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지 스쿨

Linji school

린지스쿨(중국어: 臨濟;; 핀인: 린지조앙(Lynjǐzong)은 찬불교의 학파로서, 린지 이쉬안(d. 866)의 이름을 딴 것이다. 송차이나(960–1279)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린자이 학파로서 일본에 전파되었고, 고려인9개 산학파에도 영향을 미쳤다.

역사

송 왕조

송나라 이전에는 린지 학파가 다소 불명확하고 초기 역사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았다.[1]

오왕조 및 십왕조 시대 (907–960/979 CE)

오나라와 십왕국 시대(간체 중국어: 五代十; 전통 중국어: 五代十; 피닌: 우다이 시구오)(907–960/979 CE)는 당나라의 멸망과 송나라의 건국 사이의 정치적 격변의 시대였다. 이 기간 동안 북쪽에서는 5개 왕조가 빠르게 서로 계승하여 12개 이상의 독립국이 세워졌는데, 이 중 전통적으로 10개 왕조만이 등재되어 있다.

이러한 여러 지역과 왕국으로의 분단은 찬 파벌의[citation needed] 다변화로 이어져, 찬의 오당에 반영되었다.[citation needed] 파얀 학파특히 남당(937-975)과 우여(907-978)에서 영향력이 컸다.[2] '교단 밖 특별전파' 자오웨이 비취안에 반대해 '찬과 교단의 조화'인 자오찬 이즈시를 전파했고, 후자는 결국 찬의 정의구호 중 하나가 됐다.[3]

북송왕조 (960–1127)

송은 960년에서 1279년 사이의 지배적인 왕조였다. 그것은 두 개의 뚜렷한 시기로 나뉜다. 북송과 남송.

북송 (960–1127) 기간 동안 송의 수도는 비앙징(현재의 카이펑)의 북쪽 도시에 있었고, 왕조는 중국의 대부분을 제대로 통치했다. 파얀 학파는 송법사에서 가장 먼저 인정받은 파벌로 불교계 학자-관료 자닝(919~1001)의 영향 때문이다.[4] 그가 죽은 후 이 자리는 린지 학교에 의해 인계되었다.[4]

린지학파는 찬불교의 고전적 요소들을 한데 모았다.

  • 덴루-제너(denlu-gener), "램프의 전송"[5][6]
  • 유루장르, 당나라 사부들의 기록된 말씀,[5][6]
  • 명장과 학생 사이의 대화와 상호작용을 기술하고 소개, 해설 및 시로 보완한 [5][6][7]공안 모음집
  • 화투 연습,[5][7] 지아앙싱 달성을 위한 보조 도구로서 공안의 "말머리"에 대한 명상적 집중.
  • "경전 밖의 특별한 전달"이라는 개념은 선(先)의 정의적 특징 중 하나이다.[6]

말없는 진리를 전하는 우상화 선사의 모습을 형상화한 이 모든 요소들은 린지학파의 위치를 도배한 '전통적 선서화'를 형상화한 문학적 산물에 의해, 그리고 의존적으로 형성되었다. 이 설화는 실제 찬실례, 송나라의 찬실례, 당나라에 대한 서술이 아닐 가능성도 있다.[6]

린지

린지학파는 문인과 법정의 지원으로 송나라 초의 찬내부가 지배적인 학교가 되었다.[6] 찬의 모범적인 거장 중의 한 사람으로서 린지의 모습은 10세기와 11세기의 일련의 글에서 상세하게 묘사되었는데, 린지 학파를 지탱하고 그 영향력과 지위에 공헌하였다.[4]

주탕지(952)

린지에 대한 첫 언급은 린지가 사망한 지 86년 만인 952년 편찬된 주탕지( "ang之, "가부장관의 어법")에 있다.[6] 주탕지는 슈에펑 이춘 혈통을 지탱하기 위해 쓰여졌다. 그것은 이 혈통을 마주와 홍저우 학파의 계승자로 묘사하고 있다.[6] 샤에펑 이춘의 후예인 자오칭 웬뎅(884-972)의 두 제자가 쓴 것으로, 그의 혈통은 시토우 시첸(700-790)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슈에펑의 제자 윤먼웬(862년 또는 864년–949년 CE)은 윤먼학교를, 슈에펑의 '대분파' 파얀 웬이는 파얀학교를 설립했다.[8]

징데 츄앙뎅 루 (1004)

다오위안(大元)이 1004년에 편찬한 <등신전>은 찬의 필적 중 하나이다. 파얀 학파의 일원이 편찬하였으나 송법회의 대표적 문인 양이(974-1020)의 편집 개정으로 출판되었으며, 송법회의 린지파의 지지자였다.[6] 파양학파는 여전히 츄앙덴루에서 묘사되는 경쟁파 사이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지만, 린지액션의 영향력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6]

