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론 목록

List of baryons
양자는 유일하게 고립되어 있는 바이런 마구간으로, 2개의 상향 쿼크와 1개의 하향 쿼크를 가지고 있다.

바리온은 1개의 쿼크와 1개의 고물로 이루어진 복합 입자인 메손과 반대로 3개의 쿼크로 이루어진 복합 입자다.바리온과 메손은 모두 하드론인데, 하드론은 쿼크만으로 이루어진 입자 또는 쿼크와 골동품 둘 다로 이루어진 입자다.바리온이라는 용어는 그리스어 "βαρςςς"(barys)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무거운"을 의미하는데, 왜냐하면 바리온은 이름 지을 당시 물질로 분류된 다른 입자보다 질량이 큰 것이 특징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몇몇 실험은 4개의 쿼크와 1개의 고물로 만들어진 바이론인 펜타쿼크의 존재를 보여준다고 여겨졌다.[1][2]입자물리학계 전체는 2006년까지 그들의 존재를 가능한 것으로 보지 않았다.[3]2015년 7월 13일 CERNLHCB 협업을 통해 바닥 람다 바론(Rambda Baryons, λ0
b
) 붕괴 시 펜타쿼크 상태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고하였다.[4]

바이론은 쿼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한 상호작용에 참여한다.반면 렙톤은 쿼크로 구성되지 않아 강한 상호작용에 참여하지 않는다.가장 잘 알려진 바이론은 우주에서 보이는 물질의 질량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양성자중성자인데 반해 원자의 다른 주요 성분인 전자는 렙톤이다.각 바리온에는 항균제로 알려진 해당 항정신병 물질이 있는데, 쿼크는 이에 상응하는 고물로 대체된다.예를 들어 양성자는 위 쿼크 2개와 아래 쿼크 1개로 구성되며, 이에 대응하는 항정신병자, 위 앤티크로톤은 위 앤티크 2개와 아래 앤티크 1개로 구성된다.

바리온 속성

이 목록에는 총 각도 모멘텀 J =에서 알려진 바이런과 예측 바이런이 모두 상세하게 나열되어 있다.½ J = 양의 패리티를 갖는 32 구성.[5]

  • 쿼크의 한 종류(uuu, ddd, ...)로 구성된 바이론은 J = 32 구성으로 존재할 수 있지만, J = 12는 Pauli 배제 원칙에 의해 금지된다.
  • 두 가지 유형의 쿼크(uud, uus, ...)로 구성된 바이런은 J = 12J = 32 구성으로 존재할 수 있다.
  • 쿼크의 세 가지 유형(uds, udc, ...)으로 구성된 바이런은 J = 12J = 32 구성으로 존재할 수 있다. J = 12 구성은 이 중괄호들에 대해 가능하다.

The symbols encountered in these lists are: I (isospin), J (total angular momentum), P (parity), u (up quark), d (down quark), s (strange quark), c (charm quark), b (bottom quark), Q (charge), B (baryon number), S (strangeness), C (charm), B′ (bottomness), as well as a wide array of subatomic particles (hover for name).(이 기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바이런 기사를 참조하십시오.)

항균제는 표에 나열되어 있지 않지만, 그들은 단지 모든 쿼크를 고물로 바꾸었을 이고, Q, B, S, C, B는 반대 신호일 것이다.이름 옆에 있는 입자는 표준 모델에 의해 예측되었지만 아직 관찰되지 않았다.괄호 안의 값은 실험에 의해 확실하게 확립되지 않았지만 쿼크 모델에 의해 예측되며 측정값과 일치한다.[6][7]

