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레인 맥나마라

Lorraine McNamara
로레인 맥나마라
2016 Grand Prix of Figure Skating Final Lorraine McNamara Quinn Carpenter IMG 2868.jpg
2016-17 JGP 결승전에서 맥나마라/카펜터
개인정보
국가 대표미국
태어난 (1999-02-18) 1999년 2월 18일 (23세)
워싱턴
고향메릴랜드 주 게만타운
높이1.68m(5ft 6인치)
파트너안톤 스피리도노프
이전 파트너퀸 카펜터
코치알렉세이 킬리아코프, 엘레나 노박, 드미트리 일린
안무가알렉세이 킬리아코프, 엘레나 노박
스케이팅 클럽반도SC
구 스케이팅 클럽워싱턴 FC
교육장소메릴랜드 주 록빌
이전 교육 장소메릴랜드 주 휘턴
스케이트를 타기 시작했다.2001
ISU 개인 최고 점수
합계합계183.47
2019 CS 온드레지 네펠라 메모리얼
쇼트 댄스73.60
2019 CS 온드레지 네펠라 메모리얼
프리댄스109.87
2019 CS 온드레지 네펠라 메모리얼

로레인 맥나마라(1999년 2월 18일 출생)는 미국의 아이스댄서다.전 파트너 퀸 카펜터와 함께 2018 헬싱키 동메달리스트ISU 챌린저 시리즈 은메달 3회, 2019 미국 국가대표 퓨터 메달리스트다.선수 생활 초기에 그들은 2016년 월드 주니어 챔피언, 2015년 JGP 파이널 챔피언, 그리고 두 번의 미국 주니어 챔피언이 되었다.

사생활

로레인 맥나마라는 1999년 2월 18일 워싱턴 D.C.에서 태어났다.[1]그녀는 4명의 형제와 1명의 여동생이 있다.[2]그녀는 메릴랜드주 포토맥에 있는 성아의 코넬리 학교에 다녔다.[3]

경력

두 살 반부터 얼음 위에서 맥나마라는 어린 시절 휘튼 아이스댄스 아카데미에서 엘레나 노박과 알렉세이 킬리아코프 밑에서 훈련을 시작했다.[2][4]그녀는 여섯 살 때 첫 아이스댄싱 파트너와 팀을 이뤄 5개월 동안 그와 스케이트를 탔다.[5]

맥나마라는 2005년에 퀸 카펜터와 함께 스케이트를 타기 시작했다.[3]그들은 2012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주니어 동메달을 땄지만, 맥나마라는 너무 어려서 2012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 출전할 수 없었다.[6]

2012-2013 시즌

맥나마라/카펜터는 주니어 국제선수의 연령대별 자격이 주어졌다.2012년 8월 프랑스 쿠르체벨에서 열린 주니어 그랑프리(JGP) 데뷔전에서 6위에 그쳤다.그들은 다음 달 터키 이스탄불에서 두 번째 JGP 과제에서 4위를 차지했다.미국선수권 주니어 동메달을 딴 뒤 밀라노에서 열린 세계주니어선수권대회에 맥나마라/카펜터가 배정됐다.그들은 이탈리아에서 쇼트 댄스 8위, 프리 댄스 11위, 그리고 종합 9위를 차지했다.

2013-2014 시즌

맥나마라/카펜터는 2013-14 JGP 시리즈에서 첫 국제 메달을 따내며 라트비아 리가에서 은메달을, 벨라루스 민스크에서 금메달을 땄다.그들의 결과는 일본 후쿠오카에서 열린 JGP 결승전에 진출하여 동메달을 획득했다.이 2인조는 2014년 미국선수권대회에서 주니어 은메달을 따냈고, 2014년 불가리아 소피아에서 열린 세계주니어선수권대회에서 쇼트댄스 3위, 프리댄스 5위에 이어 4위를 차지했다.

