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투아니아식 디자인

Lithuanian design

리투아니아식 디자인은 인테리어, 패션, 산업, 그래픽 디자인으로 구성된다. 디자인의 외형은 보통 산업혁명과 관련이 있다. 리투아니아에서는 1918년 국가재건과 카우나스 시의 급속한 성장이 가장 중요한 요소였다. 리투아니아 디자인은 바우하우스, 리투아니아 국가 패턴, 민족학적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리투아니아 디자인의 가장 두드러진 예로는 요나스 프라푸올레니스의 의자, 인터벨럼 시대에 카우나스의 건물 내부, 진공청소기 새터나스가 있다.

산업화 이전 시대. 발트해 문화와 리투아니아의 대공국.

리투아니아산 브로치, 9~12세기

고대와 중세 초기의 청동으로 만들어진 이 보석들을 보면서 가장 오래된 발틱과 리투아니아 예술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고대 리투아니아의 수도인 케르나브에서는 14세기 대장장이와 보석상의 홈스테이가 발견되었다.[1] 이미 13세기에 빌니우스 장인들은 신발만 생산하는 일을 하고 있었다. 다른 유럽 국가 출신의 첫 장인들은 Gediminas 대공의 초청으로 리투아니아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빌니우스의 첫 길드 - 1495년에 골드스미스 길드가 설립되었다.[2]40년대의 16세기에 빌니우스에서는 금공장이 번성하고 있었다.[3] 17-18세기에 빌니우스의 예수회초회장은 금공예품, 목공예품, 목공예품 작업장으로 유명했다.[4] 1737년 화재가 빌니우스 교회의 많은 내부를 파괴한 후 예수회 작업장은 좌석, 통신, 파운딩 등을 생산했다. 리투아니아에서는 콘투시 벨트, 태피스트리 등이 weaved 되었고, 유리 주조 공장도 운영되고 있었다. 수도원에는 의복의 수놓아진 자수가 세워졌다. 17세기에 빌니우스의 장인들은 정교하게 디자인된 시계를 만들기 시작했는데, 가장 유명한 것은 야콥 기르케,[5][6] 요하네스(한스) 클라센,[7] 요한 셰이어, 테오도르 타라소비그였다.[8] 1779년 빌니우스에서 시계제작자 길드가 만들어졌다. 1795년, 빌니우스에서는 38개의 다양한 길드가 운영되고 있었다. 리투아니아의 그랜드 두키스 궁전라드빌로스, 고슈토타이, 사피에가 거물들의 저택은 명품과 미술품의 주요 소비자와 고객이었다. 빌니우스 동전 민트의 주인인 피에트로 플라티나는 스테판 바토리 통치 기간 동안 동전을 디자인했다. Antanas Tyzenhauzas는 리투아니아에서 처음으로 제조를 만든 사람이다. 라이온 출신의 프랑스 명인들은 그의 왕실 견직물 제조를 위한 무늬를 만들었다.

제1공화국. 1918-1940년

3개의 ANBO-41s (1938년경)

리투아니아의 독립을 되찾은 후 건축가, 기술자, 예술가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최고의 학생들은 유럽의 대학에 보내졌다. 돌아온 건축가들은 카우나스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변화시켰고, 부유한 시민들은 현대적인 인테리어로 새로운 건물에서 살기 시작했다. 카우나스 예술학교는 디자인을 교과과정에 포함시켰다. A스메토나, S.우신스카스, J.미키나스가 교수였다. 아트 데코 디자인은 그래픽 디자인, 특히 포스터 디자인에서 압도적이었다. 항공 엔지니어인 Antanas GustaitisANBO 시리즈 비행기를 설계했고 그가 직접 테스트했다. 당시 ANBO 41은 유럽에서 유일하게 나무로 만든 3블레이드 프로펠러를 채용한 항공기였다. 가구 크리에이터 조나스 프라푸올레니스는 리투아니아 국기를 바탕으로 가구를 만들었다. 페트라스 림샤, V. K. 조니나스는 가구 디자이너로도 알려져 있었다.