JP =2분+ 1의 바이런

JP = 1/2+ 바이런
입자명 기호 쿼크 내용 휴식 질량(MeV/c2) I J P Q (e) S C B' 평균 수명(s) 일반적으로
로 분해하다.
양성자[8]
p
,
p+
,
N+

u

u

d
938.2720813(58)[a] 1/2 1/2+ +1 0 0 0 안정적[b] 언오비버스
중성자[9]
n
,
n0
,
N0

u

d

d
939.5654133(58)[a] 1/2 1/2+ 0 0 0 0 (8.794±0.006)×10+2[c]
p+
+
e
+
ν
e
람다[10]
Λ0

u

d

s
1115.683±0.006 0 1/2+ 0 −1 0 0 (2.632±0.020)×10−10
p+
+ π
또는


n0
+
π0
넋이 나간 람다[11]
Λ+
c

u

d

c
2286.46±0.14 0 1/2+ +1 0 +1 0 (2.024±0.031)×10−13 λ+
c
붕괴 모드 참조
밑단 람다[12]
Λ0
b

u

d

b
5619.6±0.17 (0) (1/2+) 0 0 0 −1 (1.471±0.009)×10−12 λ0
b
붕괴 모드 참조
시그마[13]
Σ+

u

u

s
1189.37±0.07 1 1/2+ +1 −1 0 0 (8.018±0.026)×10−11
p+
+ π0
또는


n0
+
π+
시그마[14]
Σ0

u

d

s
1192.642±0.024 1 1/2+ 0 −1 0 0 (7.4±0.7)×10−20
Λ0
+
γ
시그마[15]
Σ

d

d

s
1197.449±0.030 1 1/2+ −1 −1 0 0 (1.479±0.011)×10−10
n0
+
π
매혹된 시그마[16]
Σ++
c
(2455)

u

u

c
2453.97±0.14 1 1/2+ +2 0 +1 0 3.48+0.37
−0.16
×10−22
[d]

Λ+
c
+
π+
매혹된 시그마[16]
Σ+
c
(2455)

u

d

c
2452.9±0.4 1 1/2+ +1 0 +1 0 >1.43×10−22[d]
Λ+
c
+
π0
매혹된 시그마[16]
Σ0
c
(2455)

d

d

c
2453.75±0.14 1 1/2+ 0 0 +1 0 3.60+0.42
−0.20
×10−22
[d]

Λ+
c
+
π
바텀 시그마[17]
Σ+
b

u

u

b
5810.56±0.25 (1) (1/2+) +1 0 0 −1 (1.32±0.13)×10−22[d]
Λ0
b
+
π+
바텀 시그마
Σ0
b

u

d

b
알 수 없는 (1) (1/2+) 0 0 0 −1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바텀 시그마[17]
Σ
b

d

d

b
5815.64±0.27 (1) (1/2+) −1 0 0 −1 (1.24±0.12)×10−22[d]
Λ0
b
+
π
xi[18]
Ξ0

u

s

s
1314.86±0.20 1/2 1/2(+) 0 −2 0 0 (2.90±0.09)×10−10
Λ0
+
π0
xi[19]
Ξ

d

s

s
1321.71±0.07 1/2 1/2(+) −1 −2 0 0 (1.639±0.015)×10−10
Λ0
+
π
매료된[20]
Ξ+
c

u

s

c
2467.94+0.17
−0.20
(1/2) (1/2+) +1 −1 +1 0 (4.56±0.05)×10−13 ξ+
c
붕괴 모드 참조
매료된[21]
Ξ0
c

d

s

c
2470.90+0.22
−0.29
(1/2) (1/2+) 0 −1 +1 0 (1.53±0.06)×10−13 ξ0
c
붕괴 모드 참조
매료된 Xi prime[22].
Ξ′+
c

u

s

c
2578.4±0.5 (1/2) (1/2+) +1 −1 +1 0 알 수 없는
ξ+
c
+ γ
(보기)
매료된 Xi prime[23].
Ξ′0
c

d

s

c
2579.2±0.5 (1/2) (1/2+) 0 −1 +1 0 알 수 없는
ξ0
c
+ γ
(보기)
이중으로[24] 매료된 시
Ξ++
cc

u

c

c
3621.2±0.7 (1/2) (1/2+) +2 0 +2 0 알 수 없는 ξ++
cc
붕괴 모드 참조
이중으로[e] 매료된 시
Ξ+
cc

d

c

c
알 수 없는 (1/2) (1/2+) +1 0 +2 0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바텀[25]
또는 캐스케이드 B

