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이즈티어 동굴
Noisetier Cave그로트 뒤 노이즈티에 | |
![]() 상부 피레네 산맥의 위치 | |
대체명 | Grotte de Peyrere, Grotte de Serrat de la Toue |
---|---|
위치 | 라네메잔 마을 프레셰 오레 마을 인근 아르덴고스트 코뮤니티 발레 다우레 |
지역 | 프랑스, 피레네, 오시타니아 |
좌표 | 42°55°40°N 0°221414eE/42.92778°N 0.37056°E좌표: 42°55°40°N 0°22°14°E / 42.92778°N 0.37056°E / |
유형 | 쥐라기 석회암 |
길이 | 20 m (65.62 피트) |
역사 | |
재료. | 석회암 카르스트 |
기간 | 후기 구석기 시대 |
사이트 노트 | |
발굴일 | 1987, 1992, 2004 |
고고학자 | 미셸 알라드, V. 모레, S. 코스타마그노, C.티바우 |
노이세티에 동굴(프랑스어: Grotte du Noisetier, 조명: 헤이즐 동굴, Grotte de Peyrere 또는 Grotte de Serrat de la Toue)은 입구 앞에서 자라는 헤이즐 나무의 통칭으로 인해 아르도스탱 계곡 145m(476피트) 꼭대기에 위치해 있다.프랑스 어른.1992년 이후 체계적으로 발굴하는 동안 네안데르탈인 무스테리아 문화에서 유래한 석기와 유물이 수많은 동물 [1][2]유적에서 발견되었다.
위치
1,450m(4,760ft) 높이의 아르덴고스트 암석에 의해 보호되는 이 동굴은 서쪽 경사면의 해발 825m(2,707ft)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론 강의 지류인 네스테 도레 강 계곡을 내려다보고 있다.이 동굴은 수평이하의[a] 갤러리로 북쪽에서 남쪽으로 향해 있으며 입구는 남쪽을 향해 열려 있다.길이는 20m(66ft), 폭은 3~4m(9.8~13.1ft), [3]높이는 3~6m(9.8~19.7ft)이다.
지질학
Grotto는 Ardengost 석회암 매시프의 일부로 피레난 1차 축대 내에 자리잡고 있으며, 여기에는 유충류, 완족동물, 용종 및 꽃(조류) 요소가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습니다.이러한 고생물학적 내용을 바탕으로 2004년 발굴 과정에서 수정되어 약 3억 년 전에 석탄기 내에서 상부 바이세아에서 세르푸코비아로 다시 거슬러 올라갑니다.이러한 유기 성분의 석회질 입자는 지역 카르스트의 [4]발달을 가능하게 하는 석회암 성분인 마이크로라이트 머드의 형성을 지원했습니다.
발굴.
1898년 아르망 비레가 동굴에 고인류 유골의 존재를 처음 제안했지만 1985년에야 미디 피레네 부서의 지역 고고학 서비스에 보고한 카스트레트가 동굴을 다시 방문했다.1987년 미셸 알라드의 지시로 수십 년간의 불법 징수의 범위와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최초 조사 작업이 수행되었다.현장의 고고학적 중요성을 평가하고 적절한 보호 조치를 결정하기 위해 1992년과 1993년에 두 번의 현장 세션이 수행되었다.이후 수평방미터의 발굴조사를 통해 비교적 풍부한 무스테리아의 암석유적과 동물 유적이 여러 개 발견되었고,[5] 입구에 튼튼한 빗장이 쳐진 문으로 이곳을 영구히 보호하기로 결정했다.이번 구출작전의 결과는 주로 발표되지 않았다.몇 가지 간단한 메모에서 이 사이트는 보통 카모아(Rupicapra pyrenaica)와 아이벡스(pyrenaica pyrenaica)[6]에 특화된 임시 점령지 또는 사냥 캠프로 나타난다.2004년, 또 다른 학제간 연구 발굴이 시작되었고, 이것은 많은 새로운 발견으로 이어졌으며, 어떤 경우에는 이전의 것과 반대되는 결과를 가져왔다.예를 들어, 어린 네안데르탈인의 이빨의 발견은 그 지역의 사냥 캠프 가설과 모순된다.
