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틀 레드 리크
Little Red Rooster"붉은 닭" | |
---|---|
![]() | |
싱글 바이 하울린 울프 | |
B측 | "쉐이크 포 미" |
방출된 | 1961년 10월 ( |
녹음된 | 1961년 6월 시카고 |
장르. | 시카고 블루스 |
길이 | 2:25 |
라벨 | 체스 |
작곡가 | 윌리 딕슨 |
프로듀서 |
"리틀 레드 치킨" (또는 "The Red Rucks"는 처음 제목이 붙여진 것처럼)은 레인저와 작곡가 윌리 딕슨에게 인정된 블루스 표준이다.이 곡은 1961년 미국의 블루스 뮤지션 하울린 울프가 시카고 블루스 스타일로 처음 녹음한 곡이다.그의 보컬과 슬라이드 기타 연주가 곡의 핵심 요소다.그것은 델타 블루스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주제는 민속에서 유래되었다.블루스 아티스트인 찰리 패튼과 멤피스 미니의 초기 곡에는 "리틀 레드 치킨"의 음악 선례가 등장한다.
다양한 뮤지션들이 '리틀 레드 치킨'을 해석하고 녹음했다.어떤 이들은 가사에 언급된 동물의 소리를 흉내내기 위해 새로운 단어와 도구를 덧붙인다.미국의 소울 뮤직 가수 샘 쿡이 좀 더 업템포 접근법을 사용하여 이 곡을 각색했고, 1963년 미국 리듬 앤 블루스와 팝 레코드 차트에서 모두 성공적인 싱글이 되었다.동시에 딕슨과 하울프는 미국 포크 블루스 페스티벌과 함께 영국을 순회하며 해외 현지 록 뮤지션들과 함께 시카고 블루스를 대중화하는 데 일조했다.
롤링 스톤즈는 현대적인 블루스 노래를 녹음한 최초의 영국 록 그룹 중 하나이다.1964년, 그들은 녹음의 핵심 플레이어인 오리지널 멤버 브라이언 존스와 함께 "리틀 레드 치킨"을 녹음했다.쿡스보다 원래 편곡에 가까운 그들의 연주는 영국에서 1위 음반이 되었고, 계속해서 영국 차트 1위에 오른 유일한 블루스 곡이다.더 스톤스는 TV와 콘서트에서 자주 이 노래를 공연했고, 이 노래의 라이브 녹음을 여러 번 발표했다.'리틀 레드 리크'는 계속해서 공연되고 녹음되어 윌리 딕슨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 중 하나가 되고 있다.
배경
윌리 딕슨의 "붉은 닭"/"작은 붉은 닭"은 몇몇 초기 블루스 노래의 요소들을 사용한다.[1]이 주제는 수탉이 술집에서의 평화에 기여한다는 20세기 초의 미국 남부의 민간신앙을 반영한다.[2][3]수탉의 이미지는 1920년대와 1930년대의 몇몇 블루스 곡에 나타나는데, 두 곡의 특정한 노래가 전구체로 확인되었다.[3]영향력 있는 델타 블루스 뮤지션 찰리 패튼의 1929년 '팬티 닭 블루스'에는 '닭으로 원하는 것, 그는 '전날' 울지 않을 것이다' '어디서나 개가 짖는 소리를 듣는 내 개를 안다'는 구절이 담겨 있는데, 이는 딕슨의 '전날' '오 개들이 짖기 시작할 정도로 너무 게으르다'[3]와 유사하다.멤피스 미니의 1936년 어쿠스틱 콤보 블루스(If You See My Ruck, 제발 그를 집으로 돌려보내줘)의 가사 일부도 비슷하다.예를 들어, 그녀는 "내 수탉이 보이면 집으로 달려라"고 노래하고 딕슨은 "내 작은 빨간 수탉이 보이면 집으로 운전해 달라"[3]고 노래한다.또한 두 곡 모두 비슷한 멜로디 라인이 발견된다.[3]그녀의 녹음을 위해 멤피스 미니는 수탉의 까마귀를 완전히 흉내낸다.[4]동물 소리를 흉내내는 것은 후에 "작은 붉은 닭"의 여러 녹음의 특징이 되었다.[5][6]
전후 시대에 그리핀 브라더스와 함께한 마르지 데이는 1950년에 업데이트된 점프 블루스 스타일로 "리틀 레드 리크스"라는 제목의 노래를 녹음했다.그것은 작은 콤보 그룹이 연주하는 떠들썩하고 업템포 곡이다.[7]데이의 가사는 "붉은 수탉을 좀 잡았어, 그리고 남자는 어떻게 울 수 있는지...그는 바니야드의 보스야, 그가 가는 곳이라면 어디든"; 딕슨의 노래는 "모든 것을 바니야드에 보관하라, 모든 면에서 당황하라"[8]라는 대사를 사용한다.원래 닷 레코드 싱글은 작사가들을 "그리핀-그리핀"으로 수록하고 있다.[9][a]데이의 노래는 1951년 빌보드 베스트 셀링 리테일 리듬 앤 블루스 레코드 차트에서 5위에 올랐다.[11]