Ξ0
b

u

s

b
5791.9±0.5 (1/2) (1/2+) 0 −1 0 −1 (1.480±0.030)×10−12 ξ0
b
붕괴 모드 참조
바텀[25]
또는 캐스케이드 B

Ξ
b

d

s

b
5797.0±0.6 (1/2) (1/2+) −1 −1 0 −1 (1.572±0.040)×10−12 ξ
b
붕괴 모드 참조
바텀 시 프라임
Ξ′0
b

u

s

b
알 수 없는 (1/2) (1/2+) 0 −1 0 −1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바텀 시 프라임
Ξ′
b

d

s

b
알 수 없는 (1/2) (1/2+) −1 −1 0 −1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이중 바닥 Xi
Ξ0
bb

u

b

b
알 수 없는 (1/2) (1/2+) 0 0 0 −2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이중 바닥 Xi
Ξ
bb

d

b

b
알 수 없는 (1/2) (1/2+) −1 0 0 −2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보텀자이
Ξ+
cb

u

c

b
알 수 없는 (1/2) (1/2+) +1 0 +1 −1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보텀자이
Ξ0
cb

d

c

b
알 수 없는 (1/2) (1/2+) 0 0 +1 −1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밑바닥 Xi prime에 매혹되었다.
Ξ′+
cb

u

c

b
알 수 없는 (1/2) (1/2+) +1 0 +1 −1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밑바닥 Xi prime에 매혹되었다.
Ξ′0
cb

d

c

b
알 수 없는 (1/2) (1/2+) 0 0 +1 −1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매혹된 오메가[26]
Ω0
c

s

s

c
2695.2±1.7 (0) (1/2+) 0 −2 +1 0 (2.68±0.24 ± 0.10)×10−13 붕괴0
c 모드
참조
밑단 오메가[27]
Ω
b

s

s

b
6046.1±1.7 (0) (1/2+) −1 −2 0 −1 1.64+0.18
−0.17
×10−12

Ω
+ J/mit
(표시됨)
더블 매료된 오메가
Ω+
cc

s

c

c
알 수 없는 (0) (1/2+) +1 −1 +2 0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보텀 오메가 데워진
Ω0
cb

s

c

b
알 수 없는 (0) (1/2+) 0 −1 +1 −1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밑바닥 오메가 프라임에 매혹되었다.
Ω′0
cb

s

c

b
알 수 없는 (0) (1/2+) 0 −1 +1 −1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더블 보텀 오메가
Ω
bb

s

b

b
알 수 없는 (0) (1/2+) −1 −1 0 −2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더블 매직 바텀 오메가
Ω+
ccb

c

c

b
알 수 없는 (0) (1/2+) +1 0 +2 −1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매료된 더블 보텀 오메가
Ω0
cbb

c

b

b
알 수 없는 (0) (1/2+) 0 0 +1 −2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 입자는 아직 관찰되지 않았다.

[a] ^ 양성자중성자의 질량은 MeV/c보다2 원자 질량 단위(u)에서 훨씬 더 정밀하게 알려져 있는데, 는 기초 전하의 상대적으로 잘 알려진 값 때문이다.원자 질량 단위에서 양성자의 질량은 1.007276466812(90) u인 반면 중성자의 질량은 1.00866491600(43) u이다.

[b] ^ 최소 10년35.양성자의 부패를 보라.

[c] ^ 자유 중성자의 경우; 대부분의 일반적인 핵에서 중성자는 안정적이다.

[d] ^ PDG는 공진폭(γ)을 보고한다.여기서 변환 τ = ⁄⁄γ이 대신 주어진다.

