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케아 공방전

Siege of Nicaea
니케아 공방전
제1차 십자군과 비잔틴-셀주크 전쟁의 일부
Nikája3.jpg
13세기 미니어처(BNF, 779)
날짜.1097년 5월 14일~6월 19일
위치
니케아 (현재의 터키 이즈니크)
결과크루세이더-비잔틴 승리
지역
변화들
니케아는 동로마 제국에 복원되었다.
교전국
십자군
동로마 제국
럼 술탄국
지휘관 및 리더
타란토의 보헤몽
레몽 4세
르 푸이의 아데마르
고드프루아 드 부용
로베르 2세
로베르트 2세
블루아의 스테판
오트빌의 탕크레드
위그 드 베르망두아
유스타케 3세
볼드윈 드 불로뉴
마누엘 부투미테스
타티키오스
킬리 아르슬란

십자군:
보병 약 30,000명
~ 4,200~4,500 기병

비잔틴:
2,000명의 경기병 및 해군[2] 지원

니케아 수비대:
알 수 없지만 크기가 크다

Kilij Arslan의 구호 부대:
최대 10,000명, 대부분 기마 궁수
사상자 및 손실
알 수 없는~4000

니케아 공성전은 1097년 5월 14일부터 6월 19일까지 벌어진 제1차 십자군 원정의 첫 번째 주요 전투였다.그 도시는 십자군이 그 도시에 침입할 것을 두려워하여 비잔티움에게 항복하기로 선택한 셀주크 투르크의 지배하에 있었다.이 공성전은 도릴래움 전투와 안티오키아 공성전으로 이어졌으며, 모두 현대 [4][5]터키에서 일어났다.

배경

아스카니아 호수의 동쪽 해안에 위치한 니케아는 1081년 셀주크 투르크에 의해 비잔틴 제국으로부터 점령되어 렘 술탄국의 수도가 되었다.1096년, 제1차 십자군 원정의 첫 단계인 인민 십자군은 터키에 의해 파괴되기 전에 도시를 둘러싼 땅을 약탈했다.그 결과, 술탄 킬리 아르슬란은 처음에 제2의 십자군 물결이 [6]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느꼈다.그는 가족과 재산을 니케아에 남겨두고 동쪽으로 가서 멜리테네[7]지배하기 위해 덴마크인들과 싸웠습니다.

십자군 포위 공격

십자군은 1097년 4월 말에 콘스탄티노플을 떠나기 시작했다.부용의 고드프리타란토의 보헤몽, 보헤몽의 조카 탕크레드, 툴루즈의 레몽 4세, 플랜더스의 로베르트 2세와 함께, 피에르와 인민 십자군의 생존자, 마누엘 부투에스가 이끄는 작은 비잔틴 군대와 함께 니케아에 가장 먼저 도착했다.그들은 5월 6일에 도착했는데, 식량이 심각하게 부족했지만, 보헤몽은 육지와 바다를 통해 식량을 가져다 주도록 주선했다.그들은 5월 14일부터 200개의 탑으로 잘 방어된 성벽의 다른 부분에 병력을 배치하면서 도시를 포위했다.보헤몽은 도시의 북쪽에, 고드프리는 남쪽에, 르 푸이의 레몽과 아데마르는 동쪽 에 진을 쳤다.

킬리 아르슬란의 패배

5월 16일, 터키 수비대는 십자군을 공격하기 위해 출격했지만, 터키군은 교전에서 200명의 병사들을 잃고 패배했다.터키인들은 킬리 아르슬란에게 돌아오라고 간청하는 메시지를 보냈고, 그가 십자군의 힘을 깨달았을 때 그는 재빨리 돌아섰다.선발대는 5월 20일 레이먼드와 플랜더스의 로버트 2세가 이끄는 군대에 의해 패배했고, 5월 21일 십자군은 밤늦게까지 이어진 치열한 전투에서 킬리를 물리쳤다.양측 모두 손실이 컸지만, 결국 술탄은 니케아 투르크의 간청에도 불구하고 퇴각했다.나머지 십자군들은 로버트 쿠르세 (랄프 드 과더와 동행)와 블루아의 스테판이 6월 초에 도착하면서 5월의 나머지 기간 내내 도착했다.한편, 레이먼드와 아드헤마르는 거대한 공성 엔진을 만들었고, 이 엔진을 고나타스 탑에 굴려 성벽 위의 수비대와 교전했고, 광부들은 아래에서 탑을 채굴했다.탑은 파손되었지만 더 이상의 진전은 없었다.

비잔틴의 도착

비잔틴 황제 알렉시오스 1세는 십자군과 동행하지 않기로 선택했지만, 십자군 뒤에서 행군하여 인근 펠레카눔에 그의 캠프를 만들었다.거기서부터 그는 배를 보내 육지 위를 굴러다니며 십자군이 아스카니우스 호수를 봉쇄하는 것을 도왔다. 아스카니우스 호수는 지금까지 터키인들이 니케아에 식량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었다.그 배들은 마누엘 부투미테스의 지휘 하에 6월 17일에 도착했다.장군 타티키오스도 2,000명의 보병과 함께 파견되었다.알렉시오스는 부투미테스에게 십자군 몰래 도시의 항복을 협상하라고 지시했다.타티키오스는 십자군과 함께 성벽을 직접 공격하라는 지시를 받았고, 부투미테스는 마치 비잔틴이 전투에서 도시를 점령한 것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성벽을 직접 공격하라는 지시를 받았다.이것은 이루어졌고, 6월 19일 터키인들은 부토미테스에 항복했다.

