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 구연산염

Lithium citrate
리튬 구연산염
Lithiumcitrat V2.svg
이름
기타 이름
트릴리튬 구연산염
트릴리튬 2-hydroxypropane-1,2,3-트리카르복실산염
식별자
3D 모델(JSmol)
체비
켐벨
켐스파이더
드러그뱅크
ECHA InfoCard 100.011.860 Edit this at Wikidata
EC 번호
  • 213-045-8
펍켐 CID
RTECS 번호
  • TZ8616000
유니
  • InChI=1S/C6H8O7.3Li/c7-3(8)1-6(13,5(11)12)2-4(9)10;;;/h13H,1-2H2,(H,7,8)(H,9,10)(H,11,12);;;/q;3*+1/p-3 checkY
    키: WJSIUCDMWSDDCE-UHFFFAOYSA-K checkY
  • InChI=1/C6H8O7.3Li/c7-3(8)1-6(13,5(11)12)2-4(9)10;;;/h13H,1-2H2,(H,7,8)(H,9,10)(H,11,12);;;/q;3*+1/p-3
    키: WJSIUCDMWSDDCE-DFZHHIFOAV
  • [Li+][Li+][Li+]O=C([O-])CC(O)(C([O-])=O)CC(=O)[O-]
특성.
리초3657
어금질량 209.923 g mol−1
외관 무취백색분말
녹는점 105 °C(221 °F, 378 K)에서 분해됨
위험
GHS 라벨 표시:
GHS07: Exclamation mark
경고
H302, H319
P305+P351+P338
플래시 포인트 해당 없음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표준 상태(25°C [77°F], 100 kPa)의 재료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된다.
☒ NVERIFI (?란checkY☒N?
Infobox 참조 자료

리튬 구연산염(LiCHO3657)은 리튬구연산의 화학 화합물로, 매니큐어 상태와 조울증 질환의 정신과 치료에 무드 스태빌라이저로 사용된다.[1][2] 이 소금의 활성 성분인 리튬에 대한 광범위한 약리학이 있다.

리티아 물에는 구연산염 등 다양한 리튬 염류가 함유되어 있다. 약국 소다 분수에 있는 리티아 콜라라고 불리는 코카콜라의 초기 버전은 코카콜라 시럽과 리티아 물을 혼합한 것이었다. 이 청량음료 7Up는 1929년 리튬 구연산 리튬을 함유하고 있어 '비브-라벨 석판 레몬-라임 소다'라는 이름이 붙었다. 그 음료는 숙취 해소에 대한 치료제로 시판된 특허 의약품이었다. 리튬 구연산염은 1948년 7Up에서 제거되었다.[3]

참조

  1. ^ 의약품설명
  2. ^ Wayback Machine에 보관된 의료용 2006-06-15
  3. ^ Gielen, Marcel; Edward R. T. Tiekink (2005). Metallotherapeutic drugs and metal-based diagnostic agents: The use of metals in medicine. John Wiley and Sons. p. 3. ISBN 0-470-864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