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누엘 부투미테스

Manuel Boutoumites
마누엘 부투미테스
태어난11세기 중반
죽은1112년 이후
얼리전스비잔틴 제국
전투/전투비잔틴 니케아 공성전셀주크 전쟁, 비잔틴-라틴 전쟁

마누엘 부투미테스 또는 부투미테스(그리스어: μαοοομομα, 1086년–1112년)는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재위: 1081년–1118년)의 통치 기간 동안 비잔틴의 주요 장군이자 외교관이었으며, 황제의 가장 신뢰받는 보좌관 중 한 이었다.그는 셀주크 투르크족으로부터 니케아를 되찾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고, 킬리시아를 다시 정복하는 데 있어서 황제의 사절로서 십자군 왕자들에게 여러 가지 임무를 수행했다.

셀주크족에 대한 초기 캠페인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 황제의 축소판(재위: 1081–1118).

부투미테스는 1086년 안나 콤네네알렉시아드등장하는데, 알렉시오스에 의해 비잔틴 함대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반독립적[1][2]니케아의 셀주크 터키 총독 아부엘 카심을 상대로 파견되었다.아부엘 카심은 비잔틴 해군에 도전하기 위해 마르마라 해로 함대를 보낼 준비를 하고 있었다.알렉시오스는 이를 막기 위해 함대와 함께 부투미테스를 보냈고, 타티키오스는 육로로 그의 기지를 공격했다.두 장군은 셀주크 함대를 성공적으로 파괴하고 아부엘 카심이 니케아로 철수하도록 강요했고, 거기서 그는 비잔티움과 [2][3]휴전을 맺었다.

이후 1092년 알렉시오스의 메가스독스 두카스가 스미르나의 에미르 차차스를 물리친 후, 부토미테스는 알렉산더 에우포르베노스와 함께 [2][4]레스보스 섬에서 평화적으로 대피시키기 위해 에미르에게 인질로 주어졌다.얼마 지나지 않아, 두카스와 부투미테스는 크레타에서 카리케스반란키프로스에서 랩소마테스의 반란에 대항하기 위해 파견되었다.카이케스의 반란을 진압한 후, 그들은 키레니아가 빠르게 몰락한 키프로스로 향했다.랩소마테스는 그들을 만나기 위해 나와 도시 위의 높은 곳을 점령했지만, 부투미테스는 그의 많은 부하들을 탈영하도록 유인했고, 반란군은 전투에서 도망쳐야 했다.부투미테스는 반란군이 은신처를 찾았던 성십자의 교회에서 그를 뒤쫓고 따라잡았다.목숨을 살려주겠다고 약속하고, 그는 그를 붙잡아 [2][5]도카스로 데려갔다.전통에 따르면, 키프로스에 있을 때, 그는 그곳에 키코스 수도원을 설립했다고 한다.

제1차 십자군과 니케아 공성전

부투미테스는 알렉시오스로부터 높이 평가받고 신뢰받았다. 안나 콤네네는 그를 "알렉시오스의 유일한 측근"이라고 부른다.따라서 그는 제1차 십자군과의 미묘한 거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096년 부토미테스는 배가 난파한 베르만두아의 휴디라키움에서 콘스탄티노플까지 호위하기 위해 파견되었고, 1097년에는 소규모 파견대의 선두로 십자군 군대가 [6]아나톨리아에서 터키를 향해 진격할 때 동행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서유럽에서 나온 니케아 공성전.