하울린 울프송
델타 블루스의 음악가 찰리 패튼은 하울린의 초기 음악적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울프는 후에 "스푼풀", "스모크스타크 번개", "새들 마이 포니"[12]를 포함한 여러 개의 패튼 노래의 각색을 기록했다.친척들과 초기 친구들은 하울린의 늑대가 1930년대의 "붉은 닭"과 비슷한 노래를 연주했던 것을 기억한다.[13]오랫동안 울프 기타리스트였던 휴버트 섬린의 아내였던 에블린 섬린은 나중에 윌리 딕슨에 의해 편곡되고 공로를 인정받은 곡들 중 몇 곡이 하울린 울프에 의해 이미 개발되었다고 느꼈다.[14][b]
하울린 울프는 1961년 6월 시카고에서 "붉은 닭"을 녹음했다.[16]이 곡은 A의 키에 느린 블루스로 연주된다.딕슨 전기작가 이나바 미쓰토시(石田信義)가 12바 블루스로 지적하고 있지만,[17] 제1절의 변화는 여분의 박자에 의해 달라진다.서정적으로 클래식한 AAB 블루스 패턴을 따르며,[17] 두 개의 반복된 선이 1초 뒤에 이어진다.이 첫 소절은 월터 로즈의 초기 곡인 "The Crowing Tucks"에서 빌려온 "팬티 닭 블루스"의 패튼의 2절을 반향한다.[18]
나는 조금 붉은 수탉이 있는데, 너무 게을러서 전날(2×)을 울 수 없다.
모든 걸 바니야드에 보관하고, 모든 면에서[19] 화가 나
많은 블루스 곡들이 그렇듯 딕슨의 가사는 모호하며 몇 가지 레벨에서 볼 수 있다.[20]그의 시구에 대한 해석은 "블라인드 레몬 제퍼슨의 [1927] '검은 뱀 신음' 이후 가장 노골적인 노래"[21]에서부터 악의 없는 농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2]딕슨은 후기 용어로 표현했지만, "정말 바니야드 곡으로 썼고, 어떤 사람들은 그런 식으로 받아들이기도 [22]해!"라고 덧붙였다.이 가사는 하울린의 울프 특유의 보컬 스타일로 전달되는데, 음악 작가인 빌 자노비츠는 "마스터 가수의 표현과 노트 선택에 대한 관심을 보여 멜로디로부터 최대의 감정과 뉘앙스를 이끌어낸다"[23]고 설명했다.
이 곡의 핵심 요소는 하울린 울프가 연주하는 독특한 슬라이드 기타로, 오랜 반주자인 휴버트 섬린이 전기 기타에 대한 뒷받침을 한다.[23]이 곡은 하울린 울프가 1960년대 초에 녹음한 많은 곡들 중 그의 기타 연주를 포함한 단 두 곡 중 하나이다.[24]야노비츠에[23] 의해 "슬리키"로 묘사되고 음악사학자 테드 지오아에 의해 "슬리"로 묘사된 [25]이 곡은 성대사를 들락날락하며 이 곡의 양식적 기반이다.[23]다른 음악가들로는 피아노의 조니 존스, 더블 베이스의 윌리 딕슨, 드럼의 [16]샘 레이, 기타의 지미 로저스가 있다.[23]
같은 회기 동안 녹음된 "Shake for Me"로 뒷받침된 "붉은 닭"은 1961년 10월 체스 레코드에서 발행되었다.[26]그의 가장 잘 알려진 곡도, 그의 다른 곡들도 음반 차트에 진입하지 못했다.[27][28]둘 다 그의 호평 받은 1962년 앨범 《Howlin' Wolf》에 수록되었는데, 이 앨범은 흔히 'Rockin' Chair 앨범이라고 불린다."붉은 닭"은 또한 하울린 늑대를 포함한 많은 하울린 울프 편찬에도 등장한다. 체스 박스와 하울린 울프: 그의 최고 – 체스 50주년 기념 컬렉션.[23]
후에 체스는 1971년 앨범 The London Howlin' Wolf Sessions의 "The Red Rucks"와 에릭 클랩튼, 스티브 윈우드, 빌 와이먼, 찰리 왓츠와 함께 하울린 울프에게 "The Red Rucks"를 녹음하도록 주선했다.녹음 초반에는 하울린 울프가 곡의 타이밍을 설명하려고 시도하는 소리가 들리고 있는데, 그 이유는 나중에 와이먼이 설명했듯이 "우리는 약간 거꾸로 연주하고 있었다"[29]고 했기 때문이다.마지막으로 클랩튼(남들이 동참)은 기타로 연주하라고 격려해 "네가 하는 일이 보이면 나도 따라갈 수 있다"[30]고 했다.Wyman에 따르면, "체스인들은 그것을 바로잡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어쨌든 오래된 '뒤로' 테이크를 사용하게 되었다"[29]고 한다.