[e] ^ 다른 실험 데이터에서 꺼리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발견 주장이 있다.[28]

JP = 3/2+ 바이런

JP = 3/2+ 바이런
입자명 기호 쿼크
내용물
휴식 질량(MeV/c2) I J P Q (e) S C B' 평균 수명(s) 일반적으로
로 분해하다.
델타[29]
Δ++
(1232)

u

u

u
1232±2 3/2 3/2+ +2 0 0 0 (5.63±0.14)×10−24[h]
p+
+
π+
델타[29]
Δ+
(1232)

u

u

d
1232±2 3/2 3/2+ +1 0 0 0 (5.63±0.14)×10−24[h]
π+
+ n 또는0


π0
+
p+
델타[29]
Δ0
(1232)

u

d

d
1232±2 3/2 3/2+ 0 0 0 0 (5.63±0.14)×10−24[h]
π0
+ n 또는0


π
+
p+
델타[29]
Δ
(1232)

d

d

d
1232±2 3/2 3/2+ −1 0 0 0 (5.63±0.14)×10−24[h]
π
+
n0
시그마[30]
Σ∗+
(1385)

u

u

s
1382.80±0.35 1 3/2+ +1 −1 0 0 (1.828±0.036)×10−23[h]
λ0
+ π+
또는


σ+
+ π0
또는


Σ0
+
π+
시그마[30]
Σ∗0
(1385)

u

d

s
1383.7±1.0 1 3/2+ 0 −1 0 0 (1.83±0.26)×10−23[h]
λ0
+ π0
또는


σ+
+ π
또는


Σ0
+
π0
시그마[30]
Σ∗−
(1385)

d

d

s
1387.2±0.5 1 3/2+ −1 −1 0 0 (1.671±0.089)×10−23[h]
λ0
+ π
또는


σ0
+ π
또는


Σ
+
π0
매혹된 시그마[31]
Σ∗++
c
(2520)

u

u

c
2518.41+0.21
−0.19
1 (3/2+) +2 0 +1 0 4.45+0.12
−0.09
×10−23
[h]

Λ+
c
+
π+
매혹된 시그마[31]
Σ∗+
c
(2520)

u

d

c
2517.5±2.3 1 (3/2+) +1 0 +1 0 >3.87×10−23[h]
Λ+
c
+
π0
매혹된 시그마[31]
Σ∗0
c
(2520)

d

d

c
2518.48±0.20 1 (3/2+) 0 0 +1 0 4.30+0.15
−0.11
×10−23
[h]

Λ+
c
+
π
바텀 시그마[32]
Σ∗+
b

u

u

b
5830.32±0.27 (1) (3/2+) +1 0 0 −1 (7.0±0.4)×10−23[h]
Λ0
b
+
π+
바텀 시그마[e]
Σ∗0
b

u

d

b
알 수 없는 (1) (3/2+) 0 0 0 −1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바텀 시그마[32]
Σ∗−
b

d

d

b
5834.74±0.30 (1) (3/2+) −1 0 0 −1 (6.3±0.5)×10−23[h]
Λ0
b
+
π
xi[33]
Ξ∗0
(1530)

u

s

s
1531.80±0.32 1/2 3/2+ 0 −2 0 0 (7.23±0.40)×10−23[h]
ξ0
+ π0
또는


Ξ
+
π+
xi[33]
Ξ∗−
(1530)

d

s

s
1535.0±0.6 1/2 3/2+ −1 −2 0 0 6.6+1.3
−1.1
×10−23
[h]

ξ0
+ π
또는


Ξ
+
π0
매료된[34]
Ξ∗+
c
(2645)

u

s

c
2645.56+0.24
−0.30
(1/2) (3/2+) +1 −1 +1 0 (3.08±0.28)×10−22[h]
ξ+
c
+ π0
(보기)
매료된[34]
Ξ∗0
c
(2645)

d

s

c
2646.38+0.20
−0.23
(1/2) (3/2+) 0 −1 +1 0 (2.80±0.22 ± 0.16)×10−22[h]
ξ+
c
+ π
(보기)
이중으로 매료된 시
Ξ∗++
cc

u

c

c
알 수 없는 (1/2) (3/2+) +2 0 +2 0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이중으로 매료된 시
Ξ∗+
cc

d

c

c
알 수 없는 (1/2) (3/2+) +1 0 +2 0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바텀[35]
Ξ∗0
b

u

s

b
5952.3±0.6 (1/2) (3/2+) 0 −1 0 −1 7.31±1.34 ± 0.66)×10−22[h]
ξ
b
+ π+
(보기)
바텀[36]
Ξ∗−
b