십자군들은 알렉시오스가 한 짓을 발견했을 때, 돈과 물자를 노리고 도시를 약탈하기를 바랐기 때문에 매우 화가 났다.그러나 부투미테스는 니케아의 뒤스라고 불리며 십자군이 한번에 10명 이상의 무리를 지어 들어가는 것을 금지했다.부투미테스는 또한 신뢰할 수 없다고 생각한 터키 장군들을 추방했다.Kilij Arslan의 가족은 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갔고 결국 몸값 없이 풀려났다.알렉시오스는 십자군들에게 돈, 말, 그리고 다른 선물들을 주었지만, 십자군들은 그들이 니케아를 직접 점령했다면 더 많은 것을 가질 수 있었을 것이라고 믿으며, 이것에 만족하지 않았다.부투미테스는 그들이 아직 콘스탄티노플에서 신하 서약을 하지 않았다면 모두 알렉시오스에게 봉신 선서를 할 때까지 그들이 떠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을 것이다.콘스탄티노플에서 그랬던 것처럼, 탠크레드는 처음에는 거절했지만, 결국 항복했다.

여파

십자군들은 두 개의 부대원들과 함께 6월 26일 니케아를 떠났다.보헤몽, 탕크레드, 플랜더스의 로베르 2세, 타티키오스가 선봉에 서고 고드프리, 불로뉴의 볼드윈, 스테판, 베르망두아의 휴가 뒤를 이었다.타티키오스는 점령된 도시를 제국에 반환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그들의 기분은 매우 들떠 있었고, 스테판은 그의 아내 아델라에게 그들이 5주 후에 예루살렘에 도착할 것이라고 편지를 썼다.7월 1일, 그들은 도릴레움 전투에서 킬리를 물리쳤고, 10월에 안티오키아에 도착했다; 그들은 니케아를 떠난 [8]후 2년이 지나야 예루살렘에 도착할 것이다.

각주

  1. ^ 니콜, 제1차 십자군 1096-1099: 성지 정복, 32페이지 "결국 니케아 외곽의 십자군 병력은 4,200-4,500명의 기병과 30,000명의 보병을 거느렸고, 비 전투병은 제외했다."
  2. ^ 십자군 전쟁:토마스 F의 일러스트레이티드 히스토리 매든
  3. ^ 프라이어, 십자군 시대의 전쟁물류, 페이지 49-50 "게다가 포위군은 성벽을 습격하기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을 했고 그들은 대부분 궁수인 10,000여 명의 구원군인 킬리 아르슬란을 상대로 한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4. ^ Runciman, Steven(1969년).제9장. 제1차 십자군: 콘스탄티노플에서 안티오키아로"세튼에서는 케네스 M., 볼드윈, 마셜 W. (eds)십자군 원정의 역사: 나. 최초의 100년.매디슨:위스콘신 대학 출판부. 페이지 288~290.
  5. ^ 니케네 공성전.토마스(2004년)의 아스브리지.제1차 십자군: 새로운 역사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페이지 118~131.
  6. ^ Savvides, Alexios G. C. (2006)"렘의 퀴리 아르슬란 (d. 1107)"십자군 전쟁 - 백과사전, 페이지 998.
  7. ^ 타신 야지치, '다네만드'백과사전, 제1권제6장, 파시스 6, 페이지 654~655.
  8. ^ 스티븐이 아델에게 보낸 편지, 1098년문로, D.칼튼.(1902).십자군의 편지. 필라델피아 목사.펜실베니아 대학 역사학부. 페이지 5-7

참고 문헌

  • 안나 컴네나, 알렉시아드
  • 샤르트르의 풀처, 히에로솔리미타나
  • 게스타 프랑코룸(익명)
  • 예루살렘의 역사 프랑코룸 레이몬드
  • 메이어, 한스 에버하드입니다십자군 전쟁.런던: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1972년 ISBN0198730152
  • 니콜, 데이비드제1차 십자군 1096-1099: 성지 정복, 오스프리 출판사, 2003.
  • Ashgate Publishing Ltd. 2006, 존 H. 십자군 시대 전쟁의 로지스틱스.ISBN 0754651975
  • 라일리 스미스, 조나단 사이먼 크리스토퍼입니다 번째 십자군 원정과 십자군 원정에 대한 생각.필라델피아:펜실베니아 대학 출판부, 1986.ISBN 0812280261
  • Runciman, Steven (1951).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ume I: The First Crusade and the Foundation of the Kingdom of Jerusalem.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Setton, Kenneth M.; Baldwin, Marshall W., eds. (1969) [1955].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ume I: The First Hundred Years (Second ed.). Madison, Milwaukee, and Lond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ISBN 0-299-04834-9.
  • Treadgold, Warren (1997). A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and Society. Stanford, California: Stanford University Press. ISBN 0-8047-2630-2.

좌표:40°35°00°N 30°08°00°E/40.5833°N 30.1333°E/ 40.5833; 30.1333