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투아니아의 소수 민족

Ethnic minorities in Lithuania

리투아니아 정부는 1918년부터 소수 민족을 위한 규정을 만들었다.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존재했던 실질적인 유대인 집단은 홀로코스트에서 거의 없어졌다. 2011년 인구 조사에서는 15.8%의 주민이 소수 민족에 속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1989년 독립 이후 그 비율은 감소했지만 가장 큰 두 집단은 폴란드인과 러시아인이었다. 다른 소수민족으로는 인구조사에 분류되지 않은 사모기티아인과 역사적으로 중요한 라트비아어를 사용하는 쿠르세니에키 등이 있다.

독립 리투아니아(1918–1940)

1918년부터 1924년까지 벨로루시 문제부, 유대 문제부 등 2개 부처가 특별히 소수 민족을 위해 헌신했다.

1922년 5월 12일 리투아니아의 소수민족 보호에 관한 선언이 국제연맹의 주최로 제네바에서 서명되었다. 제1조는 "이 선언의 조항은 리투아니아의 기본법으로 인정되며, 어떠한 법률, 규정 또는 공식 행동도 이 규정과 충돌하거나 간섭할 수 없으며, 현재 또는 미래에 어떠한 법률, 규정 또는 공식 행동도 이를 지배할 수 없다"[1]고 규정했다.

§4 §4 리투아니아 정부가 공식 언어를 제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용 시설은 법원 앞에서 구두로든 서면으로든 언어를 사용하기 위해 리투아니아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리투아니아 시민들에게 주어질 것이다.[1]

제2차 세계 대전(1939–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리투아니아에는 중요한 유대인 공동체가 있었고, 1941년 나치 점령 폴란드에서 유대인이 유입되어 이 인구는 최대 25만 명으로 늘어났다. 그러나 1944년까지 이 인구의 대다수가 살해되거나 추방되거나 강제 수용소로 보내졌다.

소비에트 리투아니아 (1944–1990)

1989년, 국민소수자에 관한 법률이 의결되었고, 리투아니아 공화국 정부를 위한 국적 위원회가 설립되었다.[2] 1999년부터는 국민소수민족과 에미그레스로 개칭되었다.

독립 현대 리투아니아(1990-현재)

1995년 2월 1일 유럽 국가 소수민족 보호를 위한 기본 협약(Council of European's Council for the National Minister Protection)이 체결되어 2000년 3월 23일 비준되었다. 2000년 7월 1일에 시행되었다.[3] 몇몇 다른 국가 법률은 국가 언어법(1995년)과 교육법(1991년, 2003년 개정)과 같은 소수민족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4]

2011년에 실시된 인구조사에 따르면 리투아니아 인구의 약 15.8%가 소수민족으로 구성되었다.[5][6]

민족군 총인구 모든 것과 비교해서
인구, %
합계 3,043,429 100
리투아니아 민족 2,561,314 84.2
폴스 200,317 6.6
러시아인 176,913 5.8
벨라루스인 36,227 1.2
우크라이나인 16,423 0.5
유대인 3,050 0.1
타타르족 2,793 0.09
독일인들. 2,418 0.07
로마 2,115 0.07
라트비아인 2,025 0.06
아르메니아인 1,233 0.04
몰도반스 540 0.01
아제르바이잔어 648 0.02
중국어 500 0.015
게오르기아인 372 0.01
에스토니아인 314 0.01
아프리카어 264 0.01
카라이트 241 0.008
불가리아인 170 0.006
추바시스 164 0.005
그리스인 159 0.005
우즈베크인 157 0.005
카자흐족 144 0.005
오세티아인 119 0.004
핀스 109 0.004
프랑스어 104 0.003
한국인 67 0.002
기타 (2,356) 0.1
에 대한 응답 없음
민족문제.
32,978 1.1

리투아니아 민족 비율은 1989년 79.6%에서 2001년 83.5%로 증가했고, 폴란드인 비율은 7.0%에서 6.7%로, 러시아인은 9.4%에서 6.3%[7]로 줄었다.