d

s

b
5955.33±0.12 ± 0.05 (1/2) (3/2+) −1 −1 0 −1 3.99±0.78 ± 0.24)×10−22[h] ξ∗−
b
붕괴 모드 참조
이중 바닥 Xi
Ξ∗0
bb

u

b

b
알 수 없는 (1/2) (3/2+) 0 0 0 −2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이중 바닥 Xi
Ξ∗−
bb

d

b

b
알 수 없는 (1/2) (3/2+) −1 0 0 −2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보텀자이
Ξ∗+
cb

u

c

b
알 수 없는 (1/2) (3/2+) +1 0 +1 −1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보텀자이
Ξ∗0
cb

d

c

b
알 수 없는 (1/2) (3/2+) 0 0 +1 −1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오메가[37]
Ω

s

s

s
1672.45±0.29 0 3/2+ −1 −3 0 0 (8.21±0.11)×10−11[h]
λ0
+ K 또는


ξ0
+ π
또는


Ξ
+
π0
매혹된 오메가[38]
Ω∗0
c
(2770)

s

s

c
2765.9±2.0 0 (3/2+) 0 −2 +1 0 알 수 없는
Ω0
c
+
γ
밑단 오메가
Ω∗−
b

s

s

b
알 수 없는 (0) (3/2+) −1 −2 0 −1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더블 매료된 오메가
Ω∗+
cc

s

c

c
알 수 없는 (0) (3/2+) +1 −1 +2 0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보텀 오메가 데워진
Ω∗0
cb

s

c

b
알 수 없는 (0) (3/2+) 0 −1 +1 −1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더블 보텀 오메가
Ω∗−
bb

s

b

b
알 수 없는 (0) (3/2+) −1 −1 0 −2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트리플 매료된 오메가
Ω++
ccc

c

c

c
알 수 없는 (0) (3/2+) +2 0 +3 0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더블 매직 바텀 오메가
Ω∗+
ccb

c

c

b
알 수 없는 (0) (3/2+) +1 0 +2 −1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매료된 더블 보텀 오메가
Ω∗0
cbb

c

b

b
알 수 없는 (0) (3/2+) 0 0 +1 −2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트리플 바텀 오메가
Ω
bbb

b

b

b
알 수 없는 (0) (3/2+) −1 0 0 −3 알 수 없는 알 수 없는

^ 입자는 아직 관찰되지 않았다.

[h] ^ PDG는 공진폭(γ)을 보고한다.여기서 변환 τ = ⁄⁄γ이 대신 주어진다.

바리온 공진 입자

이 표에는 PDG에 의해 확인된 바이론 공명의 이름, 양자수(알고 있는 곳), 실험 상태 등이 제시되어 있다.[39] 바이론 공진 입자는 반수명이 짧고 질량이 더 높은 흥분 바이론 상태에 있다.중요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바이론 흥분 스펙트럼 뒤의 기본적인 자유도는 여전히 잘 알려져 있지 않다.[40]스핀 패리티 JP(알려진 경우)는 각 입자와 함께 주어진다.강하게 부패하는 입자의 경우, JP 값은 모든 공명도의 질량과 마찬가지로 이름의 일부로 간주된다.

