림프절 조직검사
Lymph node biopsy림프절 조직검사 | |
---|---|
ICD-9-CM | 40.11 |
메드라인플러스 | 003933 |
로인크 | 66112-4 |
림프절 조직검사는 림프절이나 림프절의 일부를 현미경으로 검사하기 위해 제거하는 검사(참조: 조직검사 참조)
림프계는 림프관에 의해 연결된 여러 개의 림프절로 이루어져 있다. 이 노드는 감염과 싸우는 백혈구(림프세포)를 생산한다. 감염이 있으면 림프절이 붓고, 백혈구가 더 많이 생기고, 감염을 일으키는 유기체를 가두려고 시도한다. 림프절은 또한 암세포를 가두려고 한다.
영상 연구에는 CXR, 복부, 체스트, 골반, 목 및 PET 스캔의 CT 스캔이 포함된다.
CBC, ESR, 혈청 페리틴, 골수 흡인.
적응증
이 테스트는 림프절 확대(수혈선 또는 림프선염)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것은 또한 림프절의 종양이 암인지 암이 아닌지를 결정할 수 있다. 확대된 림프절은 매우 가벼운 감염에서 심각한 악성종양에 이르는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양성 상태는 종종 현미경 검사에 의해 암 및 전염 과정과 구별될 수 있다. 또한 병리학자는 진단을 돕기 위해 림프절 조직에 대한 추가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citation needed]
비정상적인 값을 얻는 조건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암의 확산을 평가하기 위해 림프절 생체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림프절제술 참조#with_sentinel_node_bi circular.
그러나 초기, 얇은 흑색종을 평가하기 위한 Sentinel 림프절 조직검사는 생존이 개선되는 것으로 보여지지 않았으며, 이 때문에 수행해서는 안 된다.[1] 현장에서 흑색종을 앓고 있는 T1a 흑색종이나 T1b 흑색종 0.5mm는 암이 림프절까지 전이될 위험이 낮고 5년 생존율이 높아 이런 종류의 조직검사는 불필요하다.[1]
절차
검사는 병원 내 수술실이나 외래환자 수술시설에서 한다. 샘플을 얻을 수 있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바늘생검
바늘 생검은 샘플을 얻기 위해 바늘을 노드에 삽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환자는 진찰대 위에 누워 있고, 생검 부위는 깨끗하며, 국소마취제를 주사한다. 그런 다음 조직 검사 바늘을 노드에 삽입한다. 시료를 제거하고, 출혈을 멈추기 위해 현장에 압력을 가하며, 붕대를 감는다.
오픈 생검
열린 조직검사는 외과적으로 노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환자는 진찰대 위에 누워 진정제를 투여받는다. 생검 부위 위의 피부는 정화하고 국소마취제를 주사한다(마찰로 일반마취제를 투여한다). 작은 절개를 하고, 림프절이나 절개의 일부를 제거한다. 그런 다음 봉합으로 절개를 닫고 붕대를 감는다.
그리고 나서 그 샘플은 병리학으로 보내진다.
이 검사로는 감염이나 출혈의 가능성이 적다. 또한 신경에 가까운 림프절에 조직검사를 할 때 신경손상, 국소마비, 저림 등의 위험이 중간 정도 있다.
참조
- ^ a b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February 2013), "Five Things Physicians and Patients Should Question", Choosing Wisely: an initiative of the ABIM Foundation,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retrieved 5 December 2013, 어느 것을 인용하는가.
- Bichakjian, C. K.; Halpern, A. C.; Johnson, T. M.; Foote Hood, A.; Grichnik, J. M.; Swetter, S. M.; Tsao, H.; Barbosa, V. H.; Chuang, T. Y.; Duvic, M.; Ho, V. C.; Sober, A. J.; Beutner, K. R.; Bhushan, R.; Smith Begolka, W.; American Academy Of, D. (2011). "Guidelines of care for the management of primary cutaneous melanoma".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65 (5): 1032–1047. doi:10.1016/j.jaad.2011.04.031. PMID 21868127.
-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2010). Stephen B. Edge (ed.). AJCC cancer staging manual (7th ed.). New York: Springer. ISBN 978-0-387-88440-0.
-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2012),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n oncology (NCCN Guidelines): melanoma (PDF), Fort Washington, Pennsylvania: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8 December 2013, retrieved 5 December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