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우밸리 선
Looe Valley Line루우밸리 선 | |||
---|---|---|---|
![]() | |||
개요 | |||
상태 | 개방하다 | ||
소유자 | 네트워크 레일 | ||
로캘 | 콘월 | ||
터미 | 리스크어드 50°26′49″N 4°28′03″w/50.4469°N 4.4675°W 루에 50°21′34″N 4°27′22″w/50.3594°N 4.4562°W | ||
스테이션 | 6 | ||
서비스 | |||
유형 | 헤비 레일 | ||
시스템 | 내셔널 레일 | ||
연산자 |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 | ||
롤링 스톡 | 150급 | ||
역사 | |||
열린 | 1860–1901 | ||
기술 | |||
선 길이 | 8+3⁄4 마일(14km) | ||
트랙 수 | 1 | ||
캐릭터 | 커뮤니티 철도 | ||
트랙 게이지 | 4ft 8+1⁄2 인치(1,435 mm) | ||
로딩 게이지 | RA4 / W6A | ||
작동 속도 | 16km/h(10mph) - 48km/h(30mph) | ||
|
루에밸리 선은 영국 콘월 리스크어드에서 루에 이르는 8+3⁄4 마일(14km)의 공동체 철도로, 코스의 상당 부분을 이스트 루에 강의 계곡을 따라간다.그것은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에 의해 운영된다.
역사
루에밸리 선은 1860년 12월 27일 리스크어드 및 루에 철도로서 리스크어드 선에서 서쪽으로 조금 떨어진 무어스워터의 역에서 루에 있는 쿼사이드까지 개통되어, 이전의 리스크어드 운하와 루에 유니언 운하를 대체하게 되었다.무어워터에서는 보드민 무어의 채석장에서 화강암을 운반하는 리스크어드 및 카라돈 철도와 연결되었다.
1879년 9월 11일 여객 서비스가 시작되었지만, 무어워터 종착역은 리스크어드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마을 남쪽의 콘월 철도역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불편했다.1901년 5월 15일, 이 철도는 무어워터의 약간 남쪽인 쿰베 분기점에서 현재 리스크어드에 있는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역까지의 곡선 연결선을 개통했다.쿰베 분기점에서 무어워터까지 가는 구간은 이날 여객 통행이 전면 통제됐지만 승객 수는 3배로 늘었다.새로운 연결선은 147피트(45m) 높이의 고가도로를 타고 무어워터 위를 지나는 코니시 본선까지 상당한 수직선을 올라가야 했다.리스크어드와 루우 철도는 1909년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에 인수되었고, 매력적인 해변 휴양지 루우는 철도 홍보에 있어 휴양지로 크게 홍보되었다.
루에 역에서 부두까지 이어지는 구간은 1916년에 폐쇄되었고, 무어워터 북쪽의 카라돈 선은 거의 동시에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다.
1966년 이 노선은 리처드 비칭의 '영국 철도 재편성' 계획에 따라 폐쇄될 예정이었으나, 교통부 장관 바바라 캐슬에 의해 예정된 폐쇄를 불과 2주 앞두고 철회되었다.
커뮤니티 레일
1992년부터 루에밸리 선은 데본과 콘월 철도 파트너십이 추진한 철도 노선 중 하나이다.승객 수는 2001년 5만8000여 명에서 2016년 11만8000여 명으로 늘었다.
이 노선은 정기 시간표, 경치선 안내 등 여러 가지 수단과 함께 산책, 조류관찰, 컨트리 펍 방문 등 레저기회를 강조하는 전단지 등으로 홍보하고 있다.
루에밸리 선 레일 에일 트레일은 2004년 초에 개통되었으며, 철도 여행자들이 노선 근처의 8개 펍을 방문하도록 권장하고 있다.이 중 5개는 루에, 2개는 리스크어드에, 1개는 둘로에에 있어 코즈랜드 역에서 도보로 30분 거리에 있다.레일 에일 트레일에 수집된 8장의 우표는 참가자에게 특별한 루에밸리 선 레일 트레일 기념품 투어 셔츠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준다.