바리온 공진 입자
Δ 입자 λ 입자 σ 입자 ξ 및 Ω 입자 마름모 입자 하단 입자
p 12+ **** Δ(1232) 32+ **** Λ 12+ **** Σ+ 12+ **** Ξ0 12+ ****
Λ+
c
12+ ****
Λ0
b
12+ ***
n 12+ **** Δ(1600) 32+ **** Λ(1405) 12 **** Σ0 12+ **** Ξ 12+ **** Λc(2595)+ 12 *** Λb(5912)0 12 ***
N(1440) 12+ **** Δ(1620) 12 **** Λ(1520) 32 **** Σ 12+ **** Ξ(1530) 32+ **** Λc(2625)+ 32 *** Λb(5920)0 32 ***
N(1520) 32 **** Δ(1700) 32 **** Λ(1600) 12+ *** Σ(1385) 32+ **** Ξ(1620) * Λc(2765)+ * Σb 12+ ***
N(1535) 12 **** Δ(1750) 12+ * Λ(1670) 12 **** Σ(1480) * Ξ(1690) *** Λc(2880)+ 52+ ***
Σ*
b
32+ ***
N(1650) 12 **** Δ(1900) 12 *** Λ(1690) 32 **** Σ(1560) ** Ξ(1820) 32 *** Λc(2940)+ 32 ***
Ξ0
b
,
Ξ
b
12+ ***
N(1675) 52 **** Δ(1905) 52+ **** Λ(1710) 12+ * Σ(1580) 32 * Ξ(1950) *** Ξ'b(5935) 12+ ***
N(1680) 52+ **** Δ(1910) 12+ **** Λ(1800) 12 *** Σ(1620) 12 * Ξ(2030) 5/2? *** Σc(2455) 12+ **** Ξb(5945)0 32+ ***
N(1700) 32 *** Δ(1920) 32+ *** Λ(1810) 12+ *** Σ(1660) 12+ *** Ξ(2120) * Σc(2520) 32+ *** Ξb(5955) 32+ ***
N(1710) 12+ **** Δ(1930) 52 *** Λ(1820) 52+ **** Σ(1670) 32 **** Ξ(2250) ** Σc(2800) ***
Ω
b
12+ ***
N(1720) 32+ **** Δ(1940) 32 ** Λ(1830) 52 **** Σ(1690) ** Ξ(2370) ** Pc(4380)+ *
N(1860) 52+ ** Δ(1950) 72+ **** Λ(1890) 32+ **** Σ(1730) 32+ * Ξ(2500) *
Ξ+
c
12+ *** Pc(4450)+ *
N(1875년) 32 *** Δ(2000) 52+ ** Λ(2000) * Σ(1750) 12 ***
Ξ0
c
12+ ***
N(1880) 12+ *** Δ(2150) 12 * Λ(2020) 72+ * Σ(1770) 12+ * Ω 32+ ****
Ξ′+
c
12+ ***
N(1895) 12 **** Δ(2200) 72 *** Λ(2050) 32 * Σ(1775) 52 **** Ω(2250) ***
Ξ′0
c
12+ ***
N(1900) 32+ **** Δ(2300) 92+ ** Λ(2100) 72 **** Σ(1840) 32+ * Ω(2380) ** Ξc(2645) 32+ ***
N(1990) 72+ ** Δ(2350) 52 * Λ(2110) 52+ *** Σ(1880) 12+ ** Ω(2470) ** Ξc(2790) 12 ***
N(2000) 52+ ** Δ(2390) 72+ * Λ(2325) 32 * Σ(1900) 12 * Ξc(2815) 32 ***
N(2040) 32+ * Δ(2400) 92 ** Λ(2350) 92+ *** Σ(1915) 52+ **** Ξc(2930) *
N(2060) 52 *** Δ(2420) 112+ **** Λ(2585) ** Σ(1940) 32+ * Ξc(2980) ***
N(2100) 12+ *** Δ(2750) 132 ** Σ(1940) 32 *** Ξc(3055) ***
N(2120) 32 *** Δ(2950) 152+ ** Σ(2000) 12 * Ξc(3080) ***
N(2190) 72 **** Σ(2030) 72+ **** Ξc(3123) *
N(22220) 92+ **** Σ(2070) 52+ *
N(2250) 92 **** Σ(2080) 32+ **
Ω0
c
12+ ***
N(2300) 12+ ** Σ(2100) 72 * Ωc(2770)0 32+ ***
N(2570) 52 ** Σ(2250) *** Ωc(3000)0 ***
N(2600) 112 *** Σ(2455) ** Ωc(3050)0 ***
N(2700) 132+ ** Σ(2620) ** Ωc(3065)0 ***
Σ(3000) * Ωc(3090)0 ***
Ωc(3120)0 ***

Ξ+
cc
*

Ξ++
cc
***
**** 존재는 확실하고, 속성은 적어도 상당히 잘 탐구되어 있다.
*** 존재의 범위는 상당히 확실한 것에서부터 확실한 것까지 다양하지만, 더 이상의 확인은 바람직하다.
및/또는 양자수, 분지분수 등이 잘 결정되지 않는다.
** 존재의 증거는 공평할 뿐이다.
* 존재의 증거가 불충분하다.