선택한 작업:

점령기. 1940-1990

글라이더 RAK-12, 1979년
자전거 에렐류카스 (리틀 이글) W-72, 1962
세계에서 가장 작은 글라이더 BrO-18 Boruž(레이디버드), 1975년

소련 점령 후 그 설계에 대한 요구 조건은 대부분 이념적이고 제한적이었다. 현대주의자들의 발명품들 중 일부는 채택되어 실행되었다. 예를 들어 코르뷔지에의 생활용 기계에 대한 아이디어. 철의 장막과 검열에도 불구하고 서구의 사상과 학술지는 리투아니아의 창작자들에게까지 이르렀다. 프로젝타비모 콘스트라비모 비라스(The Office of Design and Construction) 1957년, 1964년 에크스페리멘티니스 메니니니오 콘스트라비모 비라스(The Office of Experimentinis meninio Constravimo bius)가 빌니우스에서 설립되었다. 1961년부터 빌니우스 예술학교에 설립된 디자인학과에서 디자이너들이 준비되었다. 펠릭스 다우칸타스(1915~1995)는 리투아니아에서 디자인 연구의 선구자로 꼽힌다. 그는 빌니우스 예술학교에 프라모네스 가미니오 콘스트라비모 카트라(산업제품 예술건설부)를 설립하고 바우하우스를 기반으로 한 교수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디자인 오브젝트 또한 예술가에 의해 만들어졌다. 조각가 테오도로스 발레아티스가 오사카에서 열리는 세계박람회-70을 위해 생체모형의 벽을 만들었는데, 그 벽은 여전히 미실현 상태로 남아 있었다. 알지만타스 스토슈쿠스는 1968년 런던에서 리투아니아 디자인 전시용 공간 스테인드글라스 프로젝트를 만들었다. 디자인을 창조한 사람들은 서양과 경쟁했다. 1968년 런던 얼스 코트 전시장을 위해 리투아니아 파빌리온의 건축가 겸 디자이너 타다스 바긴스카스에 따르면: "우리는 항상 서양과 경쟁했다 - 우리는 스칸디나비아, 이탈리아, 일본 디자인을 연구하고 있었다. 입주자들은 우리에게 권위가 아니었다. 그리고 가장 즐거운 - 모두가 런던 전시회에서 우리의 방향을 주목했다. (리투아니아 정자의) 전시는 그 맥락에 완벽하게 들어맞았다."

그 시대의 가장 두드러지고 알려진 디자인 작품은 디자이너인 비토타스 디디울리스가 만든 진공청소기 새터나스다. A. 샤피로, 라우샤디스 새터나스의 구면 부분은 리투아니아 작곡가 연합 궁전에서 가벼운 펜던트를 만드는데 사용되었고, 조각가 테오도라스 발레티스는 빌니우스의 식당에 장식벽을 쌓았다.[9]

선택한 작업:

  • 1962년에 진공청소기 새터나스가 만들어졌다. 그것은 빌니우스 전기 용접 공장에서 생산되었다.[10][11]
  • 1979년 글라이더 LAC-12와 실험용 LAC-12E가 만들어졌다[12].
  • 1973년 미니 TV 세트인 쉴레리스는 생산을[13] 시작했다.

제2공화국 1990년 이후

1990년 리투아니아 공화국이 복원된 후 검열이 사라지고 디자인계와의 소통이 다시 정착되었다. 생활 방식과 일상 생활에서의 스타일은 점점 더 중요해졌고, 인테리어는 새롭게 단장되고 변화되었으며, 새로운 패션 스타일이 뒤따랐다. 패션 디자인이 더 중요해졌다. 전자 그래픽 디자인과 같은 새로운 종류의 디자인이 등장했다.

덴마크의 디자인 연구원인 Per Mollerup은 리투아니아 디자인 "Design in Lituania - 동시 우위 보장"의 가능성을 연구했다. 결론 중 하나는 다른 발트해 국가들보다 리투아니아에서 일하는 숙련된 디자이너들이 더 많다는 것이다. 그래픽 디자인의 창조자들은 리투아니아 그래픽 디자인 협회에서 연합했다. 리투아니아 디자인 리뷰 디자인 지수는 매년 발표된다. 디지털 디자인은 그래픽 디자인의 경계를 겹쳐 그림 편집용 소프트웨어와 그 혁신적인 디자인 픽셀메이터가 만들어졌다. 라이스브스 코다스 13(자유법 13호)[14]은 사용자가 가상 환경에서 1월 13일의 소련 침략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한 작업:

  • 의장 KU-DIR-KA
  • 착석 가구 SOSS[16]
  • 노키아 C7[17][18] 설계
  • 스쿠터 비둘기[19]
  • 후오자스 스타트케비치우스의[20] 봄여름 2017 컬렉션
  • 자전거 루비용[21] 전동기
  • 축음기 리드 뮤즈 3C[22]
  • 기타 용암[23]
  • 토나름 리드 3P[24]
  • 에콜로 더 깊이[25]
  • 강반응페리 우페리스[26]
  • 일렉트릭[27][28] 버스 댄서

참고 문헌 목록

  • (리투아니아어로) 카롤리나 야카이츠. 샬토호 카로 카로 카풀로: 리에투비히 현기증 나는라스 론도네 1968 / 냉전의 캡슐: 1968년 런던의 리투아니아 디자인. 라파스, 빌니우스: 2019. ISBN978-609-8198-21-8