2014-2015 시즌

2014–15 JGP 시리즈에서는 체코 오스트라바에서 맥나마라/카펜터가 동메달을, 독일 드레스덴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여 JGP 결승에서 두 번째 교대로 결승에 진출했다.2015년 1월 토루이컵에서 주니어 타이틀을 따낸 뒤 2015년 미국 전국선수권대회에서 우승했다.이들은 지난 3월 에스토니아 탈린에서 열린 2015 세계주니어선수권대회에서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7]두 부문 모두 3위, 러시아의 안나 야놉스카야/세르게이 모조고브에 9.09포인트 차로 2위를 차지했고 우크라이나의 올렉산드라 나자로바/맥심니키틴에 0.82포인트 차로 앞섰다.

2015-2016 시즌

McNamara/Carpenter는 콜로라도 스프링스와 폴란드 토루에서 2015–16 JGP 과제 모두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2015년 12월, 그들은 2015-16 JGP 결승에서 은메달리스트 앨라 로보다/파벨 드로즈드를 8점 이상 앞질러 금메달을 획득했다.[8]이들은 2016년 1월 레이첼 파슨스/마이클 파슨스보다 4.58점 앞서며 두 번째 전국 주니어 우승을 차지했다.지난 3월 헝가리 데브레첸에서 열린 세계주니어선수권대회에 출전했다.쇼트댄스 2위, 프리댄스 1위를 차지한 맥나마라/카펜터는 파슨스를 제치고 0.91의 차이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9]

2016-2017 시즌

주니어 수준의 마지막 시즌에서 맥나마라/카르펜터는 슬로베니아주 류블랴나체코주 오스트라바에서 열린 2016-17 JGP 과제에서 모두 금메달을 땄다.그들은 계속해서 2016-17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3위를 했다.그들은 또한 2017년 미국 전국선수권대회에서도 3위를 차지했다.

마지막 주니어 세계선수권대회에 출전한 이들은 스텝 순서에서 레벨 1만 받은 뒤 쇼트댄스 7위에 올랐다.카펜터는 프리댄스에서의 트위즐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고, 프리댄스 부문에서는 6위를 차지했으며, 전체 순위 7위에 머물렀다.[10]

2017-2018 시즌

시니어 국제 무대에 데뷔한 맥나마라/카펜터는 레이크플래시드 아이스댄스 인터내셔널에서 우승했다.당초 챌린저 시리즈 2개 종목에 배정된 이들은 2017 CS 가을 클래식 인터내셔널에서 5위, 2017 CS 핀란디아 트로피에서 8위를 차지했다.그 후 그들2017년 중국컵에서 5위를 차지하며 그랑프리 데뷔전을 치렀다.카펜터는 고위직으로의 이직을 반성하며 "우리가 잃을 것이 없다는 것을 알고 최선을 다했다"고 말했다.여기까지 온 경험을 살려 그 속에서 빌드업해 나갈 것이다.[11]그랑프리에 이어 세 번째 챌린저에서 경쟁했고, 2017 CS 바르샤바컵에서도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국내 시니어 자격으로 출전한 이들은 2018 미국선수권대회에서 6위에 올랐다.미국 상위 3개 팀이 올림픽 팀에 배정되면서 맥나마라/카펜터가 2018 타이베이 4대륙 선수권 대회에 파견됐다.맥나마라/카르펜터는 타이베이에서 4위를 차지했는데, 그 중 맥나마라는 "우리가 원하는 대로, 튼튼하고 깨끗한 두 개의 스케이트가 정확히 진행되었다고 생각한다.우리에게는 좋은 데뷔라고 생각한다."[12]