참고 항목

참조

  1. ^ H. 뮤어(2003)
  2. ^ K. 카터(2003)
  3. ^ W.M. 야오 외(2006):입자 목록 – Positive Theta
  4. ^ R. Aaij 외 (2015)
  5. ^ Griffiths, David J. (2008), Introduction to Elementary Particles (2nd revised ed.), WILEY-VCH, pp. 181–188, ISBN 978-3-527-40601-2
  6. ^ P.A Zyla 외(2020):입자 요약 표 – 바이런
  7. ^ J.G. 쾨르너 외(1994)
  8. ^ P.A Zyla 외(2020):입자+
    목록 – p
  9. ^ P.A Zyla 외(2020):입자0
    목록 – n
  10. ^ P.A Zyla 외(2020):입자 목록 – λ
  11. ^ P.A Zyla 외(2020):입자 목록 – λ
    c
  12. ^ P.A Zyla 외(2020):입자 목록 – λ
    b
  13. ^ P.A Zyla 외(2020):입자 목록 – σ+
  14. ^ P.A Zyla 외(2020):입자 목록 – σ0
  15. ^ P.A Zyla 외(2020):입자 목록 – σ
  16. ^ a b c P.A Zyla 외(2020):입자 목록 – σ
    c
    (2455)
  17. ^ a b P.A Zyla 외(2020):입자 목록 – σ
    b
  18. ^ P.A Zyla 외(2020):입자 목록 – ξ0
  19. ^ P.A Zyla 외(2020):입자 목록 – ξ
  20. ^ P.A Zyla 외(2020):입자 목록 – ξ+
    c
  21. ^ P.A Zyla 외(2020):입자 목록 – ξ0
    c
  22. ^ P.A Zyla 외(2020):입자 목록 – ξ′+
    c
  23. ^ P.A Zyla 외(2020):입자 목록 – ξ′0
    c
  24. ^ P.A Zyla 외(2020):입자 목록 – ξ++
    cc
  25. ^ a b P.A Zyla 외(2020):입자 목록 – ξ
    b
  26. ^ P.A Zyla 외(2020):입자 목록 – Ω0
    c
  27. ^ P.A Zyla 외(2020):입자 목록 – Ω
    b
  28. ^ J. 베링거 외(2012):입자 목록 – ξ+
    cc
  29. ^ a b c d P.A Zyla 외(2020):입자 목록 – Δ
    (1232)
  30. ^ a b c P.A Zyla 외(2020):입자 목록 – σ
    (1385)
  31. ^ a b c P.A Zyla 외(2020):입자 목록 – σ
    c
    (2520)
  32. ^ a b P.A Zyla 외(2020):입자 목록 – σ
    b
  33. ^ a b P.A Zyla 외(2020):입자 목록 – ξ
    (1530)
  34. ^ a b P.A Zyla 외(2020):입자 목록 – ξ
    c
    (2645)
  35. ^ P.A Zyla 외(2020):입자 목록 – ξ0
    b
    (59455)
  36. ^ P.A Zyla 외(2020):입자 목록 – ξ0
    b
    (59555)
  37. ^ J. 베링거 외(2012):입자 목록 – Ω
  38. ^ J. 베링거 외(2012):입자 목록 – Ω0
    c
    (270)
  39. ^ C. Patrignani et al. (Particle Data Group) (2018). "Baryon Summary Table" (PDF). Chin. Phys. C. 40: 100001. Retrieved 27 September 2018.
  40. ^ Crede, Volker; Roberts, Winston (2013). "Progress Toward Understanding Baryon Resonances". Rep. Prog. Phys. 76 (7): 076301. arXiv:1302.7299. Bibcode:2013RPPh...76g6301C. doi:10.1088/0034-4885/76/7/076301. PMID 23787948.

참고 문헌 목록

추가 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