이 노선은 2005년 9월, 교통부의 공동체 철도 개발 전략의 7명의 조종사 중 한 명으로서 지역 철도 노선으로 지정되었다.이는 노선의 실제 비용과 수익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를 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또 대서양 프랜차이즈와 별도로 '마이크로프랜차이즈화'해야 하는 노선과 A38 리스크어드 바이패스(Liskeard Bypass)에 가까운 무어워터(Moorswater)에 파크와 라이드(Ride) 역을 개설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려해 열차 역전을 단순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2007년 리스크어드 루에밸리 플랫폼의 표지판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영국철도 서부지역이 사용한 스타일의 갈색과 크림색 표지로 대체되었다.
루우 밸리 헤리티지 프로젝트
2019년 데본과 콘월 철도파트너십은 이 노선에 대한 유산 프로젝트를 시작했는데, 이 노선은 아카이브 정보와 지역 사회와의 관계를 통해 역사 이야기를 들려주었다.이 프로젝트는 2019년 전국공동체철도대상에서 최우수 공동체 참여 프로젝트를 수상했다.
승객용량
대부분의 루에 밸리 승객들은 코즈랜드가 가장 붐비는 중간역인 가운데 전 구간을 다닌다.이 노선은 지난 몇 년 동안 서비스의 점진적인 개선과 함께 양호한 성장을 보여 왔다.
스테이션 사용량 | ||||||||||||||||||
---|---|---|---|---|---|---|---|---|---|---|---|---|---|---|---|---|---|---|
스테이션 이름 | 2002–03 | 2004–05 | 2005–06 | 2006–07 | 2007–08 | 2008–09 | 2009–10 | 2010–11 | 2011–12 | 2012–13 | 2013–14 | 2014–15 | 2015–16 | 2016–17 | 2017–18 | 2018–19 | 2019–20 | 2020-21 |
쿰베 접속 정지 | 71 | 96 | 59 | 32 | 54 | 128 | 42 | 38 | 60 | 48 | 42 | 26 | 48 | 212 | 156 | 204 | 188 | 28 |
잘 멈추길 바라는 세인트킨 | 1,150 | 1,053 | 606 | 618 | 614 | 986 | 936 | 1,072 | 1,062 | 980 | 1,362 | 1,986 | 1,582 | 1,530 | 1,302 | 1,334 | 1,070 | 360 |
코즈랜드 | 2,099 | 2,281 | 2,671 | 3,035 | 3,471 | 4,038 | 3,652 | 2,674 | 3,366 | 2,544 | 2,198 | 2,094 | 1,976 | 1,736 | 1,834 | 1,620 | 1,336 | 504 |
모래장소 | 1,206 | 1,429 | 865 | 788 | 946 | 1,158 | 1,148 | 1,032 | 1,422 | 1,486 | 1,860 | 1,762 | 1,316 | 1,418 | 1,780 | 1,274 | 1,302 | 828 |
루에 | 72,418 | 75,510 | 70,880 | 81,022 | 76,527 | 82,614 | 88,520 | 100,130 | 119,364 | 106,462 | 118,238 | 124,914 | 117,014 | 123,060 | 118,308 | 117,506 | 118,642 | 37,552 |
연간 승객 사용량은 철도청 및 도로청의 기차역 사용량 추정치로부터 명시된 회계연도의 승차권 판매량에 기초한다.이 통계는 각 역에서 도착하고 출발하는 승객에 대한 것이며, 4월부터 시작되는 12개월의 기간을 포함한다.방법론은 매년 다를 수 있다.2019-20년, 특히 2020-21년 이후의 사용은 Covid-19 유행병의 영향을 받았다. |
이 통계는 4월부터 시작되는 12개월의 기간을 다루고 있다.