외부 링크

참조

  1. ^ Manvydas Vitkûnas. "Kernavės miestas XIII-XIV amþiuje" (PDF). www.llt.lt (in Lithuanian). p. 180. Retrieved 12 August 2018.
  2. ^ Auksė Kaladžinskaitė-Vičkienė. "XVI–XVIII a. Vilniaus amatininkų cechai ir jų altoriai" (PDF). etalpykla.lituanistikadb.lt (in Lithuanian). p. 1. Retrieved 13 May 2018.
  3. ^ "renesansas Lietuvos dailėje". vle.lt (in Lithuanian). Retrieved 29 November 2020.
  4. ^ "Vilniaus buvęs Jėzuitų noviciatas ir Šv. Ignoto bažnyčia". vienuolynai.mch.mii.lt (in Lithuanian). Retrieved 13 May 2018.
  5. ^ "Vilnietis Jokūbas Gierkė († 1666) – garsiausias LDK laikrodininkas". m.ldkistorija.lt (in Lithuanian). Retrieved 22 May 2018.
  6. ^ "Stalinis laikrodis". www.valdovurumai.lt. Retrieved 25 May 2018.
  7. ^ "Valdovų rūmams išeivis padovanojo įspūdingą XVII amžiaus muziejinę vertybę". www.lrytas.lt (in Lithuanian). Retrieved 3 January 2018.
  8. ^ "Table clock. Renaissance. Lithuania Theodor Tarasovig, 17th century (?)". Retrieved 27 April 2020.
  9. ^ Činga, Edvardas. "Lietuviško dizaino ikonos ir etalonai – išskirtiniame aukcione" (in Lithuanian). Retrieved 30 April 2020.
  10. ^ "Dulkių siurblys "Saturnas" su dalimis". www.limis.lt. Retrieved 13 May 2018.
  11. ^ Jakaitė, Karolina (2011). Tekstai apie dizainą: lietuviški ir tarptautiniai kontekstai / Texts on design: Lithuanian and international contexts (PDF). p. 82. ISBN 9786094470264. Retrieved 13 May 2018.
  12. ^ "Sklandytuvai "Lietuva": nuo BK-7 iki LAK-12". www.vgc.lt (in Lithuanian). Retrieved 13 May 2018.
  13. ^ Kristina Vaitkevičienė. "Kur gimė ir augo "Šilelis": Kauno radijo gamyklos "Banga" istorijos fragmentai" (PDF). eltalpykla.vdu.lt (in Lithuanian). Retrieved 3 August 2018.
  14. ^ "Virtualios realybės patirtis "Laisvės kodas 13" atkurs sausio 13-osios įvykius". www.15min.lt (in Lithuanian).
  15. ^ "Paulius Vitkauskas.Rocking chair: KU-DIR-KA Created: 2006 Design studio: Contraforma". lithuanianculture.lt. Retrieved 13 May 2018.
  16. ^ "2007 m. baldų dizaino konkurso [neformate] rezultatai". www.dizainoforumas.lt (in Lithuanian). Retrieved 22 May 2018.
  17. ^ "Naujojo "Nokia C7" dizainą sukūrė lietuvis". www.15min.lt (in Lithuanian). Retrieved 22 May 2018.
  18. ^ "Nokia-C7". www.coroflot.com. Retrieved 22 May 2018.
  19. ^ "Lietuvis Ignas Survila Ženevoje pasauliui pristato paspirtuką "Pigeon"". www.15min.lt (in Lithuanian). Retrieved 13 May 2018.
  20. ^ "Juozas Statkevičius pristatė rafinuotai ironišką kolekciją, įkvėptą tautinio paveldo". www.15min.lt (in Lithuanian). Retrieved 13 May 2018.
  21. ^ "Rubbee". www.rubbee.co.uk. Retrieved 13 May 2018.
  22. ^ "Muse 3C". www.reed.lt. Retrieved 13 May 2018.
  23. ^ "Lava". www.rapolasgrazys.com (in Lithuanian). Retrieved 13 May 2018.
  24. ^ "Reed 3P". www.reed.lt. Retrieved 13 May 2018.
  25. ^ "Echolotas Deeper". www.echolotas-deeper.lt. Retrieved 14 May 2018.
  26. ^ "Pirmoji "Uperio" kelionė per Nerį!". www.vilnius.lt. Retrieved 7 June 2018.
  27. ^ "Dieser Hightech-Bus im Retroschick ist auf Litauens Straßen unterwegs". www.gq-magazin.de (in German). Retrieved 23 May 2019.
  28. ^ "dancer proposes a lighter electric city bus through the use of composite materials". www.designboom.com. Retrieved 23 May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