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스 셰이커스
Los Shakers로스 셰이커스 | |
---|---|
![]() | |
배경 정보 | |
기원 | 몬테비데오 |
장르 | 록, 프로토펑크, 차고 록, 비트 음악, 사이키델릭 록 |
년 활동 | 1964–1969, 1971, 2005 |
레이블 | EMI |
관련 행위 | 루벤 라다, 루이스 알베르토 스피네타, 마날, 리토 네비아 |
회원들 | 휴고 파토루소 오스발도 파토루소 † 로베르토 "펠린" 카포비아코 † 카를로스 "카이오" 빌라 † |
로스 셰이커스는 1960년대 인기 록밴드였으며 중남미 우루과이 침공의 일부였다. 그들은 비틀즈의 외모와 소리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1][2] 1960년대 후반에 그들은 1969년에 해체하기 전에 음악적 방향을 넓히고 확장했다.[1][2]
역사
이 밴드는 1964년 우루과이 몬테비데오에서 비틀즈가 주연한 영화 <하드 데이즈 나이트>[1][2]를 본 후 우고 파트로루소(리듬 기타)와 오스발도 파트로루소(리듬 기타) 형제가 결성했다. 그들은 비틀즈를 본떠서 만들었고 심지어 비슷한 헤어스타일과 옷까지 채택했다.[1] 이 밴드는 그들의 위치에도 불구하고 영어로 많은 노래를 불렀고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큰 인기를 얻었지만 다른 중남미 국가들에서도 인기를 얻었다.
그들은 아르헨티나에 있는 EMI의 오데온 레이블과 계약했다.[1] The Shakers로 기록된 첫 번째 싱글은 1964년 말 "Break it All"로 아르헨티나 차트에서 9위에 올랐다. [3]자칭 앨범은 1965년 후반에 발매되었다.[1] 분명한 이유로, 이 밴드는 거의 전적으로 라틴 아메리카에만 관심을 집중시켰지만, 1966년 미국에 기반을 둔 Audio Fidelity 레이블에 Break it All이라는 앨범을 발매하면서 영어권 시장에서 한 가지 돌파구를 열었다.[1] 음반(원래 LP에 많은 곡들을 재녹음한 버전과 비틀즈의 'Ticket to Ride'의 스페인어 버전까지 수록한 음반)은 미국에서 호기심에 지나지 않았고 히트도 아니었지만,[1] 두 번째 앨범인 'Shakers For You'(1966년 발매)와 마찬가지로 수십 년 후에 컬렉터 아이템이 되었다. 두 앨범 모두 2007년에 보너스 트랙과 함께 CD로 재발매되었다.
사이키델리아를 향한 움직임을 반영하듯, 그들의 음악은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갔다. 1968년에 발매된 그들의 마지막 스튜디오 앨범인 La Conferencia secreta del Toto's Bar는 캔덤비와 몇몇 탱고 사운드에 사이키델릭적인 영향을 혼합했다;[1] 이 앨범은 라틴 아메리카의 Sgt로 묘사되어 왔다. 페퍼의 Lonely Hearts 클럽 밴드. 하지만 그들의 음반 회사(EMI)는 이 새로운 소리를 승인하지 않았고, 아무런 홍보나 지원 없이 그들을 떠났고, 그것은 밴드의 분열로 이어졌다. 2005년에는 원래의 라인업이 재결합하여 CD 보너스 트랙을 녹음하여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등에서 활약하였다. 로스 셰이커스는 그 후 곧 헤어질 것이다.
기타리스트 겸 드러머인 오스발도 파토루소는 2012년 7월 29일 64세의 나이로 암으로 사망했다.
회원들
- Hugo Fattoruso - 리드 보컬, 기타, 피아노, 하모니카
- Osvaldo Fattoruso - 기타, 보컬
- 로베르토 "펠린" 카포비앙코 - 베이스 기타, 밴도논, 백 보컬
- 카를로스 "카이오" 빌라 - 드럼, 백 보컬
음반 목록
앨범
- 로스 셰이커스 (1965)
- Break It All(1966; 미국 전용 릴리즈)
- 셰이커 포 유(1966)
- 라 콘퍼런스니아 시큐라 델 토토의 술집 (1968년)
- 엔 엘 에스투디오 오트라 베즈(1971년, 셰이커즈로) (오직 멤버 펠린과 카이오만이 이 앨범의 일부였고, 새로운 밴드인 셰이커즈로 불렸다. 파트로루소 형제와의 원래의 라인업은 특색없었다.)
