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Naghten rules

M'Naghten rules
다니엘 므나겐 c. 1856

맥노튼 규칙(M'Naghten rule)정신이상에 대한 방어를 정의하는 법적 시험으로, 1843년 상원에 의해 처음으로 제정되었습니다. 이는 영국 형법에서 확립된 표준이며,[1]: 5 일부 미국 주(현재 또는 이전) [2]기타 관할 구역에서도 판례법 또는 법령에 따라 버전이 채택되었습니다. 원래 문구는 다음과 같이 제안된 배심원 지침입니다.

모든 사람은 제정신으로 추정되어야 하고, 정신이상을 이유로 변호를 하기 위해서는, 피고인이 그러한 이성의 결함, 정신질환, 그가 하는 일의 본질과 자질을 알지 못하고, 그가 그것을 알고 있다면, 그가 무엇을 잘못하고 있는지 알지 못할 것입니다.[3]: 632

이 규칙은 1843년 Daniel M'NaghtenEdward Drummond를 살해한 혐의로 무죄 판결을 받은 것에 대한 반응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므나그텐은 드러먼드를 의도된 목표물이었던 영국의 수상 로버트 필로 잘못 인식한 후 총을 쐈습니다.[4] 정신 이상(현대적인 형태로는 지금까지 전례가 없는 방어 행위)을 근거로 한 므나겐의 무죄 판결은 기득권층과 언론의 항의로 대중의 분노를 일으켰고, 심지어 빅토리아 여왕이 로버트 필에게 '평결의 광범위한 해석'을 요구하는 편지를 쓰게 했습니다.[5] 상원은 중세시대의 판사들에게 질문할 수 있는 권리를 사용했습니다. 재판관들에게 질문할 수 있는 권한을 사용했습니다. 재판관들은 공동 탄원서의 수석 재판관니콜라스 코닝햄 틴달 경이 주재했습니다. 정신이상의 방어에 관한 일련의 가상적인 질문들을 했습니다. 이 패널에 의해 설명된 원칙은 "M'Naghten Rules"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M'Naghten 자신도 재판에서 그들이 적용되었더라면 유죄 판결을 받았을 것입니다.[6][7]

M'Naghten's Case 1843 10 C & F 200으로 공식화된 규칙 [8]또는 그 변형은 보통법 또는 법령에 의해 제정된 다양한 관할 구역에서 정신 장애가 있는 피고와 관련하여 형사 책임에 대한 표준 테스트입니다. 규칙이 정한 검사가 충족되면 피고인은 "정신이상의 이유로 무죄" 또는 "죄질은 있으나 정신이상"의 판결을 받을 수 있고, 그 은 안전한 병원시설에서 의무적이거나 재량적인(그러나 보통은 불확실한) 치료기간이 될 수 있으므로, 징벌적 처분 대신 법원의 재량(국가 및 범죄 혐의에 대한 depending)에 따라 또는 그렇지 않은 경우.

역사적 전개

다니엘 므나겐

정신이상자의 형사책임 면제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형사재판에서 정신적 불능이 피고인에 대한 방어로서 성공적으로 제기된 경우: 연민의 논리를 적용하여 형사책임과 관련하여 공공정책을 적용하고, 범죄의 정의가 요구하는 필요한 정신적 의사를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을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박탈당한 경우 그 사람을 처벌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잘못된 것임을 인정하는 것. 명백하게 정신질환자를 국가가 처벌하는 것은 형벌체계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공리주의적이고 인도주의적인 접근은 사회의 이익이 치료에 의해 더 잘 제공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역사적으로 정신이상은 관용의 근거로 여겨졌습니다. 영국의 노르만 시대 이전에는 뚜렷한 형법 규정이 없었는데, 살인자는 "창을 사거나 견디거나"라는 원칙에 따라 피해자의 가족에게 보상금을 지급할 수 있었습니다. 정신이상자의 가족은 그 범죄에 대해 어떠한 보상도 지불할 것으로 기대되었습니다. 노르만 시대에 정신이상은 그 자체로 방어가 아니라 배심원들이 유죄 평결을 내리고 피고를 국왕에게 회부하여 사면을[9] 받게 하는 특별한 상황으로 여겨졌습니다.

Rv Arnold 1724 16 How St. Tr. 765, 정신이상에 대한 검사는 다음과 같이 표현되었습니다.