'등불전송'은 먼저 리지니에 대한 간략한 전기적 정보를 제공하고, 이어 린지와 후낙보의 상호작용을 통해 후낙보와 마즈라인의 린지의 후예에 대한 주장을 강화한다.[6]

램프의 전송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필요와 관심사를 제공했다.[8]

  1. 새로운 국가를 중앙집권화하는 데 불교를 이용하고 이웃 불교 국가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송의 필요성
  2. 수도 비앙징을 중심으로 지배적인 린지액션의 이해관계가 형성되었다.
  3. 새로운 왕조가 독자적인 문화양식을 확립하고자 하는 바람(wen)[note 1]
  4. 보다 전통적인 "고전적인 문화"(구원)와는 다른 자유롭고 자발적인 표현을 지지하는 문화 스타일을 지지하던 문인들의 욕구가 작용했다.

이러한 영향력의 수렴은 우상화 찬마스터의 이미지를 창조하는 것으로 이어졌으며,[8] 그는 다음과 같은 모든 요건을 충족시켰다.

그는 자유롭고 자발적이었고, 그래서 진보적인 원파가 법정에서 구원 빨치산들에 대항하는 투쟁에서 봉사했다. 그는 정치 권력에 대한 어떠한 필요에도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왕조나 관료주의의 권위를 위협하지도 않았다. 그는 불교 신자였고, 제국이 불교를 지지한다는 것을 보여 줄 필요가 생겼을 때 그렇게 이끌어 낼 수 있었다. 그는 독서를 즐기기 위해 노력했는데, 이것은 새로 문맹이 된 독서 대중들의 필요에 적합했다. 마지막으로 린지 혈통의 우월성과 '찬의 황금시대' 양식을 주장하여 당시 우방인 계파를 수합하였다.[8]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그림은 "그들은 일상적으로 궁정 초대를 받아들이고, 자주색 예복과 명예 직함을 받았으며, 통치자와 관리들에 의해 그들을 위해 수도원을 지었음"이라는 상당히 상투적인 이전 시대의 많은 찬마스터들의 성격에서 벗어났다.[8]

톈성광뎅루(1029년)

웰터에 따르면, 린지 학파의 진짜 창시자는 린지의 4대째 달마헤이르인 쇼산(또는 바오잉) 셍기니안(926~993)이었다. The Tiansheng-Era Expanded Lamp Record (天聖廣燈錄), compiled by the official Li Zunxu (李遵勗)(988-1038) confirms the status of Shoushan Shengnian, but also pictures Linji as a major Chan patriarch and heir to the Hongzhou school of Mazu Daoyi, displacing the prominence of the Fayan lineage.[6] 또한 '교단 밖 특별전승'이라는 슬로건을 정립하여 '찬은 다른 모든 불교 가르침과 별개로 우수하다'[4]는 린지학파의 주장을 지지하였다.

린지의 가르침은 이미 이 문서에서 어느 정도 완성되어 있으며, 황보시윤(d.850)의 달마히어로 묘사되어 있다. 광뎅루에는 린지의 생애와 행동에 대한 간략한 전기적 내용이 담겨 있다.[6]

톈성시대 확대등 기록에 고전 찬의 주요 요소가 충분히 나타나 있는데, 대화, 계몽시, 명인의 말, 이러한 명언에 대한 해설, 역사적 맥락화 및 전기적 세부사항의 부재 등이 그것이다.[8]

시지아 율루 (1066–1069)

The Sijia yulu "Discourse Records of the Four Masters", compiled 1066–1069 by Huanglong Huinan (1002–1069), contains the discourse records of Mazu Daoyi (709–788), Baizhang Huaihai (720–814), Huangbo Xiyun (d.850) and Linji, the major patriarchs of the Tang Dynasty according to the Linji faction. 이 글에서 린지는 분명히 이러한 홍저우 학교의 교사들과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6]

찬 정설은 이 때까지도 정착되지 않았다. 비슷한 시기에 데산 시자 루가 편찬된 데산 시안지안(780–865년)의 기록을 담은 비교 가능한 텍스트로, 그의 혈통은 시토우 시치안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슈에펑 이춘, 유멘, 파얀의 찬 지부를 포함했다.[6] 다른 시지아 루에황룽 시지아 (1141년 컴파일)와 시밍 시지아 루 (1153년 컴파일)가 포함되어 있었다.[6]

전저우 린지후이자오찬시율루 (1120)

1120년 위안즈에 쫑안이 편찬한 전저우 린지 후이자오 찬시율루("린지의 기록")는 린지의 고전적인 기록이다. 위안즈에 종안은 윤먼액션에 속했으며, '윤먼의 행적 기록'인 윤먼율루를 다시 발행하기도 했다.[6]

