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라이온즈
Samsung Lions삼성 라이온즈 | |||||
---|---|---|---|---|---|
삼성 라이온즈 | |||||
| |||||
정보 | |||||
리그 | KBO 리그 (1982년 ~ 현재) | ||||
위치 | 대구 | ||||
야구장 |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2016년 ~ 현재) | ||||
설정된 연도 | 전 ( | ||||
리그 챔피언십 | 2001, 2002, 2005, 2006, 2011, 2012, 2013, 2014, 2015 | ||||
한국 시리즈 우승 | 1985, 2002, 2005, 2006, 2011, 2012, 2013, 2014 | ||||
구 구장 | 대구야구장(1982년 ~ 2015년) | ||||
색상 | 블루, 화이트, 그레이 | ||||
폐기된 번호 | 10, 22, 36 | ||||
소유권 | 제일기획 (삼성 자회사) | ||||
부장님 | 허삼영 | ||||
웹 사이트 | www | ||||
유니폼 | |||||
|
삼성스포츠의 현역부 | ||||||||||||||||||||||||||||||
---|---|---|---|---|---|---|---|---|---|---|---|---|---|---|---|---|---|---|---|---|---|---|---|---|---|---|---|---|---|---|
|
삼성스포츠 폐과 | ||||||
---|---|---|---|---|---|---|
|
삼성 라이온즈(Samsung Lions)[1]는 1982년에 창단된 한국 프로 야구 팀이다.그들은 대구 남동부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KBO 리그에 소속되어 있다.그들의 홈구장은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이다.한국시리즈에서 8승을 거뒀고 준우승도 10번 했다.삼성은 한국시리즈 4연패(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를 달성한 첫 팀이자 정규리그 5연패(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이기도 하다.
역사
삼성 라이온즈는 1982년에 KBO 리그 최초의 여섯 팀 중 하나로 창단되었다.그들은 1985년에 전반 40-14-1, 후반 37-18로 KBO 리그 역사상 최고의 한 시즌 승률로 통산 77-32를 기록하며 첫 우승을 차지했다.1985년 팀에는 두 명의 25승자인 김시진과 김일영이 있었는데, 라이온스가 그 해 두 시즌 모두 우승했기 때문에 한국 시리즈는 열리지 않았고 라이온스는 [2]바로 챔피언으로 선언되었다.
라이온스는 또한 2002년, 2005년, 2006년에 각각 최고 기록을 세우며 우승을 차지했다.2010년, 류정일은 삼성 라이온즈의 새로운 감독으로 영입되었다.그는 2011년에 팀을 리그 최고의 기록과 KBO의 다섯 번째 우승으로 이끌었다.KBO 리그 이후, 삼성 라이온즈가 아시안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삼성 라이온즈는 같은 해에 페넌트 레이스, 한국 시리즈, 아시아 시리즈에서 우승한 첫 번째 팀이 되었다.
2012년, 팀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선수들 중 한 명인 이승엽이 일본에서 한국으로 돌아왔다.그의 도움으로 삼성 라이온즈는 2012 시즌에 여섯 번째 우승을 차지하였다.그들은 2013년과 2014년에 두 번의 우승을 차지하여 총 8번의 한국 시리즈 [3][4]우승을 차지하였다.2016년에 삼성 라이온즈는 그들의 새로운 경기장인 대구 삼성 라이온즈 [5]파크로 이전했다.
