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트윈스
LG TwinsLG 트윈스 | |||||
---|---|---|---|---|---|
LG 트윈스 | |||||
| |||||
정보 | |||||
리그 | KBO 리그 (1982년 ~ 현재) | ||||
위치 | 서울 | ||||
야구장 | 잠실야구장(1982년 ~ 현재) | ||||
설정된 연도 | 전 ( | ||||
리그 챔피언십 | 1990, 1994 | ||||
한국 시리즈 우승 | 1990, 1994 | ||||
이전 이름 | MBC 충룡(1982년 ~ 1989년) | ||||
색상 | 검정, 밤색, 회색 | ||||
폐기된 번호 | 9, 33, 41 | ||||
소유권 | LG상사 | ||||
부장님 | 류지현 | ||||
제너럴 매니저 | 차명석 | ||||
웹 사이트 | www | ||||
유니폼 | |||||
|
LG 트윈스(LG Twins, LG Twins)는 한국 프로 야구 서울특별시를 연고지로 하는 야구단이다.그들은 KBO 리그에 소속되어 있다.트윈스는 라이벌인 두산 [1]베어스와 공유하는 잠실 야구장에서 홈경기를 치른다.
역사
이 클럽은 문화방송이 소유한 MBC 청용이라는 이름으로 1982년에 창단되었다.1982년 시즌 초반에는 동대문 야구장에서 경기를 했고, 시즌 후반에는 현재의 홈구장인 잠실 야구장으로 옮겼다.
청용은 처음에 일본 프로야구에서 19시즌을 보낸 선수 겸 감독인 백인춘이 이끌었다.38세의 백병호는 1982년 타율 [2]0.412로 리그를 이끌었다.백은 감독 시절 희생번트, 도루,[2] 희생플라이 등 일본식 스몰볼 기술을 팀에 도입했다.비록 팀이 1982년에 .500점을 넘어섰지만, 백은 시즌 후 팀에서 쫓겨났다.
1989년 LG상사에 인수되었고 LG상사는 구단명을 LG트윈스로 변경하였다.이듬해, 트윈스는 백인춘과 함께 첫 한국 시리즈 우승을 차지하였다.1994년에 그들은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한국시리즈 MVP는 두 시리즈 모두 김용수였고 그의 등번호 41번은 나중에 은퇴했다.하지만 2002년 한국시리즈에 마지막으로 등판한 뒤 2013년까지 11년 동안 포스트시즌에 오르지 못했다.2013년, LG 트윈스는 정규 시즌에서 2번 시드를 획득하여 플레이오프 시리즈에 진출하였으나, 두산 베어스에 밀려 탈락하였다.2014년부터 2021년까지 트윈스는 포스트시즌에 5번 출전했지만 한국시리즈에 복귀하지 못했다.2021년 현재, 그들의 27년간의 우승 가뭄은 리그에서 두 번째로 길다.
시즌별 기록
계절 | 스타디움 | 리그 | 끝내라. | 정규 시즌 | 포스트시즌 | 어워드 | ||||||||
---|---|---|---|---|---|---|---|---|---|---|---|---|---|---|
순위 | 게임. | 이김. | 손실 | 그리다 | 이익 % | BA | 인사 | 시대 | ||||||
MBC 청용 | ||||||||||||||
1982 | 동대문야구장 | KBO | 3/6 | 3/6 | 40 | 22 | 18 | 0 | .550 | .282 | 65 | 3.51 | 자격 미달 | |
잠실야구장 | 3/6 | 40 | 24 | 16 | 0 | .600 | ||||||||
1983 | KBO | 2/6 | 3/6 | 50 | 25 | 24 | 1 | .510 | .256 | 45 | 2.72 | 잃어버린 한국 시리즈 vs.해태 타이거즈(0-1-4) | ||
1/6 | 50 | 30 | 19 | 1 | .612 | |||||||||
1984 | KBO | 4/6 | 3/6 | 50 | 27 | 22 | 1 | .551 | .253 | 47 | 3.19 | 자격 미달 | ||
3/6 | 50 | 24 | 26 | 0 | .480 | |||||||||
1985 | KBO | 5/6 | 5/6 | 55 | 24 | 31 | 0 | .436 | .246 | 37 | 3.24 | 자격 미달 | ||
6/6 | 55 | 20 | 34 | 1 | .370 | |||||||||
1986 | KBO | 3/7 | 4/7 | 54 | 28 | 22 | 4 | .560 | .265 | 37 | 2.78 | 자격 미달 | 김건우()ROTY | |
3/7 | 54 | 31 | 19 | 4 | .620 | |||||||||
1987 | KBO | 5/7 | 5/7 | 54 | 24 | 27 | 3 | .472 | .258 | 36 | 3.36 | 자격 미달 | ||