피고인이 자신의 이해력과 기억력을 완전히 상실하고 "야생 짐승이나 짐승이나 유아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었는지 여부.

그 다음 주요 발전은 Hadfield의 Trial 1800 27 How St.에서 일어났습니다. 일부 망상하에 행해진 죄가 망상이 진실하였더라면 면책이 되었을 경우에만 면책이 된다고 판시한 제765조. 예를 들어, 이것은 피고인이 빵 조각을 자르고 있다고 상상할 때 상황을 처리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사람의 목을 자르고 있습니다.

각 관할 구역마다 정신 이상 방어에 대한 고유한 기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여러 관할권을 기반으로 하는 모든 경우에 하나 이상의 표준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므나겐 규칙

귀족원은 이 규칙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배심원들은 모든 경우에 모든 사람이 제정신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그와 반대로 그들이 만족하는 것으로 증명될 때까지, 자신의 범죄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할 충분한 이유가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정신이상을 이유로 한 변호를 하기 위해서는, 그 행위를 저지를 때에, 피소된 당사자는 자신이 하고 있는 행위의 본질과 자질을 알지 못할 정도로, 정신의 질병으로부터, 또는 그것을 알고 있다면, 자신이 무엇을 잘못하고 있는지 모를 정도로, 이성의 결함 아래에서 일하고 있었습니다.[8]

이 정의의 핵심 쟁점은 "피고가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았거나, 만약 그렇다면 그것이 잘못되었다는 것인가?"라고 진술할 수 있으며, 제기된 쟁점은 이후의 항소심 판결에서 분석되었습니다.

제정신과 입증책임의 추정

정상성은 반박 가능한 추정이고 입증 책임은 그것을 부인하는 당사자에게 있습니다. 입증 기준은 확률의 균형에 있습니다. 즉, 정신적 무력이 그렇지 않을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입니다. 이 부담이 성공적으로 해소되면 의지하는 당사자는 성공할 자격이 있습니다. 1963 AC 386 북아일랜드의 브래티프 검찰총장에 대한 데닝 경의 판결에서, 피고가 그의 정신 상태에 대해 문제를 제기할 때마다, 검찰은 정신 이상의 증거를 제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일반적으로 자동화 또는 책임 감소가 문제될 때에만 발생합니다. 실질적인 측면에서 보면, 피고 측은 형사 책임을 부정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정신적 능력의 문제를 제기할 가능성이 더 높을 것입니다. 1972년 Rv Clarke 1972 1 All ER 219에서 소매치기 혐의로 기소된 한 피고인은 그녀가 우울증을 앓아 돈을 지불하지 않고 무작정 가게를 떠났기 때문에 남자들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검찰이 이것이 정신이상에 해당한다는 증거를 규칙 내에 제출하려고 했을 때, 그녀는 유죄로 인정을 바꿨지만, 항소심에서 법원은 그녀가 규칙에 따라 변호를 제기하기 보다는 단지 남성의 영역을 부인하고 있었다고 판결했고 그녀의 유죄 판결은 기각되었습니다. 규칙은 사유의 하자가 상당한 경우에 한하여 적용된다는 것이 일반적인 규정이었습니다.

마음의 병

규칙 안에서 특정한 상태가 정신의 질병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의학적인 문제가 아니라 통상의 해석규칙에 따라 결정하여야 할 법적인 문제이다. 마음의 이상을 일으키는 모든 질병은 마음의 질병이며 뇌 자체의 질병일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이 용어는 여러 조건을 포괄하기 위해 개최되었습니다.

  • Rv Kemp[1957] 1QB 399 동맥경화증 또는 동맥경화로 인해 통제력이 상실된 상태에서 피고인이 아내를 망치로 공격했습니다. 이것은 내적인 상태였고 마음의 병이었습니다.
  • Rv Sullivan [1984] AC 156에서 간질 에피소드 중 피고는 심각한 신체 손상을 입혔습니다. 뇌전증은 내적인 상태이자 정신의 질병이었고, 국가가 일시적이라는 사실은 무관했습니다.
  • Rv Quick; Rv Paddison [1973] QB 910[11] 사건에서 피고인은 자신이 복용한 인슐린, 자신이 섭취한 알코올, 제대로 먹지 않은 상태에서 저혈당 상태로 폭행을 가하였습니다. 판사는 자동화에 대한 방어를 그에게 열어두었어야 한다고 판결했기 때문에 그의 유죄 판결은 기각되었습니다(그는 정신 이상을 이유로 무죄를 주장했다). 여기서 내외분설이 처음 표출된 곳인데, 아마도 설탕 덩어리로 치료될 수 있는 조건으로 누군가를 입원시키는 것을 사법적으로 꺼렸기 때문일 것입니다. 배심원단이 자동화에 대한 옹호를 받아들였을지는 의문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제는 그들에게 맡겨야 했습니다.
  • Rv Hennessy[1989] 1 WLR 287에서[12] 한 당뇨병 환자가 스트레스로 인한 가벼운 고혈당증 발작과 인슐린 복용 실패로 고통을 받는 동안 차를 훔쳐 운전했습니다. 레인 LCJ는 294에서

