룽싱 사원
Longxing Temple룽싱 사원 | |
---|---|
隆兴寺 | |
![]() 룽싱 사원의 마니 홀 | |
종교 | |
소속 | 불교 |
상태 | 박물관 |
위치 | |
위치 | 허베이성 정딩시 |
나라 | ![]() |
지리 좌표 | 38°8′38.91″N 114°34′33.86″E / 38.1441417°N 114.5760722°E좌표: 38°8′38.91″N 114°34′33.86″E / 38.1441417°N 114.5760722°E/ |
건축 | |
완료된 | AD1052년 송나라 |
룽싱 수도원 또는 룽싱사원(간편 중국어: 隆兴寺; 전통 중국어: 隆興寺; 핀인: 룽싱성 스)은 중국 허베이 성 정딩 시에 위치한 고대 불교 수도원으로, 지방 수도 시자좡에서 북쪽으로 약 15km(9.3mi) 정도 떨어져 있다. 그것은 "베이징 남부의 최고의 사원"[1]으로 일컬어져 왔다.
역사
이 수도원은 서기 586년 수나라 때 처음 지어졌다. 원래 이름은 룽캉 수도원(간체 중국어: 龙藏寺; 전통 중국어: 龍藏寺; 핀인: ócá)이었다. 수도원을 배경으로 한 가장 오래된 기석 중 하나인 '롱캉시비'(간단한 중국어: 龙藏寺碑; 전통 중국어: 龍藏寺碑; 핀인: ócng:)는 수도원이 창건된 해부터 유래한다. 그것의 대부분은 송나라 때 재건되었다.[2] 오늘날, 룽싱 사원은 박물관으로 일반에 공개된다.
조경
일반적인 패턴을 따르며, 수도원 단지는 중심축과 함께 일련의 건물들과 초점들이 배열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첫 번째 건물은 사천왕전이다. 축의 반대쪽 끝에는 대자비탑(중국어: 大悲閣; pinyin: 송나라 초기의 관인 21.3m(70ft)의 청동상이 모셔져 있는 33m(108ft) 높이의 목조건물 '다브지 게'이다.[2] 복도 안쪽에는 계단을 통해 동상을 위에서 아래로 볼 수 있다.
다른 유명한 수도원 예술품들로는 굴에 앉아 있는 관니의 화려한 목각과 연꽃좌에 앉아 있는 불상들이 있다.
절에 있는 송나라의 12세기 목조 건축의 독특한 조각은 20세기에 복원된 주안룬짱 정자다. 그 정자에는 성경과 불경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회전식 책장이 있다. 그것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회전 저장고다.[3]
건축
롱싱 사원의 수도원 전체가 남쪽을 향해 문이 있다. 남쪽에서 북으로 가는 선명한 축이 있고 룽싱 사원의 모든 건물들이 거기에 정렬되어 있다.[4]
사천왕전
사천왕전(중국어: 天王殿, pinyin: 톈완다이안)은 룽싱사 축을 따라 최초의 건물이다.[5] 또한 롱싱사원 전체 수도원의 주 출입구 역할을 한다.[5] 기록된 바와 같이, 이 홀은 송나라 초기(AD 982년에서 AD 988년 사이)에 지어졌다.[5]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복원되었고 그 중 일부가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완리 37년, 명나라(AD 1609년), 강시 34년, 청나라(AD 1695년), 청나라(AD 1702년) 41년에 일어난 일이다.[4] 청나라 45년(AD 1780년)에 복원공사를 통해 지금의 남향으로 만들고 다른 주요 홀과 일치하도록 홀을 기울였다. 전체적인 구조 스타일은 모든 복원에도 불구하고 대략 유지되었다.[4]