4/7 | 54 | 26 | 24 | 4 | .519 | |||||||||
1988 | KBO | 6/7 | 7/7 | 54 | 17 | 35 | 2 | .333 | .260 | 42 | 3.95 | 자격 미달 | 이용철(ROTY) | |
6/7 | 54 | 23 | 29 | 2 | .444 | |||||||||
1989 | KBO | 6/7 | 6/7 | 120 | 49 | 67 | 4 | .425 | .252 | 42 | 4.28 | 자격 미달 | ||
LG 트윈스 | ||||||||||||||
1990 | 잠실야구장 | KBO | 1/7 | 1/7 | 120 | 71 | 49 | 0 | .592 | .271 | 61 | 3.38 | 한국시리즈 우승 vs.삼성 라이온즈 (4-0) | 김동수(ROTY) |
1991 | KBO | 6/8 | 6/8 | 126 | 53 | 72 | 1 | .425 | .244 | 53 | 4.38 | 자격 미달 | ||
1992 | KBO | 7/8 | 7/8 | 126 | 53 | 70 | 3 | .433 | .257 | 108 | 4.29 | 자격 미달 | ||
1993 | KBO | 4/8 | 4/8 | 126 | 66 | 57 | 3 | .536 | .256 | 74 | 3.07 | 준플레이오프 승자와OB 베어(2~1) 플레이오프 패배 vs.삼성 라이온즈 (2-3) | ||
1994 | KBO | 1/8 | 1/8 | 126 | 81 | 45 | 0 | .643 | .282 | 88 | 3.14 | 한국시리즈 우승 vs.태평양 돌핀 (4-0) | 유지현(ROTY) | |
1995 | KBO | 3/8 | 2/8 | 126 | 74 | 48 | 4 | .603 | .257 | 79 | 3.21 | 플레이오프 패배 vs.롯데 자이언츠 (2-4) | ||
1996 | KBO | 7/8 | 7/8 | 126 | 50 | 71 | 5 | .417 | .246 | 98 | 4.11 | 자격 미달 | ||
1997 | KBO | 2/8 | 2/8 | 126 | 73 | 51 | 2 | .587 | .267 | 83 | 3.78 | 플레이오프 승리 vs.삼성 라이온즈(3승 2패 로스트코리안 시리즈 vs.해태 타이거즈 (1-4) | 이병규(ROTY) | |
1998 | KBO | 2/8 | 3/8 | 126 | 63 | 62 | 1 | .504 | .267 | 100 | 4.18 | 준플레이오프 승자와OB 베어(2~0) 플레이오프 승리 vs.삼성 라이온즈(3승 1) 로스트코리안 시리즈 vs.현대 유니콘스 (2-4) | ||
1999 | 매직 리그 | 3/8 | 3/4 | 132 | 61 | 70 | 1 | .466 | .281 | 145 | 5.49 | 자격 미달 | ||
2000 | 매직 리그 | 4/8 | 1/4 | 133 | 67 | 63 | 3 | .515 | .273 | 122 | 4.45 | 플레이오프 패배 vs.두산 베어스 (2-4) | ||
2001 | KBO | 6/8 | 6/8 | 133 | 58 | 67 | 8 | .464 | .276 | 85 | 5.13 | 자격 미달 | ||
2002 | KBO | 2/8 | 4/8 | 133 | 66 | 61 | 6 | .520 | .261 | 100 | 3.94 | 준플레이오프 승자와현대 유니콘스 (2-0) 플레이오프 승리 vs.KIA 타이거즈(3승 2) 로스트코리안 시리즈 vs.삼성 라이온즈 (2-4) | ||
2003 | KBO | 6/8 | 6/8 | 133 | 60 | 71 | 2 | .458 | .249 | 106 | 4.01 | 자격 미달 | ||
2004 | KBO | 6/8 | 6/8 | 133 | 59 | 70 | 4 | .457 | .259 | 102 | 4.38 | 자격 미달 | ||
2005 | KBO | 6/8 | 6/8 | 126 | 54 | 71 | 1 | .432 | .260 | 105 | 4.90 | 자격 미달 | ||
2006 | KBO | 8/8 | 8/8 | 126 | 47 | 75 | 4 | .385 | .246 | 81 | 4.22 | 자격 미달 | ||
2007 | KBO | 5/8 | 5/8 | 126 | 58 | 62 | 6 | .483 | .268 | 78 | 4.34 | 자격 미달 | ||
2008 | KBO | 8/8 | 8/8 | 126 | 46 | 80 | 0 | .365 | .256 | 66 | 4.88 | 자격 미달 | ||
2009 | KBO | 7/8 | 7/8 | 133 | 54 | 75 | 4 | .406 | .278 | 129 | 5.42 | 자격 미달 | ||