    우리의 판단에 따르면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증은 의심할 여지 없이 외부 요인의 작동의 결과일 수 있지만, 우리에게는 그 자체로 자동화 상태를 유발하거나 기여할 수 있는 법률상의 외부 요인이 아닌 것 같습니다. 그들은 재발하기 쉬운 정신 상태를 구성합니다. 그들은 새로움이나 사고의 특징이 결여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Rv Sullivan 1984 AC 156, 172에서 Diplock 경이 그린 구별의 기초입니다. 이것은 방금 Hill v Baxter (1958) 1 QB 277, 285에서 언급한 Devlin J.의 관찰과는 반대입니다. 우리의 판단으로는 머리에 일격을 가하거나 마취제를 투여하는 것과 같은 어떤 외부적인 물리적 요인의 예외 범위에 속하지 않습니다.

  • Brattyv 북아일랜드 검찰총장[1963년]에서 AC[13] 386 Denning 경은 몽유병 중에 저지른 범죄가 자신에게 자동자로 보이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그러나, Rv Sullivan에서 마음의 질병이 영구성을 가질 필요가 없다는 판결은, 외부적인 인과 요인의 명확한 증거가 없는 한, 많은 학자들이 몽유병자들이 내적인 원인이 있는 마음의 질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밝혀질 수 있다고 제안하게 만들었습니다.
  • Rv Burgess [1991] 2 QB 92 판결에서 항소법원은 몽유병 중 비디오 녹화기로 여성을 때려 부상을 입힌 피고는 M'Naghten Rules에 따라 정신이상자라고 판결했습니다. 레인 경은 "우리는 수면이 정상적인 상태라는 것을 받아들이지만, 이 사건의 증거는 몽유병, 특히 수면 중 폭력이 정상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줍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의 정신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을 명확히 구분했습니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재발 위험에 기초하고 있으며, 호주 고등법원은 정신 장애가 일시적이고 재발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입증되었을 때 자동화의 방어를 고려할 수 없다고 표명했습니다.[14] 그러나 내분과 외분의 구분이 어렵기 때문에 정신이상과 자동화의 구분이 어렵습니다. 많은 질병은 내부 원인으로 간주되는 소인과 외부 원인으로 간주되는 침전제가 결합된 소인으로 구성됩니다. 몽유병 중에 행해진 행동은 보통 "비본성 자동화"로 간주되지만, 종종 알코올과 스트레스는 몽유병을 유발하고 그들을 폭력적으로 만들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인슐린을 복용하면서도 제대로 먹지 않는 당뇨병 환자, 그것이 내적인 원인인가요 아니면 외적인 원인인가요?

행위의 성질과 성질

이 말은 도덕적인 질보다는 행위의 물리적 성격과 질을 가리킵니다. 피고인이 신체적으로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모르는 상황을 다루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두 가지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 피고인은 자신이 빵 한 덩어리를 자르고 있다는 착각에 빠져 여자의 목을 베고,
  • 피고인은 자고 있는 남자가 잠에서 깨어나서 그것을 찾는 것을 보는 것이 매우 재미있을 것이라는 착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남자의 머리를 잘라냅니다.