사천왕전은 길이 23.28m, 폭 9.62m로 양쪽에 문이 길게 달려 남북을 향하고 있다.[4] 지붕은 동아시아 고관지붕 양식으로 높은 사원의 지위를 나타낸다(지붕 양식은 고대 중국어로 건물의 정치적 또는 종교적 지위를 보여주는 핵심 요소임).[4] 홀의 동쪽 끝과 서쪽 끝에는 각각 4.8m 높이의 4천왕상이, 양쪽에 2개씩 예배를 드렸다.[4] 원래의 조각상은 1966년에 철거되었고 오늘날 우리가 보는 것은 1982년에 만들어졌다.[4]
복도 중앙에는 현지인들이 '웃는 부처님' 또는 '뚱뚱한 부처님'이라고 부르기도 했던 부다이 스님의 금빛 조각상이 자리 잡고 있다.[4]
다쥬엘리쿠시 홀(레릭스)
다쥬엘리시 홀(간체 중국어: 大觉六殿, 전통 중국어: 大六師殿, pinyin: 다주에 르우슈 디안)은 수도원의 두 번째 홀로서 (붕괴되지 않았다면) 본관이 되어야 했는데, 사천왕의 홀 바로 북쪽에 위치해 있다.[6] 이 홀은 비파사불, 식하불, 베사불, 가쿠산다불, 고아가마나불, 가샤파 마탕가 등 사당의 6대 멘토에게 바친다.[6] 중국어로 '리우스' (六师) 부분은 '6명의 멘토'[6]라는 뜻이다. 회관에는 여섯 명의 멘토 동상과 백여 명의 아르하츠와 보살 동상을 모시고 있는 석가모니 동상이 있었다.[6] 그래서 현지인들은 이 홀을 "7불의 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6]
이 홀은 송나라(AD 1078-1085)의 위안펑 시대에 고대 중국 최고 수준의 지붕 양식으로 고관 지붕 양식으로 지어졌다.[6] 다음 세기 동안, 그것은 여러 번 복원되었다.[4] 중화민국 초기에는 정비 불량과 전쟁으로 무너졌다.[4] 지금은 목조 구조물이 역사 속에 서 있는 석단만 존재한다.[4]
이 홀은 지안 9개(간편 중국어: traditional; 전통 중국어: 間, 정면 두 기둥 사이의 공간) 6개 지안(가로 53.35m, 세로 35.2m)으로, 현존하는 중국 최대의 불교 회관인 펑궈사 본관보다 약간 큰 1,878㎡(20,210평방피트)에 이른다.[6] 9는 고대 중국의 위계 체계에서 불교 회관 지안족에게 허용된 가장 많은 숫자였다. '다주엘리시'의 전당은 여전히 존재한다면 중국 전역에서 가장 크고 높은 수준의 전당이 되어야 한다.[6]
마니홀
마니 홀(중국어: 摩尼殿; 핀인: Moni Dián)은 룽싱 사원의 축을 따라 3번째 홀로서, 룽싱 사원의 모든 홀 중 가장 중요한 홀로 간주된다.[4] 이 회관은 송나라 황유 4년(AD 1052년)에 건립되었다. 중국 송나라에서 가장 온전한 건물 중 하나였으며,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복원되었으며, 그 중 1977~1980년 복원이 가장 철저한 건물이었다.[4]