샘 쿡 연출
1963년 2월 23일 미국의 소울 가수 샘 쿡이 윌리 딕슨의 노래에 대해 "리틀 레드 닭"이라고 해석하면서 자신의 해석을 녹음했다.[31]이 곡은 쿡의 동생 L.C.에게 처음 제안된 곡으로, 당시 어떤 신소재를 녹음하고 있었다.그러나 L.C.는 이 노래가 자신에게 적합하지 않다고 느꼈다."나는 블루스 가수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래서 샘은 '그럼, 그때 할 거야'라고 말했다."라고 L.C가 회상했다.[32]샘 쿡은 Howlin' Wolf's Gutbucket 접근법을 포기하기로 선택했고 음악 작가 찰스 킬이 "좀 더 느긋하고 존경할 만한 것"이라고 묘사하는 협정을 고안했다.[33]딕슨의 가사는 쿡의 명쾌한 발성 스타일로 전달되지만, 다음과 같은 추가 구절이 곁들여져 있다.[34][c]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그는 모든 암탉을 데리고 있고, 그들끼리 싸운다.
모든 암탉을 지키며 그들끼리 싸운다.
그는 바니야드에 암탉이 없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다른 사람을 위해 알을 낳는다.
쿡의 음악 편곡은 전형적인 12바 블루스 구조를 따르고 하울린의 울프보다 빠른 템포로 공연된다.A의 키에 12/8회, 중간 블루스(분당 92박자)로 표기되어 있다.[35]이 녹음은 로스앤젤레스에서 소규모 세션 음악가들과 함께 이루어졌다.어린 빌리 프레스턴은 '장기 발성'이나 오르간 라인을 이용해 수탉이 우는 소리를 흉내내고 가사에 따라 개들이 짖고 사냥개를 사냥한다.[5]또 뒤지지 않는 쿡은 피아노의[36] 레이 존슨, 드럼의 할 블레인(Barney Kesel)도 기타리스트로 거론됐다.[23]캐시박스는 이를 "샘과 르네 홀이 이끄는 (조직이 있는) 악기 연주자들이 매력적인 스타일로 그것들을 섞는 것에 대한 전염성 블루스 우화"라고 설명했다.[37]
이 곡은 빌보드 핫 R&B 싱글 차트 7위에 올랐다.그것은 또한 크로스오버 히트였고 더 넓은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11위에 올랐다.[38]빌보드 200 앨범 차트에서 62위에 오른 쿡의 1963년 앨범 'Night Beat'에 'Little Red Rucks'가 수록되어 있다.[39]2003년에 발매된 《Picture of a Legend: 1951–1964》를 포함한 몇몇 쿡 컴파일 앨범에도 등장한다.[40]
롤링 스톤즈 버전
"작은 붉은 닭" | ||||
---|---|---|---|---|
![]() 이태리 싱글 그림 슬리브 | ||||
싱글 바이 더 롤링 스톤즈 | ||||
B측 | "Off the Hook" | |||
방출된 |
| |||
녹음된 |
| |||
스튜디오 |
| |||
장르. | 블루스 | |||
길이 | 3:05 | |||
라벨 | 데카 | |||
작곡가 | 윌리 딕슨 | |||
프로듀서 | 앤드루 루그 올덤 | |||
롤링 스톤스 영국 싱글 연대기 | ||||
|
배경
하울린의 울프, 머디 워터스 등 체스 레코드 시카고 아티스트들은 롤링스톤스에 영향을 미쳤는데, 이 밴드가 머디 워터스 곡조에서 이름을 따와 활동 초창기 블루스 곡의 레퍼토리에서 연주했다.1962년 믹 재거, 브라이언 존스, 키스 리차드 등이 단체로 녹음을 하기 전인 제1회 미국 포크 블루스 페스티벌에 참가했는데, 이 페스티벌에는 하울린 울프가 출연했다.[21]또 다른 페스티발 선수 윌리 딕슨은 나중에 "롤링스톤스가 체스 스튜디오에 왔을 때, 그들은 이미 나를 만나 내 노래를 불렀고, 특히 '리틀 레드 치킨'[41]을 불렀다"고 회상했다.