특히 정신이상의 망상으로 인해 범죄를 저질렀을 경우, 그 사람을 용서할 수 있는지에 대해 심사위원들에게 질문했습니다. 그들은 그가 그러한 부분적 망상하에서만 일하고, 다른 측면에서 정신이상이 아니라면, "망상이 존재하는 사실이 실제인 것처럼 책임과 같은 상황에서 그를 고려해야 한다"고 대답했습니다. 이 규칙은 피고인들이 사실을 믿고 위 해드필드의 재판을 따르도록 하고 있습니다. 만약 망상이 피고가 멘즈레아를 가지는 것을 막지 못한다면 방어할 수 없을 것입니다. Rv Bell 1984 Crime에서. LR 685 피고인은 신의 지시에 따라 "그곳은 마치 비밀스러운 사회 같았다, 나는 그것에 맞서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하고 싶었다"는 이유로 휴가 캠프의 입구를 통과하는 승합차를 부쉈습니다. 피고인이 자신의 행위를 알고 있었으므로 자동화의 상태도, 정신이상의 상태도 될 수 없었을 것이고, 신이 자신에게 이런 일을 하라고 했다고 믿었다는 사실은 단지 자신의 동기에 대한 설명을 제공했을 뿐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이 법적 의미에서 잘못된 것임을 알지 못하게 하지 않았다고 판시하였습니다.

그 행위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 조항의 해석은 사법 당국 간 논란의 대상이며, 관할권마다 다른 기준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Windle 1952 2QB 826; 1952 2 All ER 1246 사건에서 "잘못되었다"는 것은 도덕적으로 잘못되었다기 보다는 법적으로 잘못되었다는 뜻으로 해석되었고, 피고는 아스피린 과다 복용으로 아내를 죽였습니다. 그는 경찰에 전화를 걸어 "그들이 이 일로 저를 교수형에 처해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는 피고인이 정신질환을 앓고 있음에도 자신의 행위가 잘못되었음을 인식하고 있었고, 이에 대한 항변이 허용되지 않음을 보여주기에 충분하다고 판시하였습니다. 이러한 해석에 의할 경우 정신질환자가 자신의 행위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음을 알고 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지만, 그들의 정신상태로 인하여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는 행위와 자신의 행위를 형법의 요건에 적합하도록 하는 사회적 요건 사이의 연관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고 할 것입니다.

이러한 행위가 도덕적으로 잘못된 것이라는 지식이 결여된 피고인이 M'Naghten 기준을 충족하는 대조적인 해석의 한 예로, 피고인이 정신이상자의 항변을 제기한 뉴욕주의 사건에서 배심원에게 제공해야 할 지시가 있습니다.

... "wrong"라는 용어와 관련하여, 정신 질환이나 결함의 결과로 그 행위가 법에 어긋나거나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도덕 원칙에 어긋난다는 것을 알거나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한 경우, 그 행위가 잘못된 것임을 알거나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한 사람.

M'Naghten 사건과 관련하여 상원에 제출된 조사 결과에 명시된 기준의 해석에 대한 당국의 다른 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만약, 1843년에 상원이 질문한 질문에 대한 판사들의 대답이 입법 성격의 새로운 선언이 아니라 당시 존재했던 판례법에 비추어 읽히는 것이라는 점이 인정된다면, 스테이플턴 사건에 대한 [호주] 고등법원의 분석은 설득력이 있습니다. M'Naughten의 재판 이전과 재판 당시 정신 이상의 방어에 관한 광범위한 판례법에 대한 그들의 철저한 검토는 판사들이 M'Naghten 규칙에서 "잘못된"을 사용한 배경 개념으로 존재하는 것이 합법이 아닌 도덕이었다는 것을 설득력 있게 확립합니다.[17]

엄격책임범

DPP v Harper (1997)에서 정신이상은 일반적으로 엄격한 책임 범죄에 대한 방어가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이 사건에서 피고인은 과음 상태로 운전을 하고 있었습니다. 정의상 피고인은 운전행위의 본질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고, 음주운전이 법적으로 잘못된 것임을 알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피고인이 알고 있는 다른 특징은 무관합니다.

배심원의 기능

1991년[18] 영국 형사소송법 제1조(불경죄변론부합)는 배심원은 적어도 1인 이상의 특별한 경험이 있는 2인 이상의 등록된 의료인의 서면 또는 구두 증거를 제외하고는 "피고인은 정신이상의 이유로 유죄가 아니다"라는 특별한 평결을 반환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정신 장애의 현장 이를 위해서는 배심원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상반된 의료 증거 사이에서 결정해야 할 수도 있지만, 법은 더 나아가 배심원이 그러한 결론에 도달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사실이나 주변 상황이 있는 경우 전문가와 의견을 달리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양형

1964년 영국 형사소송법(Insanity) 제5조(개정)에 의거:[19]

  1. 판결이 관련된 범죄에 대한 형량이 법률에 의해 확정된 경우(예: 살인), 법원은 퇴원 및 기타 권리를 제한하는 제한 명령과 함께 병원 명령(1983조 제37조 정신보건법 참조)을 내려야 합니다(1983조 제41조 정신보건법 참조).
  2. 그 밖에 법원이 할 수 있는 경우:
    • 병원 명령(제한 명령 유무);
    • 감독 명령; 또는
    • 전역 명령

비평

현재 이 법에 대해 크게 네 가지 비판이 있었습니다.

