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타 바리온
Delta baryon구성. |
|
---|---|
통계 정보 | 페르미온 |
상호 작용 | 강, 약, 전자기 및 중력 |
기호. | Δ |
종류들 | 4 |
덩어리 | 1232±2MeV/c2 |
스핀 | 3/2, 5/2, 7/2... |
이상함 | 0 |
매력 | 0 |
밑바닥 | 0 |
톱니스 | 0 |
이소스핀 | 3 /2 |
델타 바리온(또는 δ 바리온, 델타 공명이라고도 함)은 3개의 업 또는 다운 쿼크(u 또는 d 쿼크)로 이루어진 아원자 입자 군으로, 보다 친숙한 양성자와 중성자를 구성하는 동일한 구성 쿼크입니다.
특성.
각각 +2 e, +1 e, 0 e 및 -1 e의 전하를 갖는 δ++
(구성쿼크:uuu), δ+
0
(udd) 및 δ−
(ddd)의 4개의 밀접하게 관련된 δ 바리온이 존재한다.
δ 중입자의 질량은 약 1232 MeV/c이며2, 3의 세 번째 성분인 ± r± 2 ;(\1}{2 {or{}}\;}이며, 이들은 3/2 이상의 고유 스핀(반쪽 단위)을 가져야 한다.반면 일반핵자(양성자 또는 중성자 중 하나를 의미하는 기호 N)는 약 939 MeV/c의2 질량을 가지며 고유 스핀과 아이소스핀은 모두 1/2이다. δ+
(uud)와 δ0
(udd) 입자는 각각 양성자(
N+
, ud)와 중성자(
ddd0
)의 질량이 높다.
그러나++
δ와 δ는−
직접 핵자 유사체가 없다.예를 들어 전하와 질량은 같지만 δ−
(ddd)는 안티프로톤(p
, ud)과 밀접한 관계가 없습니다.
여기서 논의되는 델타 상태는 양성자와 중성자의 가장 낮은 질량의 양자 들뜸일 뿐이다.스핀이 높을수록 더 높은 질량 델타 상태가 나타나며, 모두 일정한 3/2 또는 1/2 Isospin(전하에 따라 다름)을 가지지만 스핀 3/2, 5/2, 7/2, ... 11/2는 µ; 단위로 정의됩니다.이러한 모든 주의 모든 특성에 대한 전체 목록은 Beringer 등(2013)[1]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반입자 델타 상태도 존재하며, 그 반대 전하를 가지고 있으며, 대응하는 고물상들로 구성되어 있다.
검출
이 주들은 1950년대 중반 시카고 대학[2][3] 사이클로트론과 카네기 공과대학[4] 싱크로 사이클로트론에서 수소 표적에 가속된 양의 이온을 사용하여 실험적으로 확립되었다.특이한 +2 전하를 가진 δ의++
존재는 쿼크 모델을 개발하는 데 결정적인 단서가 되었다.
형성 및 붕괴
델타 상태는 광자, 전자, 중성미자 또는 파이온과 같은 에너지-충분한 프로브가 양성자 또는 중성자에 충돌하거나 에너지-충분한 핵자 쌍이 충돌할 때 생성됩니다.
질량이 1 232 MeV에 가까운 모든 δ 바리온은 강한 힘을 통해 핵자(양성자 또는 중성자)와 적절한 전하의 파이온으로 빠르게 붕괴한다.허용되는 최종 충전 상태의 상대적 확률은 각각의 아이소스핀 커플링에 의해 주어진다.δ는+
양성자와 광자로, δ는0
중성자와 광자로 붕괴될 수 있다.
목록.
파티클 이름. | 기호. | 쿼크 내용 | 덩어리 (MeV/c²) | I3 | JP | Q (e) | S | C | B★ | T | 평균 수명 (s) | 일반적으로 까지 썩다. |
---|---|---|---|---|---|---|---|---|---|---|---|---|
델타[1] | δ++ (1232 ) | u u u | 1232±2 | + 3/2 | 3 /2+ | +2 | 0 | 0 | 0 | 0 | (5.63±0.14)×10−24[a] | p+ + π+ |
델타[1] | δ+ (1232 ) | u u d | 1232±2 | +1/2 | 3 /2+ | +1 | 0 | 0 | 0 | 0 | (5.63±0.14)×10−24[a] | θ0 + n, 또는+ § + p0 + |
델타[1] | δ0 (1232 ) | u d d | 1232±2 | −+1/ 2 | 3 /2+ | 0 | 0 | 0 | 0 | 0 | (5.63±0.14)×10−24[a] | θ0 + n, 또는0 § + p− + |
델타[1] | δ− (1232 ) | d d d | 1232±2 | −+ 3 /2 | 3 /2+ | −1 | 0 | 0 | 0 | 0 | (5.63±0.14)×10−24[a] | + + n− 0 |
[a] ^ PDG가 공명폭(Ω)을 보고합니다.대신 { { } { \ 이 표시됩니다.
레퍼런스
- ^ a b c d e Beringer, J.; et al. (Particle Data Group) (2013).
Δ
(1 232) (PDF) (Report). Particle listings. - ^ Anderson, H.L.; Fermi, E.; Long, E.A.; Nagle, D.E. (1 March 1952). "Total cross-sections of positive pions in hydrogen". Physical Review. 85 (5): 936. Bibcode:1952PhRv...85..936A. doi:10.1103/PhysRev.85.936.
- ^ Hahn, T.M.; Snyder, C.W.; Willard, H.B.; Bair, J.K.; Klema, E.D.; Kington, J.D.; Green, F.P. (1 March 1952). "Neutrons and gamma-rays from the proton bombardment of beryllium". Physical Review. 85 (5): 934. Bibcode:1952PhRv...85..934H. doi:10.1103/PhysRev.85.934.
- ^ Ashkin, J.; Blaser, J.P.; Feiner, F.; Stern, M.O. (1 February 1956). "Pion-proton scattering at 150 and 170 Mev". Physical Review. 101 (3): 1149–1158. Bibcode:1956PhRv..101.1149A. doi:10.1103/PhysRev.101.1149. hdl:2027/mdp.39015095214600.
참고 문헌
- Amsler, C.; et al. (Particle Data Group) (2008). "Review of Particle Physics" (PDF). Physics Letters B. 667 (1): 1–6. Bibcode:2008PhLB..667....1A. doi:10.1016/j.physletb.2008.07.018. hdl:1854/LU-685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