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력운동
Mana Movement마력운동 | |
---|---|
![]() | |
리더 | 혼 하라위라 |
대통령 | 리사 맥냅 |
비서 | 앤드루 폴 |
설립됨 | 2011년 4월 30일 |
용해됨 | 2021년 5월 3일 |
분할 위치 | 마오리당 |
유스윙 | 마나 란가타히 |
이념 | 티노랑가티라탕가 마오리권 |
정치적 입장 | 좌익[1][2] |
컬러스 | 빨강, 검정 |
하원 의원들 | 0 / 120 |
웹사이트 | |
mana.org-nz | |
마력운동([3][4]Magan Party)은 호네 하라위라가 이끄는 미등록 뉴질랜드 정당으로 2011년 4월 마오리당 탈당으로 결성됐다.[5] 하라위라는 2011년 6월 25일 테타이 토케라우에서 열린 마나당[6] 보궐선거에서 승리해 2011년 총선 당시 의석을 유지했으나 2014년과 2017년 켈빈 데이비스 노동당 후보에게 패배했다.[7]
인터넷당과의 단기 합의에 따라 2014년 총선에 인터넷당·마력운동 공동대표가 경합해 마력운동이 1, 3, 4위 후보를 제공했다.[8] 온라인 백만장자 킴 닷컴의 자금 지원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당과 마력 운동은 단 한 석도 얻지 못했다. 뉴질랜드 시민이 아니기 때문에 후보가 아니었던 닷컴은 선거 결과가 확실해지자 기자들에게 "김닷컴이라는 브랜드가 우리가 이루려고 했던 것에 대해 독이 되었기 때문에 오늘 밤 이 패배에 대해 전적으로 책임진다"고 말했다.[9][10]
2017년 총선 당시 마력운동은 정당득표율 0.1%를 차지해 의석 확보에 실패했다.[11] 2020년 총선에[12] 이의를 제기하지 않고 대신 마오리당을 지지했다.[13]
2021년 5월 3일 당의 등록이 자체 요청으로 취소되었다.[14]
원칙 및 정책
'마나'는 '빈민, 힘없는 자, 타락한 자'에게 목소리를 주고 '부자와 권력자가 부자와 권력을 위해 정부에 대항하여 그들을 힘을 실어주는 것'에 특정한 초점을 두고 스스로를 '모든 민족을 위한 정치적 와카'라고 표현한다.[15]
정책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정부 지원의 아침식사 및 점심식사 프로그램을 모든 데시리 1, 데시리 2분위.
- 상품서비스세(GST) 폐지 및 금융거래세("Hone Heke"세) 신설.
- 독점 및 듀오폴리스의 국유화.[16]
- 완전 고용.
- 1년에 1만 채의 주립주택을 새로 짓는다.
- 18.80달러의 생활임금
- 유치원부터 3학년까지 무료 교육.
- 태평양 섬 초과 체류자에 대한 완전한 사면.
- Te Leo Maori를 학교에서 핵심 교과목으로 만드세요.
역사
포메이션
호네 하라위라가 마오리 당 징계위원회에서 제명을 권고하자 마오리 당에서 물러난 데 따라 당이 결성되었다. 그는 해안과 해저 문제에 대한 마오리당의 입장에 대해 반대 목소리를 냈었다.[17] 하라위라는 마오리당과 경쟁하기 위해 신당을 조직하기 시작했고, 좌파 운동가 존 민토와 전 녹색당원 나도르 탄초스와 수 브래드포드의 지지를 끌어모았다.[18] 그 정당은 2011년 4월 30일에 정식으로 출범했다.