린지의 기록을 별도로 발간하는 것은 성룡의 주요 족장 중 한 명으로 새롭게 얻은 린지의 지위를 알리는 신호다.[6] 송나라 때 변해가는 찬의 정체성, 그리고 점점 커져가는 율루 텍스트의 위상도 반영하고 있다.[6]

린지의 기록의 본문은 톈성 광뎅루와 동일하나 순서가 다르다. 린지율루는 현감 등 관리들의 요청에 따라 옌지의 강의로 문을 열며, 린지액션과 법정의 긴밀한 연계를 강조한다. 린지의 생애에 관한 전기 자료가 확대되어 본문 끝에 나타난다.[6]

린지율루에서는 "경전 밖의 특별한 전송"이라는 구절이 린지 자신으로 귀속된다. 쇼산성앙의 린지액션에 의해 린지찬 정체성 확립의 선도적인 구호로 작용하였고, 린지의 기록과 명성 구축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 궁정 관련 문인 양이와 리쥔수에게 린지찬 정체성의 상표로 주목받았다.[6]

남송왕조(1127–1279)

남송(南松, 중국어: song the, 1127–1279)은 송(宋)이 중국 북부의 지배권을 진나라에 빼앗긴 이후의 기간을 말한다. 이 시기 송궁은 양쯔 남쪽으로 후퇴하여 린안(지금의 항저우)에 수도를 세웠다. 린지파의 주요 인물들도 남쪽으로 이동했다.[9]

다후이와 화투 연습

12세기 동안 린지와 카오동 학파의 분명한 차이가 나타났다. 두 학교는 송정이 사회에 대한 영향력을 제한하기 시작하면서 더욱 강력해진 문인들의 지원을 위해 경쟁하고 있었다.[clarification needed][citation needed] 카오동학파의 홍지 정주(1091~1157년)는 레이 팔로워가 할 수 있는 독방 실천 수단으로 침묵 조명이나 시칸타자를 강조했다. 다후이 쫑가오(1089~1163)는 독단적 실천 수단으로 '단어 머리 섬기기' 칸화 관행을 소개했다.[7] 그는 코안에 대한 연구를 체계화하였는데,[9] 이 시기에 일본으로 수출되었다.[10]

원나라(1279-1368)

원나라몽골 제국(秦)과 남송(南松)을 정복한 후 보르지긴( borj)의 몽골족 지도자 쿠빌라이 칸( by kub)이 세운 제국이다. 찬 가르침은 중펑밍벤(1263-1323)의 가르침에서처럼 순국 불교와 혼합되기 시작했다.

명왕조(1368-1644)

Chan Buddhism enjoyed something of a revival in the Ming dynasty with teachers such as Hanshan Deqing (憨山德清), who wrote and taught extensively on both Chan and Pure Land Buddhism; Miyun Yuanwu (密雲圓悟), who came to be seen posthumously as the first patriarch of the Ōbaku Zen school; as well as Yunqi Zhuhong (雲棲祩宏, 1535—1615) and Ouyi Zhixu (蕅益智旭).

성룡은 많은 중국 불교 사원에서 순국 불교와 함께 가르침을 받았다. 시간이 흐르면서 그들 사이의 구별은 상당 부분 없어졌고, 많은 명인들이 찬과 퓨어랜드를 모두 가르쳤다.[11]

명나라의 몰락과 함께 여러 명의 중국 찬 사부들이 일본으로 도망쳐 오바쿠 학파를 세웠다.[12]

청 왕조 (1644–1912)

청 왕조는 중국의 마지막 제국 왕조였다.

청초기에 성룡은 미은원우(1566~1642)의 구타와 고함 연습의 부활, 미은원우의 후계자인 페이인 통룽(1593~1662)의 우동옌퉁("5개 찬학교의 엄정한 전승")의 간행으로 '재발'되었다. 이 책은 자칭 찬 스님들이 제대로 달마전송을 하지 않은 것을 '직계불명(sifa weixiang)'의 범주에 넣어 여러 명의 저명한 카오동 승려들을 배제시켰다.[13]

근대(1912년 이후)

대만의 전통 찬 불교 대승 위추, 명상 속에 앉아 있다.

성룡은 청나라 중 몇 세기가 더 쇠퇴한 후 20세기 초 중국 불교의 유명한 인물인 쉬윤에 의해 다시 부활하였다. 오늘날 많은 찬 선생님들은 20세기와 21세기에 걸쳐 꾸준히 성장한 서양에서 찬을 전파한 성옌(成yen, shy, shy, āhu)과 허안화(宣安華, hun,, huhuhu)를 포함하여 그들의 혈통을 쉬윤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성룡은 중화인민공화국 초기 근현대 때 중국에서 억압을 받았으나, 최근에는 본토에서 다시 주장을 하고 있으며, 해외 화교들뿐만 아니라 대만홍콩에서도 상당한 추종자를 거느리고 있다.

