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카우와히 동굴
Makauwahi Cave![]() 거북이턱모아날로의 재건 첼리니첸콰수스 | |
위치 | 카우아 ʻ이 섬의 남쪽 해안, 마하 ʻ우레푸 계곡 |
---|---|
지역 | 하와이 |
좌표 | 21°53'18 ″ N 159°25'8 ″W / 21.88833°N 159.41889°W |
마카우와히 동굴은 하와이에서 발견된 가장 큰 석회암 동굴입니다. 카우아 ʻ이 섬의 남쪽 해안에 있으며, 마하 ʻ 울레푸 해변과 가까운 마하 ʻ 울레푸 계곡에 위치해 있으며, 고생물학적 가치와 고고학적 가치로 중요합니다. 그것은 싱크홀을 통해 도달되며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부유한 화석지, 아마도 전체 태평양 섬 지역에 있을 것"으로 묘사되었습니다.[1]
역사
역사적으로 섬 주민들에 의해 알려져 있고 고대 하와이 사람들에 의해 무덤 장소로 사용되었지만, 이 동굴의 고생물학적 가치는 1992년 데이비드 버니(David Burney), 리다 피고트 버니(Lida Pigott Burney), 헬렌 F(Helen F)에 의해 처음 실현되었습니다. 제임스와 스토러스 L. 카우아 ʻ 남쪽 해안에서 화석 유적지를 찾던 중 동굴의 접근 싱크홀을 발견한 올슨. 이 동굴의 전통적인 이름인 마카우와히(Makauwahi) 또는 하와이어로 "스모크 아이(smoke eye)"는 2000년 현지 고고학자 윌리엄 필라 키쿠치(William Pila Kikuchi)에 의해 재발견되었으며, 그는 1세기 이상 전에 쓰여진 한 고등학생의 에세이에서 이 이름을 발견했습니다.[1]
2004년 버니 가족은 17ha(42.0에이커)의 마카우와히 동굴 보호구역에 대한 임대권을 취득했으며, 이는 잡초에 버려지기 전 사탕수수와 옥수수 재배에 사용된 후 환경 복원 대상입니다. 이 지역에는 지역 프리차르디아 종려나무와 같은 위협적인 토종 식물들이 심어지고 있습니다.[1][2]
묘사
이 지역은 분명히 지질학적으로 하와이 제도에서 독특하며, 에올리언라이트 석회암에 형성된 동굴에 있는 싱크홀 팔레오레이크(paleolake)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고월호에는 거의 10,000년에 걸친 퇴적물 기록이 있습니다; 마카우와히가 화석 유적지로 발견된 이후 발굴 작업을 통해 꽃가루, 씨앗, 규조류, 무척추동물 껍질, 폴리네시아 유물은 물론 수천 개의 새와 물고기 뼈가 발견되었습니다.[1][3]
그 발견은 인간이 하와이 섬을 식민지화하기 전의 조건들뿐만 아니라, 최초의 폴리네시아인들, 그리고 나중에 유럽인들과 아시아인들이 야생 돼지와 야생 개와 같은 침입적인 외래종들과 함께 그 섬들에 도착했을 때부터 발생했던 급격한 생태학적인 변화들과 함께 인간의 점유의 천년을 기록합니다. 야생 고양이, 노르웨이 쥐, 아시아 호랑이 모기. 그들은 결과적으로 멸종된 많은 수의 토종 새들의 존재를 밝혀냅니다.[1] 이 동굴은 또한 인간이 정착하기 전에 코르도안 섬(Cordia subcordata)과 할라 섬(Pandanus tectorius)과 같이 이전에 폴리네시아의 도입으로 믿어졌던 특정 식물이 섬에 존재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4]
동굴에서 40여 종의 새들의 유해가 발견되었습니다. 이들 중 절반은 현재 멸종된 상태입니다. 멸종된 종들의 새로운 발견은 거북이턱모아날로(Chelychelynchen quassus), 눈이 멀고 날지 못하는 카우아이두더지오리(Talpanas lipa), 카우아이 ʻ이팔릴라(Loxioides kikuichi)를 포함합니다.
"눈먼 거미"라고도 알려진 카우아 ʻ 동굴 늑대 거미는 이 동굴과 이 지역의 몇 개 용암 동굴에서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동굴 밖 공원에는 아프리카에서 온 17마리의 설카타 거북이들을 위한 울타리가 있는데, 이들은 Paederia foetida, Paspalum conjugatum, 미모사 푸디카, 메가티르수스 막시무스와 같은 침입종의 잡초들을 통제하기 위해 그곳에 살던 멸종된 거대한 날지 못하는 오리와 거위들을 대신하는 플라이스토세의 재야생 대체물로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하와이안 오리, 하와이안 갤리눌레, 하와이안 스틸트, 하와이안 쿠트, 그리고 네네라고도 불리는 하와이안 거위와 같은 멸종위기에 처한 새들의 여러 종들이 이 공원의 다양한 복원지역으로 돌아오고 있습니다. [5]
참고 항목
참고문헌
원천
- "Hawaiian Cave Reveals Ancient Secrets". David A. Burney and Lida Pigott Burney. Live Science. 25 October 2008. Retrieved 3 March 2010.
- Kido, Michael H. (2008). "Hawaii EPSCoR Cyberinfrastructure to Enhance Paleoecological Research at the Makauwahi Cave Reserve Site on Kauai" (PDF). EPSCoR Newsletter. 11 (Spring): 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9-09-18. Retrieved 2010-03-03.
- Levy, Sharon (2008). "Lessons from a Limestone Cave — Looking to the past to restore the future of a Hawaiian Island" (PDF). Wildlife Conservation (January/February): 4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