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타 슈미드
Lothar Schmid로타 슈미드 | |
---|---|
![]() 1961년 오버하우젠 슈미드 | |
풀네임 | 로타 막시밀리안 로렌츠 슈미드 |
나라 | 독일. |
태어난 | 독일 드레스덴의 라데벌 | 10 1928년 5월
죽은 | 2013년 5월 18일 독일 밤베르크 | (85세)
제목 |
|
피크 등급 | 2550년(1971년 1월) |
ICCF 최고 등급 | 2691년 (1992년 7월) |
로타 막시밀리안 로렌츠 슈미드(Lothar Maximilian Lorenz Schmid, 1928년 5월 10일 ~ 2013년 5월 18일)는 독일의 체스 대장이었다.드레스덴 인근[1][2] 라데불에서 독일 칼 메이 어드벤처 소설을 출간한 칼 메이 프레스(Karl May Press)의 공동 소유주 집안으로 태어났다.
그는 몇몇 세계 체스 챔피언십 경기의 최고 결정자로 가장 잘 알려져 있는데, 특히 1972년 레이캬비크에서 바비 피셔와 보리스 스파스키의 만남이 그랬다.그는 또한 체스 서적과 부차적인 수집가였다.그가 세계에서 가장 큰 개인 체스 도서관을 소유하고 있는 것은 물론,[3] 세계적으로 유명한 체스 예술품, 체스 보드, 체스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는 평이 있었다.
선수생활
독일 선수권 대회
1941년, 13세의 나이에 슈미드는 그의 체스 경력의 시작을 알리는 드레스덴 체스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1943년 빈(독일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2위를 차지했다.1947년 6월 위센펠스(SBZ-ch)에서 게르하르트 파이퍼와 공동 1위를 했다.1948년 4월 칼 아에스가 우승하자 셀레에서 공동 2위에 올랐다.1948년 9월 에센에서 열린 독일 체스 풀 챔피언십(12회 GER-ch)에서 공동 4위에 올랐다.이 대회는 볼프강 운지커가 우승했다.1949년 5월, 배드 파이몬트(13회 GER-ch)에서 3위를 차지했다.이 대회는 에핌 보골주보가 우승했다.1949년 8월 그로르흐스도르프에서 공동 1위에 올랐다.1955년 10월, 같은 해 뉘른베르크에서 열린 예선전에서 우승하면서 회흐스트(FRG-ch)에서 클라우스 다가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1959년 10월 뉘른베르크(5FRG-ch)에서 운지커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국제 토너먼트 및 경기
1950년 밤베르크에서 웨이드와 4 대 4로 비겼다.1951년, 그는 트레블뮌데에서 우승했다.1951-52년에는 헤이스팅스에서 3위(스베토자르 글리고리치 우승)를 차지했다.1953년에는 베네치아 에스테반 운하에 이어 공동 2위에 올랐다.1954년에는 취리히와 배드 키신에서 우승했다.1956년 고텐부르크에서 우승했다.1957년, 그는 더블린에서 4위를 차지했는데, 루드벡 파흐만이 우승한 지역 예선 토너먼트였다.1961년에는 주리히에서 공동 4위에 올랐다.1963년에는 말라가에서 공동 2위에 올랐다.1964년, 그는 "야생지"에서 열린 남아프리카 오픈에서 우승했다.1968년 고향인 밤베르크에서 옥스퍼드 체스의 동반자 폴 케레스(Paul Keres)에 이어 당시 세계 챔피언이었던 티그란 페트로시안(Tigran Petrosian)[3]과 공동 2위에 올랐다.[3]1970년에는 마르 델 플라타를 수상하였다.1971년, 그는 애들레이드에서 다른 두 명과 동률 2위를 했다.1979년 루가노에서 공동 3위에 올랐다.1980년에는 빅토르 코르치노이와 블라스티밀 호르트를 제치고 BBC의 마스터 게임 시리즈 5편을 수상하였다.
올림피아드
로타 슈미드는 11명의 체스 올림피아드에서 서독에서 뛰었다.[4]
- 1950년 두브로브니크에서 열린 제9회 올림피아드 2차 보드(+7-1=4)
- 1952년 헬싱키에서 열린 제10회 올림피아드 2차 보드(+7-1=4)
- 1954년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제11회 올림피아드 2기(+6-4=3)에서
- 1956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12회 올림피아드 2차 보드(+4-2=7)
- 1958년, 뮌헨에서 열린 제13회 올림피아드 제3회 보드에서 (+6-3=4)
- 1960년 라이프치히에서 열린 제14회 올림피아드 2차 보드(+7-2=5)
- 1962년 바르나에서 열린 제15회 올림피아드 제3차 이사회에서 (+4-2=2)
- 1964년, 제16회 올림피아드 텔아비브 3차 이사회에서 (+7-2=5)
- 1968년 제18회 올림픽 루가노(+6-0=6)에서 두 번째 보드에 올랐다.