경로
루우밸리 선 | ||||||||||||||||||||||||||||||||||||||||||||||||||||||||||||||||||||||||||||||||||||||||||||||||||||||||||||||||||||||||||
---|---|---|---|---|---|---|---|---|---|---|---|---|---|---|---|---|---|---|---|---|---|---|---|---|---|---|---|---|---|---|---|---|---|---|---|---|---|---|---|---|---|---|---|---|---|---|---|---|---|---|---|---|---|---|---|---|---|---|---|---|---|---|---|---|---|---|---|---|---|---|---|---|---|---|---|---|---|---|---|---|---|---|---|---|---|---|---|---|---|---|---|---|---|---|---|---|---|---|---|---|---|---|---|---|---|---|---|---|---|---|---|---|---|---|---|---|---|---|---|---|---|---|
|
쿰베로 내림차순
이 노선은 전체 길이의 단일 선로로 매일 단 한 대의 열차만으로 운행된다.열차는 리스크어드 기차역을 출발하여 직각으로 승강장에서 본선 승강장으로 향하며, 처음에는 루에서 북동쪽으로 운행한다.승강장 너머에 있는 이 선은 긴 우측 커브를 따라 상품 마당을 지나 본선으로 연결되고, A38 도로 아래로 두 번 잠수한다.그리고 가파르게 내려가 지금은 일반적으로 남서쪽으로 향하고 있으며, 위 150피트(46m)의 코르니쉬 본선을 싣고 있는 리스크어드 viador 밑을 통과한다.
오른쪽으로 한 번 더 꺾인 열차는 쿰베 분기점 루에서 본선과 합류해, 작은 수평 횡단보도에 서게 된다.대부분의 열차는 여기서 방향을 바꾸는데, 열차의 경비원이 그 지점을 운용하고 있다(아래 신호방식 참조). 그러나 라멜리온의 쿰베 분기점 정지에 전화를 걸기 위해 각 방향으로 2, 3야드를 더 계속한다.승강장 너머로는 여전히 무어워터까지 노선이 이어져 무어워터 viador 아래 다시 본선 밑을 지나지만, 이 구간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계곡을 따라
운전사와 경비원이 이제 서로 다른 종점을 바꾸면서, 열차는 남쪽의 여행을 재개하고, 이제 오래된 리스크어드 및 루우 유니언 운하와 이스트 루우 강을 따라 달린다.로지에서는 또 다른 수평 교차로를 지나 페어그라운드 장기 및 이와 유사한 악기들로 구성된 "대중음악기계" 박물관과 인접한 세인트킨 소망의 웰 스톱으로 가는 짧은 여정이 있다.세인트 케인의 성스러운 우물은 역에서 도보로 10분 거리에 있는 마을 근처에 있다.
세인트 케인 남쪽은 운하가 잠시 선의 서쪽에 맞바꾸지만, 골짜기가 닫히면서 철도가 이중화된 운하 위에 건설된 거리를 두고 완전히 사라진다.옛 운하의 자물쇠 중 하나는 코즈랜드 기차역에서 볼 수 있다.이곳은 여객열차가 처음 운행을 시작한 1879년 개통돼 노선 중 가장 오래된 역이다.최근 몇 년 동안 대부분의 역과 마찬가지로, 스마트 벽돌 쉼터가 원래의 나무 오두막을 대체했다.
하구 옆
샌들플레이스 기차역을 지나면 철도는 강의 동쪽을 따라 가는데, 지금은 그 선이 종착역까지 따라가는 갯벌 하구가 되었다.이 선은 한 층 더 건너는 특이한 테라스 크로싱(Teras Crossing) 위를 지나는데, 이 도로는 만조 시 범람하기 쉬운 유도로를 넘어 건널목에 접근하기 때문에, 그 도로는 보드에 나란히 올려져 있다.건널목이므로 건널 때 기차가 서야 하고 경적을 울려야 한다.운하의 마지막 자물쇠의 폐허는 이곳 줄의 동쪽에 있다.
갯벌 하구를 따라 더 멀리 달려간 후, 이 노선은 마침내 웨스트 루우 강이 이스트 루우 강으로 흘러들어 조수 루우 항구를 형성하는 지점의 반대편인 루우 철도역에 도착한다.시내 중심지는 강변을 따라 걸어서 5분 거리에 있으며, 역 근처 도로에 폴페로 정류장까지 가는 버스들이 있다.