2018-2019 시즌

두 번째 시니어 시즌에 맥나마라/카펜터는 레이크플래시드 아이스댄스 인터내셔널에서 챔피언으로 거듭나기 시작했다.챌린저 대회인 2018 CS 온드레지 네펠라 트로피에서 은메달을 딴 뒤 2018년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4위를 차지하며 프리댄스 3위에 오른 티파니 자호르스키/조나단 게레로에게 뒤진 시상대를 아슬아슬하게 놓쳤다.[13]시즌 두 번째 그랑프리 대회에서 그들은 프리댄스에서 두 번의 연장 리프트 감점에도 불구하고 2018 헬싱키 그랑프리 대회에서 동메달을 땄다.맥나마라 감독은 첫 그랑프리 메달을 자랑스럽게 여겼다.[14] 이후 그들은 제2의 챌린저인 2018 CS 잉게 솔라 메모리얼과 겨루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8 미국 선수권대회인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맥나마라/카펜터 선수가 4위를 차지하며 국내 최고의 메달을 획득했다.[15]

2019-2019 시즌

레이크플래시드 아이스댄스 인터내셔널에서 다시 시즌을 시작한 맥나마라/카펜터가 동메달을 획득했다.챌린저 시리즈에서는 2019 CS 온드레지 네펠라 기념관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그 후, 부상으로 인해 그들은 그들의 첫 그랑프리2019년 프랑스 인터네셔널에서 물러날 수밖에 없었다.[16]그들은 2019년 NHK 트로피에서 9위를 차지하며 두 번째 그랑프리 대회에 출전할 수 있었다.[17]

McNamara/Carpenter는 2020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6위를 차지했다.[18]이것은 카펜터가 2020년 4월 16일 아이스댄스에서 은퇴를 선언하면서 그들의 마지막 경쟁적인 모습임이 증명되었다.맥나마라는 새로운 파트너와 계속 스케이트를 탈 것이라고 말했다.[19]

2020-2019 시즌

7월 3일, 맥나마라는 이전 러시아의 안톤 스피리돈노프와의 새로운 파트너십을 발표했다.[20]그들은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한 여행 제한으로 인해 미국 스케이트 선수들이 주로 참석하는 2020년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그랑프리 데뷔를 하도록 배정되었다.[21]그들은 6위로 마쳤다.[22]그 시즌 후반에 미국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 데뷔한 그들은 그 곳에서도 6위를 했다.[23]

2021-2021 시즌

맥나마라·스피리도노프는 미국계 국제대회인 레이크플래시드 아이스댄스 인터내셔널과 2021년 US클래식 등 두 차례 대회에서 시즌을 시작해 각각 7위와 5위로 대회를 마쳤다.챌린저 시리즈에 데뷔한 이들은 2021년 오스트리아 CS컵에서 10위였다.[24]

그들의 두 번째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맥나마라/스피리도노프는 9위로 마쳤다.[24]

프로그램

스피리도노프와 함께

계절 리듬댄스 프리댄스 전시회
2021–2022
[25]
2020–2021
[26]

카펜터와 함께

계절 쇼트 댄스 프리댄스 전시회
2019–2020
[27]
  • 애니미 컨트롤 벤도
    Medialuna Tango Project에 의해

2018–2019
[28]
  • 왈츠: 데스데 엘 알마
    by Orquesta Color Tango de Roberto Alvarez
  • 탱고: 퀘점브로소
    오르케스타 클로르 탱고 데 로베르토 알바레스
  • 포르츠 고레트
    얀 티에센에 의해
  • 미러 - 모던 피아노
    피아노로
  • 펜 아르 로크
    얀 티에센에 의해
2017–2018
[29]
  • 애니미 컨트롤 벤도
    Medialuna Tango Project에 의해
2016–2017
[30]
2015–2016
[31][1]
2014–2015
[2][32]
  • 아프리카의 심장
    바이 네이처 라운지 클럽

2013–2014
[33]
2012–2013
[34]
2011–2012
[2]
2010–2011
  • 왈츠:
  • 탱고:
2009–2010
2008–2009
  • 인형 프로그램
2007–2008
2006–2007