딕슨과 하울린 울프가 런던에 있을 때, 그들은 몇몇 지역의 록 음악가들을 만났다.얼리 스톤스의 조르지오 고멜스키 감독은 그러한 만남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하울린 울프, 소니 보이[윌리엄슨 2세], 윌리 딕슨 세 사람이 이 소파에 앉아 있었다...윌리는 그냥 노래하고 의자 등을 두드리고 있었고 소니보이는 하모니카를 연주하고 그들은 새로운 노래를 하곤 했다.어느 정도, 그래서 사람들은 그 노래들을 알고 나중에 녹음한 것이다.나는 "300파운드의 기쁨", "리틀 레드 치킨", "유 쉐이크 미"가 그 당시 윌리에게 전해진 노래였던 것을 기억한다.지미 페이지는 야드버드, 브라이언 존스 등 자주 왔다.[41]
딕슨은 "런던에 있을 때 테이프를 많이 남겼다"고 덧붙였다.나는 그들에게 가서 블루스 곡을 만들고 싶은 사람이라면 누구든 말했다.그렇게 해서 롤링스톤과 야드버드는 노래를 얻게 되었다."[41]스톤 전기 작가 숀 이건은 "여러 면에서 이것은 브라이언 존스의 기록이다.그는 항상 밴드에서 가장 큰 블루스 퓨리스트였다.[1]
비록 그들은 이미 체스 곡들을 여러 곡 녹음했지만 베이시스트 빌 와이먼에 따르면 "리틀 레드 치킨"은 "느리고 강렬한 블루스 곡"이었다.[앤드루 루그 올덤 프로듀서가 주장한 것은] 우리의 새로운 명성에 대해 전혀 비논리적이고 잘못된 것이다.그 템포는 그 트랙을 사실상 변화시킬 수 없게 만들었다."[42]재거는 이렇게 평했다.
우리가 "Little Red Tucks"를 녹음한 이유는 우리가 대중들에게 블루스를 주고 싶어서가 아니다.우리는 블루스에 대해 계속 이야기해왔기 때문에, 우리는 이제 대화를 멈추고 그것에 대해 뭔가를 해야 할 때라고 생각했다.저희가 그 노래를 좋아해서 발표했었죠.우리는 녹음이 진행되는 한 블루스 킥을 하지 않는다.다음 기록은 다른 모든 기록들이 그랬던 것처럼 완전히 달라질 것이다.[43]
구성 및 기록
와이먼은 그들의 연기에 대한 초기 비판에 주목했지만,[43] 자노비츠는 그것을 "원문의 상당히 충실한 버전"[23]이라고 묘사했다.G의 키에 적당히 느린 (74 bpm) 블루스로 공연된다.[44]올뮤직 리뷰어 매튜 그린월드는 그들의 편곡을 I-IV-V 12바 블루스 진행으로 묘사하지만, 그들은 때때로 변화를 변화시키지만, 하울린 울프와 같은 방식은 아니다.[45]조거는 원작의 가사를 사용하지만 중요한 변화를 만든다. "나는 빨간 수탉이 조금 있다" 대신 "나는 빨간 수탉이다"를 노래한다. 비록 뒷 구절이 "내 빨간 수탉이 보인다면"으로 되돌아간다.[46]계기적으로 와이먼은 일반적으로 딕슨의 베이스 라인을 따른다.[23]찰리 왓츠는 나중에 자신의 드럼 부분이 할 블레인([47]Hal Blaine)이 연주한 샘 쿡(Sam Cooke)의 버전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인정했다.리차드는 리듬 기타 파트를 추가했다; 이간에 따르면, "어쿠스틱 기타와 전기 슬라이드의 대칭으로 그들이 이전에 시도했던 어떤 블루스보다 더 풍부하고 따뜻한 것을 만들 수 있다"[1]고 한다.
하지만, 보통 선발되는 것은 존스의 공헌이다.이간은 "가장 두드러진 특징인 케이잉 병목현상과 마무리 하모니카를 모두 통해 기록을 만드는 것이 그의 [존스의] 연주"라고 쓰고 있다.[1][d]전기작가 스티븐 데이비스는 "이것은 그의 [존스의] 걸작이었고, 그의 영감을 받은 기타가 사냥개처럼 울부짖고, 개처럼 짖고, 닭처럼 울부짖고 있었다"[6]고 덧붙였다.Wyman은 "나는 '루스터'가 브라이언 존스에게 그의 최고의 시간 중 하나를 제공했다고 믿는다"[43]고 썼다.