데이트
Carbon-14 연대측정법에 의해 얻어진 연대는 전체 고고학적 순서에 대해 약 30,000년에서 50,000년 전의 범위를 나타낸다.미소동물과 대형동물의 생물 연대기 데이터, 콤베-그레날 현장 층과의 유사성은 뷔름 II와 뷔름 III 빙하기 사이의 간빙기 동안 퇴적물의 할당을 제안할 수 있다.AMS 방사성 탄소 날짜 및 생체 연대기 데이터를 바탕으로 고고학적 수준은 산소 동위원소 단계 3의 온대 단계에 기인한다.
석기
석영, 리다이트, 시네라이트, 편암 등 네스테강의 충적층에서 나온 지역 원료의 석기 산업은 보통 수준의 품질로 여겨진다.문화적 퇴적물에서 발견되는 플린트는 자연히 가까운 환경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여러 출처로부터 수입된 것이 틀림없다.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부싯돌 채석장은 몽가이야르 지역의 히바레트 커뮤니티에 있는 40km(25mi) 떨어진 몬타가이야르 플라이쉬입니다.이 플리쉬 플린트는 품질이 좋고 크기가 다른 슬래브에서 볼 수 있습니다.일부 부싯돌에서 레피도르비토이드 화석이 발견된 것은 100km(62mi) 이상 떨어진 베아른 지방에 위치한 훨씬 더 먼 출처를 보여준다.보아하니 북동쪽의 쁘띠테 피레네의 부싯돌은 사용되지[7][8][9] 않았다.
공구는 단순하고 주로 스크래퍼와 [b]의치로 구성되며, 종종 불완전하고 [10]불규칙한 시공이 이루어집니다.주요 생산 방법은 원반상 양면 파괴이다.완전한 Levallois[c] 직불, 잔해, 부산물 및 리터칭 파편 도구와 사암 및 화강암 해머링 도구의 수는 적지만 많은 수가 존재합니다.Levallois 기법은 석영, 편암 또는 리다이트 절단 장치, 일반 평행 표면 제품 및 패싯 힐에서도 입증되었습니다.주목할 만한 것은 양면 절단기의 [11]발견이다.
화석
동물군
노이즈티어 동굴은 10,000개 이상의 대형 동물 화석과 추가로 80,000개의 작은 설치류 화석들을 발견했다.지배적인 것은 산악종, 특히 사슴과 큰 소의 뒤를 잇는 카모아(Rupicapra pyrenaica)와 아이벡스(Capra pyrenaica pyrenaica)입니다.동굴 곰(Ursus spelaeus), 붉은 여우(Vulpes vulpes), 표범 및 dhole(Cuon alpinus)의 육식 화석이 적당량 기록되어 있다.
타포노믹스 조사에서는 다른 약물에 의한 다른 유형의 대형 동물 뼈 축적을 결론지었다.도살 흔적이 있는 붉은 사슴(Cervus Elaphus)과 소 화석은 매우 많은 반면 육식동물의 흔적은 드물다.사슴 뼈는 소화되지 않고 뼈의 절반 가까이가 사람의 간섭을 보인다.네안데르탈인은 대부분의 사슴과 소, 그리고 카모아와 아이벡스 화석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데, 그들 중 일부는 육식동물에 의해 두 번째로 청소되었다.이 조사는 또한 네안데르탈인이 사슴 [12][13]뼈의 스폰지 같은 조직에 포함된 지방을 추출했다는 가설을 지지할 수 있게 해준다.카모아 조립품에서는 482개의 화석이 조사되었고 비인간 포식자국이 해석되었다.네안데르탈인이 없는 동안 이 지역을 차지했을 것으로 보이는 수염독수리(Gypaetus barbatus)는 카모아 뼈의 높은 비율을 축적했고 아이벡스 뼈의 비율을 낮췄다.도공(쿠온 알피누스) 치아와 뼈는 육식동물 중 가장 많다.젖니를 보면 쿠온 알피누스가 새끼를 보호한 것으로 보인다.2013년 한 연구는 구멍들이 동물 화석을 구성하는 데 기여했다고 결론내렸으며,[2] 이는 아직 논의되고 있다.
미소동물군
전체 염기서열에서 매우 풍부하고 비교적 균질했던 미세동물에 대한 연구는 지층학 염기서열 중 간빙기후를 확인하는 것 외에 독립적인 발견을 제공했다.확인된 80,000종 이상의 설치류 종 중에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었다.아르비콜라 테레스트리스, 피레네icus, 피레네icus 11월, 피레네icus, 피레네이스 살페트리렌시스, 피레네데스만 또는 머스크랫(Galemys pyrenaiccus.