2010 | KBO | 6/8 | 6/8 | 133 | 57 | 71 | 5 | .445 | .276 | 121 | 5.23 | 자격 미달 | ||
2011 | KBO | 6/8 | 6/8 | 133 | 59 | 72 | 2 | .450 | .266 | 94 | 4.15 | 자격 미달 | ||
2012 | KBO | 7/8 | 7/8 | 133 | 57 | 72 | 4 | .442 | .261 | 59 | 4.02 | 자격 미달 | ||
2013 | KBO | 3/9 | 2/9 | 128 | 74 | 54 | 0 | .578 | .282 | 59 | 3.72 | 플레이오프 패배 vs.두산 베어스 (1-3) | ||
2014 | KBO | 4/9 | 4/9 | 128 | 62 | 64 | 2 | .492 | .279 | 90 | 4.58 | 준플레이오프 승자와NC 다이노스 (3-1) 플레이오프 패배 vs.넥센 히어로즈 (1-3) | ||
2015 | KBO | 9/10 | 9/10 | 144 | 64 | 78 | 2 | .451 | .271 | 114 | 4.62 | 자격 미달 | ||
2016 | KBO | 4/10 | 4/10 | 144 | 71 | 71 | 2 | .500 | .290 | 118 | 5.10 | 와일드카드 획득과KIA 타이거즈 (1-1)* 준플레이오프 승자와넥센 히어로즈(3승 1) 플레이오프 패배 vs.NC 다이노스 (1 ~ 3) | ||
2017 | KBO | 6/10 | 6/10 | 144 | 69 | 72 | 3 | .489 | .281 | 110 | 4.32 | 자격 미달 | ||
2018 | KBO | 8/10 | 8/10 | 144 | 68 | 75 | 1 | .476 | .293 | 148 | 5.29 | 자격 미달 | ||
2019 | KBO | 4/10 | 4/10 | 144 | 79 | 64 | 1 | .552 | .267 | 94 | 3.86 | 와일드카드 획득과NC 다이노스 (1-0) 준플레이오프와키움 히어로즈 (1-3) | ||
2020 | KBO | 4/10 | 4/10 | 144 | 79 | 61 | 4 | .564 | .277 | 149 | 4.37 | 와일드카드 획득과키움 히어로즈 (1-0) 준플레이오프와두산 베어스(0-2) | ||
2021 | KBO | 4/10 | 3/10 | 144 | 72 | 58 | 14 | .554 | .250 | 110 | 3.57 | 준플레이오프와두산 베어스 (1-2) |
팀.
현재의 라인업
플레이어 | 코치/기타 | |||||
---|---|---|---|---|---|---|
투수 시작 회전 불펜 가까이.
| 포수 내야수 | 외야수
| 부장님
코치
2018년 1월 6일 갱신 |
매니저
- 백인춘(1982)
- 김동엽(1983년)
- 어우홍(1984년 ~ 1985년)
- 김동엽(1986년 ~ 1987년)
- 유백만(1988년)
- 배성서(1989년)
- 백인춘(1989년 ~ 1991년)
- 이광환(1992년 ~ 1994년)
- 천보성(1995~1999년)
- 이광은(2000~2001)
- 김성근(2002)
- 이광환(2003)
- 이순철(2004년 ~ 2006년)
- 김재박(2007~2009)
- 박종훈 (2010~2011)
- 김기태(2012~2014)
- 양상문 (2014~2017)
- 류중일 (2018년 ~ 2020년)
- 류지현(2021년~현재)
대중문화에서
이 팀은 1994년 팀의 감독이 주인공인 tvN 드라마 응답 1994에서 두드러지게 등장했다.드라마에서 이 팀은 [3]LG상사와의 상표권 문제로 인해 "서울 트윈스"라는 다른 이름으로 언급된다.
레퍼런스
- 일반
- "Complete league history and statistics" (in Korean). Korean Baseball League. Retrieved 8 September 2017.
- 특정한
- ^ "Sports in Korea Korean Pro Baseball". english.visitkorea.or.kr. 4 March 2014. Retrieved 29 December 2016.
- ^ a b 현경 씨, 강 씨.코리아타임스(2017년 3월 9일자)는 야구: 한국 야구가 메이저리그 스타일로 전환하고 있다.
- ^ "응답하라 1994, LG트윈스를 왜 서울쌍둥이라 했을까?". Naver. November 19, 2013.
외부 링크
- 공식 웹사이트 (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