두 개의 다른 날짜와 녹음 장소가 주어진다.Wyman은 이 곡이 1964년 9월 2일 런던의 Regent Sound에서 녹음된 [48]반면 1989년 롤링 스톤 박스의 세션 정보는 Singles Collection을 설정했다고 회상했다. 런던 연도는 "1964년 11월, 시카고 체스 스튜디오"[49]를 선정한다.전기 작가 마시모 보난노는 "이 소년들은...에 대한 작업을 재개하기 위해 [1964년] 9월 2일 리젠트 사운드 스튜디오에 들어갔다.'작은 붉은 닭'...[그리고 나중에 1964년 11월 8일 체스에서] 몇몇 확인되지 않은 소식통[설명]도 소년들이 다음 영국 싱글 앨범 '리틀 레드 닭'에 마지막 손질을 했다."[50]데이비스에 따르면, 존스는 그 트랙이 자신 없이 녹음된 후 나중에 오버듀를 기록하도록 남겨졌다.[51]
차트 및 릴리스
1964년 11월 13일 금요일에 발매된 [43]'리틀 레드 리크스'는 1964년 12월 5일 영국 싱글 차트 1위에 올라 1주일 동안 머물렀다.[52]블루스 곡이 영국 팝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한 것은 현재까지 유일하다.[43]올뮤직 작가 매튜 그린월드에 따르면, "리틀 레드 치킨"은 브라이언 존스가 가장 좋아하는 스톤즈 싱글이었다.[45]와이먼은 "블루스 음악을 차트 1위에 올려놓겠다는 존스의 소중한 야망을 실현했고, 팝의 명성을 얻기 위해 완전히 '매진' 것에 대한 죄책감이 줄어들었다는 것을 의미했다"고 말했다.[43]이 곡은 1960년대에 싱글로 발매된 이 밴드의 마지막 커버곡이었다.[e]
In 1964 and 1965, the Rolling Stones performed "Little Red Rooster" several times on television, including the British programs Ready Steady Go! (November 20, 1964) and Thank Your Lucky Stars (December 5, 1964); and the American The Ed Sullivan Show (May 2, 1965), Shindig! (May 20, 1965), and Shivaree (May 1965).[54][55][21]신디그에서, 재거와 존스는 "리틀 레드 닭"을 녹음한 첫 번째 작품이자 그들의 첫 영향 중 하나로 하울린의 늑대를 소개했다.[56]종종 Stones가 Howlin' Wolf (또는 Muddy Waters)도 공연해야 출연에 동의할 것이라고 보도했지만,[57][58] Keith Richards는 후에 이 쇼의 프로듀서인 Jack Good가 프라임 타임 네트워크 텔레비전에서 원조 블루스 아티스트를 선보이려는 생각에 동참했다고 설명했다.[47]1965년 그룹 콘서트 때는 평소 관객들에게 연설하지 않던 찰리 왓츠를 드럼 키트 뒤에서 무대 앞으로 데려와 재거의 마이크에서 '리틀 레드 리치'를 소개하는 일이 잦았다.[59]와이먼은 특히 시드니(1965년 1월 농업관), 파리(1965년 4월 올림픽), 캘리포니아 롱비치(1965년 5월 16일 롱비치 오디토리움) 등에서 이 곡에 대한 뜨거운 반응을 떠올렸다.[60]
1965년 2월 발매된 세 번째 미국 앨범 《The Rolling Stones, Now!》에 수록된 "Little Red Rucks"가 수록되어 있다.[45]이 앨범은 영국판 빅히트(High Traise and Green Grass), 싱글 컬렉션(Singles Collection: 런던의 해, 롤드 골드: 롤링 스톤스의 최고봉, 그리고 GRRR!라이브 버전은 Love You Live와 Flashpoint(하울린의 1971년 리메이크에 기여한 에릭 클랩튼과 함께 슬라이드 기타로)에 등장한다.[45]
미국 싱글 릴리즈 없음
이후 빌 와이먼은 자신의 저서 '스톤 나홀로'에서 "1964년 12월 18일 '작은 붉은 닭'이 '성적인 함축' 때문에 음반 발매가 금지되었다는 소식이 미국에서 들어왔다"고 썼다.[61]이것은 미국 라디오 방송국에 의해 또는 미국 라디오 방송국에서 금지되었다는 것을 포함하기 위해 반복되고 장식되었다. 그러나 거의 같은 가사를 가진 샘 쿡의 버전은 1년 전에 40대 크로스오버 팝 히트곡이었다.또한, 1964년[62] 12월 9일부터 1965년 2월 5일까지 로스앤젤레스 라디오 방송국 KRLA(당시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시장에서 상위 40위 라디오 방송국 1위)의 재생목록에 롤링스톤즈의 "Little Red Rucks"가 포함되었다.[63]라디오 방송인 밥 유방크스는 1965년 1월 1일 주간 레코드 리뷰 칼럼에서 스톤즈의 '리틀 레드 치킨'은 여전히 KRLA의 전유물이라고 썼다.하지만 초조해 하지 마. 이 나라에서 개봉될지도 모르니까."[64]