  • 의학적 무관 – 정신이상에 대한 법적 정의는 1843년 이후 크게 발전하지 않았습니다. 1953년 영국 왕립 사형 위원회는 의사들이 그 법적 정의가 더 이상 쓸모가 없고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간주했다는 증거를 제시했습니다. 이러한 구분은 다음과 같은 부조리를 초래했습니다.
    • 법적 정의로는 충분하지만, 살인의 경우 의무적인 입원을 명령할 수 있습니다. 만약 피고인이 의학적으로 제정신이 아니라면, 의학적 치료를 요구할 의미가 거의 없습니다.
    • 1998년 인권법에 의해 영국법으로 수입된 유럽인권협약 제5조는 객관적인 의학적 전문지식에 대한 적절한 고려가 이루어진 경우에만 정신이상자를 구금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이 점이 다투어진 사례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 비효과성 – 현재 규칙은 공공의 위험을 나타내는 피고와 그렇지 않은 피고를 구별하지 않습니다. 당뇨병과 뇌전증 같은 질병은 약물로 통제할 수 있어 환자들이 일시적인 정신 능력 이상을 가질 가능성이 적지만, 법은 이를 인정하지 않습니다.
  • 살인에 대한 선고 – 정신 이상이 발견되면 병원에 무기한 감금되는 것이 좋을 수도 있고, 살인에 대한 유죄 판결은 10년에서 15년 사이의 확정적인 선고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선택에 직면하면, 피고인들은 후자의 선택의 확실성을 선호할 수도 있습니다. 살인죄법 제2조 제1항의 감경된 책임의 항변은 양형과 관련하여 법관의 재량이 더 큰 과실치사죄에 대한 유죄판결을 감경하게 될 것입니다.
  • 범위 – 실질적인 문제는 피고인이 "정신적 장애" 하에서 노동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 책임을 부정하기 위한 필요조건이 되어야 하는지 여부, 즉 검사가 수행되고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고,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것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무능력을 요구해야 하는지 여부, 또는 무언가를 하고 싶은 충동을 제어하여 장애와 잠재적인 범죄 행위 및 부작위 사이의 인과 관계를 입증합니다. 예를 들어, 아일랜드 정신이상 변호에는 M'Naghten Rules와 피고인이 정신 질환으로 인한 이유의 결함으로 인해 행동을 자제하는 것이 금지되었는지를 묻는 통제 테스트가 포함됩니다(Doyle v Wicklow County Council 1974 참조). 55 IR 71. 버틀러 위원회는 심각한 정신 장애의 증명은 책임을 부정하는 것으로 충분해야 한다고 권고했습니다. 이는 심각한 정신 장애의 증명으로 인해 발생하는 무책임에 대한 반박할 수 없는 가정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는 형사책임의 기준을 설정하기보다는 단순히 일종의 정신기능장애의 증거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형사책임의 결여를 전제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이 견해에 따르면, 법은 단순한 정신과적 진단이 아닌 과실에 맞추어져야 합니다.

대안규칙

정신이상 방어 기사에는 여러 가지 대체 테스트가 있습니다. 이 테스트는 다른 시간과 장소에서 사용되었습니다. 한 예로, ALI 테스트는 1980년대까지 여러 해 동안 미국의 많은 지역에서 M'Naghten 규칙을 대체했습니다. John HinckleyRonald Reagan 미국 대통령을 저격한 후, 많은 ALI 주들이 M'Naghten의 변형으로 돌아갔습니다.[3]: 615

판례

픽션으로

M'Naghten 규칙은 John Grisham의 법적 스릴러인 Time to Kill의 중심에 있습니다. M'Naghten 규칙은 줄거리가 설정된 미국 미시시피주에서 적용되며, 이를 사용하는 것이 변호사 주인공이 의뢰인을 구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참고사항 및 참고사항