시즌별 기록
계절 | 스타디움 | 리그 | 끝내라. | 정규 시즌 | 포스트시즌 | 어워드 | ||||||||
---|---|---|---|---|---|---|---|---|---|---|---|---|---|---|
순위 | 게임. | 이김. | 손실 | 그리다 | 이익 % | BA | 인사 | 시대 | ||||||
1982 | 대구야구장 | KBO | 2/6 | 2/6 | 40 | 26 | 14 | 0 | .650 | .266 | 57 | 2.70 | 잃어버린 한국 시리즈 vs.OB 베어(1~1~4) | |
1/6 | 40 | 28 | 12 | 0 | .700 | |||||||||
1983 | KBO | 4/6 | 5/6 | 50 | 21 | 26 | 3 | .447 | .263 | 90 | 3.42 | 자격 미달 | 이만수()MVP | |
2/6 | 50 | 25 | 24 | 1 | .510 | |||||||||
1984 | KBO | 2/6 | 1/6 | 50 | 32 | 18 | 0 | .640 | .270 | 78 | 3.35 | 잃어버린 한국 시리즈 vs.롯데 자이언츠(3승 4패) | ||
5/6 | 50 | 23 | 27 | 0 | .460 | |||||||||
1985 | KBO | 1/6 | 1/6 | 55 | 40 | 14 | 1 | .741 | .276 | 97 | 2.98 | 개최되지 않음[a] | ||
1/6 | 55 | 37 | 18 | 0 | .673 | |||||||||
1986 | KBO | 2/7 | 1/7 | 54 | 39 | 15 | 0 | .722 | .276 | 74 | 2.95 | 플레이오프 승리 vs.OB 베어(3~2) 로스트코리안 시리즈 vs.해태 타이거즈 (1-4) | ||
4/7 | 54 | 31 | 22 | 1 | .585 | |||||||||
1987 | KBO | 2/7 | 1/7 | 54 | 33 | 21 | 0 | .611 | .300 | 105 | 3.58 | 잃어버린 한국 시리즈 vs.해태 타이거즈 (0-4) | 장효조 (MVP) | |
1/7 | 54 | 31 | 23 | 0 | .444 | |||||||||
1988 | KBO | 3/7 | 5/7 | 54 | 23 | 30 | 1 | .435 | .278 | 85 | 4.18 | 플레이오프 패배 vs.빙그레 이글스 (0 ~ 3) | ||
2/7 | 54 | 33 | 20 | 1 | .620 | |||||||||
1989 | KBO | 4/7 | 4/7 | 120 | 57 | 58 | 5 | .496 | .272 | 96 | 4.42 | 자격 미달 | ||
1990 | KBO | 2/7 | 2/7 | 120 | 66 | 52 | 2 | .558 | .263 | 131 | 4.13 | 준플레이오프 승자와빙그레 이글스 (2-0) 플레이오프 승리 vs.해태 타이거즈(3-0) 로스트코리안 시리즈 대 LG 트윈스(0-4) | ||
1991 | KBO | 3/8 | 3/8 | 126 | 70 | 55 | 1 | .560 | .272 | 108 | 4.23 | 준플레이오프 승자와롯데 자이언츠 (2-1-1) 플레이오프 패배 vs.빙그레 이글스 (1 ~ 3) | ||
1992 | KBO | 4/8 | 4/8 | 126 | 67 | 57 | 2 | .540 | .265 | 124 | 4.55 | 준플레이오프와롯데 자이언츠 (0-2) | ||
1993 | KBO | 2/8 | 2/8 | 126 | 73 | 48 | 5 | .599 | .268 | 133 | 2.95 | 플레이오프 승리 대 LG 트윈스(3-2) 로스트코리안 시리즈 vs.해태 타이거즈 (2-1-4) | 김성래 (MVP) 양준혁()ROTY | |
1994 | KBO | 5/8 | 5/8 | 126 | 60 | 64 | 2 | .484 | .260 | 106 | 3.47 | 자격 미달 | ||
1995 | KBO | 5/8 | 5/8 | 126 | 60 | 60 | 6 | .500 | .250 | 94 | 3.90 | 자격 미달 | 이동수(ROTY) | |
1996 | KBO | 6/8 | 6/8 | 126 | 54 | 67 | 5 | .448 | .249 | 88 | 4.23 | 자격 미달 | ||
1997 | KBO | 3/8 | 4/8 | 126 | 66 | 53 | 7 | .552 | .277 | 165 | 4.23 | 준플레이오프 승자와쌍방울 레이더 (2-1) 플레이오프 패배 대 LG 트윈스(2-3) | 이승엽 (MVP) | |
1998 | KBO | 3/8 | 2/8 | 126 | 66 | 58 | 2 | .532 | .268 | 143 | 4.32 | LG 트윈스와의 플레이오프 패배(1-3) | ||
1999 | 매직 리그 | 4/8 | 1/4 | 132 | 73 | 57 | 2 | .562 | .273 | 207 | 5.16 | 플레이오프 패배 vs.롯데 자이언츠(3승 4패) | 이승엽 (MVP) | |