롤링스톤즈의 첫 영국 앨범에 수록된 '모나(I Need You Baby)'도 다음 싱글로 방송되어 검토되고 있었지만,[65] 같은 기간 미국 차트에서 '시간은 내 편이다', '하트 오브 스톤', '마지막 시간'으로 '리틀 레드 리크'나 '모나' 모두 싱글로 발매되지 않았다.하지만, 그들은 롤링스톤즈, 나우!에 포함되었다. (대조적으로, 이 기간 동안 영국에서 싱글로 발매된 것은 "Little Red Rucks"와 "The Last Time"뿐이다.)비록 그것이 일주일 동안 영국 차트 1위에 올랐지만, 후에 재거는 "나는 여전히 '리틀 레드 치킨'을 파지만, 그것은 팔리지 않았다"[1]고 말했다.이건은 이 음반 판매량이 이전 스톤스의 싱글 판매량에 미치지 못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1]
차트 | 피크 |
---|---|
벨기에(Ultratop 50 Flanders)[66] | 20 |
독일(독일 공식 차트)[67] | 14 |
아일랜드(IRMA)[68] | 4 |
네덜란드(싱글 탑 100)[69] | 4 |
노르웨이(VG-lista)[70] | 6 |
영국(OCC)[52] | 1 |
인식과 영향
하울린의 울프 원작 '붉은 닭'은 로큰롤 명예의 전당이 선정한 '로큰롤을 형상화한 500곡'에 포함돼 있다.[71]블루스 스탠다드일 뿐 아니라,[72] 야노비츠는 "리틀 레드 치킨"을 "수많은 번 녹음된 고전적인 노래, 대부분의 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클래식 록 연기의 전마"라고 부른다.[23]1993년, 예수와 메리 체인에 의한 버전은 속도 EP에 포함되었다.팀 센드라(Tim Sendra)의 올뮤직 리뷰는 "소음과 위협으로 넘쳐나는 하울린 울프 고전의 흉포한 커버"라고 평했다.[73]
메모들
각주
- ^ 그리핀 브라더스는 지미와 어니스트 "버디"로 확인되며, BMI는 작사가들을 에드워드 E. 그리핀과 제임스 그리핀으로 나열하고 있다.[10]마르지 데이는 케이 그리핀이 데이 자신의 도움을 받아 쓴 것이라고 주장해왔다.
- ^ 윌리 딕슨은 "스푼풀"로 작가를 인정받았고, 하울린 울프(가명)는 작가로 인정받았다.체스터 버넷)은 '스모키스타크 번개'와 '새들 마이 포니'[15]의 작곡가로 이름을 올렸다.
- ^ 쿡의 노래는 "인간의 성에 관한 유머러스한 이야기"로 묘사되어 왔다.1995년 Volumes 1–6, Dolls & Sense 매거진.
- ^ 믹 재거는 때때로 하모니카 부분의[45] 공을 인정받으며 텔레비전 출연에서 악기에 마임을 걸곤 했다.[1]
- ^ 이후 1960년대에 발매된 싱글은 빌 와이먼이 작곡한 곡 1곡, 앤드류 루그 올덤이 작곡한 곡 1곡, 그리고 '난커 펠지'라는 가명을 사용한 그룹 작곡 2곡을 제외하고는 믹 재거와 키스 리차드가 작곡했다.[53]
인용구
- ^ a b c d e f g Egan 2013, eBook.
- ^ a b 2006년 탐코 페이지 822.
- ^ a b c d e 이나바 2011, 221페이지.
- ^ 캐롤 2005, 93페이지.
- ^ a b Bush, John. "Sam Cooke: Night Beat – Review". AllMusic. Retrieved February 14, 2014.
- ^ a b 데이비스 2001, 페이지 115.
- ^ 빌보드 1950, 페이지 25.
- ^ 할 레너드 1995, 페이지 117.
- ^ "Little Red Rooster" (Single label). Margie Day with Griffin Brothers Orchestra. Dot Records. 1950. OCLC 42851699. 1019-A.
{{cite AV media notes}}
: CS1 maint: 인용 AV 매체 (노트) (링크) - ^ "Little Red Rooster (Legal Title) – BMI Work #882665". BM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17, 2014. Retrieved February 17, 2014.
- ^ 휘트번 1988 페이지 613.
- ^ Segrest & Hoffman 2004, 페이지 19.
- ^ Segrest & Hoffman 2004, 페이지 180.
- ^ Segrest & Hoffman 2004, 페이지 181.
- ^ 팬코트, 모리스 & 슈먼 1991 페이지 28-29.
- ^ a b 팬코트, 모리스 & 셔먼 1991, 페이지 29.
- ^ a b 이나바 2011, 페이지 220.
- ^ "Walter Rhodes – Biography". AllMusic. Retrieved March 2, 2021.
- ^ Howlin' Wolf (1961). "The Red Rooster" (Song recording). Chess Records. Event occurs at 0:12. 1804.
- ^ 이나바 2011, p. ix.
- ^ a b c 노먼 2012, eBook.