Mimomys salpetrierensis의 발견으로, Mimomys의 소멸을 통해 하위 플라이스토세 및 중기의 플라이스토세를 정의한다는 이전의 가설에 의문이 제기되었다.이것은 또한 플리오미스와 알로크리세투스 같은 다른 종들에게도 적용되는데, 플리오미스와 알로크리세투스는 Eemian기에 멸종된 것으로 생각되었다.또 다른 예로는 바스키안 독사를 향해 진화해 현재는 칸타브리아 지역과 이 지역에서 화석 형태로 발견된 피레네 데스만(갈레미스 피렌쿠스)이 있다.유럽 물밭쥐(Arvicola terrestris)는 지역 거주지를 유지한 반면, 나머지 개체군은 아시아로 방향을 틀었다.
더 많은 연구들은 노멘누덤인 네마우시아속은 Mimomys속과 동일하다고 제안했다.Mimomys pyrenaicus 11월 sp.는 Mimomys salpetrierensis와 Mimomys blanci 사이의 Mimomys 혈통을 보충하는 새로운 종으로 확인되었으며,[14][15] 또한 Pyrenes가 오늘날 풍토적인 종의 피난처 역할을 했음을 확인시켜준다.[16]
유골
그 유적지에서는 치과 유물 3점이 전달되었다.형태학적, 측정학적 특징에 따르면, 이 이빨들은 네안데르탈인의 다양성에 들어맞는다.치아는 5살에서 10살 사이의 어린이와 같이 치관이 많이 닳고 뿌리가 불완전하다.현재의 변동성과 동일한 부문과 수준에서 발견됐다는 사실에 따라 동일한 개인에 해당될 수 있다.
사이트 특성
사이트의 기능에 관한 질문은 2004년 이후 실시된 연구의 핵심이다.네안데르탈인 집단이 산악 환경에 자주 드나들려고 했던 이유는 무엇이었나요?뚜렷한 기후 대비와 고도의 중요한 차이인 산악 환경은 일반적으로 구석기 수렵 채집 집단을 제약하는 것으로 여겨진다.산악경기 사냥 캠프와 연계된 장소에 대한 초기 가설에 의문이 제기되었다.사슴은 주로 사냥되고 있지만, 이 종은 산악 환경에서 전형적이지 않다.인간의 어린 아이 앞니가 있다는 것은 그 장소에 성인 사냥꾼들이 자주 들렀던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사냥의 중단이라는 고전적 해석에 대한 의문은 그것이 해결하는 것보다 더 많은 의문을 제기하며, 현재의 연구 상태에서, 무스테리아 동굴 점령 역시 간단한 설명을 찾지 못한다.이곳은 피레네 산맥의 남쪽 경사면을 여행하거나 특정 광물 자원을 개발하기 위한 임시 서식처나 무대 장소로 사용되었을 수 있지만, 그 모든 것을 증명하기는 어렵다.현재 연구 상태에서는 노이즈티에 [17]동굴에 대한 무스테리아의 점령을 설명할 수 있는 가설만 제시될 수 있다.
메모들
- 각주
레퍼런스
- ^ Romero, Aldemaro; Díaz, Aldemaro Romero (2009-07-23). Cave Biology: Life in Darkness - Aldemaro Romero Díaz -. ISBN 9780521828468. Retrieved January 14, 2017.
- ^ a b "Dhole (Cuon alpinus) as a bone accumulator and new taphonomic agent? The case of Noisetier Cave (French Pyrenees) (PDF Download Available)". Retrieved January 14, 2017.
- ^ "Grotte de Pereyre (Le Noisetier) Cave or Rock Shelter : The Megalithic Portal and Megalith Map". Megalithic.co.uk. Retrieved January 14, 2017.
- ^ Barére, P., Bouket, C., Debroas, E.-J., Pelissonnier, H., Peybernés, B., Souquet, P. E.-C., Souquet, P. Ternet, Y.(1984) - 설명적 1/후불.
- ^ "Grotte du Noisetier" (PDF). Hachereau.pagesperso-orange.fr. Retrieved January 14, 2017.
- ^ "Le site moustérien de la Grotte du Noisetier à Fréchet-Aure (Hautes-Pyrénées) – premiers résultats des nouvelles fouilles" (PDF). Marteau.enclume.free.fr. Retrieved January 14, 2017.
- ^ Barragué, Jean; Barragué, Élisabeth; Jarry, Marc; Foucher, Pascal; Simonnet, Robert (2001). "Le silex du Flysch de Montgaillard et son exploitation sur les ateliers du Paléolithique supérieur à Hibarette (Hautes-Pyrénées)". Paléo. paleo.revues (13): 29–52. doi:10.4000/paleo.951. Retrieved January 14, 2017.
