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흐무드 바르잔지

Mahmud Barzanji
셰이크 마흐무드 바르잔지 شخخددد
şx 메흐메흐데 베르젠차
셰이크 마흐무드 바르잔지[1]
Sheikh Mahmoud - Kurdistan's King (1918-1922).jpg
쿠르디스탄의 왕
군림하다1922–1924
전임자대영 제국
후계자직위 폐지 (이라크 국왕으로서의 이라크 1세)
태어난1878
술라이마니야, 오스만 이라크
죽은1956년 10월 9일 (1956-10-09) (77-78세)
이라크의 바그다드
매장
술라이마니야, 이라크 쿠르드족

셰이크 마흐무드 바르잔지(쿠르드어: شێخخمدددددددد))))))))))) 또는 마흐무드 하피드 자데(Mahmud Hafid Zadeh, 1878년 ~ 1956년 10월 9일)는 쿠르드족들영국 군령에 대항하는 일련의 반란을 일으킨 쿠르드족 지도자였다. 그는 현재 이라크 쿠르디스탄에 있는 술레이마니야 시 출신의 바르잔지 가문카디리수피 가문의 셰이크였다. 그는 이러한 봉기 중에 쿠르디스탄의 왕으로 임명되었다.

배경

제1차 세계 대전 후, 영국을 비롯한 서구 열강들은 오스만 제국의 일부를 점령했다. 사이크스-피코트 협정에 프랑스와 맺은 계획들은 영국을 위임통치국으로 지정했다.[2] 영국인들은 이 지역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그들의 즐거움을 위해 그들만의 국경을 형성할 수 있었다.[3] 영국은 바그다드바스라에 대한 지배권을 확고히 가지고 있었고 이들 도시 주변 지역은 대부분 시아파수니파 아랍인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1921년 영국은 파이잘 1세를 이라크의 왕으로 임명했다. 페이살은 서부 아라비아하셰마이트 가문의 일원이었기 때문에 현지 연줄이 없었기 때문에 흥미로운 선택이었다.[4] 이라크 남부에서 사건이 전개되면서 영국도 쿠르드족이 주로 거주하던 북부 이라크에서 새로운 정책을 전개하고 있었으며, 1919년 파리(베르사유) 평화회의에서 쿠르디스탄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영국이 형성한 국경에는 이라크 중부(바그다드)와 오스만 북쪽 땅 사이에 쿠르드족이 있었다.

이라크의 쿠르드족은 모술 빌라예트의 산악지대와 지형에 살았다. 쿠르드족의 지형과 부족의 충성심 때문에 영국의 입장에서 통제하기 어려운 지역이었다. 오스만 정부와 영국 사이에 국경이 어떻게 세워져야 하는지를 놓고 대전이 끝난 후 많은 갈등이 있었다. 오스만인들은 세브르 조약의 결과에 불만족스러워했다. 세브르 조약은 국제연맹이 명령하는 대로 오스만 영토의 이전 분배를 통해 대전의 승리자들이 오스만 영토의 상당 부분을 통제할 수 있게 했다.

특히 모술 빌라예트는 전쟁에서 적대행위를 종식시킨 무드로스 휴전 이후 영국이 불법적으로 정복했기 때문에 터키인들은 모술 빌라예트가 자신들의 것이라고 느꼈다.[5] 이라크 북부에서 석유가 발견되자 영국인들은 모술 빌라예트를 포기하려 하지 않았다.[6] 또한 쿠르드족이 자신과 오스만 제국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하게 하는 것도 영국에게 유리했다. 그 모든 것이 셰이크 마흐무드 바르잔지의 중요성으로 이어졌다.

영국 정부는 1차 세계대전 당시 쿠르드족에게 쿠르드족 국가를 형성하기 위해 자신의 땅을 받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영국 정부는 종전선언을 지키지 않아 쿠르드족들의 원성을 샀다.[7]

쿠르드족에게는 불신이 있었다. 1919년 쿠르드 지역에서 불안이 진화하기 시작한 것은 쿠르드족이 현재 상황과 영국 정부와의 거래에 불만을 품고 있었기 때문이다. 쿠르드족은 1년 후에 반란을 일으켰다.