- ^ 트래거 1997, 페이지 247–248.
- ^ a b c d e f g h i j Janovitz, Bill. "Howlin' Wolf: 'The Red Rooster' – Review". AllMusic. Retrieved September 21, 2010.
- ^ 이나바 2011, 페이지 212.
- ^ 지오아 2008, 페이지 299.
- ^ 빌보드 1961 페이지 42.
- ^ O'Neal, Jim (1980). "1980 Blues Hall of Fame Inductees: Howlin' Wolf". The Blues Found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8, 2015. Retrieved February 16, 2014.
- ^ 휘트번 1988 페이지 198.
- ^ a b 2013년 포나탈, 페이지 138.
- ^ Clapton, Eric (1971). "The Red Rooster" (London Sessions w/false start and dialog) (Song recording). Chess Records. Event occurs at 0:44. CHD3-9332.
- ^ Sam Cooke: Greatest Hits (Album notes). Sam Cooke. RCA Records. 1998. p. 7. 07863 67605-2.
{{cite AV media notes}}
: CS1 maint: 인용 AV 매체 (노트) (링크) - ^ 구랄닉 2005, eBook.
- ^ Keil 1992 페이지 47. 47.
- ^ Sam Cooke (1963). "Little Red Rooster" (Song recording). RCA Victor Records. Event occurs at 1:12. 47-8247.
- ^ "Little Red Rooster by Sam Cooke". MusicNotes.com. Alfred Publishing. November 3, 2008. Retrieved February 15, 2014.
- ^ 2007년 123페이지.
- ^ "CashBox Record Reviews" (PDF). Cash Box. October 19, 1963. p. 12. Retrieved January 12, 2022.
- ^ 휘트번 1988, 페이지 101.
- ^ "Sam Cooke: Chart History – Billboard 200". Billboard.com. Retrieved July 18, 2020.
- ^ "Sam Cooke: 'Little Red Rooster' — Appears On". AllMusic. Retrieved April 29, 2014.
- ^ a b c 딕슨 & 스노든 1989, 페이지 134–135.
- ^ 와이먼 1991, 페이지 307, 337.
- ^ a b c d e f 와이먼 1991, 페이지 337.
- ^ "Little Red Rooster by the Rolling Stones". MusicNotes.com. Alfred Publishing. November 24, 2008. Retrieved February 15, 2014.
- ^ a b c d e Greenwald, Matthew. "The Rolling Stones: 'Little Red Rooster' – Review". AllMusic. Retrieved December 27, 2013.
- ^ 에더 1989, 페이지 19.
- ^ a b 롤링 스톤즈 2003, 페이지 91.
- ^ 와이먼 1991, 페이지 307.
- ^ 에더 1989, 페이지 70.
- ^ 본안로2013, eBook.
- ^ 데이비스 2001, 페이지 106.
- ^ a b "The Rolling Stones: Singles – 'Little Red Rooster'". Officialcharts.com. Retrieved February 8, 2022.
- ^ 에더 1989년 16-59페이지.
- ^ 데이비스 2001, 페이지 116.
- ^ 와이먼 1991, 페이지 341, 376, 384–385.
- ^ Good, Jack (Producer) (May 20, 1965). Shindig! interview with Mick Jagger and Brian Jones (Television episode). Hollywood, California: ABC. Event occurs at 0:46.
- ^ Segrest & Hoffman 2004, 222페이지.
- ^ 코다 1996 페이지 123.
- ^ 와이먼 1991, 페이지 353, 361, 382–383.
- ^ 와이먼 1991, 페이지 353, 371, 382–383.
- ^ 와이먼 1991 페이지 344.
- ^ "Top Ten Up and Comers". KRLA Beat. December 9, 1964. p. 1.
- ^ "Top Ten Up and Comers". KRLA Beat. February 5, 1965. p. 1.
- ^ Eubanks 1965a, 페이지 4.
- ^ Eubanks 1965b, 페이지 3.
- ^ "롤링 스톤즈 – 작은 붉은 닭" (네덜란드어).울트라탑 50.2016년 6월 17일 회수
- ^ "롤링 스톤즈 – 작은 붉은 닭" (독일어로)GfK 엔터테인먼트 차트.2016년 6월 17일 회수
- ^ "아일랜드 차트 – 검색 결과 – 리틀 레드 닭"아일랜드 싱글 차트.2016년 6월 18일 회수
- ^ "롤링 스톤즈 – 작은 붉은 닭" (네덜란드어).싱글 탑 100.2016년 6월 17일 회수
- ^ "The Rolling Stones: Sanger – 'Little Red Rooster'". Vglista.no (in Norwegian). Retrieved February 8, 2022.
- ^ "500 Songs That Shaped Rock and Roll (T-V): 'The Red Rooster' – Howlin' Wolf". Rockhall.com. 199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9, 2007. Retrieved August 21, 2011.