영향을 주다.

일본.

린자이 학파로 알려진 일본 선종파는 린지가 세운 혈통의 한 분파다. 소규모의 일본 오바쿠 학파는 17세기에 별도의 린지 혈통으로 일본에 건너왔고, 일본 내에서 문화적으로 명나라 중국 선으로 여러 해 동안 일본에 존재했다.

이후 오바쿠는 18세기 하쿠인 에카쿠의 린자이 부흥 이후 린자이 혈통에 반몰입했다. 오늘날 린자이와 오바쿠 학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web 1]

지금은 없어진 푸케슈도 린자이 학파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린지 혈통과의 연대를 주장했다.

한국,

린지 학교는 마즈 다오이의 학생들이 세운 9개 산학에서 채택한 명칭인 이미 존재하는 대한조계종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지눌(知訥)(1158-1210)은 다후의 화투 관습을 이어받았으나, 그것을 기펑종미(780–841)의 지적 가르침과 섞었다. 지눌은 갑작스런 통찰력에 이어 점진적인 재배가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14]

참고 항목

메모들

  1. ^ (文), 중문(中文), 중문(中文), 중문(中文)을 포함한다.

참조

  1. ^ 두물린 2005a.
  2. ^ 웰터 2000, 페이지 86-87
  3. ^ 웰터 2000, 페이지 86-91.
  4. ^ a b c d 2009년.
  5. ^ a b c d 맥래 2003.
  6.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웰터 2006a.
  7. ^ a b c 2008년 슐뤼터
  8. ^ a b c d e f 존스 2010.
  9. ^ a b Yampolski 2003, 페이지 20.
  10. ^ Yampolski 2003, 페이지 21.
  11. ^ 샤프 2002
  12. ^ 두물린 2005b, 페이지 299.
  13. ^ 멍따따찌아 2011.
  14. ^ 그레고리 1991.

원천

인쇄 소스
  • Dumoulin, Heinrich (2005a), Zen Buddhism: A History. Volume 1: India and China, World Wisdom Books, ISBN 9780941532891
  • Dumoulin, Heinrich (2005b), Zen Buddhism: A History. Volume 2: Japan, World Wisdom Books, ISBN 9780941532907
  • Gregory, Peter N. (1991), Sudden Enlightenment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Tsung-mi's Analysis of mind. In: Peter N. Gregory (editor)(1991), Sudden and Gradual. Approaches to Enlightenment in Chinese Thought,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rivate Limited
  • Jones, Charles B. (2010), "Review of Monks, Rulers and Literati: The Political Ascendancy of Chan Buddhism" (PDF), Journal of Buddhist Ethics
  • McRae, John (2003), Seeing Through Zen. Encounter, Transformation, and Genealogy in Chinese Chan Buddhism, The University Press Group Ltd, ISBN 9780520237988
  • Meng-Tat Chia, Jack (2011), "A Review of Enlightenment in Dispute: The Reinvention of Chan Buddhism in Seventeenth-Century China" (PDF), Journal of Buddhist Ethics, 18
  • Schlütter, Morten (2008), How Zen became Zen. The Dispute over Enlightenment and the Formation of Chan Buddhism in Song-Dynasty China,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978-0-8248-3508-8
  • Sharf, Robert H. (2002), On Pure Land Buddhism and Ch'an/Pure Land Syncretism in Mediaeval China, Leiden, Netherlands: Brill
  • Welter, Albert (2000), Mahakasyapa's smile. Silent Transmission and the Kung-an (Koan) Tradition. In: Steven Heine and Dale S. Wright (eds)(2000): "The Koan. Texts and Contexts in Zen Buddhis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Welter, Albert (2002), The Textual History of the Linji lu (Record of Linji): The Earliest Recorded Fragments
  • Welter, Albert (2006a), The Formation of the Linji lu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3-03-16
  • Welter, Albert (2006b), Monks, Rulers, and Literati. The Political Ascendancy of Chan Buddhism, Wisdom Books
  • Welter, Albert (2008), The Linji Lu and the Creation of Chan Orthodoxy: The Development of Chan's Records of Sayings Literature, Oxford University Press
  • Yampolski, Philip (2003), Zen. A Historical Sketch. In: Buddhist Spirituality. Later China, Korea, Japan and the Modern World; edited by Takeuchi Yoshinori, Delhi: Motilal Banarsidass
  • Young, Stuart (2009), Linji Lu and Chinese Orthodoxy. Review of "Albert Welter. The Linji lu and the Creation of Chan Orthodoxy: The Development of Chan's Records of Sayings Literature.
웹 소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