2011년 5월 4일 하라위라는 이후 보궐선거에서 마나당의 후보로 인정받기 위해 의원직 사퇴 의사를 밝혔고, 마오리당의 사임 이후 하원에서의 정당에 대한 의회 규정은 하라위라를 독립 하원의원으로만 인정했다. 그린스와 마오리당은 보궐선거가 "말도 안 되는 홍보용"이 될 것이며 NZ 납세자들에게 50만 달러의 손실을 입힐 것이라고 주장했으며 하라위라는 그의 결정을 테타이 토케라우 유권자들에게 돌려주고 싶다며 사임의사를 보류했다.[19] 그는 2011년 5월 11일, 테타이 토케라우 보궐선거를 강행하면서, 의회로부터의 사임을 발표했다.[20]
다른 선거구에 출마할 가능성이 있는 후보로는 마오리 변호사, 아네트 사이크스 당 공동대표[21], 전 얼라이언스 조직위원장, 맷 매카튼 당협위원장 등이 포함되어 있다.[22] 하라위라는 2011년 11월 26일 뉴질랜드 총선 이후 마나 하원의원 5명이 50대 뉴질랜드 의회에 입성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23]
당은 2011년 5월 24일에 등록을 신청했고,[24] 등록은 2011년 6월 24일에 허가되었으며,[25] 선거관리위원회는 2011년 9월에 당의 로고를 등록했다.[26]
2011년 총선
마나당은 3월 17일 자금 지원 신청 마감 후 결성된 2011년 총선 캠페인 기간 동안 납세자 지원 텔레비전 방송 시간을 받지 못했다.[27]
마나는 마오리족 선거구에서 7명의 후보자와 14명의 일반 의석을 차지했으며, 총 21명의 후보가 후보 명단에 올랐다. 하라위라는 편안하게 테타이 토케라우에 자리를 지켰고 아네트 사이크스 후보는 와이아리키 마오리족 거점인 마오리족에서 5000표가 넘는 득표율을 기록했다. 전국적인 마력은 유권자의 1%인 2만 표를 조금 밑돌았다.
뉴질랜드 MMP 선거제도로 인해, 이것은 종종 장기적인 의회 지위를 얻기 위한 첫걸음이기 때문에 당에 있어 중요한 성과였다. 이것은 피터 던과 짐 앤더튼에서 보여진다. 이는 엡섬 유권자의 ACT/National과 같은 전술적 합의보다는 마오리 당과 노동당에 의해 유권자 내부의 마오리족 투표에 대한 강력한 경쟁에 대항하여 달성되었다.
2013년 이카로아루히티 보궐선거
2013년 6월 이카로아-라위티 보궐선거 마나 후보 및 전 마오리 TV 진행자 테 하무아 니코라가 26.1%의 득표율로 2위를 차지했다.[28]
2013년 지방선거
존 민토는 2013년 지방선거에서 오클랜드 시장의 마력당 후보로 나섰다.[29] 민토의 대표적인 정책은 오클랜드의 무료 대중 교통이었다.[30] 존 민토 시장 표에는 2013년 지방 자치 단체 선거를 위해 오클랜드 전역에서 참의원 및 지방 이사직에 출마한 여러 후보가 서 있었다.[31] 민토는 렌 브라운이 상당한 표차로 재선된 가운데 다섯 번째로 높은 시장 선거 후보였다.[32]
인터넷 파티와 마력 운동, 2014년
2014년 5월 마력의 지도자 호네 하라위라와 인터넷당 비크람 쿠마르가 각 당의 연대를 선언했다. 마력의 멤버 수 브래드포드가 이에 대응하여 사임했다.[33] 인터넷 당은 라일라 하레를 직후 첫 지도자로 지명했으며 마나당은 그녀의 선출에 "손아귀가 있었다"고 말했다.[34]
인터넷 정당과 마력 운동을 결합한 단체는 2014년 총선에 도전했다. 마력운동과 인터넷당의 양해각서(MOU)는 마나에게 인터넷 마나당 1위, 3위, 4위를 부여했다. 유권자들은 인터넷 정당이나 마력운동보다는 마력운동의 일원으로만 서 있었다.[8] 이 합의는 투표일 이후 최소 6주까지는 유효하다. 양당은 선거 후 5주 이내에 자신들의 합의를 재검토하기로 합의했다.[8]
온라인 억만장자 김닷컴의 자금 지원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정당과 마력운동은 선거에서 단 한 의석도 얻지 못했다. 뉴질랜드 시민이 아니기 때문에 후보가 아니었던 [9]닷컴은 선거 결과가 확실해지자 기자들에게 "김닷컴이라는 브랜드가 우리가 달성하려고 했던 것에 대해 독이 되었기 때문에 오늘 밤 이 패배에 대해 전적으로 책임을 지겠다"고 말했다.[10]
2017년 총선
호네 하라위라는 마력운동 지도자로 테타이 토케라우에서 다시 한번 출마하여 마오리당이 후보를 내고 있는 어떤 선거에서도 경쟁하지 않기 위해 마오리당과의 양해각서를 이용하여 뉴질랜드 노동당에서 모든 마오리 선거인을 되찾을 목적으로 하였다.[35] 그 당은 두 명의 선거인단을 포함하여 네 명의 후보자 명단을 운영할 것이다.[36] 하라위라 외에 파팔리 제임스 파팔리이 마뉴에르에서 뛰었다.[37]
2017년 총선 때 호네 하라위라는 다시 테타이 토케라우의 의원직을 되찾지 못하고 현 야당 부총재 켈빈 데이비스에게 참패했다.[38] 정당 득표율은 0.1%로 국회 진출에 필요한 5%를 밑돌았다.[11]
2020년 총선
그 당은 2020년 선거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39][12] 대신 마오리당은 유권자와 정당 투표에 찬성했고, 그 자원을 이전의 경쟁자를 위해 선거운동을 하는 데 사용했다.[13]
초의회적 행동주의
마력 운동가들은 결성 이후 여러 차례 국가 정책에 반대하는 의회 외 운동에 관여해 왔다. 점령 운동의 지역 시위, 환태평양 파트너십 협정 반대, 에너지 기업의 민영화에 마력 운동가들이 두드러졌다.