- ^ 허즈축 1992, 페이지 467.
- ^ Sendra, Tim. "The Jesus and Mary Chain: Sound of Speed EP – Review". AllMusic. Retrieved May 16, 2021.
참조
- "Reviews of New Singles". Billboard. Vol. 73, no. 41. October 16, 1961. ISSN 0006-2510.
- "Margie Day – Record Review". Billboard. Vol. 62, no. 51. December 23, 1950. ISSN 0006-2510.
- Bonanno, Massimo (2013). The Rolling Stones: The First 50 Years. LA CASE Books. ISBN 978-8897526889.
- Carroll, Jeffrey (2005). When Your Way Gets Dark: A Rhetoric of the Blues. Parlor Press. ISBN 978-1932559385.
- Davis, Stephen (2001). Old Gods Almost Dead: The 40 Year Odyssey of the Rolling Stones. New York City: Doubleday Books. ISBN 978-0767909563.
- Dixon, Willie; Snowden, Don (1989). I Am the Blues. Boston, Massachusetts: Da Capo Press. ISBN 0-306-80415-8.
- Eder, Bruce (1989). Singles Collection: The London Years (Box set booklet). The Rolling Stones. New York City: ABKCO Records. 1218-2.
- Egan, Sean (2006). The Rough Guide to the Rolling Stones. London: Rough Guides. ISBN 978-1-84353-719-9.
- Egan, Sean (2013). The Mammoth Book of the Rolling Stones. Philadelphia, Pennsylvania: Running Press. ISBN 978-0762448142.
- Eubanks, Bob (January 1, 1965a). "Record Review". KRLA Beat.
- Eubanks, Bob (February 22, 1965b). "Record Review". KRLA Beat.
- Fancourt, Les; Morris, Chris; Shurman, Dick (1991). Howlin' Wolf: The Chess Box (Box set booklet). Howlin' Wolf. Universal City, California: MCA Records/Chess Records. CHD3-9332.
- Fornatale, Peter (2013). 50 Licks: Myths and Stories from Half a Century of the Rolling Stones. Bloomsbury USA. ISBN 978-1608199211.
- Gioia, Ted (2008). Delta Blues (Norton Paperback 2009 ed.). New York City: W. W. Norton. ISBN 978-0-393-33750-1.
- Gulla, Bob (2007). Icons of R&B and Soul: An Encyclopedia of the Artists Who Revolutionized Rhythm. Santa Barbara, California: Greenwood. ISBN 978-0313340451.
- Guralnick, Peter (2005). Dream Boogie: The Triumph of Sam Cooke. New York City: Little, Brown. ISBN 978-0316377942.
- "Little Red Rooster". The Blues. Milwaukee, Wisconsin: Hal Leonard. 1995. ISBN 0-79355-259-1.
- Herzhaft, Gerard (1992). "Red Rooster". Encyclopedia of the Blues. Fayetteville, Arkansas: University of Arkansas Press. ISBN 1-55728-252-8.
- Inaba, Mitsutoshi (2011). Willie Dixon: Preacher of the Blues. Lanham, Maryland: Scarecrow Press. ISBN 978-0810869936.
- Keil, Charles (1992). Urban Blue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429601.
- Koda, Cub (1996). "Howlin' Wolf". In Erlewine, Michael (ed.). All Music Guide to the Blues. San Francisco: Miller Freeman Books. ISBN 0-87930-424-3.
- Norman, Philip (2012). Mick Jagger. New York City: HarperCollins. ISBN 978-0385669061.
- Palmer, Robert (1982). Deep Blues. New York City: Penguin Books. ISBN 0-14006-223-8.
- The Rolling Stones (2003). According to the Rolling Stones. San Francisco: Chronicle Books. ISBN 978-0811840606.
- Segrest, James; Hoffman, Mark (2004). Moanin' at Midnight: The Life and Times of Howlin' Wolf. New York City: Pantheon Books. ISBN 0-375-42246-3.
- Tomko, Gene (2006). "The Red Rooster". In Komara, Edward (ed.). Encyclopedia of the Blues. New York City: Routledge. ISBN 978-0-415-92699-7.
- Trager, Oliver (1997). The American Book of the Dead. New York City: Fireside Publishing. ISBN 978-0-684-81402-5.
- Wald, Elijah (2004). Escaping the Delta: Robert Johnson and the Invention of the Blues (1st. ed.). New York City: HarperCollins. ISBN 978-0060524272.
- Whitburn, Joel (1988). Top R&B Singles 1942–1988. Menomonee Falls, Wisconsin: Record Research. ISBN 0-89820-068-7.
- Wyman, Bill (1991). Stone Alone: The Story of a Rock 'n' Roll Band. New York City: Penguin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