림프절제술
Lymphadenectomy림프절제술 | |
---|---|
![]() | |
기타 이름 | 림프절 절개 |
ICD-9-CM | 40.2-40.5 |
림프절제술 또는 림프절 절개술은 하나 이상의 림프절 그룹을 수술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1] 그것은 거의 항상 암의 외과적 관리의 일환으로 행해진다. 국부 림프절 절개에서는 종양 부위의 림프절 일부가 제거되고, 과격한 림프절 절개에서는 종양 부위의 림프절 대부분이 제거된다.[2][3][4]
적응증
많은 종류의 암이 자연사 초기에 림프절 전이를 일으키는 경향이 뚜렷하기 때문에 보통 행해진다. 이는 특히 흑색종, 머리와 목암, 차별화된 갑상선암, 유방암, 폐암, 위암, 대장암에 해당된다. 영국의 유명한 외과의사 버클리 모이니한은 "암 수술은 장기의 수술이 아니라 임파계의 수술"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림프절제술의 가장 잘 알려진 예로는 유방암을 위한 축간 림프절 절개, 머리와 목암과 갑상선암을 위한 급진적인 목 절개, 위암을 위한 D2 림프절제술, 직장암을 위한 총중간절개술 등이 있다.
Sentinel 노드 생검 포함
임상 1단계와 2단계 유방암의 경우 축 림프절 해부는 먼저 보초절 조직검사를 시도한 후에만 수행해야 한다.[5] Sentinel 노드 생검은 양성 림프절이 있는 경우 액실라의 암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5] 또한 림프절제술을 하는 것보다 부작용이 적고 림프부종을 일으킬 확률이 훨씬 낮다.[5] Sentinel 림프절에 암이 없는 경우, 차축 림프절 절개를 수행해서는 안 된다.[5]
하나 또는 두 개의 Sentinel 노드가 광범위하지 않은 암을 가지고 있는 경우, 축관절개술을 시행하지 않고 암에 걸린 사람은 암 단계에 적합한 유방치유 수술과 항암치료를 받아야 한다.[5]
Sentinel 림프절 매핑 사용
센티넬 림프절 매핑의 개념은 도널드 모튼 등이 대중화했다.[citation needed] 다양한 1차 부위의 암(가슴, 흑색종, 대장 등)은 제1차 배수 림프 분지 초기에 전이되는 경우가 많다. 이 과정은 장기 및 림프 채널의 1차 부지에 따라 해부학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첫 번째 노드(센티넬 노드)는 종양 부위 근처에 주입된 림파주린, 메틸렌 블루, 인도 잉크, 라디오 라벨 콜로이드 단백질 입자 등의 미립자 표지로 식별할 수 있다. 배출 센티넬 노드는 외과의사에 의해 발견될 수 있고 종양 세포가 존재하는 경우 병리학자의 확인을 위해 배설될 수 있으며, 이러한 종양 세포는 드물고 세심한 검사나 면역 화학적 특수 얼룩과 같은 기법을 사용함으로써만 쉽게 인식될 수 있다. Sentinel 노드에 종양 세포가 없을 때, 이것은 전체 림프 분지에서의 전이로부터의 자유에 대한 예측이 높기 때문에 전체 노드 해부를 피할 수 있다.
센티넬 림프절 매핑의 관행은 종양에 대해 음의 센티넬 림프절을 가진 환자에 대해 형식적인 림프절 절개를 유지하고 종양 전이 양성인 센티넬 림프절을 가진 환자에 대해서는 완전한 노드 절개를 지시함으로써 많은 암 시스템에서 수술적 접근법을 변화시켰다. 예를 들어 2단계 유방암에서는 보초 림프절 기법을 사용하여 환자의 65%가 공식적인 노드 해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citation needed]
합병증
림프부종은 림프절제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림프 조직을 광범위하게 절제하면 림프관이 형성될 수 있다.
사타구니 림프절 절개 후 상처 배수를 삽입하면 혈종, 상처 탈피,[6] 상처 감염 등의 합병증을 줄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참고 항목
참조
- ^ Wagman LD. Pazdur R, Wagman LD, Camphausen KA, Hoskins WJ (Eds) 암 관리: 다학제 접근법 2008년 11월 11일.
- ^ "Lymph node dissection". NCI Dictionary of Cancer Terms.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1-02-02. Retrieved 30 July 2012.
- ^ "Lymphadenectomy". NCI Dictionary of Cancer Terms.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1-02-02. Retrieved 30 July 2012.
- ^ "Radical lymph node dissection". NCI Dictionary of Cancer Terms.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1-02-02. Retrieved 30 July 2012.
- ^ a b c d e 다양한 1차 연구 연구를 인용한다American College of Surgeons (September 2013), "Five Things Physicians and Patients Should Question", Choosing Wisely: an initiative of the ABIM Foundation,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retrieved 2 January 2013.
- ^ Thomson, David R; Sadideen, Hazim; Furniss, Dominic (2014-01-20), The Cochrane Collaboration (ed.), "Wound drainage following groin dissection for malignant disease in adult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Chichester, UK: John Wiley & Sons, Ltd (11): CD010933, doi:10.1002/14651858.cd010933.pub2, PMID 25387103, retrieved 2020-07-11
외부 링크
이 글에는 미국 국립 암 연구소(National Cancer Institute) 문서의 공용 도메인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