경쟁력 강조 사항

GP: 그랑프리; CS: 챌린저 시리즈; JGP: 주니어 그랑프리

스피리도노프와 함께

국제[24]
이벤트 20–21 21–22
GP 스케이트 아메리카 6일
CS 오스트리아의 컵 10일
레이크플래시드 IDI 7일
US 클래식 5일
내셔널
미국 챔프. 6일 9일
ISP 포인트 도전 6일
TBD = 할당됨

카펜터와 함께

2012-2013~2019~2019년

2015-16 JGP 결승 시상대 맥나마라/카펜터(가운데)
국제[35]
이벤트 12–13 13–14 14–15 15–16 16–17 17–18 18–19 19–20
사대륙 4일
GP 컵 오브 차이나 5일
GP 핀란드 3번째
GP 프랑스. WD
GP NHK 트로피 9일
GP 스케이트 아메리카 4일
CS 알펜 트로피 두 번째
CS 가을 클래식 5일
CS 핀란디아 8일
CS 골든 스핀 4일
CS 옹드레 네펠라 두 번째 3번째
CS 바르샤바 컵 두 번째
레이크플래시드 IDI 첫 번째 첫 번째 3번째
국제:주니어[35]
주니어 월드스 9일 4일 두 번째 첫 번째 7일
JGP 파이널 3번째 첫 번째 3번째
JGP 벨라루스 첫 번째
JGP 체코 하원의원 3번째 첫 번째
JGP 프랑스. 6일
JGP 독일. 두 번째
JGP 라트비아 두 번째
JGP 폴란드 첫 번째
JGP 슬로베니아 첫 번째
JGP 터키 4일
JGP 미국 첫 번째
토루이 컵 제1회 J
내셔널[2]
미국 챔프. 제3회 J 제2의 J 제1회 J 제1회 J 제3회 J 6일 4일 6일
동부 종파 제1회 J
TBD = 할당됨, WD = 철회됨
수준: J = 주니어

2006-2007~2011~2012년

내셔널[2]
이벤트 06–07 07–08 08–09 09–10 10–11 11–12
미국 선수권 대회 제6회 N 제9회 J 제3회 J
미국 주니어 챔프. 제4회 V 4번째 I
동부 지역 예선 4번째 I 제4회 N 제3회 J
퍼시픽 예선 제2의 J
남대서양 지역 대회 제6회 V
레벨: V = 청소년, I = 중간, N = 초보, J = 주니어
미국 대회에서만 수여되는 4위 퓨터 메달.