그 홀은 1.2미터(3피트 11인치) 높이의 벽돌과 돌로 된 플랫폼 위에 지어졌다.[7] 치수는 7자리로 지안 7자(가로 33.29m, 세로 27.12m)로 1400제곱미터(15,000평방피트)가 넘는다.[7] 이곳에는 처마 두 층으로 이루어진 동아시아 고관절 지붕 스타일이 사용되었다.[7] 평면도는 거의 정사각형처럼 보였으나 사면에 각각 바오샤(간편한 중국어: 抱厦; 전통 중국어: 抱廈, 본관에서 돌출한 더 작고 lo structure한 구조) 1개가 추가되었다.[7] 이와 같이 네모난 배치와 바오샤, 지붕 스타일의 조합은 건물 외관을 독특하게 만들어 복잡하고 웅장하게 만들었다. 존경받는 중국 건축가 량시청은 1933년 이 홀을 처음 봤을 때 "금단의 성곽을 제외하고는 그런 배치는 송나라 그림에서만 찾아볼 수 있다.[7] 그림 같은 엘레간시, 엄숙하고 씩씩한 고대 양식은 내게 형언할 수 없는 느낌을 주었다. 특히 형식적인 면에서는 마니홀이 오버레이되고 웅장하게 꾸며져 있어, 실제로 건축 예술의 가장 훌륭한 작품 중 하나이다. 고대 중국 건축에 대한 우리의 지평을 넓힌다."[7]
마니홀의 구조체계는 잉자오 파시에서 유래되었다.[4] 두공족은 많은 양과 다양한 스타일로 연구자들로부터 특히 주목을 받았다.[4] 복잡한 지붕은 20여 가지 스타일로 분류할 수 있는 127개의 두공이 지지했다.[4] 예를 들어 아래 처마를 받치고 있는 두공은 높이가 1.2m로 기둥 높이의 1/3에 해당한다. 그러한 치수 두공은 전형적인 송양식이며 명이나 청양식 건물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4]
홀 중앙에는 불상들이 한 무리의 서 있다. 금박을 입힌 석가모니는 옥각형 주미 단 위에 가운데 앉아 있고, 그의 제자 두 명이 양쪽에 서 있다. 게다가 사만타브하드라, 만주쉬리는 각각 일행의 좌우 끝에 있는 연꽃 모양의 슈미 플랫폼에 앉아 있다.[4]
다른 비슷한 홀에서처럼 담이 평평했어야 할 홀 북쪽 입구 부근에 있는 동상 무리(북측)의 뒷면에는 또 다른 동상 무리가 담 전체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보인다. 정면보다 훨씬 복잡하고 아름답다. 중국 문화에서 큰 연민과 자비를 상징하는 불상인 관인은 가운데 있는 색구름 위에 우아하게 앉아 있고, 오른발은 연꽃을 밟고, 왼쪽 다리는 무심코 오른쪽을 짚고 있다. 관인 주위에는 푸투오산으로 추정되는 드넓고 물결치는 바다에 형형색색의 산이 그려져 있는데, 전설에 따르면 관인이 그 모습을 드러내며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었다고 한다. 그래서 이 동상은 "산속의 관인"이라고도 불린다. 이 불상 무리는 전통적인 진지하거나 엄숙한 이미지 대신 친절하고 예쁜 여성상을 만들어 사람들에게 더 가깝고 친밀한 느낌을 주는 독특한 것이다.[8] 일부 연구자들은 이 동상 집단이 벽면에 박혀 있는 판에 따라 명나라 자징 시대 42년(AD 1563)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4] 중국의 유명한 작가 루쉰은 특히 이 관인상을 좋아하고 매일 볼 수 있도록 작업대에 사진을 올려놓았다.[9] 송나라 때 지어졌다는 의견도 있다.[8]
마니홀 벽의 안쪽 표면은 모두 프레스코로 장식되어 있다. 그것들은 홀을 지을 때와 같은 시기에 그려진다. 모든 벽화들은 불교 이야기나 인물들을 묘사한다. 원래 388.64 평방미터(4,183.3평방피트)의 프레스코스가 있었고, 그 중 335.06 평방미터(3,606.6평방피트)가 남아 있었다.[10] 그것들은 중국 그림 역사상 가장 훌륭한 작품들 중 하나로 여겨진다.
