월에 고대 도시에 도착했다. 그들은 거친 내부와 흙투성이의 벽이 있는 조잡한 돌 오두막에서 피난하며 버려진 도시의 혹독한 환경을 견뎌냈다. 그들은 죽과 샤파티로 구성된 하루에 두 끼를 먹었고, 약똥과 붓나무 불에 천천히 요리했다. 온도가 너무 낮아서 빨리 먹지 않으면 찻잔 안에서 차가 얼어버릴 정도였다. 그 부부는 적어도 1948년 12월까지 도시에 머물면서, 살아남은 프레스코화를 열심히 찍고, 스케치하고, 추적했다.[3]
리 고타미가 찍은 차파랑 프레스코 사진들이 티벳 신비주의와 티벳의 '하얀 구름의 길'(리 고타미와 공동저자)에 그대로 등장한다.[5][7] 리 고타미의 1940년대 후반 티베트 사진은 중국 티베트 점령 이전과 이후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파괴된 지역 생활의 마지막 중요한 화보 중 하나이다.[8] 고빈다와 리 고타미는 1947-1948년 티베트 원정을 하는 동안 아조 레파 린포체를 만났고, 고빈다는 고빈다가 티베트 불교의 카기위파 학교에 입학시켰다고 말했다.[9]
1955년부터 리 고타미는 고빈다와 함께 인도 북서부의 알모라에 있는 40에이커의 사유지에서 살았는데, 그곳에서 그들은 회화, 불교학, 명상을 공부했다. 아슈람은 황무지에 위치해 전기나 흐르는 물에 접근할 수 없었다.[1][10] 인도에서, 60년대와 70년대에, 그들은 몇 번의 강연 여행을 했고, 그것은 그들을 전 세계로 데려갔다.[10] 1960년 고빈다는 베니스에서 열린 국제 종교 회의에서 티베트 불교의 대표로 유럽에 갔다. 그 후 영국,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네덜란드로 갔다. 1965년에는 독일, 프랑스, 스위스를 거쳐 1968~69년에는 미국, 일본을 거쳐 강연 투어에 나섰다. 고빈다는 1972-73년, 1974-76년에 세계 투어를 떠났다. 1977년에 그는 독일을 방문했다.[11]
죽음

1970년대 초, 리 고타미와 고빈다는 미국 불교학자들의 초청을 받아 미국에 거주하였다. 이 커플은 처음에는 캘리포니아주 소후세니토에 살다가 건강상의 이유로 샌프란시스코만 지역의 밀밸리에 정착했다.[1][5] 리 고타미는 파킨슨병을 앓았고, 고빈다는 1975년부터 몇 차례 뇌졸중을 겪었다.[12] 이 커플은 앨런 와츠와 스즈키 로시의 샌프란시스코 젠 센터로부터 보살핌을 받았다.[5] 1985년 1월 14일 저녁 토론 도중 고빈다는 갑자기 아래로 내려가는 그의 목에 날카로운 통증을 느꼈다. 그는 오른편에 드러누워 웃다가 죽었다.[12] 리 고타미는 남편이 죽을 때까지 밀 밸리에서 남편과 함께 살았다.[10] 남편이 죽은 지 몇 달 후 리 고타미는 가족과 함께 살기 위해 인도로 돌아왔다.[3] 그녀는 1988년 8월 18일 마하라슈트라주 푸네에서 사망했다.[1]
뭄바이의 차트라파티 시바지 마하라즈 바스투 상그라할라야 컬렉션에서 그녀의 예술 작품과 티벳의 프레스코 트레킹이 많이 열린다. 2008년 2월 2일, 박물관은 "리 고타미의 눈을 통해 티벳"이라는 전시회를 열었다. 그 전시회는 그녀의 사진, 스케치, 프레스코 트레이싱의 선정을 특징으로 했다.[13]
작동하다
- 티벳 인 픽처스 버클리 1979, 제1권 ISBN0913546577, Vol. 2 ISBN0913546585
- 티벳 환상: 그림, 시, 음악. 에머리빌, 1976년, ISBN 0913546488
참조
- ^ a b c d e f g Gehi, Reema. "Painting a portrait". Mumbai Mirror. Retrieved 18 December 2016.
- ^ Harris, Clare (15 November 2016). Photography and Tibet. Reaktion Books. ISBN 9781780236995. Retrieved 18 December 2016.
- ^ a b c Power, Richard (20 September 2013). The Lost Teachings of Lama Govinda: Living Wisdom from a Modern Tibetan Master. Quest Books. pp. xxx. ISBN 9780835630641. Retrieved 18 December 2016.
- ^ 헤커, 1990, 페이지 86-87.
- ^ a b c d e 도널드 S. 로페즈, 페이지 61
- ^ 비르짓 조츠: 티벳의 주르 유로파이스첸 와흐르네흐멍 폰 베세센헤이트슈노멘 und Oakelpriestertum. 윈 2010, S. 75.
- ^ Für eine ausführliche Beschreibung der 원정대 지에 라마 아나가리카 고빈다: 데르 베그 데르 위엔 울켄. 주리히 1969년
- ^ 리 고타미 고빈다: 티벳 인 픽처스 버클리 1979; 1권, ISBN 0913546577; 2권, ISBN 0913546585
- ^ 고빈다, 1966년, 페이지 156. 도널드 S. 로페즈, 60페이지 비르기트 조츠, '티베티스체 미스틱, - 나흐 라마 아나가리카 고빈다 라마 아나가리카 고빈다'(2011년 6.8월 철회)
- ^ a b c 비르짓 조츠: 티벳의 주르 유로파이스첸 와흐르네흐멍 폰 베세센헤이트슈노멘 und Oakelpriestertum. 윈 2010, S. 75-76
- ^ 비르기트 조츠, '티베티스체 미스틱, - 나흐 라마 아나가리카 고빈다 라마 아나가리카 고빈다'[1](2011년 6.8.101년 철회)
- ^ a b 헤커, 1990, p.87-88
- ^ "Newsletter from Mumbai". The Free Library. Retrieved 18 December 2016.
외부 링크
- 독일 국립도서관 카탈로그에 실린 리 고타미 고빈다에 관한 문헌
- 라마 und 리 고타미 고빈다 스티프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