- A 로스 셰이커즈(1981년, (오트로셰이커로) (파트로루소 형제들이 다시 만나 로스 셰이커즈로서의 과거를 기리고 비틀즈에게 작별인사를 하며 헌정곡도 부른다.)
- 보너스 트랙(2005)
싱글스
- "Sige Buscando (계속 검색)" / "Solo En Tus Ojos (Only In Your Eyes)" (1965년 5월; Odeon Pops DTOA-8041)
- "롬판 토도 (Break It All)" / "마스 (Maas (More)" (1965년 7월, 오데온 팝스 DTOA-8042)
- "No Molestar (Do Not Distance)" / "Déjame Ir (Let Me Go)" (1965년 10월; Odeon Pops DTOA-8106)
- "Quieres Por Please (Won't You Please)" / "No Esta Mal (It's not Bad)" (1966년 1월; Odeon Pops DTOA-8131)
- "Diles (Tell Them)" / "No Juegues (Stop The Game)" (1966년 3월; Odeon Pops DTOA-8153)
- "미셸" / "마이 보니" (1966년 5월; 오데온 팝스 DTOA-8160)
- "오미 아미고 (오 마이 프렌드)" / "샘프레 투 (항상 너)" (1966년 6월; 오데온 팝스 DTOA-8167)
- "무차치타 (소녀)" / "데자메 솔로 (Let Me Alone)" (1966년 8월; 오데온 팝스 DTOA-8168)
- "Submarino Amarillo (노란 잠수함)" / "에스페로 퀘 레스 구스트 042 (I Hope You'll Like It 042)" (1966년 9월; Odeon Pops DTOA-8212)
- "Nunca Nunca (Never Never)" / "Déjame Decirte (Let Me Tell You)" (1966년 11월; Odeon Pops DTOA-8220)
- "펠로타 데 고마 로자 (빨간 고무공)" / "노 라임즈 마스 포르 텔레포노, 네나 (더 이상 전화하지 마, 베이비)" (1967년 1월, 오데온 팝스 DTOA-8252)
- "La Tierra De Las Mil Danzas (The Land Of A Thousand Of A Thousand Dances)" / "Alleuya (할렐루야)" (1967년 2월; Odeon Pops DTOA-8275)
- "마릴루 (Peek-A-Boo)" / "시 로 수피에라 마마 (If I know Mother)" (1967년 5월; Odeon Pops DTOA-8277)
- "쿠안도 텐가 세센타 Y 쿠아트로 (내가 육십사 살 때)" / "어려운 롤라 (러블리 롤라)" (1967년 9월; 오데온 팝스 DTOA-8331년)
- "미 티아 클레멘티나 (내 클레멘타인 숙모)" / "엘 피노 Y 라 로사 ( 소나무와 장미)" (68년 5월; 오데온 팝스 DTOA-8392)
- "라 마라냥자" (2019년 7월 19일 몬테비데오 음악 그룹) (디지털 - 아이튠즈, 스포티파이, 유튜브 뮤직만 해당)
컴필레이션스
- Archivo Secreto(1967, Odeon Pops; 비공식 릴리스/부틀)
- La Vigencia De Los Shakers(1976, EMI SLPE 500.569)
- Los Ineditos De Los Shakers(1977, EMI 6186)
- 올 더 베스트(1999, CD, Hitland 8022090400142)
- "포르 프레스!(2000, CD, 빅 비트 레코드, CDWIK201)
- 로스 셰이커 + 셰이커 포 유(CD, Circolo Del Disco Productszione, CDDP XXV AGADU)
참고 항목
참조
외부 링크
- 공식 사이트
- 로스 셰이커스의 전기와 음반 목록 AllMusic.com
- 로스 셰이커스의 음반 목록 Discogs.com
- La Conferencia Secreta Del Toto의 술집 검토 (영어)
- 로스 셰이커스의 비디오 "Break it All"
- 유튜브 LA 쉐이커스의 다양한 컬러/B&W 영상
- 로스 셰이커스 (스페인어)
- 로스 셰이커스에 대한 정보(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