2000 | 드림 리그 | 3/8 | 3/4 | 133 | 69 | 59 | 5 | .539 | .269 | 177 | 4.64 | 플레이오프 패배 vs.현대 유니콘스 (0~4) | ||
2001 | KBO | 2/8 | 1/8 | 133 | 81 | 52 | 0 | .609 | .277 | 162 | 4.39 | 잃어버린 한국 시리즈 vs.두산 베어스 (2-4) | 이승엽 (MVP) | |
2002 | KBO | 1/8 | 1/8 | 133 | 82 | 47 | 4 | .636 | .284 | 191 | 3.92 | 한국시리즈 우승 vs LG 트윈스 (4-2패 | 이승엽 (MVP) | |
2003 | KBO | 4/8 | 3/8 | 133 | 76 | 53 | 4 | .589 | .284 | 213 | 4.37 | SK 와이번스와의 준플레이오프 패배(0-2) | 이승엽 (MVP) | |
2004 | KBO | 2/8 | 2/8 | 133 | 73 | 52 | 8 | .584 | .269 | 132 | 3.76 | 플레이오프 승리 vs.두산 베어스(3-1) 로스트코리안 시리즈 vs.현대 유니콘스 (2-3-4) | 배영수 (MVP) | |
2005 | KBO | 1/8 | 1/8 | 126 | 74 | 48 | 4 | .607 | .268 | 111 | 3.83 | 한국시리즈 우승 vs.두산 베어스 (4-0) | 오승환(ROTY) | |
2006 | KBO | 1/8 | 1/8 | 126 | 73 | 50 | 3 | .593 | .255 | 73 | 3.33 | 한국시리즈 우승 vs.한화 이글스(4-1-1) | ||
2007 | KBO | 4/8 | 4/8 | 126 | 62 | 60 | 4 | .508 | .254 | 86 | 3.71 | 준플레이오프와한화 이글스(1-2) | ||
2008 | KBO | 4/8 | 4/8 | 126 | 65 | 61 | 0 | .516 | .258 | 92 | 4.42 | 준플레이오프 승자와롯데 자이언츠 (3-0) 플레이오프 패배 vs.두산 베어스 (2-4) | 최형우(ROTY) | |
2009 | KBO | 5/8 | 5/8 | 133 | 64 | 69 | 0 | .481 | .275 | 146 | 4.98 | 자격 미달 | ||
2010 | KBO | 2/8 | 2/8 | 133 | 79 | 52 | 2 | .594 | .272 | 118 | 3.94 | 플레이오프 승리 vs.두산 베어스 (3-2) 로스트코리안 시리즈 vs.SK 와이번스 (0-4) | ||
2011 | KBO | 1/8 | 1/8 | 133 | 79 | 50 | 4 | .612 | .259 | 95 | 3.35 | 한국시리즈 우승 vs.SK 와이번스 (4승 1) | 배영섭(ROTY) | |
2012 | KBO | 1/8 | 1/8 | 133 | 80 | 51 | 2 | .611 | .272 | 89 | 3.44 | 한국시리즈 우승 vs.SK 와이번스 (4승 2) | ||
2013 | KBO | 1/9 | 1/9 | 128 | 75 | 51 | 2 | .595 | .283 | 113 | 3.99 | 한국시리즈 우승 vs.두산 베어스 (4-3) | ||
2014 | KBO | 1/9 | 1/9 | 128 | 78 | 47 | 3 | .624 | .301 | 161 | 4.52 | 한국시리즈 우승 vs.넥센 히어로즈 (4승 2) | ||
2015 | KBO | 2/10 | 1/10 | 144 | 88 | 56 | 0 | .611 | .302 | 176 | 4.70 | 잃어버린 한국 시리즈 vs.두산 베어스 (1-4) | 구자욱(ROTY) | |
2016 |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 KBO | 9/10 | 9/10 | 144 | 65 | 78 | 1 | .455 | .293 | 142 | 5.65 | 자격 미달 | |
2017 | KBO | 9/10 | 9/10 | 144 | 55 | 84 | 5 | .396 | .280 | 145 | 5.90 | 자격 미달 | ||
2018 | KBO | 6/10 | 6/10 | 144 | 68 | 72 | 4 | .486 | .288 | 146 | 5.19 | 자격 미달 | ||
2019 | KBO | 8/10 | 8/10 | 144 | 60 | 83 | 1 | .420 | .256 | 122 | 4.64 | 자격 미달 | ||
2020 | KBO | 8/10 | 8/10 | 144 | 64 | 75 | 5 | .460 | .268 | 129 | 4.78 | 자격 미달 | ||
2021 | KBO | 3/10 | 2/10 | 144 | 76 | 59 | 9 | .563 | .267 | 133 | 4.30 | 플레이오프 패배 vs.두산 베어스(0-2) |
- ^ 1985년 한국시리즈는 삼성 라이온즈가 정규리그 두 시즌 모두 1위를 차지하여 완전히 챔피언이 되었기 때문에 열리지 않았다.
팀.