이 선을 따라 모든 거리는 리스크어드 철도와 루우 철도가 불러 퀘이의 개인측면과 연결된 강 건너편 7경간 도로교 부근 지점에서 측정된다.원래 역은 지금의 경찰서 부지로 이 지점에서 북쪽으로 14 체인(308야드 또는 282m)이나 떨어져 있었지만, 1968년 건설의 단순 역은 이 지점에서 40야드나 떨어져 있다. 따라서 이 선의 원래 끝에서 킬로미터를 표시하는 마일 기둥은 사실 현재의 승강장 반대편에 있으며, 현재의 남쪽 끝에서 20야드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e라인
서비스
승객

2006년 12월 10일부터 서부대철도가 운행하는 서비스는 매일 9대의 열차로 구성되어 있다.2007년 5월 20일부터 9월 9일까지 여름 성수기 동안 심야 열차를 포함한 3개의 추가 서비스가 운행되었다.2019년 5월 서부대철도는 4월부터 10월까지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하루 15대의 열차가, 일요일에는 8대의 열차가 운행되는 개선된 시간표를 도입했다.[1]
Coombe 분기점 Stop 철도역은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각 2대의 열차로 운행된다.대부분의 하루 동안, 각 방향의 두 번째 열차는 중간 역 호출 없이 운행된다.다른 한편, 정차, 기차, 다른 중간 역들은 모두 요청 정류소라는 것을 의미한다. 즉, 승객들은 경비원에게 그들이 그렇게 하기를 원한다고 말해야 하고, 합류하기를 기다리는 사람들은 기차가 가까워질 때 운전자에게 분명하게 신호를 보내야 한다.
열차는 150년대 2량 편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150233호는 한때 루우 계곡의 레이디 마그레트(원래 레이디 마그레트는 리스크어드 및 루우 철도에 속하는 증기 기관차였다.)라고 명명되었다.싱글카 클래스 153369는 The Loe Valley Explorer로 명명되었다.이 두 열차는 모두 대형 사진들을 바깥에 실어 현지 장면을 보여주었지만, 대서양철도망 전체에 걸쳐 다른 유사 열차들과 상호작용을 했기 때문에 매일 노선을 운행하지 않았다.이 두 열차는 그 후 특별한 간장을 잃었고 표준 간장에 다시 칠해졌다.GWR이 더 이상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이 라인에서는 클래스 153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운임
이 노선은 이전에 70급 기관차를 이용하여 콜라스 레일에 의해 일주일에 한 번 운행되는 화물 서비스를 보았다.[2]이 작업은 평균 20개의 시멘트 컨테이너를 싣고 웨일스의 애버토우에서 무어워터로 운반되었다.[3]2021년 9월, 이 서비스는 고객들의 수요 부족으로 중단되었다.[3]화물이 다시 무어워터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시그널링
라인은 리스크어드의 신호 박스에서 관리되며, 이 박스는 지점의 입출구를 메인 라인으로 제어하기도 한다.쿰베~무어워터 화물선이 존재하기 때문에 복잡성이 발생하기 때문에 전체 지선은 토큰이나 나무 스태프가 관리하는 3개의 뚜렷한 단일 선로 구간으로 나뉜다.
- 리스크어드에서 쿰베까지의 구간은 타이어스 9호 전기 토큰 시스템의 권한으로 운영된다.이것은 전기적으로 연동되는 4개의 계측기로 구성된다: 리스크어드 신호 박스에 1개, 리스크어드 플랫폼 3의 토큰 오두막에 1개, 쿰베 1번 지면 프레임에 중간 계측기, 쿰베 2번 지면 프레임에 중간 계측기.[4]기기는 한 번에 하나의 토큰만 인출할 수 있도록 연동된다.그러나 시스템은 토큰이 제거될 수 있도록 수정되어 [5]쿰베 기계의 신호맨의 공동작업 없이 리스크어드 기계의 기기로 반환되었다.단일 트랙 토큰 기계는 일반적으로 열차가 적절히 제공되고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 양쪽 신호 전달자의 협조가 필요하다.[6]
- 루에서 쿰베까지의 구간은 나무 스태프의 권한으로 운영되며, (리스크어드 - 쿰베 키 토큰과 함께) 1번 지상틀을 잠금 해제하는 키가 부착되어 있어 포인트를 변경하여 루우 지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 무어워터에서 쿰베까지 구간은 무어워터의 션터(Shunter)의 권한으로 운영된다.
열차 운전사는 정확한 직원이나 토큰을 소지하고 있을 때만 출입이 허용된다.