참조

  1. ^ a b "Lorraine MCNAMARA / Quinn CARPENTER: 2015/2016".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7, 2016.{{cite web}}: CS1 maint : 부적합한 URL(링크)
  2. ^ a b c d e f "Lorraine McNamara / Quinn Carpenter". IceNetwork.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27, 2016.
  3. ^ a b Shaffer, Jonas (March 26, 2016). "Two local ice-dancing pairs back from Hungary and closer than ever". Baltimore Sun.
  4. ^ Lee, Joon (July 20, 2016). "Move over, Detroit: This D.C.-area school is growing ice-dancing champions, too". Washington Post.
  5. ^ "Lorraine McNamara & Quinn Carpenter". ice-dance.com. October 1, 2008.
  6. ^ Stevens, Colin (February 20, 2013). "Montgomery County ice dancers heading to World Juniors". Gazette.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3, 2013. Retrieved May 26, 2017.
  7. ^ Slater, Paula (June 15, 2015). "McNamara and Carpenter: 'Never count yourself out'". Golden Skate.
  8. ^ Slater, Paula (December 13, 2015). "McNamara and Carpenter: Ready for 'Carmen'". Golden Skate.
  9. ^ Flade, Tatjana (20 March 2016). "McNamara and Carpenter take World Junior title". Golden Skate.
  10. ^ Flade, Tatjana (March 18, 2017). "USA's Rachel and Michael Parsons clinch Junior World title". Golden Skate.
  11. ^ Mammoser, Scott (November 5, 2017). "Papadakis and Cizeron set record scores in Beijing". Golden Skate.
  12. ^ Slater, Paula (January 25, 2018). "Hawayek and Baker take Four Continents ice dance title". Golden Skate.
  13. ^ Slater, Paula (October 21, 2018). "Hubbell and Donohue pocket tenth Grand Prix medal at 2018 Skate America". Golden Skate.
  14. ^ Slater, Paula (November 3, 2018). "Stepanova and Bukin win first Grand Prix gold in Helsinki". Golden Skate.
  15. ^ Mammoser, Scott (January 27, 2019). "Hubbell and Donohue defend U.S. ice dance title". Golden Skate.
  16. ^ "U.S. Figure Skating Announces Grand Prix Series Withdrawals". U.S. Figure Skating Fan Zone. October 10, 2019.
  17. ^ "NHK Trophy Concludes, United States Earns Two More Entries to Grand Prix Final". U.S. Figure Skating Fan Zone. November 23, 2019.
  18. ^ Slater, Paula (January 26, 2020). "Chock and Bates reclaim U.S. National title in Ice Dance". Golden Skate.
  19. ^ McNamara, Lorraine (April 16, 2020). "As the 2019-2020 season is officially behind us, Quinn has made the decision to retire from competitive skating" (Instagra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12-24.
  20. ^ McNamara, Lorraine (July 3, 2020). "Anton Spiridonov and I are excited to announce the beginning of our partnership!" (Instagra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12-24.
  21. ^ "2020 Skate America". International Figure Skating. October 20, 2020.
  22. ^ Slater, Paula (October 26, 2020). "Hubbell and Donohue defend Skate America title for third consecutive win". Golden Skate.
  23. ^ "2021 Toyota U.S. Figure Skating Championships". U.S. Figure Skating.
  24. ^ a b c "Competition Results: Lorraine MCNAMARA / Anton SPIRIDONOV". International Skating Union.
  25. ^ "Lorraine MCNAMARA / Anton SPIRIDONOV: 2021/2022".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30, 2022.{{cite web}}: CS1 maint : 부적합한 URL(링크)
  26. ^ "Lorraine MCNAMARA / Anton SPIRIDONOV: 2020/2021".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3, 2020.{{cite web}}: CS1 maint : 부적합한 URL(링크)
  27. ^ "Lorraine MCNAMARA / Quinn CARPENTER: 2019/2020". International Skating Union.
  28. ^ "Lorraine MCNAMARA / Quinn CARPENTER: 2018/2019".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18, 2019.{{cite web}}: CS1 maint : 부적합한 URL(링크)
  29. ^ "Lorraine MCNAMARA / Quinn CARPENTER: 2017/2018".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20, 2018.{{cite web}}: CS1 maint : 부적합한 URL(링크)
  30. ^ "Lorraine MCNAMARA / Quinn CARPENTER: 2016/2017".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3, 2017.{{cite web}}: CS1 maint : 부적합한 URL(링크)
  31. ^ Brannen, Sarah. S (August 7, 2015). "The Inside Edge: Dance duo aims for mature look". IceNetwork.com.
  32. ^ "Lorraine MCNAMARA / Quinn CARPENTER: 2014/2015".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0, 2015.{{cite web}}: CS1 maint : 부적합한 URL(링크)
  33. ^ "Lorraine MCNAMARA / Quinn CARPENTER: 2013/2014".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 2014.{{cite web}}: CS1 maint : 부적합한 URL(링크)
  34. ^ "Lorraine MCNAMARA / Quinn CARPENTER: 2012/2013".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9, 2013.{{cite web}}: CS1 maint : 부적합한 URL(링크)
  35. ^ a b "Competition Results: Lorraine MCNAMARA / Quinn CARPENTER". International Skating Union.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