- 1970년 제19회 올림피아드 지겐(+7-1=4)에서 두 번째 보드에 올랐다.
- 1974년 제21회 올림피아드 니스(+5-3=7)에서 첫 승선
단체전
개인 은메달 4개(1950년, 1952년, 1968년, 1970년)와 팀 동메달 2개(1950년, 1964년)를 획득했다.[4]
대표팀을 대표해 클레어 베네딕트컵에도 12차례 출전했다.그는 1957-73년에 금메달 9개,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를 땄다.
통신 체스
통신 체스에서는 제1회 독일 선수권(1950–1952)과 제1회 에두아르 다크호프 메모리얼(1954–1956)을 제2회 세계 통신 선수권(1956–1959)에서 비아체슬라프 라고진에 이어 루치우스 엔젤린스와 함께 2위를 차지했다.
국제 타이틀
슈미드는 1951년에 국제 마스터 타이틀을, 1959년에 그랜드마스터 타이틀을 받았다.[1]
결정자
슈미드는 1975년에 인터내셔널 Arbiter 타이틀을 받았다.[1]피셔-스파스키 1972, 카르포프-코르치노이 1978, 카스파로프-카르포프 1986년 세계선수권대회, 피셔-스파스키 1992년 '리벤지 매치'의 수석 결정위원이었다.
슈미드는 배우 브렛 왓슨이 연기한 1972년 피셔와 스파스키의 대결을 그린 2014년 바비 피셔 전기영화 '볼프 희생'에 출연했다.
수집기
그가 소장하고 있는 많은 희귀한 책들 중에는 1497년 살라망카에서 출판된 최초의 인쇄된 체스 매뉴얼인 레페시온 다모레스 이 아르테 드 아제드레스 중에서 살아남은 10권만이 있었다.[5]
주목할 만한 게임
- 슈미드 vs.월터 살만, 에센 1948년, 12번째 GER-ch, 시칠리아, 카멜레온, B20, 1–0
- 에핌 보골주보 vs. 슈미드, 배드 피르몬트 1949, 13번째 GER-ch, 스카치 게임, 슈미드 감빗, C47, 0–1 데스페라도 피스!
- 슈미드 vs.헤르만 스타이너(미국), 두브로브니크 1950, 제9회 올림피아드, 시칠리아, 오켈리 변주, B28, 1-0
- 후안 카를로스 곤잘레스 자모라(CUB) vs. 슈미드, 헬싱키 1952년, 제10회 올림피아드, 잉글리시 오프닝, 킹스 잉글리쉬 변주, 리버스 시칠리아, A21, 0–1 클래식 엔딩 마스터리시.
- 슈미드 vs. 폴 케레스(URS), 텔아비브 1964, 16회 올림피아드, 루이 로페즈, 클로즈드, C92, 1-0 길고 소모적인 전투 끝에 화이트가 블랙의 저항을 무너뜨렸다.
- 그랜텔 깁스(HKG) 대 슈미드, 루가노 1968, 제18회 올림피아드, 알렉신의 수비, B02, 0-1 최단시간 결정전.
- 슈미드 vs.벤트 라르센, 산 후안 1969, 시칠리아, 리히터-라우저 변주, B60, 1-0
- 슈미드 vs. 안톤 킨젤(AUT), 지겐 1970, 제19회 올림피아드, 러시아 게임, 모던 어택, C43, 1-0 최우수 게임상 수상자.
참조
- ^ a b c Gaige, Jeremy (1987), Chess Personalia, A Biobibliography, McFarland, p. 377, ISBN 0-7864-2353-6
- ^ "Lothar Schmid: 1928–2013". ChessBase. 19 May 2013. Retrieved 19 May 2013.
- ^ a b c Hooper, David; Whyld, Kenneth (1996) [First pub. 1992], "Schmid, Lothar Maximilian Lorenz", The Oxford Companion to Chess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p. 358, ISBN 0-19-280049-3
- ^ a b 슈미드, 로타 팀 체스 기록 olimpbase.org
- ^ The Telegraph, London, 2013년 5월 20일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로타 슈미드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웨이백 머신에서 FIDE에서 로타 슈미드 등급 카드(2012-06-07)
- ICCF의 로타 슈미드 선수 세부 정보
- Chessgames.com에서 로타 슈미드 선수 프로필 및 게임
- 슈미드의 체스 도서관에 관한 토막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