- ^ Fernandes, Paul; Raynal, Jean-Paul; Tallet, Pascal; Tuffery, Christophe; Piboule, Michel; Séronie-Vivien, Micheline; Séronie-Vivien, Marie-Roger; Turq, Alain; Morala, André; Affolter, Jehanne; Millet, Dominique; Millet, Françoise; Bazile, Fréderic; Schmidt, Patrick; Foucher, Pascal; Delvigne, Vincent; Liagre, Jérémie; Gaillot, Stéphane; Morin, Alexandre; Moncel, Marie-Hélène; Garnier, Jean-François; Léandri-Bressy, Céline (2013-12-15). "A map and a database for flint-bearing formations in Southern France: A tool for Petroarchaeology". paleo.revues (24): 219–228. doi:10.4000/paleo.2864. Retrieved January 14, 2017.
- ^ Sacco-Sonador, Agata; Deschamps, Marianne; Coudenneau, Aude; Colonge, David; Chalard, Pierre; Mourre, Vincent; Thiébaut, Céline (2012). "Lithic technology of the final Mousterian on both sides of the Pyrenees". Quaternary International. 247: 182–198. Bibcode:2012QuInt.247..182T. doi:10.1016/j.quaint.2011.05.028. Retrieved January 14, 2017.
- ^ "DENTICULATE OLIVE BRANCH SITE AL". Lithiccastinglab.com. Retrieved January 15, 2017.
- ^ Mallye, Jean-Baptiste; Thiébaut, Céline; Mourre, Vincent; Costamagno, Sandrine; Claud, Émilie; Weisbecker, Patrick (2012). "The Mousterian bone retouchers of Noisetier Cave: Experimentation and identification of marks (PDF Download Available)".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9 (4): 1131–1142. doi:10.1016/j.jas.2011.12.018. Retrieved January 14, 2017.
- ^ Costamagno, Sandrine (2013). "Bone Grease Rendering in Mousterian Contexts: The Case of Noisetier Cave (Fréchet-Aure, Hautes-Pyrénées, France)". Bone Grease Rendering in Mousterian Contexts: The Case of Noisetier Cave (Fréchet-Aure, Hautes-Pyrénées, France) - Springer. Vertebrate Paleobiology and Paleoanthropology. Link.springer.com. pp. 209–225. doi:10.1007/978-94-007-6766-9_13. ISBN 978-94-007-6765-2.
- ^ Clark, Jamie L.; Speth, John D. (2013-07-11). Zooarchaeology and Modern Human Origins: Human Hunting Behavior during the. ISBN 9789400767669. Retrieved January 14, 2017.
- ^ Jeannet, Marcel; Mourre, Vincent (2013-12-15). "Mimomys pyrenaicus nov. sp.a new Upper Pleistocene Arvicolid (Mammalia, Rodentia) from the Pyrénées (Fréchet-Aure, Hautes-Pyrénées, France)". Paleo. Revue d'Archéologie Préhistorique (24): 139–147. doi:10.4000/paleo.2860. Retrieved January 14, 2017.
- ^ Thiébaut, Céline; Mourre, Vincent; Laroulandie, Véronique; Robert, Isabelle; Costamagno, Sandrine. "Rôle du gypaète barbu (Gypaetus barbatus) dans la constitution de l'assemblage osseux de la grotte du Noisetier (Fréchet-Aure, Hautes-Pyrénées, France)". Annales de Paléontologie. 94 (4): 245–265. Retrieved January 14, 2017.
- ^ Lindsay, Everett H.; Fahlbusch, Volker; Mein, Pierre (2013-06-29). European Neogene Mammal Chronology - Google Books. ISBN 9781489925138. Retrieved January 15, 2017.
- ^ Bernard-Guelle, S. (2002) - Le Paléolithique moyen du massif du Vercors (Préalpes du Nord) - Moyenne Montagne의 Etude des systémes 기술, BAR international Séries 1033, 233 p.
참고 문헌
- ^ Jamie L. Clark; John D.Speth(2013년 7월 11일).동물고학과 현대인류의 기원:후기 갱신세 동안의 인간 사냥 행동.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페이지 220–ISBN 978-94-007-6766-9.
- 알데마로 로메로 디아즈(2009년 7월 23일).동굴생물학:어둠 속의 삶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50페이지. ISBN 978-0-521-828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