영국 정부는 이 지역에 쿠르드족 보호국을 설립하려고 시도했고 그래서 이 지역의 인기 있는 지도자를 임명했는데,[8] 이것이 마흐무드가 남부 쿠르드족 주지사가 된 방법이었다.

권력과 반란

마흐무드 바르잔지

마흐무드는 매우 야심찬 쿠르드족 국가 지도자였으며 쿠르드족이 그들 자신의 국가를 통제하고 영국으로부터 독립한다는 생각을 홍보했다. 찰스 트립과 관련, 영국은 쿠르드 남부 술라이마니아의 주지사를 이 지역에서 간접적인 통치권을 얻는 방법으로 임명했다. 영국은 인기 있는 마흐무드가 지휘봉을 잡고 있는 이 간접적인 통치를 원했는데, 그들은 이 통치가 자신들에게 이 지역을 통제하고 평정할 수 있는 얼굴과 리더를 줄 것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약간의 권력 맛으로 마흐무드는 자신과 쿠르드족을 위한 더 많은 야망을 가지고 있었다. '쿠르디스탄의 왕'으로 선포돼 쿠르드족 모두의 통치자임을 자처했지만, 쿠르드족 중 마흐무드족에 대한 의견은 일부에게 너무 강력해지고 야망이 커졌기 때문에 엇갈렸다.[9]

마흐무드는 쿠르디스탄을 만들기를 희망했고, 처음에 영국인들은 마흐무드가 이 지역과 사람들을 영국의 간접적인 통제 하에 함께 이끌었기 때문에 야망을 추구하도록 허락했다. 그러나 1920년경 마흐무드는 영국의 불쾌감에 쿠르드 지역의 영국 관리들을 체포하고 영국인에 대한 반격을 시작함으로써 영국에 대한 자신의 권력을 행사하고 있었다.[10] 역사학자 케빈 맥키어만은 "마흐무드가 전투에서 부상을 입을 때까지 반란은 지속되었는데, 키르쿠크와 술라이마니아 사이의 도로에서 발생했다. 영국군에 붙잡혀 사형을 선고받았지만 이후 인도에 있는 영국 요새에 수감됐다."[11] 마흐무드는 1922년까지 인도에 머물렀다.

귀환과 2차 반란

마흐무드 바르잔지

셰이크족이 인도에 망명하면서 무너지는 오스만 제국의 터키 민족주의자들이 이라크 쿠르드 지역에 큰 문제를 일으키고 있었다. 무스타파 케말(Mustafa Kemal)이 이끄는 터키 민족주의자들은 그리스전 승리 후 1920년대 초반 고공행진을 하며 이라크에 그 기세를 몰아 모술을 되찾으려 하고 있었다. 셰이크 마흐무드 망명 이후 영국이 이라크 북부를 직접 장악하고 있는 가운데 터키의 위협으로 이 지역은 영국 관리들에게 점점 더 적대적이 되고 있었다. 이 지역은 셰이크의 동생 셰이크 카디르가 이끌었는데, 그는 이 상황을 감당할 능력이 없었고 영국인들에게 불안정하고 신뢰할 수 없는 지도자로 보였다.

중동 특히 이라크에 파견된 영국군 관리 겸 행정관인 퍼시 콕스 경과 영국 정치인 윈스턴 처칠은 셰이크를 망명지에서 석방해 이라크 북부에 다시 군림할지를 놓고 대립했다. 그렇게 되면 영국은 적대적이지만 중요한 지역을 더 잘 통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콕스는 영국인들이 최근 대피한 지역에서 권위를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고, 셰이크는 안정된 지역을 되찾을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이었다.[12] 콕스는 셰이크를 되찾는 것의 위험성을 알고 있었지만, 이 지역의 불안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자치권을 포기한다는 이전의 약속들을 버리고 영국이 바그다드의 아랍 정부의 직접 통치하에 쿠르드족을 데려올 것이라는 인식이 커졌기 때문이라는 것도 알고 있었다. 쿠르드족의 독립국가의 꿈은 그 지역에 갈등을 야기시켰던 가능성이 줄어들고 있었다.[13] 셰이크를 다시 데려오는 것은 이 지역에서 터키를 상대로 평화로운 이라크 국가가 될 수 있는 유일한 기회였다.