십자군들이 가는 길에 첫 번째 큰 장애물은 셀주크 수도 니케아였고, 1097년 니케아 공성전을 일으켰다.부투미테스는 알렉시오스로부터 십자군이 아닌 제국군에 대한 도시의 항복을 보장하라는 지시를 받았다.이미 공성전 초기부터 부투미테스는 수많은 편지를 통해 십자군이 도시를 무력으로 점령할 경우 사면이나 대량 학살 위협을 통해 셀주크인들에게 항복하도록 유도했다.터키인들은 부투미티인들의 도시 진입을 허용하며 협상에 들어갔다.이틀 후, 술탄 킬리 아르슬란 1세 (재위: 1092–1107)가 이끄는 구호군이 다가왔다는 소식에, 그들은 그를 [7]떠나도록 강요했다.하지만, 구원군이 십자군에 패한 후, 부토미테스 휘하의 제국 함대가 아스카니아 호수를 통과하는 도시의 개방된 보급로를 장악하고 타티키오스 휘하의 2,000명의 비잔틴인들이 십자군에 합류하면서, 도시 주민들은 알렉시오스의 조건을 받아들이기로 결심하고 니케아에 입성하여 보여주었다.그들에게 비잔틴 황제의 크리소불을 수여하고, 도시에 있는 술탄의 부인과 누나를 위해 후한 조건과 예우를 제공하였다.그러나 부투미테스는 이 거래를 비밀로 했고, 타티키오스와 다시 십자군 및 타티키오스의 부하들에 의한 공격을 주선했다.이 계략은 효과가 있었다: 마지막 공격이 6월 19일로 정해졌지만, 새벽에 공격이 시작되자, 호숫가 성문을 통해 들어오도록 허락받은 비잔틴인들은 십자군들을 밖으로 [8]내보낸 채 성벽의 깃발을 올렸다.

십자군은 대체로 결과를 받아들였지만, 그 사건은 관계를 악화시켰다.십자군 지도자들은 터키 구호부대를 격파하면서 입은 사상자들로 인해 소외된 것에 대해 속았다는 느낌을 받았지만, 약탈의 가능성을 박탈당하고 이슬람교도 [9]포로들을 존중하는 비잔틴의 처우에 격분했던 십자군 평사원들 사이에서 분노는 더 컸다.도시가 함락된 후, 부투미테스는 알렉시오스에 의해 니케아의 두크스로 명명되었다.그는 여전히 약탈을 갈망하는 십자군 병사들을 견제하는 데 성공했고, 십자군 병사 10명을 제외하고는 도시 안으로 들어갈 수 없었다.그리고 선물을 통해 그들의 지도자들을 달래고 알렉시오스에 대한 충성 서약을 확보했다.그는 또한 몇몇 십자군 병사들을 설득하여 비잔틴 군대에 입대시켰다.그들은 그 후 니케아를 수비하고 [10][11]성벽을 수리하는 데 고용되었다.

보헤몽과 탠크레드에 대항하는 사절이자 장군

1105년경 비잔틴 제국과 동지중해.

1099년, 그는 안티오키아의 보헤몽 1세에게 평화 사절로 키프로스에 있는 비잔틴 사령관들에 의해 보내졌지만, 석방되기 전에 2주 동안 그에게 억류되었고,[11][12] 어떠한 협상도 시작되지 않았다.몇 년 후 c.(1103년) 부투미테스는 보헤몽으로부터 킬리시아를 보호하기 위해 파견된 대군의 선두에 배치되었다.아탈리아를 점령한 후, 비잔틴은 마라슈와 그 주변 지역을 점령했다.부투미테스는 모나스트라스 휘하의 대군을 남겨 그 지방을 수비하고, [1][13]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돌아왔다.

1111/12년, 그는 안티오키아에서 보헤몽의 섭정이었던 탕크레드에 대항하기 위해 라틴 왕국 예루살렘에 사절로 파견되었는데, 탕크레드는 안티오키아를 비잔틴의 [1][14]속국으로 만든 1108년 데볼 조약을 준수하기를 거부했다.키프로스에서 부투미테스는 트리폴리로 항해했다.알렉시아드에 따르면, 지역 백작 툴루즈의 베르트랑은 탠크레드에 대항하는 제국군을 돕고 심지어 그가 [15][16]안티오키아를 포위하기 위해 도착할 때 알렉시오스에게 경의를 표하는 것에 흔쾌히 동의했다고 한다.다음에 비잔틴 사절단은 티레를 포위하고 있던 예루살렘의 왕 볼드윈 1세를 만나기 위해 출발했다.부투미테스는 상당한 현상금을 내걸고 알렉시오스가 이미 셀레우키아에 도착했다고 하는 등 여러 과장된 진술을 함으로써 볼드윈을 설득하려 했다.그러나 볼드윈은 부투미테스의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고 조언했고 그에 대한 신뢰를 잃었다.그는 사전에 약속한 보조금을 받는다면 텐크레드를 공격할 용의가 있는 척 했다.그러나 부투미테스는 왕의 의도를 알아차리고 이를 거부했다.그래서 그 임무는 실패로 끝났고, 부투미테스는 예루살렘을 [17]떠나 트리폴리를 거쳐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돌아왔다.