2012년 초부터, 노동 계급인 글렌 이네스 교외에서 호네 하라위라와 존 민토를 포함한 수많은 마력 운동가들이 주 주택의 민영화와 수백 명의 주민 퇴거에 항의하며 체포되었다.[40]
2013년, 사우스 오클랜드 교외 마력의 맨게레 지회 회원들은 수백 채의 가옥을 파괴하고 3개 지역 학교의 구내를 가로지르는 제안된 교외 고속도로에 반대하는 캠페인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41] 마나는 오타라의 한 패스트푸드점에서 불법 게임기를 퇴출시키는 시위를 조직하기도 했다.[42]
마나는 2014년부터 전국 각지와 온라인을 중심으로 자체 신문 '마나 뉴스'를 발행해 지지자들에게 배포하기 시작했다. 2020년[update] 9월 현재, 그것은 2019년 5월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되었다.[43][44]
그 당은 2021년 5월 5일에 등록이 취소되었다.[14]
선거 결과
의회
선거 | 지명된 후보자 수 (추천/목록) | 마오리 좌석 수 당첨 | 당첨자 수 | 정당득표수 | 일반 투표율 |
---|---|---|---|---|---|
2011 | 21/21 | 1 / 7 | 1 / 121 | 24,168 | 1.08% |
2014 | 18/32 | 0 / 7 | 0 / 121 | 34,095 | 1.42% |
2017 | 2/4 | 0 / 7 | 0 / 121 | 3,642 | 0.1% |
시장 선거 결과
선거 | 당첨자 수 | 정당득표수 | 일반 투표율 |
---|---|---|---|
2013 | 0 / 1 |
당 총재
이름 | 용어 |
---|---|
아네트 사이크스 | 2011–2014 |
리사 맥나브 | 2014년부터 |
참고 항목
참조
- ^ Manhire, Toby (22 August 2014). "The whale that swallowed New Zealand's election campaign". The Guardian. Retrieved 13 September 2017.
- ^ Zeiher, Cindy; Banbury, Josiah (April 2017). "Mana and Ideological Integrity" (PDF). Counterfutures (2). Counterfutures. p. 114. Retrieved 13 September 2017.
- ^ 그것은 영어로 MANA 운동으로 표기되어 있다.
- ^ "Change of party name and registration of a substitute logo — Mana Movement". Elections.org.nz. Retrieved 16 September 2017.
- ^ "Hone Harawira launches new party". Stuff. 30 April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September 2012. Retrieved 30 April 2011.
- ^ "Harawira takes Mana to Parliament". The New Zealand Herald. 25 June 2011. Retrieved 25 June 2011.
- ^ "2011 Te Tai Tokerau by election stats". New Zealand Electoral Commission. 6 July 2011. Retrieved 30 October 2011.
- ^ a b c "Memorandum Of Understanding Between the Mana Movement and the Internet Party". Retrieved 29 May 2014.
- ^ a b 뉴질랜드 국민당 재선, BBC뉴스 2014년 9월 20일
- ^ a b 뉴질랜드 집권당, 2014년 9월 20일 뉴욕타임스 재선
- ^ a b "2017 General Election - Official Result". New Zealand Electoral Commission. Retrieved 24 September 2017.