  1. ^ Law Commission (July 2013). Criminal Liability: Insanity and Automatism (PDF) (Discussion Paper).
  2. ^ Wex Definitions Team (June 2020). "M'naghten rule". Wex. Legal Information Institute.
  3. ^ a b 형법 판례와 자료, 7th Ed. 2012, Wolters Kluwer Law & Business; John Kaplan, Robert Weisberg, Guyora Binder, ISBN 978-1-4548-0698-1, [1]
  4. ^ M’Naghten's Case [1843] All ER Rep 229
  5. ^ Asokan, T. V. (2007). "Daniel McNaughton (1813-1865)". Indian Journal of Psychiatry. 49 (3): 223–224. doi:10.4103/0019-5545.37328. ISSN 0019-5545. PMC 2902100. PMID 20661393.
  6. ^ Carl Elliott, 정신이상의 규칙: 도덕적 책임과 정신질환자, SUNY Press, 1996, ISBN 0-7914-2951-2, p.10
  7. ^ Molan, Michael T.; Bloy, Duncan; Lanser, Denis (2003). Modern Criminal Law (5 ed.). Routledge Cavendish. p. 352. ISBN 1-85941-807-4.
  8. ^ a b United Kingdom House of Lords Decisions. "DANIEL M'NAGHTEN'S CASE. May 26, June 19, 1843". British and Irish Legal Information Institute. Retrieved 1 June 2012.
  9. ^ 워커, N. (1968) 영국의 범죄와 광기역사적 관점. vol. 1, 에든버러 대학 출판부; 스티븐, 형법사, 151; 2 Pollock & Maitland, 영국법사, 480
  10. ^ Bracton, England Law and Customs II.424.24–27 (1210)
  11. ^ "R v Quick & Anor [1973] EWCA Crim 1 (18 April 1973)". BAILII.
  12. ^ "Hennessy, R. v [1989] EWCA Crim 1 (27 January 1989)". BAILII.
  13. ^ "Bratty v Attorney General of Northern Ireland [1961] UKHL 3 (03 October 1961)". BAILII.
  14. ^ Rv Falconer (1990) 171 CLR 30 at 30 AUSTLII
  15. ^ "CJI2d[NY] INSTRUCTIONS OF GENERAL APPLICABILITY". New York State Unified Court System. Retrieved 21 January 2018.
  16. ^ "Jury Instructions for trying plea of "INSANITY (LACK OF CRIMINAL RESPONSIBILITY BY REASON OF MENTAL DISEASE OR DEFECT) Penal Law S.40.15"" (PDF). New York State Unified Court System. Retrieved 5 August 2012.
  17. ^ Morris, Norval (October 1953). ""wrong" in the M'naughten Rules". The Modern Law Review. 16 (4): 435–440. doi:10.1111/j.1468-2230.1953.tb02133.x.
  18. ^ "Criminal Procedure (Insanity and Unfitness to Plead) Act 1991". legislation.gov.uk.
  19. ^ "Criminal Procedure (Insanity) Act 1964". legislation.gov.uk.

서지학

  • 볼랜드, F. (1996) "불경, 아일랜드 헌법과 유럽인권협약" 47 북아일랜드 법적 분기 260
  • Bucknill, J. C. (1881). "The Late Lord Chief Justice of England on Lunacy". Brain. 4: 1–26. doi:10.1093/brain/4.1.1.
  • 버틀러 위원회. (1975). 정신적으로 비정상적인 범죄자들을 위한 버틀러 위원회, 런던: HMSO, Cmnd 6244
  • Dalby, J.T. (2006). "The Case of Daniel McNaughton: Let's get the story straight". American Journal of Forensic Psychiatry. 27: 17–32.
  • Ellis, J. W. (1986). "The Consequences of the Insanity Defense: Proposals to reform post-acquittal commitment laws". Catholic University Law Review. 35: 961.
  • Gostin, L. (1982). "인권, 사법심사와 정신장애범"(1982) 범죄. LR 779.
  •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법률개혁위원회. 형사절차와 정신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들, 프로젝트 제69호, 1991. 8. [2]
  • Elliott, Catherine; Quinn, Frances (2000). Criminal Law (Third ed.). Harlow, Essex: Pearson Education Ltd. pp. 241–248. ISBN 978-0-582-42352-7.

참고 항목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