프셉트 플랫폼
전도단(간단한 중국어: 戒坛; 전통 중국어: 戒壇; 핀인: 지에탄)은 승려와 예배자들이 불교와 불교 의식을 행하는 곳이다.[11]
플랫폼은 슈미 플랫폼(중국 고대 건축에서 석조 플랫폼의 양식) 형태의 2단 사각형 석조 플랫폼과 이를 덮고 있는 목조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4] 석단의 1층은 배치 12.93m, 높이 0.88m이며, 2층은 가로 10.35m, 세로 10.35m, 세로 1.16m이다. 이 석단은 송나라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4]
그러나 목조 구조는 휜 지붕 양식으로 전형적인 청양식 특징을 보여주는데, 두공은 작고 주로 주요 구조 요소 대신 장식으로 기능한다.[4] 이 목조 건축물은 청나라 초기의 것으로 추측된다.[4]
목조 구조로 덮인 석단에는 명나라 홍지 6년(AD 1493)에 주조된 청동 양면 불상이 자리하고 있다.[2] 남쪽 얼굴은 아미타바, 북쪽 얼굴은 바이사야구루다.[2]
주위에는 성곽의 원형이 있었는데, 이 원은 1933년 량시청이 룽싱사에서 조사를 할 때 기록한 것이다.[7] 그러나 오늘은 더 이상 볼 수 없다.[7]
주안룬장 정자와 미륵사지 정자
주안룬짱 정자(간체 중국어: 转阁藏阁; 전통 중국어: 轉輪藏閣; 핀인: ; pin pin; ;nlzngng)와 미륵 정자(간체 중국어: 慈氏阁; 전통 중국어: 慈閣閣; 핀인: 시쉬 게)는 둘 다 2층 건물이다.[4] 이들은 서쪽에 주안륜장 정자와 동쪽에 미륵정이 마주보고 있는 교령단 북쪽에 위치해 있다.[4] 이 누각들이 언제 지어졌는지에 대한 명확한 기록은 없다. 그러나, 연구원들은 구조적인 특징으로 볼 때, an룬짱 정자는 송나라 초에 건립된 반면, 미륵불 정자는 나중에 건립된 것으로 보고 있다.[4]
주안룬짱 정자는 수도원에서 도서관의 역할을 했다.[3] 옥각형 주안룬장(간편 중국어: 转轮轮; 전통 중국어: 轉輪藏; 핀인: zhunl; zhunlú; zhunlú cabinet, 경전내각으로 사용되는 회전목)이 1층 중앙에 설치되었는데, 오늘날에는 그대로 남아 있으나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있다.[3] zhu룬짱은 역사상 드물지 않지만, 오늘날 룽싱 사원에 이렇게 보관되어 있던 초창기 대형 zhu one은 세계 다른 지역에서는 거의 볼 수 없다.[4] 이 주안륜장을 수용하기 위해, 건물은 기둥의 이동, 일부 곡선 보 등을 사용하는 등 몇 가지 독특한 구조 기법을 채택하였다. 이 구조 체계는 특히 량시청을 비롯한 건축가와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었다.[4]
미륵불 정자는 미륵불에게 바친다.[4] 이 건물은 2층으로 되어 있는 반면 1층은 통로가 원형으로 되어 있다.[4] 중앙에는 7.4미터(24피트) 높이의 미륵불이 서 있는데, 이 조각상은 나무 한 조각으로 조각되어 화려한 물감으로 장식되어 있다. 이 동상은 송나라에 세워졌다.[4]
량시청, 1933년 주아눌룬제 1층 및 지상 1층 평면도
왕릉비 정자
두 개의 왕릉비 정자(중국어: 御碑亭; 핀인: 예빈(Y) B)i Ting)은 대자비전과 주안룬장 정자와 미륵사지 정자 사이에 위치하며, 축의 양쪽에 남쪽을 향한다. 그들은 각각 황제가 쓴 글을 새긴 왕실 비석을 덮고 있다.[4]