현재 명부
플레이어 | 코치/기타 | |||||
---|---|---|---|---|---|---|
투수 시작 회전 불펜 가까이.
| 포수 내야수 | 외야수
| 부장님
코치
2022년 5월 25일 갱신 |
한국프로야구 MVP
- 1983년 : 이만수 (포수)
- 1987년 : 장효조 (외야수)
- 1993년 : 김성래 (내야수)
- 1997, 1999, 2001, 2002, 2003: 이승엽(내야수)
- 2004년 : 배영수 (투수)
플레이어 레코드(배터)
타율
- 1983년 장효조 AVG .369
- 1984년 이만수 AVG .340
- 1985년 장효조 AVG .373
- 1986년 장효조 AVG .329
- 1987년 장효조 AVG .387
- 1993년 양준혁 AVG .341
- 1996년 양준혁 AVG .346
- 1998년 양준혁 AVG .342
홈런
- 1983 이만수 27시간
- 1984 이만수 23시간
- 1985 이만수 22시간
- 1987 김성래 22시간
- 1993 김성래 28 HR
- 1997년 이승엽 32시간
- 1999년 이승엽 54시간
- 2001년 이승엽 39 HR
- 2002년 이승엽 47시간
- 2003년 이승엽 56 HR
- 2007년 심정수 31 HR
- 2011 최형우 30 HR
폐기된 번호
삼성 라이온즈가 1982년부터 1997년까지 팀에서 뛰었고 이후 MLB의 시카고 화이트삭스와 SK 와이번스에서 감독을 맡았던 포수이자 강타자 이만수를 기리기 위해 삼성 라이온즈가 처음으로 영구 결번으로 정한 번호는 22번이었다.이승엽은 라이온스에서 5차례 KBO 리그 골든글러브 상을 받았고,[6] 1983년에는 KBO 리그 MVP를, 1984년에는 트리플 크라운을 기록했다.삼성 라이온즈에서 은퇴한 두 번째 번호는 1993년부터 1998년까지, 그리고 2002년부터 [6]2010년까지 삼성 라이온즈에서 뛰었던 왼손 타자 양준혁을 기리기 위해 10번이었다.양용은은 4타수 선두로 통산 6타수 기록(한때 351개 홈런 기록 포함)[6]을 보유하고 있다.세 번째 영구 결번인 36번은 [7]467개의 홈런으로 KBO 리그 역대 선두를 달리고 있는 이승엽을 기리기 위해 영구 결번되었다.이대호는 또한 득점, 타점, 총루, 장타율, OPS 기록도 보유하고 있다.
![]() 양준혁 RF, DH | ![]() 이만수 C | ![]() 이승엽 한다면 |
매니저
- 서영무(1982년 ~ 1983년)
- 이충남(1983년)
- 김영덕(1984년 ~ 1986년)
- 정동진(1986년) (간병사)
- 박영길(1987년 ~ 1988년)
- 정동진(1989~1990)
- 김성근(1991년 ~ 1992년)
- 우용득(1993년 ~ 1995년
- 백인춘(1996년 ~ 1997년
- 조창수(1997년) (간병인)
- 서정환(1998~1999년)
- 김용희(2000년)
- 김응룡(2001년 ~ 2004년)
- 선동열(2005~2010)
- 류중일(2011~2016)
- 김한수(2017~2019)
- 허삼영 (2020년 ~ 현재)
레퍼런스
- 일반
- "Complete league history and statistics" (in Korean). Korean Baseball League. Retrieved 8 September 2017.
- 특정한
- ^ 삼성라이온즈 (in Korean). Samsung Lions official website. Retrieved 23 March 2012.
- ^ 이영훈, 로드니 포트 편집자님환태평양의 스포츠 비즈니스: 경제와 정책(Springer, 2014년 10월 31일) 페이지 178.
- ^ "Samsung wins 3rd straight title in Game 7". The Korea Observer. 2 November 2013. Retrieved 2 November 2013.
- ^ Nam Hyun-woo (21 November 2014). "Lion King! Samsung wins 4th straight KBO title". The Korea Times. Retrieved 23 March 2016.
- ^ Jung, Yunsik (22 March 2016). "삼성 라이온즈 파크' 개장…"국내 최고 시설" [Samsung Lions Park is opened] (in Korean). news.sbs.co.kr. Retrieved 13 November 2016.
- ^ a b c 레전드 [History -> Legends] (in Korean). Samsung Lions. Retrieved 13 November 2016.
- ^ "Legendary slugger homers twice in final game". Yonhap News Agency. 3 October 2017. Retrieved 3 October 2017.
외부 링크
- 공식 웹사이트 (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