콕스는 셰이크를 다시 데려와 쿠르드 남부 주지사로 임명하는 데 동의했다. 콕스는 1922년 12월 20일 쿠르드 정부가 헌법을 제정하고 국경에 합의할 수 있다면 이를 허용하는 내용의 앵글로-이라크 공동선언에도 합의했다. 콕스는 이 지역의 불안정과 쿠르드족 집단이 많다는 사실 때문에 그들이 해결책을 찾기가 거의 불가능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14] 마흐무드는 귀국하자마자 쿠르드 왕국의 왕이라고 선언했다. 셰이크는 영국과의 계약을 거절하고, 영국에 대항하여 터키인들과 연합하여 일하기 시작했다. 콕스는 상황을 깨달았고 1923년 이라크 정부에 대한 쿠르드족의 발언권을 부인했고 자신의 독립국가에 대한 제안을 철회했다. 셰이크는 1924년까지 왕이었고 1932년까지 영국에 대한 반란을 일으켰는데, 이때 영국 공군과 영국군이 훈련시킨 이라크인들이 셰이크를 다시 붙잡아 이라크 남부로 추방할 수 있었다.[14]

죽음과 유산

셰이크는 평화를 위해 소송을 제기했고 1932년 5월 이라크 남부에서 망명했으며 1941년 그가 남은 기간 동안 머물던 가족 마을로 돌아갈 수 있었다.[15] 그는 결국 1956년에 가족과 함께 세상을 떠났다. 그는 오늘날에도 이라크 쿠르디스탄과 술라이마니아에서 그의 모습을 전시하고 있다. 그는 쿠르드 민족의 독립과 존경을 위해 싸운 선구적인 쿠르드 민족주의자로 여겨져 오늘날까지 쿠르드 민족의 영웅이다.[16] 그는 많은 미래의 쿠르드 지도자들의 선구자로 여겨진다.[17]

참고 항목

참조

  1. ^ Sicker, Martin (2001). The Middle East in the Twentieth Century. Greenwood Publishing Group. ISBN 9780275968939.
  2. ^ Fromkin, David (1 September 2001). A Peace to End All Peace: The Fall of the Ottoman Empire and the Creation of the Modern Middle East. Henry Holt and Company.
  3. ^ BBC (25 April 2018). "Iraqi Kurdistan profile". BBC News.
  4. ^ Hashemites Family. "Hashemites". www.alhussein.jo.
  5. ^ Oltoman Empire. "The Mosul Vilayet". www.researchgate.net.
  6. ^ Hale, William M. (2000). Turkish Foreign Policy, 1774-2000. Psychology Press. ISBN 9780714650715.
  7. ^ World WAR I. "BRITISH LIES IN THE WORLD WAR I". www.worldfuturefund.org.
  8. ^ İki Hükümet Bir Teşkilat. "History" (PDF). www.historystudies.net.
  9. ^ 트립, 찰스 이라크의 역사. 케임브리지 프레스, 2007. 33-34페이지
  10. ^ 로르츠, 마이클 "쿠르드 전사의 전통페시메르" 죽음맞이할 의향: 오스만 제국부터 현재 이라크에 이르는 쿠르드 군사력의 역사-페시메르가 2005-10-28. 10-11페이지
  11. ^ 맥키어맨, 케빈 쿠르드족. 뉴욕: 세인트 마틴스 프레스, 2006. 31페이지
  12. ^ 올슨, 로버트. 쿠르드 민족주의자의 출현과 셰이크 사이드의 반란, 1880–1925. 오스틴: 1989년 텍사스 대학 출판부. 60-61페이지
  13. ^ 트립, 찰스 이라크의 역사. 케임브리지 프레스, 2007. 53페이지
  14. ^ a b 맥키어맨, 케빈 쿠르드족. 뉴욕: 세인트 마틴스 프레스, 2006. 32페이지
  15. ^ 트립, 찰스 이라크의 역사. 케임브리지 프레스, 2007. 66페이지
  16. ^ Library, CNN. "Kurdish People Fast Facts". CNN.
  17. ^ Nakhoul, Samia. "Iraqi Kurdish leader says no turning back on independence bid". U.S.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