동쪽 비석에는 청나라 강시 52년(AD 1713)에 강시황제가 직접 쓴 글이 중국 전통문자와 만주문자로 모두 표시되어 있다.[4] 서쪽은 청나라 촉롱 45년(AD 1780년)에 첸롱 황제가 손으로 쓴 글이다.[4] 서쪽은 4개 국어로 새겨져 있는데, 앞쪽(남쪽)에는 만추, 뒷면에는 티베트어, 몽골어다.[4]
두 누각은 가로 6.88m, 세로 6.88m 12.97m의 일반 평면에 있다.[4] 4면에 4개의 아치문이 있어 앞면과 뒷면 모두 글씨를 읽을 수 있다.[4] 누각의 지붕은 노란 유약 타일로 덮인 동아시아 고관지붕 양식으로 되어 있다.[4] 이 기와들의 색상은 고대 중국의 왕실 건물에만 노란 기와를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 정자의 위계적 지위를 보여준다.[4]
그레이트 머시의 탑
대자비의 탑(간단한 중국어: 大子阁; 전통 중국어: 大子閣; pinyin: 다비치 게)는 룽싱사원 전체 수도원의 주요 홀로서, 가장 큰 건물이며 가장 큰 불상을 수용하고 있다.[4]
이 탑은 송나라 초기에 세워졌으며 황제의 명을 받아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에 복원되었다.[4] 1933년 량시청이 룽싱사를 조사하러 왔을 때, 그는 대자비탑을 포샹탑(간편한 중국어: 佛香阁; 전통한어: 佛香閣, 불교의 향탑을 뜻하는 佛香閣)이라고도 불렀다고 기록하였다.[4] 원래의 탑은 그 당시 이미 무너져 있었고 새로운 탑은 공사 중이었다.[4] 그러나 1944년에 완공된 이 새로운 건물은 청동상을 덮을 수 있는 거대하지만 단순한 벽돌 사당으로 설계되었다.[4] 원형은 폐기되고, 부속 건물들은 자금 조달의 한계로 인해 무시되었다.[4] 1992년, 주 문화재국은 대자비탑과 그 부속 건물들을 재건하기로 결정했다. 프로젝트는 1999년 9월 15일에 끝났다.[4]
재건된 탑은 오늘날과 같이 송양식으로 되어 있다. 타워 자체가 35.5m(116ft) 높이의 3층 건물로 동아시아 힙 앤 게이블 지붕 스타일이다.[4] 지상층은 지안 7층(가로 28.98m, 세로 27.87m)으로 면적 1643.5m(17,690평방피트)를 차지하고 있다.[4] 부속 건물인 유슈 정자와 지칭 정자는 동일한 양식과 구조, 치수로 대자비탑의 동서로 서 있으며, 2층에는 목조 아치교로 탑과 연결되어 있다.[4] 모두 21m(69ft) 높이의 동아시아 힙 앤 게이블 지붕 스타일로 지상 1층은 지안 4인 지안 5층(63.3ft × 40.0ft)[4]이다.
그레이트 머시의 탑 중앙에는 2.25m(7피트 5인치) 높이의 슈미 플랫폼에 천팔구 천안관인(중국인: 千armed千眼 bronze; pinyin: 첸쉬우 치옌 구아옌은 높이 21.3m(70피트)에 달하는 '천 손과 천 눈'을 가진 관린의 발현이다. 천 개의 손과 눈은 추상적으로 각 손의 손바닥에 42개의 팔과 1개의 눈으로 표현된다.[4] 이 동상은 룽싱 사원의 크고 상징적인 동상이다.[4] 현지인들은 룽싱사를 큰불사(중국어: 大佛寺; pinyin: 다프 스) 이 동상 때문에. '허베이 성의 4대 귀중품'(다른 3대는 랴오디 탑, 안지 다리, 캉그저우 철사자) 중 하나로 등재돼 있다.[12]
이 불상은 송나라 건국 황제인 송나라의 타이즈 천황의 명을 받아 송나라 가이바오 시대 4년(AD 971)에 주조되었다.[4] 다음 왕조의 황제들은 특히 그것에 주의를 기울이며 여러 차례 복원을 명했다.[4] 또한 동상의 일상적인 유지를 위해 돈과 보물을 기증하는 일이 잦았던 지역민들의 사랑과 숭배를 받았다.[4]
다른이들
위에 언급된 주요 건물들을 제외하고, 그레이트 머시 탑 뒤쪽에 위치한 몇 개의 다른 홀과 정자가 있다.