무어워터 구간에는 역을 보호하는 고정된 "정지반"이 있다.마찬가지로, Loe 섹션에는 Coombe 분기점 앞에 정지판이 있다.Liskeard - Coombe 토큰의 소유는 Coombe No.1 지면 프레임의 포인트가 정상임을 보증하기 때문에 Liskeard 섹션에는 정지판이 없다.리스크어드 3번 승강장 끝에 스톱보드가 있다.정지보드는 고정 신호로, 지상 프레임을 운용하는 가드의 권한이 없으면 열차를 운전할 수 없다.TPWS(Train Protection & Warning System)는 Coombe No.1 지면 프레임의 정지보드와 Liskeard의 플랫폼 3에서 제공되며, 단일 회선을 보호하기 위해 Liskeard - Coombe 섹션의 토큰이 로컬로 인출될 때 억제된다.
Liskeard-Coombe 토큰은, 섹션 부록에 따라, 루로 향하는 열차가 포인트에서 벗어나면 Coombe No.1 지면 프레임에서 중간 계기에 배치되어야 한다.이를 통해 Coombe 또는 Liskeard에서 또 다른 토큰을 인출하여 Loe 섹션이 점유되는 동안 다른 트래픽이 이 부분의 회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상품 열차는 비슷하게 리스크어드-코움베 토큰을 사용하여 션터에게 넘겨줄 것이며, 션터에게는 이 토큰을 쿰베 토큰 기계에 삽입할 것이다.1번 지상 프레임의 지점은 이 움직임에 대해 변경되지 않지만, 역의 북쪽 끝에 있는 쿰베 2번 지상 프레임에 의해 일련의 트랩 지점이 열렸었다가 열차가 지나면 다시 닫아야 하며, 그 후에 리스카어드 - 쿰베 토큰이 중간 계기에 복원될 수 있다.
참조
- ^ "K2 Train times" (PDF). Great Western Railway. 25 January 2021. Retrieved 10 May 2021.
{{cite web}}
: CS1 maint : url-status (링크) - ^ 옆에 있는 이미지 박스에는 무어워터를 떠난 뒤 쿰베 접속정지를 통과하는 콜라스 클래스 70이 그려져 있다.
- ^ a b "Tarmac Cement into Cornwall". RailUK Forums. Retrieved 24 March 2021.
- ^ Western & Wales Sectional Appendix. Network Rail. pp. 635–637. Retrieved 16 November 2020.
- ^ http://www.signalbox.org/gallery/w/coombejcn.htm - 마지막 단락은 분명히 연결 장치 작동의 마비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2008년 12월 21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 ^ 전기 토큰 시스템의 정상 작동을 참조하는 영국 철도 신호 전달(ISBN 0 7110 0898 1)
참고 문헌 목록
- Beale, Gerry (2000). The Liskeard and Looe Branch. Didcot: Wild Swan Publications Ltd. ISBN 1-874103-47-X.
- Bennett, Alan (1990). The Great Western Railway in East Cornwall. Cheltenham: Runpast Publishing. ISBN 1-870754-11-5.
- 교통 레일 그룹 부서(2005년), 루우 밸리 선 및 타마르 밸리 선 노선 안내서'
- Devon과 Cornwall 철도 파트너십(2002년), 철도 선로에서 Loe Valley Line Trails from the 트랙.
- 데본과 콘월 철도 파트너십(2005), 데본과 콘월에서의 파트너십 협력
- 데본과 콘월 철도 파트너십(2005년), 철도로 타마르 계곡과 루우 계곡의 아름다움을 탐험하다
- 데본과 콘월 철도 파트너십(2007), 열차별 야생조류 발견
- Holland & Spaven, Julian & David (2012). Britain's Best Railways: Exploring the Country by Rail from Cornwall to the Highlands. United Kingdom: Times Books. pp. 22–23. ISBN 978-0-00-796596-0.
- Messenger, Michael (2001). Caradon & Looe : the canal, railways and mines. Truro: Twelveheads Press. ISBN 0-906294-46-0.
- Tolson, JM; Roose, G; Whetmath, CFD (1974). Railways of Looe and Caradon. Bracknell: Forge Books.
추가 읽기
- Hunt, John (22 April – 5 May 1998). "Cornwall's scenic branch survivor". RAIL. No. 329. EMAP Apex Publications. pp. 28–33. ISSN 0953-4563. OCLC 49953699.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루에밸리 라인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