2001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샬치닌카이 와 비사기나스 에서(특별한 지위를 누리고 있는) 리투아니아 민족은 소수민족(각각 10%, 15%)이다.[8][9]

사모기티아인

다양한 검열에서 응답자들은 사모기티아 민족성에 대해 선택할 수 있는 선택권이 없다. 이는 법정으로 가기 전에 쟁의된 것으로, 특히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국적을 결정할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조항이 헌법에 위배된다고 간주하는, '사모기티누 소이가'라는 명칭이 붙은, '제마티투 소이가'라는 명칭이 붙었다.[10] 2008년 4월 창설된 사모기티아 신자치주의 정당인 사모기티아당의 창당자인 에기디주스 스카르발리우스에 따르면 사모기티아인은 100만 명에 달할 수 있어 리투아니아 전체 인구의 3분의 1을 대표할 수 있다.[11][12]

쿠르세니에키

1649년 쿠로니아 인구가 밀집한 지역.

오늘날 쿠르시닌카이라고도 알려진 쿠르세니에키는 거의 멸종된 발트족으로 쿠로니아 스핏을 따라 살고 있지만, 1649년 메멜(클라이프다)에서 단치히(그다스크)에 이르는 쿠르시닌카이 정착촌이 있다. 쿠르시닌카이는 몇몇이 아직 살고 있는 쿠로니아 스핏을 제외하고는 결국 독일군에 의해 동화되었다. 쿠르시닌카이는 라트비아러시아 제국으로부터 독립했을 때 제1차 세계 대전 이후까지 라트비아인으로 여겨졌는데, 이는 언어적 주장에 근거한 고려 사항이다. 이것이 나중에 취하될 동프로이센의 쿠로니아 스피트, 메멜, 그리고 다른 영토에 대한 라트비아의 주장에 대한 근거였다.

참고 항목

원천

  1. ^ Jump up to: a b "Declara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minorities in Lithuania" (PDF). League of Nations. 1922. Retrieved 2009-11-15.
  2. ^ Supreme Soviet of the Lithuanian Soviet Socialist Republic (23 November 1989). "Law on Ethnic Minorities". Retrieved 2009-11-15.
  3. ^ "Framework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National Minorities". Council of Europe. 2016-07-09. Retrieved 2016-07-08.
  4. ^ "Lithuania - Cultural minorities, groups and communities". Compendium of Cultural Policies and Trends in Europe, 10th edition. Council of Europe. 2009. Retrieved 2009-11-15.
  5. ^ "Lithuania census 2011" (PDF). Retrieved 2012-10-17.
  6. ^ Statistics Lithuania. "2 lentelė. Gyventojai pagal tautybę" (in Lithuanian). Statistics Lithuania. p. 8. Retrieved 13 January 2019.
  7. ^ "2002 Edition – Country Reports - Lithuania". Recent Demographic Developments in Europe. Council of Europe. 2002. Retrieved 2009-11-15.
  8. ^ "Population by some ethnicities by county and municipality (2001 Census)". Department of Statistics to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Statistics Lithuania),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9, 2007. Retrieved 2009-11-14.
  9. ^ 부드리테, 도빌레, 필린카이트-소티로비치, 빌라나, 리투아니아: 대중의 지지를 받지 않는 진보적인 입법, pp.151-165
  10. ^ IAR (August 2, 2007). "Żmudzini chcą być uznani za naród" (in Polish). Gazeta Wyborcza. Retrieved 2009-11-15.
  11. ^ PAP (April 21, 2008). "Żmudzini chcą być narodem" (in Polish). Gazeta Wyborcz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22, 2012. Retrieved 2009-11-15.
  12. ^ "Żmudzki niedźwiedź się budzi (The Samogitian bear wakes up )" (in Polish). Kurier Wileński (Vilnius Courier). January 2009. Retrieved 2009-11-1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