- 아미타바 홀(간체 중국어: 弥陀殿; 전통 중국어: 彌陀殿; 핀인: 미투 디아인)은 그레이트 머시 탑 바로 북쪽에 위치해 있다. 명나라 정드 5년(AD 1510년)에 건립되었으며, 동아시아 고관절 지붕을 갖춘 1층 건물이다. 그 크기는 지안 4명에 의한 지안 5명이다. 이 홀에서는 아미타바 동상이 숭배되었다.[13]
- 바이로카나 홀(간편한 중국어: 卢卢;; 전통 중국어: 盧殿;; 핀인: Pillu Dián)은 같은 해에 총인사에서 이곳으로 옮겨온 비로자나 동상을 수용하기 위해 1959년에 건립되었다. 높이가 6.27미터(20.6피트)나 되는 이 동상은 탑의 외관으로 정교하게 디자인되었다. 바이로카나의 개별 동상 천 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 단계로 나뉜다. 본축의 마지막 건물로 북쪽 끝을 표시한다.[13]
- 룽취안 우물(간편 중국어: :龙井亭; 전통 중국어: 龍泉井亭; 핀긴: 룬취안 ánng t)))은 전체 수도원 북쪽 끝에 있는 정원의 북동쪽 구석에 위치한다. 명나라 톈순 7년(AD 1463년)에 처음 건립된 이 건물은 룽싱 사원에 '루루루루루루루루루루루루루루'(간편한 중국어: 盝顶; 전통 중국어: 盝頂; 피닌: l d d; lDngng)가 있는 유일한 건물이다. 이곳은 "룽취안 우물"이라고 불리는 옥각형의 쉼터 역할을 한다. ("룽취안"은 "중국 용의 봄"을 의미한다.[4]
- 파이팡은 마니 홀과 프셉트 플랫폼 사이에 위치해 있다. 룽싱 사원의 수도원 전체를 전면(남) 부분과 주요(북) 부분, 두 부분으로 나누는 칸막이 벽의 일부로 건설된다. 량시청은 이 파이팡을 작지만 정교한 건축물로 기록했다.[7] 오늘날 그곳에 서 있는 페이팡은 1986년 량의 기록에 따라 재건되었다.[4]
참고 항목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롱싱 사원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참조
- ^ "中国正定-正定县政府网站". www.zd.gov.cn. Retrieved 2020-07-17.
- ^ Jump up to: a b c d 河北省正定县文物保管所 (1987). 隆兴寺 [Longxing Temple]. 文物出版社. p. 16. ISBN 7-5010-0013-1.
- ^ Jump up to: a b c Guo, Qinghua (1999). "The Architecture of Joinery: The Form and Construction of Rotating Sutra-Case Cabinets". Architectural History. 42: 96–109. doi:10.2307/1568706.
- ^ Jump up to: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al am an ao ap aq ar as at au av aw ax ay az ba bb bc bd be 张, 秀生; 刘, 友恒; 聂, 连顺; 樊, 子林 (2000). 正定隆兴寺 [Zheng Ding Longxing Temple]. 北京: 文物出版社. pp. 4–19. ISBN 7-5010-1120-6.
- ^ Jump up to: a b c 王, 素辉; 崔, 伟丽 (2016). "正定龙兴寺天王殿建造年代再认识". 文物春秋 (5): 79–83.
- ^ Jump up to: a b c d e f g h 贡, 俊录; 杨, 双秋 (2012). "正定龙兴寺大觉六师殿:最大的宋代殿宇遗址". 中国文化遗产 (5): 60–65.
- ^ Jump up to: a b c d e f g h i 梁, 思成 (1933). "正定古建築調查紀略". 中國營造學社匯刊. 4 (2): 2–41.
- ^ Jump up to: a b 杜, 平; 梁, 晓丽 (2007). "隆兴寺摩尼殿山中观音始塑年代考". 文物春秋 (1): 69–72, 75.
- ^ 刘, 友恒 (1999). "鲁迅与隆兴寺山中观音". 档案天地 (5): 42.
- ^ 刘, 友恒; 郭, 玲娣; 樊, 瑞平 (2010). "隆兴寺摩尼殿壁画初探(下)". 文物春秋 (1): 41–48, 57.
- ^ 高, 雪娜 (2016). "河北省档案馆馆藏档案中的《隆兴寺志》". 档案天地 (007): 14–18.
- ^ 河北省正定县文物保管所 (1987). 隆兴寺. 文物出版社. p. 21. ISBN 7-5010-0013-1.
- ^ Jump up to: a b 河北省正定县文物保管所 (1987). 隆兴寺. 文物出版社. p. 29. ISBN 7-5010-0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