- ^ a b "Parties Vote NZ". vote.nz. Retrieved 19 September 2020.
- ^ a b Braae, Alex (20 June 2020). "Rivalry over: Mana Movement throws its full support behind Māori Party for 2020". The Spinoff. Retrieved 20 June 2020.
- ^ a b "Amendment to the Register of Political Parties". Electoral Commission. 5 May 2021. Retrieved 6 May 2021.
- ^ "Archived cop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2 January 2015. Retrieved 18 October 2017.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 ^ Young, Audrey (30 April 2011). "Hone 'Heke' tax key to Mana party launch". The New Zealand Herald. APN News & Media. Retrieved 1 May 2011.
- ^ "Harawira out of Maori Party". ONE News. 23 February 2011. Retrieved 23 February 2011.
- ^ "Harawira names Minto, Tanczos, Bradford as Mana backers". 3 News. 29 April 2011. Retrieved 30 April 2011.
- ^ Trevett, Claire Trevett (4 May 2011). "Harawira delays resignation". The New Zealand Herald. Retrieved 8 May 2011.
- ^ "Harawira resigns from Parliament". The New Zealand Herald. 11 May 2011. Retrieved 11 May 2011.
- ^ 뉴질랜드 라디오 정치쇼, 2011-07-23
- ^ "Hone Harawira on The Nation". The Nation. 30 April 2011. Retrieved 30 April 2011.
- ^ Chapman, Kate (25 April 2011). "Harawira sets sights high for party's debut election". Stuff. Fairfax New Zeala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May 2011. Retrieved 1 May 2011.
- ^ "Application to register political party". Elections New Zealand. 24 May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May 2011. Retrieved 24 May 2011.
- ^ "Hone Harawira's new party made official". Stuff. 24 June 2011. Retrieved 19 October 2011.
- ^ "Applications to register political party logos approved". New Zealand Electoral Commission. 8 September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November 2011. Retrieved 12 September 2011.
- ^ "Harawira upset at election broadcasting cash omission". stuff.co.nz. 2 June 2011. Retrieved 2 June 2011.
- ^ "Labour's Meka Whaitiri wins Ikaroa-Rawhiti by-election". The New Zealand Herald. 29 June 2013. Retrieved 29 March 2014.
- ^ "John Minto for Auckland mayor?". 3 News NZ. 16 April 2013.
- ^ "Mayoral candidate Minto pledges free public transport". Radio New Zealand. 8 July 2013.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September 2013. Retrieved 3 September 2013.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 ^ "Len Brown re-elected as Auckland Mayor". One News. 12 October 2013. Retrieved 8 January 2014.
- ^ 2014년 5월 28일자 로토루아 데일리 포스트, 마력합병 '얼굴을 때리다'
- ^ Bennett, Adam (29 May 2014). "Mana happy as Internet Party picks left-winger". The New Zealand Herald. Retrieved 29 May 2014.
- ^ "Hone Harawira gets clear Te Tai Tokerau run for Mana not running against Maori Party in other seats". Stuff.co.nz. Retrieved 16 September 2017.
- ^ "Information for voters - the who, when and where". Elections.org.nz. Retrieved 16 September 2017.
- ^ "Information for voters in Māngere". Elections.org.nz.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September 2017. Retrieved 16 September 2017.
- ^ "Te Tai Tokerau - Preliminary Count". New Zealand Election Commission. Retrieved 29 September 2017.
- ^ "2020 Broadcasting Allocation Decision Released". Electoral Commission. 29 May 2020. Retrieved 29 May 2020.
- ^ "Glen Innes housing protest 'biggest yet'". stuff.co.nz. 2 June 2013. Retrieved 29 March 2014.
- ^ "Mana congratulates anti-motorway campaign in Mangere, Otahuhu and Otara". Mana.net.nz. 4 December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July 2014. Retrieved 29 March 2014.
- ^ "Mana Party protest against pokies operation". radionz.co.nz. 28 July 2012. Retrieved 29 March 2014.
- ^ "MANA News". Mana.net.nz. 29 August 2014. Retrieved 29 August 2014.
- ^ "Mana News". Mana News. Retrieved 19 September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