레퍼런스

  1. ^ a b c A. Kazhdan, "Boutoumites", Kazhdan, 1991년판, 318–319 :
  2. ^ a b c d 스쿨라토스 1980, 페이지 181
  3. ^ 안나 콤네, 알렉시아드, 세터, 2003년판, 페이지 202-203.
  4. ^ Anna Komnene, The Alexiad, Sewter, 2003년판, 페이지 270–271.
  5. ^ 안나 콤네, 알렉시아드, 세터, 2003년판, 페이지 272–274.
  6. ^ Anna Komnene, Alexiad, Sewter, ed. 2003, 페이지 315, 331; Runciman 1987, 페이지 144, 177 :
  7. ^ Anna Komnene, The Alexiad, Sewter, 2003년판, 331–334쪽; Skoulatos 1980, 182쪽; Runciman 1969, 289쪽 : Runciman 1987, 페이지 179 :
  8. ^ Anna Komnene, The Alexiad, Sewter, ed. 2003, 페이지 334–338; Skoulatos 1980, 페이지 182–183; Runciman 1969, 페이지 290 : (Runciman 1987, 페이지 180 :
  9. ^ Runciman 1969, 페이지 290–291 : (Runciman 1987, 페이지 180–181 :
  10. ^ Anna Komnene, The Alexiad, Sewter, 2003년판, 339–340쪽; Runciman 1987, 페이지 184 :
  11. ^ a b 스쿨라토스 1980, 페이지 183
  12. ^ 안나 콤네, 알렉시아드, 세터, 2003년판, 페이지 362-363.
  13. ^ Anna Komnene, Alexiad, Sewter, ed. 2003, 페이지 358–360; Skoulatos 1980, 페이지 183–184; Runciman 1987, 페이지 300–301 : 도움말).
  14. ^ C. M. 브랜드, "Bohemund", Kazhdan, ed. 1991, 페이지 301–302 대상 : _ed도움말 A. Kazhdan, "Devol", Kazhdan, ed.17 : 오류: 없음:.Finck 1969, 페이지 400 : 도움말).
  15. ^ 스쿨라토스 1980, 페이지 184
  16. ^ 안나 콤네, 알렉시아드, 세터, 2003년판, 페이지 440-441.
  17. ^ Anna Komnene, Alexiad, Sewter, ed. 2003, 441–441; Skoulatos 1980, 184–185; Finck 1969, 페이지 400–401 : 도움말

원천

  • Finck, Harold S. (1969) [1955]. "The Foundation of the Latin States, 1099-1118". In Setton, Kenneth M.; Baldwin, Marshall W. (eds.).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ume I: The First Hundred Years (Second ed.). Madison, Milwaukee, and Lond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pp. 368–409. ISBN 0-299-04834-9.
  • Kazhdan, Alexander, ed. (1991). The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Oxford a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04652-8.
  • Runciman, Steven (1969) [1955]. "The First Crusade: Constantinople to Antioch". In Setton, Kenneth M.; Baldwin, Marshall W. (eds.).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ume I: The First Hundred Years (Second ed.). Madison, Milwaukee, and Lond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pp. 280–307. ISBN 0-299-04834-9.
  • Runciman, Steven (1987) [1951].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ume I: The First Crusade and the Foundation of the Kingdom of Jerusalem.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34770-9.
  • Sewter, E. R. A., ed. (2003) [1969]. The Alexiad. London and New York: Penguin Classics. ISBN 978-0-14-044958-7.
  • Skoulatos, Basile (1980). Les personnages byzantins de l'Alexiade: Analyse prosopographique et synthèse [The Byzantine Personalities of the Alexiad: Prosopographical Analysis and Synthesis] (in French). Louvain-la-Neuve and Louvain: Bureau du Recueil Collège Érasme and Éditions Nauwelaerts. OCLC 84688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